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643Y1 - Luggage strap - Google Patents
Luggage str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8643Y1 KR200468643Y1 KR2020110008738U KR20110008738U KR200468643Y1 KR 200468643 Y1 KR200468643 Y1 KR 200468643Y1 KR 2020110008738 U KR2020110008738 U KR 2020110008738U KR 20110008738 U KR20110008738 U KR 20110008738U KR 200468643 Y1 KR200468643 Y1 KR 2004686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strap
- ring
- variabl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2—Briefcas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끈에 관한 것으로, 가방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되며, 끝단에 고리가 마련된 이동고리부와, 상기 이동고리부의 상기 고리를 관통하며, 양단이 가방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변끈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가방의 상단 중앙부에서 제공되는 이동고리부와, 상기 이동고리부를 관통하여 그 이동고리부의 위치에 따라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끈부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고리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가변끈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끈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가방을 메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strap, which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bag, consisting of a moving ring portion provided with a ring at the end, and a variable strap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ring of the moving ring portion, both ends are fixed to the side upper end of the bag d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oving ring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ag, and a variable strap portion that can change the sha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ring portion through the moving ring portion, the variable strap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moving ring portion The simple operation of adjusting the length can change the shape of the strap, making it easy to change the way the bag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방끈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형상을 변경하여 가방을 다양한 형태로 멜 수 있는 가방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strap, and to a bag strap that can be changed in shape by a simple operation to bag the bag in various forms.
일반적으로, 가방은 그 용도에 따라 일반적인 형태의 디자인이 결정되어 있으며, 그 디자인에 적당한 가방끈을 고리로 체결하거나 가방에 일체로 부착한 형태로 제작된다.In general, a bag has a general shape design determined according to its use, and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a bag strap suitable for the design is fastened by a ring or attached integrally to the bag.
즉, 서류가방, 소형 패션가방 등은 한쪽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단일한 끈의 양단이 가방의 상단 좌우측에 고정 또는 체결되어 있으며, 등산가방, 인라인 수납가방 등은 부피가 큰 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며, 활동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양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등받이 부분에 두 개의 어깨끈이 마련되어 있다.
In other words, briefcases and small fashion bags are fixed or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g so that they can be carried on one shoulder. Mountaineering bags and in-line storage bags can accommodate bulky items. There is plenty of space, and two shoulder straps ar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houlder for consideration of activity and stability.
이처럼 가방의 용도에 따라 적당한 형태의 가방끈이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방끈의 형태를 변경하여, 가방을 메는 방식을 변경하는 것은 거의 제공되지 않는다.
Thus, although a suitable bag strap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ag, it is hardly provided to change the way of carrying the ba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ba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이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방끈의 형태를 조절하여 메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가방끈에 관하여, 공개특허 10-2010-0012785호(공개일 2010년 2월 8일)에 기재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a bag strap capable of changing a method of carrying a bag strap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bag strap according to a user's nee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2785 (published February 8, 2010).
이 공개특허 10-2010-0012785호의 기재 내용에 따르면, 가방에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끈과 제2끈을 결합부를 사용하여 상대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 결합부에 마련된 클립을 이용하여 끈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is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2785,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ag and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using a coupling portion, the clip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By using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string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실질적으로 끈의 길이를 용도에 따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단일한 가방끈의 길이를 늘려 중앙부가 사용자의 목 뒤에 걸리도록 하여 양 어깨에 메거나, 가방끈의 길이를 줄여 한쪽 어깨에 메는 것이다.However, this method actually adjusts the length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use, and extends the length of a single bag strap so that the center part hangs behind the user's neck, so that it can be carried on both shoulders or shortened. It is carried on one shoulder.
즉 공개특허 10-2010-0012785호의 도 4와 같이 양 어깨에 가방을 메는 경우, 가방끈의 중앙부와 가방 본체는 서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양 어깨에 가방을 메는 경우에도 활동성과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when carrying a bag on both shoulders as shown in Figure 4 of 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2785, since the center of the bag strap and the bag body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when carrying the bag on both shoulders can be guaranteed activity and stability There was no problem.
