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525Y1 - 구강 세정기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525Y1
KR200468525Y1 KR2020130002287U KR20130002287U KR200468525Y1 KR 200468525 Y1 KR200468525 Y1 KR 200468525Y1 KR 2020130002287 U KR2020130002287 U KR 2020130002287U KR 20130002287 U KR20130002287 U KR 20130002287U KR 200468525 Y1 KR200468525 Y1 KR 200468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passage
hose
water suppl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2020130002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5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61H13/005Hydraulic gum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개인 위생에 맞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케이스와, 세정수 급수를 위한 호스연결관으로 양분되게 하여, 호스연결관의 급수호스는 급수밸브에 고정 설치되게 하고, 손잡이케이스는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게 하는 한편, 호스연결관과 간편하게 연결되게 하여 사용자만이 사용될 수 있게 하며, 세정수가 개폐되게 하는 누름버튼의 조립 부품수를 줄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세정기{CLEANER OF INNER MOUSE}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개인 위생에 맞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케이스와, 세정수 급수를 위한 호스연결관으로 양분되게 하여, 호스연결관의 급수호스는 급수밸브에 고정 설치되게 하고, 손잡이케이스는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게 하는 한편, 호스연결관과 간편하게 연결되게 하여 사용자만이 사용될 수 있게 하며, 세정수가 개폐되게 하는 누름버튼의 조립 부품수를 줄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세척기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51850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손에 잡는 부위인 손잡이케이스의 한 쪽에는 분사노즐이 착탈되게 하고, 다른 쪽에는 급수밸브에 연결 설치되는 급수호스가 일체로 결합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급수호스를 통해 세정수가 손잡이케이스의 내부통로에 유입되게 하면서 누름버튼을 누르면 통로를 막고 있는 밸브가 개방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게 하고 있다.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물살에 의해 칫솔질이 안 되는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말끔하게 제거되게 하는 동시에 잇몸을 마사지되게 하여 사용자의 구강 및 치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고 있다.
종래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51850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강 세척기는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누름버튼의 조립 부품수가 많고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높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사용자가 개인 위생에 맞게 사용될 수 있게 하고, 둘째,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구강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강 세정기는 내부에 통로가 구비되는 통로케이스와, 분사노즐이 착탈되고, 상기 통로에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게 하는 누름버튼이 구비되는 버튼케이스와, 상기 통로케이스에 연결되는 급수호스로 구성되는 구강 세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로케이스에 제1커플러가 결합되게 하는 한편, 상기 급수호스가 결합되는 호스연결관에 제2커플러가 결합되게 하되,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는 베이스링의 상부에 원호상의 체결홈을 갖는 체결홈바디와, 원호상의 체결돌기를 갖는 체결돌기바디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하고, 베이스링의 하부에 나사원통이 형성되되, 베이스링, 나사원통, 체결홈바디, 체결돌기바디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는 한편, 수직으로 구멍이 관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베이스링의 1/2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베이스링의 1/3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며, 상기 체결홈바디와 체결돌기바디 일 측은 경사면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플러는 나사원통이 통로케이스의 접속홈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2커플러는 나사원통이 급수호스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의 제2커플러연결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되, 삽입관, 플랜지, 접속관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순착적으로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 통로가 구비되는 니플의 플랜지가 개재되어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케이스(110)와, 세정수 급수를 위한 호스연결관(130)으로 양분되게 하여, 호스연결관(130)의 급수호스(134)는 급수밸브에 고정 설치되게 하고, 손잡이케이스(110)는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게 하는 한편, 호스연결관(130)과 커플러(120)로 간편하게 연결되게 하여 사용자만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세정수가 개폐되게 하는 누름버튼(113)의 개폐구(113a)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 단면도(급수가 폐쇄된 상태),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 단면도(급수가 개시된 상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플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케이스의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스연결관의 일부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케이스에 호스연결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의 반대쪽을 보인 도면이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구강 세정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구강 세정기 본체(100)는 손잡이케이스(110), 호스연결관(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110)와, 호스연결관(130)은 커플러(120)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된다.
상기 손잡이케이스(110)는 통로케이스(111)와, 버튼케이스(112)로 구성된다.
