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20Y1 - 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20Y1
KR200468420Y1 KR2020130001601U KR20130001601U KR200468420Y1 KR 200468420 Y1 KR200468420 Y1 KR 200468420Y1 KR 2020130001601 U KR2020130001601 U KR 2020130001601U KR 20130001601 U KR20130001601 U KR 20130001601U KR 200468420 Y1 KR200468420 Y1 KR 200468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ccommodating
bar
hinge pin
ten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구열
Original Assignee
정석환
강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환, 강구열 filed Critical 정석환
Priority to KR2020130001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2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2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건전지를 용이하게 자동 인출할 수 있는 건전지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텐션 스프링을 구비한 건전지 수납장치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장착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면서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수납된 건전지를 용이하게 자동 인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storag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hich can be easily pulled out, and more particularly, a battery storage device that can easily and automatically take out batteries stored therein by using a tension spring.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battery storage device having a tension spring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 variety of functions,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structure is simple, easy to install and easy to automatically store the stored battery with a simple operation I can withdraw it.

Description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건전지를 용이하게 자동 인출할 수 있는 건전지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storag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hich can be easily pulled out, and more particularly, a battery storage device that can easily and automatically take out batteries stored therein by using a tension spring.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가정과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기기들은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거나, 혹은 보조 전원으로 그 내부에 수납된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용 건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Electronic devices widely us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at home and industrial sites are driven by commercial power using a power cord, or powered by disposable batteries or rechargeable batteries stored therein as auxiliary power. Drive.

이와 같이 보조 전원으로 건전지를 사용하는 전자기기들 중 일상 생활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기기로는 리모트 콘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 함)가 있다. 리모콘은 각종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리모콘의 상면에는 다수의 조작 버튼들이 구비되고, 하면에는 건전지가 내부에 수납된다. As such, a representative device mainly used in daily life among electronic devices using batteries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is a remote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 is us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remotely,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and a battery is stored therein.

종래기술에 따른 리모콘의 건전지 설치구조를 설명하면, 우선 리모콘 본체부의 하면 일측으로 내부에 건전지가 수납되는 건전지 수납홈이 마련되고, 상기 건전지 수납홈의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어 건전지 커버의 양측이 슬라이드식으로 지지토록 되며, 상기 건전지 수납홈의 후방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건전지 커버의 후방 양측에 돌출되는 계지편과 결합하여 건전지 커버를 고정토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the battery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rst, a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batteries therei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main body, and guide rai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so that both sides of the battery cover slide. It is supported in this way, and the engaging jaw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is coupled to the locking piece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battery cover is configured to secure the battery cover.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리모콘 건전지 커버는 리모콘의 건전지를 교체하기 위하여 건전지 커버를 개방시킬 경우, 상기 건전지 커버의 상단부를 강하게 눌러 후방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건전지 수납홈의 후방 걸림턱에 결합되어 있는 계지편이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상기 건전지 커버는 건전지 수납홈 양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어 상기 건전지 수납홈을 개방 또는 폐쇄토록 한다. 이후, 손가락을 건전지 수납홈 내에 넣어 건전지의 상단을 강한 힘으로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건전지가 수납홈으로부터 인출된다.Remote control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ttery cover is opened to replace the battery of the remote control, the rear latch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by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to push back strongly The engaging piece coupled to the jaw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and the battery cover is pulled out along the guide rails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to open or close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Thereafter, the battery is withdrawn from the storage groove by an operation of inserting a finger into the battery storage groove and pulling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with a strong forc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리모콘의 건전지 설치 구조에서는 건전지 인출시, 상기 건전지 수납홈에 수납된 건전지 상단을 강하게 밀어 당겨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건전지 수납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 건전지 수납홈 내의 건전지가 쉽게 인출되지 않는 경우,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건전지를 인출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건전지 수납홈의 파손이 더욱 심화되었다. However, in the battery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battery is taken out, the battery storage groove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strongly pulling ou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stored in the battery storage groove. In particular, when the battery in the battery storage groove is not easily drawn out, the battery is taken out by using a separate tool such as a screwdriver. In this process, the battery storage groove is further damaged.