또한 가방끈을 이루는 요소가 세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어, 보기에 따라 정돈되지 않고 깔끔한 디자인의 가방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elements of the bag strap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bag of a neat design without being organized according to the view.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면서도 용이하게 끈의 형태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가방을 멜 수 있는 가방끈을 제공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bag strap that can be carried in various ways by easily adjusting the shape of the strap while using a simpler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가방을 양 어깨에 멜 때 활동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가방끈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g strap that can increase the activity and stability when carrying the bag on both shoulders.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심플하고 깔끔한 디자인의 가방끈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and neat bag strap.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방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되며, 끝단에 고리가 마련된 이동고리부와, 상기 이동고리부의 상기 고리를 관통하며, 양단이 가방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변끈부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ag, the hook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moving ring, and the movable ring through the ring of the variable, both ends fixed to the side upper end of the bag It consists of a string.
본 고안은, 가방의 상단 중앙부에서 제공되는 이동고리부와, 상기 이동고리부를 관통하여 그 이동고리부의 위치에 따라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끈부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고리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가변끈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끈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가방을 메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oving ring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ag, and a variable strap that can change the sha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ring through the moving ring, the variable straps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moving ring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strap by a simple opera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uoy, so that the way of carrying the bag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이동고리부와 상기 가변끈부의 두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가방끈을 제공하여, 보다 심플한 디자인의 가방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고리부를 탈부착식으로 하여 보다 더 심플한 디자인의 가방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two components of the mobile ring portion and the variable strap, by providing a bag strap that can be changed in sha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simpler bag strap design. And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bag strap of a simpler design by the removable ring portion removable.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이동고리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가변끈부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조정된 상태에서 양 어깨게 멜 수 있으며, 그 이동고리부가 가방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ied to both shoulders in the state that the length of the variable strap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adjusted to be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mobile ring, and the mobile ring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ag to increase the user's activity, stability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가변끈부의 다른 결합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제1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제2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제3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ag str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upling structure of the variable strap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use state diagram of a bag str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 state of use of the bag str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ird state of use of the bag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ba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ba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bag str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ag str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은, 가방 본체(10)의 상부측에서 제공되는 이동고리부(20)와, 상기 이동고리부(20)의 고리(23)에 중앙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방 본체(10)의 양측면 상단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이동고리부(20)의 상기 고리(23)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길이를 조정하여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is a bag str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in the ring ring of the
상기 이동고리부(20)는 가방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부(21)와, 상기 손잡이부(21)의 중앙에서 연장되는 체결부(22)와, 상기 체결부(2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변끈부(30)가 삽입되는 고리(23)를 포함한다.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ag str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먼저, 가방 본체(10)의 모양과 형상은 본 고안의 가방끈을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모양과 형상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First, if the shape and shape of the
상기 도 1과 이후에 설명될 다른 도면들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가방 본체(10)를 정면이 사각이며 소정의 폭을 갖는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그 사각형의 가방 본체(10)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FIG. 1 and other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the
가방 본체(10)의 상단 중앙에서는 이동고리부(20)가 제공된다.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이동고리부(20)는 바람직하게 앞서 설명된 손잡이부(21), 체결부(22) 및 고리(23)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특히 상기 가방 본체(10)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된 상태이며, 그 고리(23)의 위치가 가방 본체(10)의 상단 측면부까지 이를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은 고리(23)의 위치는 사용자가 가변끈부(30)를 이용하여 한쪽 어깨에만 가방 본체(10)를 멜 때, 그 가변끈부(30)가 고리(23)의 일측편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가방 본체(10)의 측면 상단측에 무게가 양분될 수 있도록 그 고리(23)를 가방 본체(10)의 상단 일측 가장자리로 밀어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Such a position of the
상기 가변끈부(30)는 단일한 끈이며, 일부에 길이조정부(31)를 구비하여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가변끈부(30)는 상기 고리(23)를 관통하며, 양단이 상기 가방 본체(10)의 양측 측면 상단부에 박음질되어 고정된 것이거나, 클립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The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구성과는 다른 가변끈부(3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방 본체(10)의 측면 상부측에서 제공되는 고정고리(33)에 탈부착할 수 있는 클립(32)이 그 가변끈부(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리(23)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위치하는 가변끈부(30)의 상대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가변끈부(30)의 상대 길이 조정은 본 고안의 가방끈의 형태를 가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가방 본체(10)를 멜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the relative length of th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끈의 제1사용상태도이다.Figure 3 is a first state of use of the ba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방끈은 상기 이동고리부(20)를 가방 본체(10)의 상단에서 일측면 측으로 눕힌 상태이며, 이때 가변끈부(30)는 상기 고리(23)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ba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가변끈부(30)를 한쪽 어깨에 메거나, 대각선으로 가방 본체(10)를 멜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상기 이동고리부(20)의 위치는 가방 본체(10)의 정면측에서 볼 때 좌우측 어느 위치가 되더라도 무관하며, 가방 본체(10)의 좌우측면으로 하중이 분산되어 안정적인 메기가 가능하게 된다.