상기 통로케이스(111)는 한 손으로 잡기 좋은 굵기와 길이로 되는 한편, 내부가 빈 원형통체로 형성되고, 버튼케이스(112)를 향하는 끝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를 갖는 접속관(111d)이 형성되며, 반대편 끝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를 갖는 접속홈(111c)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제1통로(111a)와 제2통로(111b)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연속 형성되는데, 제2통로(111b)가 제1통로(111a) 보다 더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접속관(111d)은 상기 버튼케이스(112)의 접속홈(112d)에 패킹링(P)이 개재된 상태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접속홈(111c)에는 상기 커플러(120) 중 제1커플러(121)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버튼케이스(112)는 한 쪽 끝에는 분사노즐(114)이 결합되는 노즐결합구(114a)가 형성되고, 반대편 끝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상기 접속홈(112d)이 형성되며, 중앙에 원형홈 형상의 저수홈(112a)이 형성된다.
상기 저수홈(112a)은 상기 통로케이스(111)를 향하는 벽에 수평으로 급수통로(112b)가 형성되고, 노즐결합구(114a) 쪽을 향하는 벽에 수평으로 공급통로(112c)가 형성되는데, 상기 급수통로(112b)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공급통로(112c)는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노즐결합구(114a)는 일단부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결합구(114a)가 결합되는 버튼케이스(112)의 일단부 중앙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결합구(114a)의 나사부가 버튼케이스(112) 일단부 중앙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저수홈(112a)에는 누름버튼(113)의 개폐구(113a)가 삽입되어 동작하게 된다.
상기 개폐구(113a)는 봉체로 형성되는데, 몸통(113b)의 상부에는 상부플랜지(113c)가, 하부에는 하부플랜지(113d)가 각각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저면에는 스프링홈(113i)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홈(113i)과 저수홈(112a)의 바닥면 사이에는 스프링(113j)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 하부플랜지(113c)(113d)는 동일한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저수홈(112a)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몸통(113b)은 상기 상, 하부플랜지(113c)(113d) 보다는 작은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랜지(113c)의 하부에는 O링홈(113g)이 형성되어 상부O링(113e)이 결합되고, 하부플랜지(113d)의 상부에는 O링홈(113h)이 형성되어 하부O링(113f)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플랜지(113c)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핀(113k)이 삽입되어 상기 개폐구(113a)가 저수홈(112a)의 입구를 향해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 상부O링(113e)은 저수홈(112a)에 유입되는 세정수가 저수홈(112a)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하부O링(113f)은 급수통로(112b)의 하부와, 공급통로(112c)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3 도시와 같은 상태는 하부O링(113f)이 공급통로(112c)의 상부에 위치하는 한편, 하부플랜지(113d)가 공급통로(112c)를 막고 있는 상태로 급수통로(112b)를 통해 저수홈(112a)에 유입되는 세정수는 저수홈(112a)에 가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도시와 같이 누름버튼(113)을 누르면 개폐구(113a)가 동시에 스프링(113j)을 압축시키면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O링(113f)이 공급통로(112c)의 하부로 이동되어 급수통로(112b)를 통해 저수홈(112a)으로 유입되는 세정수가 개폐구(113a)의 몸통(113b)을 돌아 공급통로(112c)로 공급되며, 분사노즐(114)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누름버튼(113)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13j)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113a)는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 커플러(120)는 동일한 구조의 제1커플러(121)와 제2커플러(122)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121)(122)는 도 5 도시와 같이 베이스링(123)의 상부에 원호상의 체결홈(126a)을 갖는 체결홈바디(12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바디(126)의 상부에 원호상의 체결돌기(127a)를 갖는 체결돌기바디(127)가 형성되는데, 베이스링(123), 체결홈바디(126), 체결돌기바디(127) 각각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체결홈(126a)은 체결돌기(127a)와 베이스링(123) 상부면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체결돌기(127a)와 체결홈(126a)은 ㄱ 자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돌기(127a)의 저면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27a)의 저면 앞쪽은 원호를 이루면서 돌출 되고, 돌출 된 부위를 통과하면 원호를 이루는 홈이 형성되어 제1커플러(121)의 체결돌기(127a)가 제2커플러(122)의 체결홈(126a)에, 제2커플러(122)의 체결돌기(127a)가 제1커플러(121)의 체결홈(126a)에 상호 결합되었을 때 결속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링(123)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나사원통(124)이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구멍(125)이 