이렇듯, 종래기술에 따른 리모콘 건전지 설치 구조에서는 건전지 인출 과정에서 상기 건전지 수납홈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인출과정에서 많은 힘이 요구되는 등 건전지 교체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61367호(등록일 : 1999. 08. 30)가 제안된 바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mote control battery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not only a problem that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is damaged in the battery extraction process, but also a lot of power is required in the extraction process, it was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replace the battery. Accordingl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1367 (Registration Date: Aug. 30, 1999) wa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61367호에서는 리모콘 본체부의 건전지 수납홈의 일측으로 건전지 인출버튼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건전지 인출버튼 하측으로 가이드 바아를 개재하여 링크 바아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 바아 상측에는 스프링 결합홈이 형성되어 링크 바아를 탄설하도록 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 바아의 선단부에는 건전지 인출돌턱이 건전지 수납홈 하측으로 돌출 및 삽입되어 건전지를 인출함으로써 리모콘 본체부의 건전지 수납홈 내에 수납되는 건전지를 인출시 간편하게 인출버튼을 눌러주어 건전지를 손쉽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1367, the battery withdrawal button is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housing groove of the remote control body portion, the link ba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extraction button via the guide bar, the spring above the link bar A spring is installed inside the coupling bar to form a link bar. The battery is placed in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remote control unit by extracting the battery by protruding and inserting the battery lead-out protrusion into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compartment. When you withdraw, simply press the withdraw button to make it easy and easy to withdraw the battery.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61367호에서는 건전지 인출버튼의 상하 운동에 대응하여 링크 바아를 통해 건전지 인출돌턱을 상하운동시켜 건전지 수납홈에 수납된 건전지를 인출하기 위하여 가이드 바아와 링크 바아를 연결하는 힌지축과 링크 바아를 일정 탄성력으로 잡아주는 스프링이 필수구성요소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어 결합되기 위하여 별도의 스프링 결합홈이 전자기기 내에 요구됨에 따라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1367 is to connect the guide bar and the link bar to pull out the battery stored in the battery storage groove by moving the battery extraction step up and down through the link bar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ttery withdrawal button A spring that holds the hinge shaft and the link bar with a certain elastic force is required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a structure is somewhat complicated and easy to install as a separate spring coupling groove is required in the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and couple the spring. Problems such as not being generated.

KR 20-0161367 Y1, 1999. 08. 30.KR 20-0161367 Y1, 1999. 08. 30. KR 20-1986-2404 U, 1986. 03. 31.KR 20-1986-2404 U, 1986. 03. 31. KR 20-1987-4399 U, 1987. 03. 31.KR 20-1987-4399 U, 1987. 03. 31. KR 20-1987-15677 U, 1987. 10. 26.KR 20-1987-15677 U, 1987. 10. 26.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s.

