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945B1 -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 Google Patents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945B1
KR102152945B1 KR1020190002481A KR20190002481A KR102152945B1 KR 102152945 B1 KR102152945 B1 KR 102152945B1 KR 1020190002481 A KR1020190002481 A KR 1020190002481A KR 20190002481 A KR20190002481 A KR 20190002481A KR 102152945 B1 KR102152945 B1 KR 10215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case
battery
elastic pie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6177A (en
Inventor
서준호
손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19000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9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8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44
    • H01M2/1055
    • H01M2/10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battery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A battery cover sliding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And a button part provided in the case and fasten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over, wherein the battery cover slides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art to be separated from the case.

Description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케이스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슬라이딩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structure of a battery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ion structure of a battery cover configured to be separated by sliding in a one-touch manner in a case constituting an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리모컨, 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나 전동용 장난감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사용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batteries are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remote controls, and cameras, or electric toys.

이러한 배터리는 전자기기나 장난감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에 보호를 받는다.Such a battery has a structure that is interchangeably embedded in a cas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an electronic device or a toy to apply power, and is protected by a battery cover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se.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TV, DVD, 선풍기, 에어컨, 오디오, 공기청정기 등)는 대부분 리모컨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바, 리모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리모컨 케이스에 마련된 배터리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배터리 수용공간은 배터리 커버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For example, electronic devices (TV, DVD, fan, air conditioner, audio, air purifier, etc.) used in homes or offices are mostly remotely controlled by remote control, and batteries used for remote control are inserted into the battery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case. The battery receiving space can be covered by a battery cover.

이러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는 다양한 방식의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and the cas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various types of fastening structures.

예를 들어, 배터리 커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돌출부를 케이스의 결합공에 삽입하고 배터리 커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된 탄성편을 케이스의 홈부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케이스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킬 시에는, 손가락으로 탄성편을 가압하여 당긴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의 타측부를 들어올린 뒤 케이스 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protrus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ttery cover may be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of the case, and an elastic piec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cover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ase, thereby being coupled to the battery cover and the case. Conversely, when removing the battery cover from the cas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battery cover from the case after lifting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over while pressing the elastic piece with a finger and pulling it.

위와 같은 방식 이외에 슬라이딩 방식이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he battery cover and the cas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liding method or a force fitting method.

하지만, 위와 같은 기존의 체결방식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도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의 체결력을 유지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설계되기 때문에 성인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 등이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astening method described above is designed with a focus on maintain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battery cover and case even with external shocks, so children, the elderly, and women who have relatively weak strength compared to adult men can use the battery cover. Difficulty in separating.

또한, 기존의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와 별도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 등이 케이스에 수납된 배터리를 꺼내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battery cover has a structure that is separate from the battery,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the elderly, and women with weak power to take out the battery stored in the cas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6837호의 '리모콘 배터리커버 분실방지를 위한 홀더체결구조'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d prior art documents,'Holder Fasten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oss of Remote Control Battery Cover'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6837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커버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케이스의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ion structure of a battery cover in which a battery cover disposed inside a case is slid and moved by a one-touch method to be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와 분리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battery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A battery cover sliding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And a button part provided in the case and fasten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over, wherein the battery cover may be separated from the case by sliding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art.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가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 커버를 밀어내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노출시키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may include a push unit for exposing the battery cover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pushing the battery cover when the button unit is operated.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에 마련된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over may include a main plate slid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plate and fastened with a hook provided on the button part; And a contact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push part.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완충구멍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 unit may include an elastic piece contacting the contact member when the battery cover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buffer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astic piece and forming a buffer hole; And a connecting piece connecting the buffer plate and the elastic piec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탄성편의 길이방향 양측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members may be provided in a pai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may respectively contact both sides of the elastic pie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is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both sides of the main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to support the battery;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단턱부에 걸림되는 스톱퍼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가 마련된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 stopp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epped portion provided in the case,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late with the hook; And an elastic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는,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도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케이스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터리 교체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parating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hildren, the elderly, and women with weak power to easily remove the battery cover from the case constituting the electronic device to easily replace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는, 버튼부의 누름 플레이트를 누르는 원터치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배터리 교체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over is slid and exposed on the case in a one-touch method of pressing the push plate of the button portion, so that convenience of battery replacemen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는, 배터리 커버가 배터리를 안정으로 수용한 상태에서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분실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over is slidably inserted or separa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ing while the battery cover is stably accommodated, so that the battery is lost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battery by the user.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측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과 접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에 의해 밀려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cover is coupled to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uter frame of the case is removed in order to show the inner shape of the case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over shown in FIG. 2 is separated from the cas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cover and case shown in Figure 1;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member of a battery cover is in contact with an elastic piece of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member of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by an elastic piece of a cas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측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과 접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에 의해 밀려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as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uter frame of the case is removed to show the inner view of the case shown in FIG.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over shown in FIG. 2 is separated from the cas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cover and case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member of the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iece of the case,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member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by the elastic piece of the cas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100)는, 배터리 수용공간(S)이 마련되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300); 및 상기 케이스(200)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300)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separation structure 100 of the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200 in which a battery accommodating space S is provided and the case 200 A battery cover 300 that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a button part 400 provided in the case 200 and fasten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over 300.

