KR200468705Y1 -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05Y1
KR200468705Y1 KR2020120001407U KR20120001407U KR200468705Y1 KR 200468705 Y1 KR200468705 Y1 KR 200468705Y1 KR 2020120001407 U KR2020120001407 U KR 2020120001407U KR 20120001407 U KR20120001407 U KR 20120001407U KR 200468705 Y1 KR200468705 Y1 KR 200468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late spring
engine
gallery
mes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황상재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1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하측에 중간 영역이 결합되는 플레이트 스프링부;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의 양측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메스블록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트 스프링의 개수, 메스 블록의 개수 또는 메스 블록이 이동 슬롯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된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해석 및 계산 또는 별도의 보강이 필요 없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엔진 갤러리의 고유진동수 및 진폭 배율(또는 진폭)을 제어할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Vibration Damping Device of Engine Gallery}
본 고안은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진하는 물체에 플레이트 스프링부와 메스블록부가 형성된 진동저감장치를 설치하여 기존의 공진점을 이동시켜 기계의 엔진운전영역에서 공진을 피하거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엔진 갤러리(Gallery)의 경우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탠션 파이프(Stanchion pipe), 빔(Beam) 또는 립(Rib) 보강을 통해 계의 강성을 증가시켜 공진을 회피하는 방법을 주로 적용한다.
그러나, 도 1을 참조하면, 하부 갤러리가 없는 경우, 스탠션 파이프 적용이 어렵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의 갤러리 형상이 유사한 경우 두 개의 고유 진동수가 근접해 있어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전혀 할 수가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갤러리의 조립 후, 빔 또는 립 보강은 플랫폼(Platform)과 기존의 빔을 제거하고 보강한 후 재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공수가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엔진 갤러리에 동흡진기와 같은 별도의 진동저감장치를 설치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장치의 설계를 위해서는 갤러리의 진동 특성을 감안한 별도의 계산이나 해석이 필요한데, 현실적으론 현장에서 즉석에서 계산하고 해석하는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특성에 따라 현장에서 자유자재로 장치를 튜닝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레이트 스프링의 개수, 메스 블록의 개수 또는 메스 블록이 이동 슬롯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된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해석 및 계산 또는 별도의 보강이 필요 없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엔진 갤러리의 고유진동수 및 진폭 배율(또는 진폭)을 제어할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스프링부의 양쪽에 메스블록부가 각각 결합되어 양팔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메스블록부를 양쪽으로 분산시켜 플레이트 스프링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집중을 피할 수 있으며, 보다 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박 엔진의 상하부 갤러리가 스탠션 파이프(Stanchion pipe)로 연결되어 있고, 두 개 공진점이 엔진운전 영역에 존재할 때, 양쪽에 설치된 메스블록부 양측을 각각 위치 및 무게를 조절하여 고유진동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두 개의 공진점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하측에 중간 영역이 결합되는 플레이트 스프링부;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의 양측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메스블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져 적층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스블록부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져 적층된 복수개의 메스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들은 2의 배수만큼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플레이트 스프링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복수개의 매스블록은 2의 배수만큼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매스블록들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는 길이방향으로 상하를 관통하는 이동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메스블록부는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볼트로 상기 이동 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슬롯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는 일측면에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스블록부의 이동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트 스프링의 개수, 메스 블록의 개수 또는 메스 블록이 이동 슬롯을 따라 이동하여 눈금자를 통해 고정된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해석 및 계산 또는 별도의 보강이 필요 없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엔진 갤러리의 고유진동수 및 진폭 배율(또는 진폭)을 제어할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트 스프링부의 양쪽에 메스블록부가 각각 결합되어 양팔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메스블록부를 양쪽으로 분산시켜 플레이트 스프링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집중을 피할 수 있으며, 보다 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 엔진의 상하부 갤러리가 스탠션 파이프(Stanchion pipe)로 연결되어 있고, 두 개 공진점이 엔진 운전 영역에 발생할 때, 양쪽에 설치된 메스블록부 양측을 각각 위치 및 무게를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고유진동수를 서로 독립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두 개의 공진점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하부 갤러리가 없는 엔진 갤러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하부의 갤러리 형상이 유사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케이스(110)의 앞부분을 제거한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가 선박의 엔진 갤러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부착 전(W/O DA)과 부착 후에 진동저감장치의 질량비에 따른 고유진동수와 진폭 배율(또는 진폭)의 변화를 나타낸 도표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부착 전(W/O DA)과 부착 후에 진동저감장치의 고유진동수 비에 따른 고유진동수와 진폭 배율(또는 진폭)의 변화를 나타낸 도표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는, 케이스(110), 스페이서(120, Spacer), 플레이트 스프링(Plate spring)부(130), 메스블록(Mass block)부(14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케이스(110)의 앞부분을 제거한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측면도이다.