관통되는데, 상기 베이스링(123), 나사원통(124), 구멍(125) 각각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체결돌기(127a)는 상기 베이스링(123) 직경의 1/2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되고, 체결홈(126a)은 상기 베이스링(123) 직경의 1/3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바디(126)와 체결돌기바디(127) 일 측은 경사면(128)이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제1커플러(121)는 도 6 도시와 같이 통로케이스(111)의 접속홈(111c)에 나사원통(124)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2커플러(122)는 도 7 도시와 같이 호스연결관(130)의 제2커플러연결부(131)에 나사원통(124)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상기에 있어, 제2커플러연결부(131)에는 삽입관(143), 플랜지(141), 접속관(142)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순착적으로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 통로가 구비되는 니플(140)이 먼저 삽입되는데, 상기 플랜지(141)는 제2커플러연결부(131)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접속관(142)은 호스연결관(130)의 호스연결부(132)를 향하여 위치하게 되고, 상기 삽입관(143)은 제2커플러(122)의 구멍(1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호스연결관(130)은 급수호스(134)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호스연결부(132)와, 제2커플러(122)의 나사원통(124)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제2커플러연결부(131)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손잡이케이스(110)의 통로케이스(111)에는 제1커플러(121)가 결합되고, 호스연결관(130)에는 제2커플러(122)가 결합되어 손잡이케이스(110)와 호스연결관(130)이 결합되게 하거나 또는 손잡이케이스(110)를 호스연결관(130)에서 분리하게 되는데, 호스연결관(130)의 급수호스(134)는 급수밸브(도시 없음)에 연결되고, 손잡이케이스(110)와 분사노즐(114)은 사용자가 개인 위생에 맞게 보관되었다 사용된다.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손잡이케이스(11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버튼케이스(112)의 노즐결합구(114a)에 분사노즐(114)이 결합되게 하고, 도 8 도시와 같이 호스연결관(130)의 삽입관(143)을 통로케이스(111)의 제1커플러(121)에 형성된 구멍(125)에 삽입하되, 도 9 도시와 같이 제1커플러(121)의 경사면(128)에는 제2커플러(122)의 체결돌기(127a)와 체결홈(126a)이 위치되게 하며, 제2커플러(122)의 경사면(128)에는 제1커플러(121)의 체결돌기(127a)와 체결홈(126a)이 위치되게 하여 삽입되게 한 후, 도 10 도시와 같이 제1 또는 제2커플러(121)(122)를 돌려서 체결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제1커플러(121)의 체결돌기(127a)는 제2커플러(122)의 체결홈(126a)에, 제2커플러(122)의 체결돌기(127a)는 제1커플러(121)의 체결홈(126a)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경사면(128)이 도 11 도시와 같이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각 체결돌기(127a)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결속력이 유지되는 것으로,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급수호스(134)를 통해 세정수가 통로케이스(111)의 내부통로에 유입되게 하면서 누름버튼(113)을 누르면 공급통로(112c)를 막고 있는 개폐구(113a)의 하부O링(113f)과 하부플랜지(113d)의 이동으로 개방되어 급수호스(134) - 니플(140)의 통로 - 통로케이스(111)의 제1 및 제2통로(111a)(111b) - 급수통로(112b) - 저수홈(112a) - 공급통로(112c)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가 분사노즐(114)을 통해 분사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114)을 통해 분사 공급되는 세정수의 물살에 의해 칫솔질이 안 되는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말끔하게 제거되게 하는 동시에 잇몸을 마사지되게 한 후, 누름버튼(113)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개폐구(113a)가 스프링(113j)의 탄성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원되어 세정수의 급수가 차단되는데, 하부O링(113f)과 하부플랜지(113d)가 공급통로(112c)를 폐쇄하여 급수가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통로케이스(111) 또는 호스연결관(130)을 돌려 제1커플러(121)와 제2커플러(122)의 각 체결돌기(127a)가 각 체결홈(126a)에서 분리되게 한 후, 호스연결관(130)의 삽입관(143)에서 손잡이케이스(110)가 분리되게 한 후, 통로케이스(111)의 제1 및 제2통로(111a)(111b) 및 버튼케이스(112)의 저수홈(112a)에 남아 있는 세정수를 배출하여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케이스(110)를 위생적으로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손잡이케이스
111 ... 통로케이스 111a ... 제1통로
111b ... 제2통로 111c ... 접속홈
111d ... 접속관 112 ... 버튼케이스
112a ... 저수홈 112b ... 급수통로
112c ... 공급통로 112d ... 접속홈
113 ... 누름버튼 113a ... 개폐구
113b ... 몸통 113c ... 상부플랜지
113d ... 하부플랜지 113e ... 상부O링
113f ... 하부O링 113g,113h ... O링홈
113i ... 스프링홈 113j ... 스프링
114 ... 분사노즐 114a ... 노즐결합구
120 ... 커플러 121 ... 제1커플러
122 ... 제2커플러 123 ... 베이스링
124 ... 나사원통 125 ... 구멍
126 ... 체결홈바디 126a ... 체결홈