먼저, 케이스(200)는, 배터리를 요구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나 장난감(완구)의 외관을 구성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나 장난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First, the case 200 may be regarded a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toys (toys) that require a battery,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or toy.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00)는, TV나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리모컨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the cas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drawing as forming the exterior of a remote control used for a TV or air conditioner.

케이스(200)에 마련된 수용공간(S)은, 배터리(미도시)와 배터리 커버(300)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배터리의 형태나 개수 그리고, 배터리 커버(300)의 형태에 대응되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S provided in the case 200 has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attery (not shown) and the battery cover 300 together, and corresponds to the shape or number of batteries and the shape of the battery cover 300 And can have a variety of forms.

배터리 커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바, 이 수용공간(S)으로 삽입되면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비노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over 300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200, and w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the battery cover 300 is disposed inside the case 200 to be non-exposed to the outside. have.

또한, 배터리 커버(300)는, 배터리를 지지한 채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케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300)는, 종래와는 다르게 배터리가 미리 삽입된 케이스의 공간을 덮는 커버 역할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를 지지한 채로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삽입되거나 수용공간(S)에서 분리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over 300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200 while supporting the battery to be coupled to the case 200. That is, the battery co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ole of a cover covering the space of the case in which the battery is pre-inserted, unlike the conventional one, but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200 while supporting the battery ( It can be said to be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S) or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S).

위와 같은 배터리 커버(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플레이트(310); 메인 플레이트(310)의 일측에 마련되되 버튼부(400)에 마련된 후크(412)와 체결되는 체결부재(320); 및 메인 플레이트(310)의 타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케이스(200)의 푸시부(210)와 접촉되는 접촉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3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main plate 310 slid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200; A fastening member 3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plate 310 and fastened with a hook 412 provided on the button 400; And a contact member 33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plate 310 and in contact with the push part 210 of the case 200 to be described later.

메인 플레이트(310)는, 소정의 면적과 길이를 가진 채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외면 일부를 감싼 채로 지지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main plate 31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length, and may be regarded as a component that covers and support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체결부재(32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일측 저면에 후크의 형태를 가진 채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버튼부(400)의 후크(412)에 걸림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320 may be provided in a shape of a hook on on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lat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caught by the hook 412 of the button part 400.

접촉부재(33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 푸시 플레이트(34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푸시 플레이트(340)의 일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The contact member 330 may be provided on the push plate 34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plat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late 340 is It is shown in the drawing as having a shape of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참고로, 푸시 플레이트(340)는, 사용자가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배터리 커버(300)를 삽입하거나 수용공간(S)에서 배터리 커버(300)를 분리시킬 시에, 사용자에 의해 가압을 받거나 당겨지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user inserts the battery cover 300 into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200 or removes the battery cover 300 from the receiving space S, the push plate 340 is It can be said to be a component that is pressed or pulled by.