케이스(1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나의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10)는, 외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
스페이서(120)는 케이스(110)의 내부 상측 중간 영역에 설치된다.
또한, 스페이서(120)와 후술할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케이스(110)의 상측면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5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케이스(110)의 내부 상측 중간 영역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또한, 케이스(110)는 고정볼트(154)에 의해 선박의 엔진 갤러리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케이스(110)가 설치되는 곳은 선박의 엔진 갤러리에 한정하지 않는다.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스페이서(120)의 하측에 중간 영역이 결합된다. 즉,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스페이서(120)를 기준으로 양팔보 형태로 결합됨으로 중간 영역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132)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스프링(132)은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은 동일한 형상의 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은 진동저감장치의 강성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의 두께들을 2의 배수로 형성하면 n개(n≥1)의 플레이트 스프링(132)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2n-1개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2개의 플레이트 스프링(132)을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플레이트 스프링의 두께를 1mm로 하고, 다른 플레이트 스프링의 두께를 2mm로 하면, 이들 2개의 플레이트 스프링(132)으로 제공할 수 있는 조합의 개수는 22-1=3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1mm 두께, 2mm 두께, 그리고 1mm + 2mm의 두께의 총 3개의 서로 다른 두께의 플레이트 스프링을 구현할 수 있다.
또, 3개의 플레이트 스프링(132)을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플레이트 스프링의 두께를 1mm로 하고, 다른 플레이트 스프링의 두께를 2mm로 하고, 또 다른 플레이트 스프링의 두께를 4mm로 하면, 이들 2개의 플레이트 스프링(132)으로 제공할 수 있는 조합의 개수는 23-1=7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1mm 두께, 2mm 두께, 3mm 두께, 1mm + 2mm 두께, 1mm + 3mm 두께, 2mm + 3mm 두께, 그리고 1mm + 2mm + 3mm 두께의 총 7개의 서로 다른 두께의 플레이트 스프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의 두께를 2의 배수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n개의 플레이트 스프링(132)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2n-1개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현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진동 특성, 즉 진동 주파수를 더 잘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최소 개수의 플레이트 스프링(132)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최대 개수의 서로 다른 진동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상술한 복수의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이 서로 겹쳐져 적층된다. 이는, 플레이트 스프링부(130)가 스프링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복수의 플레이트 스프링(132)들이 서로 겹쳐져 적층될 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플레이트 스프링(132)이 서로 겹쳐지게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진동저감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고유진동수를 튜닝하기 위해 2n-1개만큼 강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스페이서(1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동일하게 길이방향으로 상하를 관통하는 이동 슬롯(134)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이동 슬롯(134)은 하나의 형태로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일측면에 눈금자(136)가 형성된다.
즉, 플레이트 스프링부(130)는, 그 측면에 이동 슬롯(134)과 눈금자(136)가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메스블록부(140)가 이동 슬롯(134)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되, 눈금자(136)를 통해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메스블록부(140)는, 플레이트 스프링(132)의 양측의 하측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메스블록부(140)는 다수개의 메스블록(142)을 포함한다.