The position of th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끈의 제2사용상태도이다.Figure 4 is a second state of use of the ba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방끈은 상기 고리(23)의 위치가 가방 본체(10)의 상단 정중앙 상부측에 위치하며, 가변끈부(30)의 정중앙부분이 그 고리부(23)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is a ba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이때 상기 고리(23)를 포함하는 이동고리부(20)가 상기 가방 본체(10)의 정중앙과 가변끈부(30)의 정중앙을 연결하는 상태가 되며, 그 고리(23)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가변끈부(30)를 각각 양쪽 어깨에 멜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ving
이와 같이 가방 본체(10)를 사용자가 등에 메었을 때, 이동고리부(20)와 상기 가변끈부(30)의 양측단의 3점 지지가 되며, 가방 본체(10)의 하중을 그 가방 본체(1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면측으로 이분하여 안정적으로 멜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user carries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이동고리부(20)의 위치와 가변끈부(30)의 길이 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제 조작에서는 이동고리부(20)의 고리(23)를 관통하는 가변끈부(30)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본 고안의 가방끈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osition of the
또한 본 고안은 이동고리부(20)와 가변끈부(30)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심플한 디자인의 가방끈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방식으로 가방을 멜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imple structure of th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끈의 제3사용상태도이다.5 is a third use state diagram of the ba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고리부(20)의 체결부(22)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손잡이부(21)를 이용하여 가방 본체(10)를 들고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이는 사람이 많은 곳이나, 사용자가 정장차림 등 가방 본체(10)를 어깨에 메기 불편한 경우 손잡이부(21)를 손으로 잡고 가방 본체(10)를 들고 다닐 수 있다.
This is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or when the user is uncomfortable to carry the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ba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고리부(20)는, 가방 본체(10)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되는 연장끈(24)과, 상기 연장끈(24)의 끝단에 마련된 체결부(22)와, 상기 체결부(22)의 끝단에 마련되어 가변끈부(30)가 관통되는 고리(23)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이는 가방 본체(10)를 메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일측 어깨 또는 양측 어깨에 메기 위한 고리(23)와 가변끈부(30)의 상대적인 위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This can be used only for carrying the
상기 고리(23)는 원형 고리일 수 있으며, 그 가변끈부(30)가 용이하게 지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고리(23)의 형태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다.
The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끈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ba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고리부(20)가 가방 본체(10)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연장끈(24)과 그 연장끈(24)의 끝단에 결합되어 가변끈부(30)가 관통 삽입되는 고리(2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이와 같은 구성은 본 고안 가방끈의 구성을 더욱 간소화한 예이며, 이동고리부(20)의 탈부착은 불가능 하지만, 그 고리(23)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가변끈부(30)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로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Such a configuration is an example of further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g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가방끈은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가방끈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에 들거나, 한쪽 어깨에 메거나, 양쪽 어깨에 메는 형태로 끈을 조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메는 방식에서 무게가 일측으로 치우침을 방지하며, 특히 양쪽 어깨에 메었을 때 가방 본체의 중앙부가 가방끈에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활동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inventive bag strap is very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bag strap using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strap in the form of a hand, one shoulder, or both shoulder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eight of each in the way to prevent bias, and especially when the shoulders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bag to be fixed to the strap to improve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the us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transformation to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가방 본체 20:이동고리부
21:손잡이부 22:체결부
23:고리 24:연장끈
30:가변끈부 31:길이조정부
32:클립 33:고정고리10: The bag body 20: Moving ring part
21: Handle part 22: Fastening part
23: Ring 24: Extension string
30: variable string part 31: length adjustment part
32: Clip 33: Locking ring
Claims (6)
상기 이동고리부의 상기 고리를 관통하며, 양단이 가방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변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고리부는,
상기 가방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되는 연장끈과,
상기 연장끈의 끝단에 마련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변끈부가 관통하는 상기 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고리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변끈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끈.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ag, the hook portion is provided with a ring end; And
Penetrating through the ring of the mobile ring portion, both ends include a variable strap tha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g,
The mobile ring unit,
An extension strap coupled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ag,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string,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is made of the ring penetrating the variable strap portion,
Bag strap,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shap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strap portion around the moving ring.