127 ... 체결돌기바디 127a ... 체결돌기
130 ... 호스연결관 131 ... 제2커플러연결부
132 ... 호스연결부 134 ... 급수호스
140 ... 니플 141 ... 플랜지
142 ... 접속관 143 ... 삽입관

Claims (5)

  1. 내부에 통로가 구비되는 통로케이스(111)와, 분사노즐(114)이 착탈되고, 상기 통로에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분사노즐(114)로 공급되게 하는 누름버튼(113)이 구비되는 버튼케이스(112)와, 상기 통로케이스(111)에 연결되는 급수호스(134)로 구성되는 구강 세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로케이스(111)에 제1커플러(121)가 결합되게 하는 한편, 상기 급수호스(134)가 결합되는 호스연결관(130)에 제2커플러(122)가 결합되게 하되,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121)(122)는 베이스링(123)의 상부에 원호상의 체결홈(126a)을 갖는 체결홈바디(126)와, 원호상의 체결돌기(127a)를 갖는 체결돌기바디(127)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되게 하고, 베이스링(123)의 하부에 나사원통(124)이 형성되되, 베이스링(123), 나사원통(124), 체결홈바디(126), 체결돌기바디(127)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는 한편, 수직으로 구멍(125)이 관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127a)는 상기 베이스링(123)의 1/2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체결홈(126a)은 상기 베이스링(123)의 1/3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며, 상기 체결홈바디(126)와 체결돌기바디(127) 일 측은 경사면(128)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정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121)는 나사원통(124)이 통로케이스(111)의 접속홈(111c)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2커플러(122)는 나사원통(124)이 급수호스(134)가 연결되는 호스연결관(130)의 제2커플러연결부(131)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되, 삽입관(143), 플랜지(141), 접속관(142)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순착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한편, 내부에 통로가 구비되는 니플(140)의 플랜지(141)가 개재되어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강 세정기.
  5. 삭제
KR2020130002287U 2013-03-27 2013-03-27 구강 세정기 KR200468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87U KR200468525Y1 (ko) 2013-03-27 2013-03-27 구강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87U KR200468525Y1 (ko) 2013-03-27 2013-03-27 구강 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525Y1 true KR200468525Y1 (ko) 2013-08-21

Family

ID=5139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287U KR200468525Y1 (ko) 2013-03-27 2013-03-27 구강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5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70A1 (ko) * 2015-11-02 2017-05-11 안상세 치과용 치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08Y1 (ko) 2004-04-02 2004-07-23 황한곤 의료용 식염수 분사장치
KR200388503Y1 (ko) 2005-04-01 2005-06-29 김윤기 구강세정기
KR200451850Y1 (ko) 2010-09-01 2011-01-13 김진영 구강 세척기
KR20120084897A (ko) * 2011-01-21 2012-07-31 이영훈 와류 토출형 구강 세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08Y1 (ko) 2004-04-02 2004-07-23 황한곤 의료용 식염수 분사장치
KR200388503Y1 (ko) 2005-04-01 2005-06-29 김윤기 구강세정기
KR200451850Y1 (ko) 2010-09-01 2011-01-13 김진영 구강 세척기
KR20120084897A (ko) * 2011-01-21 2012-07-31 이영훈 와류 토출형 구강 세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70A1 (ko) * 2015-11-02 2017-05-11 안상세 치과용 치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0338A1 (en) Oral irrigator with multiple control actuators
KR100625267B1 (ko) 구강 세척기
KR100884189B1 (ko)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기
KR200478927Y1 (ko) 구강분사노즐을 구비한 샤워기
KR200451850Y1 (ko) 구강 세척기
KR200468525Y1 (ko) 구강 세정기
US20210071398A1 (en) Countertop basin faucet with oral cleaner
KR100964839B1 (ko) 구강 세정기
KR100964838B1 (ko) 구강 세정기
CN202761783U (zh) 阴道冲洗器
KR200476995Y1 (ko)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KR200468646Y1 (ko) 구강 세정기
KR20070096476A (ko) 치아 세척기
KR20110114171A (ko) 여성용 질 세척기
KR200468764Y1 (ko) 구강 세정기
KR102036779B1 (ko) 구강세척이 가능한 샤워헤드
KR200468385Y1 (ko) 급수밸브의 구강 세정기 연결장치
KR101206515B1 (ko) 좌판을 갖는 관장기
KR20120121507A (ko) 화장실 청소용 기구
KR100495471B1 (ko) 샤워기
KR101486489B1 (ko) 수도꼭지용 치아세정기
KR20130005839U (ko) 잇몸 세정장치
KR200250696Y1 (ko) 휴대용 비데기
KR100614836B1 (ko) 샤워기
KR20130104659A (ko) 구강 세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