메스블록(142)은 두께를 제외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메스블록(142)들은 진동저감장치의 질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매스블록(142)들의 두께들을 2의 배수로 형성하면 n개(n≥1)의 매스블록(142)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2n-1개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매스블록(142)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2개의 매스블록(142)을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매스블록의 두께를 1mm로 하고, 다른 매스블록의 두께를 2mm로 하면, 이들 2개의 매스블록(142)으로 제공할 수 있는 조합의 개수는 22-1=3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1mm 두께, 2mm 두께, 그리고 1mm + 2mm의 두께의 총 3개의 서로 다른 두께의 매스블록을 구현할 수 있다.
또, 3개의 매스블록(142)을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매스블록의 두께를 1mm로 하고, 다른 매스블록의 두께를 2mm로 하고, 또 다른 매스블록의 두께를 4mm로 하면, 이들 2개의 매스블록(142)으로 제공할 수 있는 조합의 개수는 23-1=7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1mm 두께, 2mm 두께, 3mm 두께, 1mm + 2mm 두께, 1mm + 3mm 두께, 2mm + 3mm 두께, 그리고 1mm + 2mm + 3mm 두께의 총 7개의 서로 다른 두께의 매스블록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매스블록(142)들의 두께를 2의 배수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n개의 매스블록(142)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2n-1개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매스블록(142)들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현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진동 특성, 즉 진동 주파수를 더 잘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스블록부(140)는, 상술한 복수의 메스블록(142)들이 서로 겹쳐져 적층되어,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볼트(152)로 결합된다.
또한, 메스블록부(140)는 플레이트 스프링부(130)에 형성된 이동 슬롯(134)을 따라 플레이트 스프링부(130)의 길이방향 즉, 좌우로 움직인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는 플레이트 스프링부(130)의 양쪽에 메스블록부(140)가 각각 결합되어 양팔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메스블록부(140)를 양쪽으로 분산시켜 플레이트 스프링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의 집중을 피할 수 있으며, 보다 큰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부에 설치된 선박 엔진 갤러리는 스탠션 파이프(Stanchion pipe)로 연결되어 있고, 고유진동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엔진운전영역 안에서 공진할 때, 양쪽에 설치된 메스블록부(140) 양측을 각각 위치 및 무게를 조절하여 고유진동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두 개의 공진점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체결볼트(152)는, 이동 슬롯(134)에 삽입되며 메스블록(142)들을 결합하여 플레이트 스프링(132)의 어느 한 위치에 메스블록부(14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메스블록(142)는, 메스블록(142)들이 서로 겹쳐져 적층될 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메스블록(142)이 서로 겹쳐지게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스블록부(140)는, 진동저감장치가 설치된 현장에서 고유진동수를 튜닝하기 위해 질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가 선박의 엔진 갤러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부착 전(W/O DA)과 부착 후에 진동저감장치의 질량비에 따른 고유진동수와 진폭 배율(또는 진폭)의 변화를 나타낸 도표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의 부착 전(W/O DA)과 부착 후에 진동저감장치의 고유진동수 비에 따른 고유진동수와 진폭 배율(또는 진폭)의 변화를 나타낸 도표이다. 여기서, 진폭 배율이란, 운동의 정적 진폭에 대한 동적 진폭의 비를 나타내며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진폭을 결정하는 인자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저감장치가 선박의 엔진 갤러리에 설치된 후에 진동저감장치의 질량비(ε)에 따른 고유진동수와 진폭 배율(또는 진폭)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저감장치가 선박의 엔진 갤러리에 설치된 후에 진동저감장치의 고유진동수 비(ν)에 따른 고유진동수와 진폭 배율(또는 진폭)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는 플레이트 스프링(132)의 개수, 메스 블록의 개수 또는 메스 블록이 이동 슬롯(134)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된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해석 및 계산 또는 별도의 보강이 필요 없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엔진 갤러리의 고유진동수 및 진폭 배율(또는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일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20: 스페이서