그리고, 메인 플레이트(3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소정의 곡률로 각각 절곡되어 배터리의 외면을 지지하는 보조 플레이트(35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uxiliary plates 35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ate 310 in the width direction, each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이 보조 플레이트(350)는 메인 플레이트(310)와 협력하여 배터리가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가 보조 플레이트(350)와 메인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안치된 채 배터리 커버(300)와 함께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auxiliary plate 350 cooperates with the main plate 310 to partition a space in which a battery can be placed, and accordingly, the battery is placed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auxiliary plate 350 and the main plate 310. It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 of the case 200 together with the battery cover 3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커버(3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00)가 외력에 가압을 받아 작동되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케이스(200)와 분리될 수 있다.Battery cover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A) of Figure 4, when the button unit 400 is operated under pressure by an external force, sliding movement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20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case 200.

이때, 케이스(200)는, 버튼부(400)의 후크(412)가 배터리 커버(300)의 체결부재(330)와 비접촉 되었을 시에, 배터리 커버(300)를 수용공간(S)상에서 밀어내는 푸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se 200, when the hook 412 of the button part 400 is not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member 330 of the battery cover 300, to push the battery cover 300 on the receiving space (S) A push unit 210 may be further included.

푸시부(210)는 케이스(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며,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300)가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삽입될 시에 배터리 커버(300)에 마련된 접촉부재(330)와 접촉되는 탄성편(211); 탄성편(211)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완충구멍(212a)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212); 및 완충 플레이트(212) 탄성편(21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2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part 2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attery cover 3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200, as shown in FIGS. 3, 5 and 6 An elastic piece 21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member 330 provided on the battery cover 300 when it becomes available; A buffer plate 212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astic piece 211 and forming a buffer hole 212a; And a connection piece 213 for connecting the buffer plate 212 to the elastic piece 211 with each other.

탄성편(211)은, 배터리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편(211)은 배터리 커버(3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푸시 플레이트(340)에 마련된 한 쌍의 접촉부재(330)의 이격간격보다 긴 길이를 가진 채로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piece 211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battery cover 300. That is, the elastic pieces 211 may b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tery cover 300 and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spacing distance of the pair of contact members 330 provided on the push plate 340. .

완충 플레이트(212)는,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가압을 받을 시에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탄성편(21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아울러, 접촉부재(300)에 가압을 받아 변형된 탄성편(211)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buffer plate 212 serves to protect the elastic piece 211 from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elastic piece 211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member 330, and also pressurize the contact member 300. The received and deformed elastic piece 211 may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capable of returning to an original state.

이에 따라, 완충 플레이트(212)의 중앙부에는 완충구멍(212a)이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a buffer hole 212a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212.

이 완충구멍(212a)은, 접촉부재(330)에 의해 탄성편(211)에 발생되는 가압력이 완충 플레이트(212)로 전달될 시에, 이 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완충 플레이트(212) 또는 탄성편(2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접촉부재(330)와 탄성편(211)이 비접촉될 시에는 탄성편(211)이 원상태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uffer hole 212a allows the pressure to be evenly distributed when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on the elastic piece 211 by the contact member 330 is transmitted to the buffer plate 212 so that the buffer plate 212 Alternatively, damage to the elastic piece 211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member 330 and the elastic piece 211 are not in contact, the elastic piece 211 may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capable of being deformed to its original state.

다시 말해, 완충구멍(212a)은,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가압을 받아 변형되면 이에 연동되어 완충 플레이트(212)도 변형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가압을 받지 않을 시에는 변형되었던 완충 플레이트(212) 및 탄성편(211)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elastic piece 211 is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the contact member 330, the buffer hole 212a may be interlocked with it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buffer plate 212 can also be deformed. On the contrary, when the elastic piece 211 is not pressed by the contact member 330, the deformed buffer plate 212 and the elastic piece 211 may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capabl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위와 같은 완충구멍(212a)은, 접촉부재(3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원형이나 타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ffer hole 212a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so that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contact member 330 can be evenly distributed.

만약, 완충 플레이트(212)에 완충구멍(212a)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의해 가압을 받게되면, 탄성편(211)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분산되지 못하여 탄성편(211)이 파손되거나, 또는, 변형 후 원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f the elastic piece 211 is pressed by the contact member 330 while the buffer plate 212 is not provided with the buffer hole 212a,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elastic piece 211 cannot be distribu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astic piece 211 is damaged or cannot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deformation.