첫째,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가 용이한 텐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건전지를 용이하게 자동 인출할 수 있는 건전지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ir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which can easily and automatically take out batteries stored therein using a tension spring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install.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건전지 수납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battery storage device described abo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수용홈에 장착되고, 건전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홈이 마련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통된 인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수납부와, 상기 수용홈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인출버튼과, 상기 인출버튼의 하측에 일체로 하부방향으로 설치된 인출바와, 상기 인출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인출바의 하부와 결합된 연결바와, 상기 수납부의 하부 양측부에 체결된 힌지핀 고정부와, 양측부가 상기 힌지핀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는 힌지핀과, 일측부가 상기 연결바에 체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힌지핀에 권취된 텐션 스프링과, 하부가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타측부에 체결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의 시소 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인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건전지를 밀어내어 인출하는 인출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which is open at the top to accommodate the battery,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A storage unit provided therein, a withdrawal butt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withdrawal bar integrally installed downward in the lower side of the withdrawal button, and coupl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withdrawal ba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bar; A connecting bar, a hinge pin fixing part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a hinge pin both side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hinge pin fixing part to rotate the hinge pin fixing part axially, and one side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bar. And a tension spring having a central portion wound around the hinge pin, and a lower portion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in conjunction with a seesaw motion of the tension spring. It provides a battery holding device which is easily pulled out,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lead-based ball a lead-out pad are drawn out pushed out of the storage battery in the receiving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수용홈의 내부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바와 체결된 일측부와, 상기 인출패드와 체결된 타측부가 상기 힌지핀에 권치되어 있는 중앙부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tension spring has one side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with respec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other side portion coupled to the extraction pad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center portion wound on the hinge pin. You can do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홈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연결바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referably, a coil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connection ba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storage device is easy to withdraw.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텐션 스프링을 구비한 건전지 수납장치를 전자기기의 내부에 장착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면서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수납된 건전지를 용이하게 자동 인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battery housing with a tension spring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structure is simple, easy to install and easy to store the stored battery with a simple operation easily It can be withdrawn automaticall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전지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건전지 수납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전지 수납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전지 수납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viewed from above to illustrate the battery storage device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4 is a sid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battery holding device shown in FI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건전지 수납장치가 전자기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is mounted inside an electronic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10)는 전자기기(20), 예를 들면 리모콘 본체의 하측 내부에 마련된 수용홈(21, 도 2참조)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evice 20, for example, a receiving groove 21 (see FIG. 2) provided in a lower side of a main body of a remote controller. Is mounted.

리모콘 본체에 마련된 수용홈(21)의 상부에는 건전지 수납장치(10)가 수용홈(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홈(21)의 상부를 밀폐하여 건전지 수납장치(10)에 수납되는 건전지(1)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커버(3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groove 21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main body seals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groove 21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21 and mount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A cover 30 may be installed to safely protect the stored battery 1.

수용홈(21)은 길이방향으로 일측 내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22)과 대응하여 커버(30)는 길이방향으로 일측부에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용홈(21)의 폭방향으로 양측부에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30)는 폭방향으로 양측부에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The receiving groove 21 has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22 formed at one inn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ver 30 has a coupling protrusion 31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22. Formed. Although not shown, guide grooves are formed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21, and the cover 30 has guide protrusions formed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리모콘 본체에 커버(3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커버(30)의 결합돌기(31)가 수용홈(21)의 결합홈(22)을 향하도록 커버(30)를 위치시키는 동시에 커버(30)의 안내돌기를 수용홈(21)의 안내홈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진행방향으로 커버(30)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결합돌기(31)가 결합홈(22)의 내부로 삽입될 때까지 커버(30)를 수용홈(21)의 안내홈을 따라 진입시켜 커버(30)를 리모콘 본체에 결합한다. Referring to the process in which the cover 30 is coupled to the remote control main body, the cover 30 is position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31 of the cover 30 faces the coupling groove 22 of the accommodation groove 21.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protrusion of the 30 is plac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receiving groove 21,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cover 30 in the advancing direction until the coupling protrusion 3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22. The cover 30 enters the guide groov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21 to couple the cover 30 to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20)들 중 리모콘의 하면부 내부에 장착된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리모콘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As shown in FIG. 1,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a lower surface portion of a remote controller amo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20,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mote control.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10)는 라디오, 카세트, CD/DVD 플레이어, 알람 시계, 벽걸이 시계 및 조명기구 등과 같은 가전제품들과, 장난감 전자제품과, 학습용 전자제품들과 같이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용 건전지 등의 보조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자기기들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ttery storag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appliance, such as a radio, a cassette, a CD / DVD player, an alarm clock, a wall clock and a lighting fixture, toy electronics, and learning electronics. It can be mounted and used inside electronic devices that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uxiliary power sources such as disposable batteries or rechargeable batterie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10)에 수납되는 건전지는 그 크기 및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건전지 수납장치(10)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AA형 건전지(국제규격은 R6)와 AAA형 건전지(국제규격은 R03)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은 막대 형상을 갖는 건전지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storag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and shape. For example,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is manufactured to accommodate AA type batteries (International Standard is R6) and AAA type batteries (International Standard is R03) which are currently widely u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batteries having a rod shap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전지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건전지 수납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전지 수납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전지 수납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for explaining the battery storag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illustrated in FIG. 2 from below, and FIG. 4 is illustrated in FIG. 2. Side view of the battery compartment from the sid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10)는 전자기기(20)의 수용홈(21)에 수납되는 수납부(11), 인출버튼(12), 인출바(13), 연결바(14), 텐션 스프링(15), 힌지핀 고정부(16), 힌지핀(17) 및 인출패드(18)를 포함한다. 2 to 4,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11, an extraction button 12, and a lead ou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21 of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bar 13, the connecting bar 14, the tension spring 15, the hinge pin fixing portion 16, the hinge pin 17 and the extraction pad 18 are included.