상기 이동고리부의 상기 고리를 관통하며, 양단이 가방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가변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고리부는,
상기 가방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변끈부가 관통하는 상기 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고리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변끈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끈.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ag, the hook portion is provided with a ring end; And
Penetrating through the ring of the mobile ring portion, both ends include a variable strap tha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g,
The mobile ring unit,
A handle part coupled to an upper center part of the bag,
A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is made of the ring penetrating the variable strap portion,
Bag strap,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shap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strap portion around the moving ring.
상기 가변끈부는,
상기 가방 본체와 탈부착 가능한 클립이 양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variable strap portion,
Bag s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bag body and the removable clip is provided at both ends.
상기 가변끈부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길이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방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variable strap portion,
The bag strap which further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part which can regulate leng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738U KR200468643Y1 (en) | 2011-09-29 | 2011-09-29 | Luggage str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738U KR200468643Y1 (en) | 2011-09-29 | 2011-09-29 | Luggage stra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176U KR20130002176U (en) | 2013-04-08 |
KR200468643Y1 true KR200468643Y1 (en) | 2013-08-27 |
Family
ID=5139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8738U KR200468643Y1 (en) | 2011-09-29 | 2011-09-29 | Luggage str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8643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16556B1 (en) * | 2018-08-29 | 2021-07-14 | Anton J. Schudel | Carrier bag |
KR102660205B1 (en) * | 2022-12-15 | 2024-04-24 | 추정호 | Detachable Shoulder Strap Drawstring Rucksack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7407Y1 (en) * | 2000-09-08 | 2001-03-15 | 문희숙 | Sack |
KR200403941Y1 (en) * | 2005-10-05 | 2005-12-14 | 박성창 | Easy-detachable bag rope |
KR20110090282A (en) * | 2010-02-03 | 2011-08-10 | 제현우 | Multipurpose bag |
-
2011
- 2011-09-29 KR KR2020110008738U patent/KR200468643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7407Y1 (en) * | 2000-09-08 | 2001-03-15 | 문희숙 | Sack |
KR200403941Y1 (en) * | 2005-10-05 | 2005-12-14 | 박성창 | Easy-detachable bag rope |
KR20110090282A (en) * | 2010-02-03 | 2011-08-10 | 제현우 | Multipurpose ba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176U (en) | 2013-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75428B2 (en) | Portable container holder | |
EP2459032B1 (en) | Baby carrier | |
US20100092110A1 (en) | Bag with adjustable strap adapted to be carried on shoulders or back | |
AU2009101372A6 (en) | Convertible luggage and dressing station | |
US20030057246A1 (en) | Child's knapsack harness and method of use therefor | |
US20140231473A1 (en) | Baby carrier | |
US9737122B1 (en) | Convertible backpack handbag | |
KR101030985B1 (en) | Versatile backpack | |
EP3047754B1 (en) | Adjustable carrying pack | |
KR101264984B1 (en) | Separating type backpack | |
GB2498024A (en) | A sling bag | |
KR102518114B1 (en) | cinch pack | |
TW202233104A (en) | Baby carrying harness | |
US20210145188A1 (en) | Combination multi-use backpack and child carrier | |
US8070030B2 (en) | Backpack accessible from the user's front while wearing | |
US20100252592A1 (en) | Sandal/footwear carrying device | |
KR200468643Y1 (en) | Luggage strap | |
US20040222059A1 (en) | Combination carrying bag | |
US20060043135A1 (en) | Breathable mesh backsack with straps | |
KR101607657B1 (en) | A functional band backpack of load balancing and posture correction | |
CN208129745U (en) | One kind is multi-functional to increase dining chair mommy packet | |
US12102217B1 (en) | Convertible tote | |
US20130299535A1 (en) | Multiple Item Carrying Assembly | |
KR200451095Y1 (en) | Shoulder Protection Guard with flexibility | |
CN206354651U (en) | A kind of scratch resistant load-bearing backpack of pressure-reduc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