따라서, 완충구멍(212a)과 같이 완충 플레이트(212)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탄성편(211)과 완충 플레이트(212)가 접촉부재(330)의 가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buffer plate 212 can be deformed, such as the buffer hole 212a, the elastic piece 211 and the buffer plate 212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contact member 330. It is desirable to do so.

연결편(213)은 탄성편(211)의 길이방향 중단과 완충 플레이트(212)의 중앙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iece 213 may connect the middle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late 212 to each other.

연결편(213)은 탄성편(211)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부재(330)와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와 접촉되어 변형되는 것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onnecting piece 213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pair of contact members 330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iece 211. This is because the elastic piece 211 may interfere with deformation by contacting the contact member 330.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접촉부재(330)가 탄성편(211)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결편(213)은 탄성편(211)의 길이방향 중단과 완충 플레이트(212)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ir of contact members 330 has a configuration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elastic piece 211,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iece 213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piece 211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s connecting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buffer plate 212 to each other.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푸시부(210)는,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하여 버튼부(400)를 작동시키면, 배터리 커버(300)의 접촉부재(33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배터리 커버(300)가 케이스(200)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push unit 2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unit 400 to change the battery, elastically pushes the contact member 330 of the battery cover 300 to the battery cover 300 To be exposed by sliding on the case 200.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200)에서 노출된 배터리 커버(300)를 파지하여 케이스(200)와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커버(300)에 안치된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mpletely separate the battery cover 300 from the case 200 by grasping the battery cover 300 exposed from the case 200, and can easily replace the battery placed in the battery cover 300.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부(400)의 누름 플레이트(410)를 누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00)가 하강되면서 후크(412)와 배터리 커버(300)의 체결부재(320)가 서로 체결해제 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late 410 of the button unit 400, as shown in (A) of FIG. 4, the button unit 400 is lowered and the hook 412 and the battery cover ( The fastening members 320 of 300) may be disengaged from each other.

이에 연동되어, 푸시부(210)의 탄성편(211)과 접촉되어 있던 접촉부재(330)의 가압력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반하여 탄성편(211)의 탄성 복원력은 늘어나면서 접촉부재(330)를 탄성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Interlocking with this, the pressing force of the contact member 330 that wa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iece 211 of the push part 210 is reduced, wherea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iece 211 increases while riding the contact member 330. It can be sexually pushed out.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서 배터리 커버(3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노출도니 배터리 커버(300)의 부위를 파지한 뒤 케이스(200)상에서 배터리 커버(300)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6, the battery cover 300 may be slid and exposed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case 200, and the user grips the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300. The battery cover 30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200.

참고로, 버튼부(400)가 작동되었을 시에, 푸시부(210)에 가압을 받아 케이스(200)에서 밀려나는 배터리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는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button unit 400 is operated, the sliding movement distance of the battery cover 300 pushed from the case 200 by being pressed by the push unit 210 is variable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ntact member 330 Can be.

예컨대, 푸시 플레이트(340)의 일면에서 돌출된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수록 푸시부(210)에 의해 케이스(200)상에서 밀려나는 배터리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가 길어진다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contact member 330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ush plate 340 is relatively longer, the sliding movement distance of the battery cover 300 pushed from the case 200 by the push unit 210 is longer. It can be said that you lose.

반대로,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질수록 푸시부(210)에 의해 케이스(200)상에서 밀려나는 배터리 커버(300)의 슬리이딩 이동거리가 짧아진다고 할 수 있다.Conversely, a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ntact member 330 is relatively short, the sliding movement distance of the battery cover 300 pushed from the case 200 by the push unit 210 may be shortened.

위와 같은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는, 버튼부(400)가 작동되었을 시에 케이스(20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배터리 커버(300)의 노출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It can be said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ntact member 330 as described above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osure degree of the battery cover 300 that slides in the case 200 when the button unit 400 is operated.