수납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홈(11a)이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수납홈(11a)의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고, 수납되는 건전지의 개수에 따라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와 같이 수납부(11)에 수납홈(11a)이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이들은 격벽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격리된다. As shown in FIG. 2, the accommodating part 1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ccommodating groove 11a in which batteries are sto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accommodating grooves 11a is not limited, and three or mor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atteries to be accommodated. When two or more accommodating grooves 11a are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as shown in FIG. 2, the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artition and isolate | separated.

수납부(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전지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되어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1a)에 수납된 건전지를 인출하기 위하여 수납홈(11a)과 연통하도록 인출패드(18)가 관통하는 인입공(11b)이 마련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an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is opened to receive the batter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draws out the battery hous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11a as shown in FIG. 3. An inlet hole 11b through which the extraction pad 18 penetrates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groove 11a.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1a)은 길이방향으로 내측 양측부에 각각 건전지(1)의 양극부(+)와 음극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1 및 제2 전극단자(11c, 11d)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전극단자(11c)는 건전지(1)의 음극부(-)에 대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2 전극단자(11d)는 건전지(1)의 양극부(+)에 대응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accommodating groove 11a has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sitive electrode part (+)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 of the battery 1, respectively, on both inner side portion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1c and 11d are provide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1c is protruded to correspond to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 of the battery 1,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1d is recessed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 of the battery 1. hav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납홈(11a)은 AA형 건전지와 AAA형 건전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이외에도, 다양한 크기의 건전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groove (1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so that the AA-type battery and AAA-type battery can be accommodated, in addition, it can be manufactured to accommodate the battery of various sizes.

인출버튼(12)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21)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일체로 하부방향으로 인출바(13)가 설치되어 있다. 2 and 4, the extraction button 12 protrudes toward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 and the lower side of the extraction bar 13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lower direction.

인출바(13)는 수직바로서, 상부는 인출버튼(12)에 결합되고 하부는 연결바(14)와 연결되어 인출버튼(12)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연결바(14)로 전달한다. The withdrawal bar 13 is a vertical bar,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withdrawal button 12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bar 14 to transfer the force appli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withdrawal button 12 to the connection bar 14. do.

연결바(14)는 인출바(13)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바로서, 양측부에는 각각 텐션 스프링(15)이 체결되어 인출바(13)를 통해 전달된 힘을 텐션 스프링(15)으로 전달한다. The connecting bar 14 is a horizontal bar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bar 13, and tension springs 15 are fastened to both sides to respectively receive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drawing bar 13. To pass.

텐션 스프링(15)은 수납부(11)에 수납홈(11a)이 2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 서로 대칭 구조로 한 쌍이 설치되며, 이들의 일측부는 각각 연결바(14)의 양측부에 체결되고, 중앙부는 힌지핀(17)에 권취되며, 타측부는 인출패드(18)의 하부에 체결된다. When the tension spring 15 is provided with two accommodating grooves 11a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a pair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and one side thereof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ar 14, and a center part thereof is provided. Is wound around the hinge pin 17, the other side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thdrawal pad (18).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스프링(15)은 중앙부가 힌지핀(17)을 적어도 1회 권취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용홈(11a)의 내부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측부와 타측부가 힌지핀(17)보다 높게 위치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V'자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3 and 4, the tension spring 15 has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a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4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pin 17 is wound at least once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Based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higher than the hinge pin 17 is installed so that the overall shape has a substantially 'V' shape.