130: 플레이트 스프링부 132: 플레이트 스프링
134: 이동 슬롯 136: 눈금자
140: 메스블록부 142: 메스블록
152: 체결볼트 154: 고정볼트

Claims (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하측에 중간 영역이 결합되는 플레이트 스프링부; 및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의 양측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메스블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져 적층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스블록부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져 적층된 복수개의 메스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 스프링들은 2의 배수만큼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플레이트 스프링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복수개의 매스블록은 2의 배수만큼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된 매스블록들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는 길이방향으로 상하를 관통하는 이동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메스블록부는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볼트로 상기 이동 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슬롯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부는 일측면에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스블록부의 이동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KR2020120001407U 2012-02-23 2012-02-23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KR200468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07U KR200468705Y1 (ko) 2012-02-23 2012-02-23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07U KR200468705Y1 (ko) 2012-02-23 2012-02-23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05Y1 true KR200468705Y1 (ko) 2013-09-10

Family

ID=5139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407U KR200468705Y1 (ko) 2012-02-23 2012-02-23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0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716A (ja) * 1995-05-16 1996-11-26 Oiles Ind Co Ltd 調整機構付き動吸振装置
JP2000240720A (ja) 1999-02-23 2000-09-05 Ohbayashi Corp 可動質量体を備えた嫌振設備の除振装置
JP2002188683A (ja) 2000-12-20 2002-07-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受動式制振装置
KR100345123B1 (ko) 1999-12-24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파수 가변형 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716A (ja) * 1995-05-16 1996-11-26 Oiles Ind Co Ltd 調整機構付き動吸振装置
JP2000240720A (ja) 1999-02-23 2000-09-05 Ohbayashi Corp 可動質量体を備えた嫌振設備の除振装置
KR100345123B1 (ko) 1999-12-24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파수 가변형 댐퍼
JP2002188683A (ja) 2000-12-20 2002-07-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受動式制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5726B (en) Self-adjusting mass suppressor and system comprising this
CN107529881A (zh) 用于桌的桌架
KR20140040256A (ko) 선형 컴프레서의 구성요소들의 배열체
KR200468705Y1 (ko) 강성과 질량의 조절이 가능한 엔진 갤러리의 진동저감장치
CN103526652B (zh) 被动式动力减振的梯形轨枕轨道结构
JP2015055293A (ja) 制震装置
CN104791413B (zh) 一种内嵌弹簧式反共振振动抑制装置
JP3185109U (ja)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用固定治具
KR101390231B1 (ko) 선박용 래싱브리지 진동저감장치
JP2013040497A (ja) 制震ビーム及び該制震ビームを有する門型ビーム
US20120237347A1 (en) Ram Air Turbine with Controlled Vibrational Resonances
KR101522862B1 (ko) 강성 가변형 동흡진기
CN1426538A (zh) 在磁共振成像的梯度线圈设计中的主动声控
CN102237746A (zh) 旋转式压缩机的平衡结构以及包括该结构的旋转式压缩机
KR20140067849A (ko) 해양 구조물의 헬리콥터 데크 방진 설계 방법
JP6387241B2 (ja) 制振装置
CN209337935U (zh) 自动扶梯和用于该自动扶梯的振动控制设备
FI12778Y1 (fi) Jousielementti
CN103781592B (zh) 伸缩波纹管
RU2005139580A (ru) Сейсмостойкий мост
RU2440521C2 (ru) Направляющий элемент
JP5280939B2 (ja) 建物
JP4444038B2 (ja) 構造物床の防振工法
KR102637551B1 (ko) 음의 강성(negative stiffness) 현상을 이용하는 능동형 흡진기
KR101764233B1 (ko) 동흡진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