따라서, 배터리 커버(300)에 안치된 배터리의 중량, 배터리 커버(300)의 전체적인 길이 등을 고려하고, 또한, 사용자가 케이스(200)에서 노출된 배터리 커버(300)의 부위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battery placed in the battery cover 300, the overall length of the battery cover 300, etc.,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300 exposed from the case 200.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ntact member 330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le degre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Until now,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외측 프레임에 공지의 가압핀(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핀홀을 형성시켜 버튼부(400)의 누름 플레이트(410)를 가압핀으로 가압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by forming a pinhole into which a known pressing pin (not shown)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of the case 200, the button 400 is pressed. A structure for pressing the plate 410 with a pressing pin i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케이스(200)에 누름 플레이트(410)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누름 플레이트(410)를 눌러 배터리 커버(300)를 분리시키는 구조로 케이스(200)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case 200 can be manufactur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exposing the pressing plate 410 is formed in the case 200 so that the user directly presses the pressing plate 410 to separate the battery cover 300 Of cours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being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200 : 케이스
210 : 푸시부 211 : 탄성편
212 : 완충 플레이트 212a : 완충구멍
213 : 연결편 300 : 배터리 커버
310 : 메인 플레이트 320 : 체결부재
330 : 접촉부재 340 : 푸시 플레이트
350 : 보조 플레이트 400 : 버튼부
410 : 누름 플레이트 411 : 스톱퍼
412 : 후크 420 : 탄성 스프링
100: separa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200: case
210: push part 211: elastic piece
212: buffer plate 212a: buffer hole
213: connection piece 300: battery cover
310: main plate 320: fastening member
330: contact member 340: push plate
350: auxiliary plate 400: button portion
410: pressing plate 411: stopper
412: hook 420: elastic spring

Claims (7)

배터리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가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 커버를 밀어내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노출시키는 푸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에 마련된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완충구멍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A case in which a battery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A battery cover sliding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And
Includes; a button portion provided in the case and fasten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over,
The battery cover is separated from the case by sliding and moving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se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art,
The case,
When the button unit is operated, a push unit that pushes the battery cover to expose the battery cove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cludes,
The battery cover,
A main plate slid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plate and fastened with a hook provided on the button part; And
Including; a contact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push portion,
The push part,
An elastic piece contacting the contact member when the battery cover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buffer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astic piece and forming a buffer hole; And
Separa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comprising a;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the buffer plate and the elastic piece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탄성편의 길이방향 양측과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member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ai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o contact with eac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The method of claim 1,
Separa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further comprising a; auxiliary plates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plate to support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단턱부에 걸림되는 스톱퍼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가 마련된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part,
A pressing plat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 stopper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stopper is provided on the stepped portion provided in the case, and the hook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Separa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cover comprising; an elastic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plate.
KR1020190002481A 2019-01-08 2019-01-08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KR102152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81A KR102152945B1 (en) 2019-01-08 2019-01-08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81A KR102152945B1 (en) 2019-01-08 2019-01-08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77A KR20200086177A (en) 2020-07-16
KR102152945B1 true KR102152945B1 (en) 2020-09-07

Family

ID=7183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481A KR102152945B1 (en) 2019-01-08 2019-01-08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9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6354B (en) * 2020-12-31 2023-03-24 宁波众心电子科技有限公司 Power station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0851A (en)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タニタ Lock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22A (en) * 2008-07-10 2010-01-2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Battery cover locking n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0851A (en)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タニタ Lock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77A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5312B1 (en) Connector
JP5053928B2 (en) Optical connector plug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9722235B2 (en) Remote control unit with battery isolation tab
JP5103726B2 (en) Battery pack
KR102152945B1 (en) 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JP2004297068A (en) Battery cover locking equipment of mobile terminal machine
US20190283921A1 (en) Packaging for a shaver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18058771A1 (en) Battery clamping mechanism, batter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harging device
KR100425094B1 (en) structure of a detachable battery pack for a mobile phone
JP2013254878A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30000116U (en) Plug socket capable of separating plug easily
US8174236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JP2001085109A (en) Connector
KR101996445B1 (en) Charging coupler having cap convenient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KR101165952B1 (en) Connecting device for upper plates of table.
KR100852853B1 (en) Outlet safety cover
US7005580B1 (en) Electrical outlet cover
CN112822584A (en) Magnetic suction component and TWS earphone charging box
CN107004796B (en) Housing comprising a battery compartment
KR100565288B1 (en) Battery cover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inner battery type mobile terminal
CN217387385U (en) Intelligent device
US8246364B2 (en) Power strip with safety cover
KR101947005B1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tool
JPS6166362A (en) Device for fixing cell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