이러한 텐션 스프링(15)은 시소(seesaw) 원리와 같이 연결바(14)에 체결된 일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힌지핀(17)에 권취된 중앙부가 힌지핀(17)과 연동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하고, 이와 연동하여 인출패드(18)에 체결된 텐션 스프링(15)의 타측부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출패드(18)는 수납부(11)의 인입공(11b)로 인입된다. 즉, 텐션 스프링(15)은 힌지핀 고정부(16)를 축으로 시소 운동한다. When the tension spring 15 moves at one side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14 in a downward direction as in the seesaw principle, the center spring wound on the hinge pin 17 is interlocked with the hinge pin 17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which is rotated and linked to the extraction pad 18 moves in an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extraction pad 18 is drawn into the insertion hole 11b of the housing 11. That is, the tension spring 15 seesaws the hinge pin fixing part 16 on the axis.

한편, 힌지핀(17)은 양측부가 수납부(11)의 하부에 체결된 힌지핀 고정부(16)에 삽입 결합된다. 힌지핀(17)은 힌지핀 고정부(16)를 축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inge pin 17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hinge pin fixing portion 16 that both sides are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 The hinge pin 17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fixing portion 16.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1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전자기기(20)의 본체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21)의 내부에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 수납장치(10)가 수용되어 장착되고, 건전지 수납장치(10)의 수납부(11)의 내부에는 건전지(1)가 수납되어 있으며, 수용홈(21)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커버(30)는 전자기기(20)의 본체에 체결되어 있다. 2 to 5, first,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and mounted in an insid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21 formed at on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a battery The battery 1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accommodating device 10, and the cover 30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20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groove 21.

이런 상태에서 건전지(1)를 교체하기 위하여 건전지 수납장치(10)의 수납부(11)로부터 건전지(1)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30)를 전자기기(20)의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일정 힘으로 외부로 돌출된 인출버튼(12)을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인출버튼(12)과 일체화되어 있는 인출바(13)를 통해 누르는 힘이 연결바(14)로 전달된다. In this state, in order to take out the battery 1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10 to replace the battery 1, the cover 3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20. Pressing the pull-out button 12 protruding outward with a predetermined force downward, the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bar 14 through the pull-out bar 13 integrated with the pull-out button 12.

연결바(14)로 전달된 누르는 힘은 일측부가 연결바(14)의 양측부에 각각 체결되어 있는 텐션 스프링(15)의 일측부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시소 원리에 의해 텐션 스프링(15)의 중앙부는 힌지핀(17)을 통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어 텐션 스프링(15)의 타측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텐션 스프링(15)의 타측부와 체결된 인출패드(18)는 수납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인입공(11b)으로 인입된다.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ng bar 14 is transmitted to one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one side of which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14, and thus, by the seesaw principle, the tension spring 15 The central portion is rotated at an angle through the hinge pin 17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moves upward. Accordingly, the withdrawal pad 18 coupl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11b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

인출패드(18)는 인입공(11b)으로 인입된 후 수납부(11)의 수납홈(11a)에 수납된 건전지(1)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힘으로 인해 건전지(1)를 상부방향으로 강하게 밀어낸다. 이에 따라, 수납부(11)의 수납홈(11a)에 수납된 건전지(1)는 양극부(+) 또는 음극부(-)가 제1 전극단자(11c) 또는 제2 전극단자(11d)로부터 이탈되어 결국 수납부(11)의 수납홈(11a)으로부터 자동 인출되게 된다. The extraction pad 18 is drawn in through the inlet hole 11b, and then the battery 1 is continuously transmit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1 hous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1a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 Push it upward strongly. Accordingly, the battery 1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11a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has the positive electrode part (+) or the negative electrode part (−) from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1c or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1d. It is separated and eventually is automatically withdrawn from the receiving groove (11a) of the housing portion (11).

한편, 수납부(11)의 수납홈(11a)으로부터 건전지(1)의 인출이 완료된 후, 충전된 건전지를 수납홈(11a)의 내부에 수납하기 위하여 충전된 건전지를 수납홈(11a)으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하부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하면, 충전된 건전지의 하부가 수납부(11)의 인입공(11b)으로 인입된 인출패드(18)를 하부방향으로 밀어낸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withdrawal of the battery 1 from the storage groove 11a of the storage unit 11 is completed, the charged battery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groove 11a in order to store the charged battery inside the storage groove 11a.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lower part of the charged battery pushes the extraction pad 18 drawn into the inlet hole 11b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downward.

이에 따라, 인출패드(18)와 체결된 텐션 스프링(15)의 타측부에는 하부방향으로 힘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시소 원리에 의해 텐션 스프링(15)의 중앙부는 힌지핀(17)을 통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어 텐션 스프링(15)의 일측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한다. Accordingly, a forc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coupled to the takeout pad 18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reby the center portion of the tension spring 15 is fixed through the hinge pin 17 by the seesaw principle. It rotates at an angle so that one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moves upward.

그리고, 텐션 스프링(15)의 일측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텐션 스프링(15)의 일측부와 체결된 연결바(14)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바(14)와 체결된 인출바(13) 및 인출버튼(12) 또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As one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moves upward, the connection bar 14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nsion spring 15 moves upward, and the extraction bar 14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14 moves upward. 13) and the withdrawal button 12 also move upward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연결바(14) 하면과 수용홈(21)의 하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더 개재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인출버튼(12)을 눌러 건전지(1)를 수납홈(11a)으로 분리시킨 후 인출버튼(12)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코일 스프링이 원상회복되면서 인출버튼(12)도 원 상태로 자동 회복시킬 수 있다.
Meanwhile, a coil spring (not shown)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1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21, thereby pressing the withdrawal button 12 to store the battery 1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1a. After removing the force of pressing the pull-out button 12 after the separation to the coil spring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can be automatically restored to the pull-out button 1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hem. Thu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in the claims.

10 : 건전지 수납장치 11 : 수납부
11a : 수납홈 11b : 인입공
11c : 제1 전극단자 11d : 제2 전극단자
12 : 인출버튼 13 : 인출바
14 : 연결바 15 : 텐션 스프링
16 : 힌지핀 고정부 17 : 힌지핀
18 : 인출패드 20 : 전자기기(리모콘)
21 : 수용홈 22 : 결합홈
30 : 커버 31 : 결합돌기
10: battery storage device 11: a storage unit
11a: receiving groove 11b: entrance hole
11c: first electrode terminal 11d: second electrode terminal
12: withdraw button 13: withdrawal bar
14: connecting bar 15: tension spring
16: hinge pin fixing portion 17: hinge pin
18: drawing pad 20: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21: receiving groove 22: coupling groove
30: cover 31: engaging projection

Claims (4)

삭제delete 전자기기의 수용홈에 장착되고, 건전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홈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통된 인입공이 마련되는 수납부;
상기 수용홈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인출버튼;
상기 인출버튼의 하측에 일체로 하부방향으로 설치된 인출바;
상기 인출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인출바의 하부와 결합된 연결바;
상기 수납부의 하부 양측부에 체결된 힌지핀 고정부;
양측부가 상기 힌지핀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는 힌지핀;
일측부가 상기 연결바에 체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힌지핀에 권취된 텐션 스프링; 및
하부가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타측부에 체결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의 시소 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인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건전지를 밀어내어 인출하는 인출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 스프링은 상기 수용홈의 내부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바와 체결된 일측부와, 상기 인출패드와 체결된 타측부가 상기 힌지핀에 권취되어 있는 중앙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
An accommodating part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accommodating groove, the upper part of which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battery, and a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groove;
A drawout butt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drawer bar installed in a lower direction integrally with a lower side of the drawer button;
A connection bar coupl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withdrawal ba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bar;
Hinge pin fixing parts fasten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accommodating part;
Hinge pins on both sides coupled to the hinge pin fixing portion to rotate the hinge pin fixing portion to the axis;
A tension spring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and a central portion wound around the hinge pin; And
A drawing pad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for pushing out the battery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drawing hole in association with the seesaw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Including;
The tension spring has a withdraw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portion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bar relative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other side portion is fastened to the extraction pad is located higher than the center portion wound on the hinge pin. Easy battery compartment.
전자기기의 수용홈에 장착되고, 건전지가 수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홈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통된 인입공이 마련되는 수납부;
상기 수용홈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인출버튼;
상기 인출버튼의 하측에 일체로 하부방향으로 설치된 인출바;
상기 인출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인출바의 하부와 결합된 연결바;
상기 수납부의 하부 양측부에 체결된 힌지핀 고정부;
양측부가 상기 힌지핀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 고정부를 축으로 회전하는 힌지핀;
일측부가 상기 연결바에 체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힌지핀에 권취된 텐션 스프링; 및
하부가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타측부에 체결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의 시소 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인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건전지를 밀어내어 인출하는 인출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연결바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
An accommodating part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accommodating groove, the upper part of which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battery, and a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groove;
A drawout butt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A drawer bar installed in a lower direction integrally with a lower side of the drawer button;
A connection bar coupl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withdrawal ba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bar;
Hinge pin fixing parts fasten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accommodating part;
Hinge pins on both sides coupled to the hinge pin fixing portion to rotate the hinge pin fixing portion to the axis;
A tension spring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and a central portion wound around the hinge pin; And
A drawing pad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ension spring, for pushing out the battery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drawing hole in association with the seesaw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Including;
Easy to withdraw batter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connecting bar.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인출이 용이한 건전지 수납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for easy withdrawal is formed.
KR2020130001601U 2013-03-04 2013-03-04 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KR2004684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01U KR200468420Y1 (en) 2013-03-04 2013-03-04 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01U KR200468420Y1 (en) 2013-03-04 2013-03-04 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420Y1 true KR200468420Y1 (en) 2013-08-16

Family

ID=5139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01U KR200468420Y1 (en) 2013-03-04 2013-03-04 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20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583A (en) * 2002-03-20 2003-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hous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583A (en) * 2002-03-20 2003-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hous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281B2 (en) Charging device
US7243734B2 (en) Power tool with battery power supply
JP4462112B2 (en) Electric tool
CN105640439B (en) Battery pack for dust catcher and the dust catcher with the battery pack
US7680521B2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KR101214847B1 (en) Connector with slide lever
CN205005377U (en) Mobile device and battery module thereof
CN205514402U (en) A dust catcher that is used for battery package of dust catcher and has this battery package
CN104103960A (en) Power socket
CN104224044A (en) Electric dust collector
CN106953206A (en) Spring is located in the spring plug in ejector pin
KR200468420Y1 (en) Battery storage devices which is easily pick off the battery from it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same
CN102301521B (en) Rechargeable battery unit and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20090021047A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CN205609812U (en) Extension line socket with five -hole socket protective door structure and have this structure
CN110504585B (en) Charging socket
KR200258989Y1 (en) Consetnt Of Reclaimed Type With Function Of Pulling Plug Out
CN201877608U (en) Pull-assisted socket
JP2014207121A (en) Connector for electric connection
EP3382772A1 (en) Master battery, slave battery, and battery kit
JP2010063318A (en) Charging cradle
KR102152945B1 (en)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KR101947005B1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tool
CN110549886A (en) Automatic charging devi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CN115440520B (en) Switch panel for smar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