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08Y1 -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 - Google Patents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08Y1
KR200468408Y1 KR2020110002337U KR20110002337U KR200468408Y1 KR 200468408 Y1 KR200468408 Y1 KR 200468408Y1 KR 2020110002337 U KR2020110002337 U KR 2020110002337U KR 20110002337 U KR20110002337 U KR 20110002337U KR 200468408 Y1 KR200468408 Y1 KR 200468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flective film
cutting
drain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983U (ko
Inventor
박성혜
박지언
Original Assignee
박지언
박성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언, 박성혜 filed Critical 박지언
Priority to KR2020110002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0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01G2009/1446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필림재질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PET필림 또는 다른 합성수지로 0.01mm-0.3mm두께의 필림(110)재질에 알루미늄이 증착되며 알루미늄증착면(120)에 합성수지 코팅층(130)으로 구성된 과수용 반사필림에 관한 것으로, 필림 표면에 배수용 절단편이 제거되지 않고 부착되어 구성되는 절단편부착 형식의 반사필림이다. 배수공 가공기술에 있어 절단편(140-1)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절단편부착형의 반사필림으로 그 형태로는 상호반달형 또는 반달형 중 선택된 모양의 지름5-20mm의 배수공이 1㎡에 15- 25개 기준으로 폭과 길이 방향으로 배설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배수공에 의한 잡초성장의 문제점과 반사율 저하현상이 감소되며 특히, 절단편에 의한 산업폐기물이 발생하기 않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원가상승의 요인을 제거한 가격이 저렴한 기능성 반사필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Fruit Crops functional reflective film}
본 고안은 과수용 반사필림(100)에 관한 것으로 과일의 착색증진을 위하여 잎이나 가지에 의해 햇빛이 가려져 그늘이 발생되어 과일표면의 고른 착색이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여 과일의 착색증진과 당도향상을 목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지 바닥에 깔아주어 지면으로부터 햇빛을 반사시켜 착색이 어려운 과일의 하부에도 햇빛이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반사필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존의 문제점인 반사 빛의 집중화로 인한 빛의 분산작용 미흡에 따른 과일표면의 일소발생과 우천 시 에는 필림 표면에 빗물고임 현상으로 등으로 반사율저하 등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필림 표면에 반드시 필요한 배수공 가공기술을 적용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함이다. 본 고안은 배수공 가공시 절단편(140-1)이 발생되지 않는 절단편부착 형식의 배수공 가공 기술로 직름 5-20mm의 상호반달형 또는 반달형 형상의 배수공(140)을 일정한 간격으로 부여하여 필림 피복 시 절단부가 벌어지면서 틈이 발생함에 따라 배수기능과 절단편 자체가 광을 분산시키는 난반사기능으로 과일표면의 일소현상을 줄여주며 또한 배수공을 통하여 잡초가 성장한 문제점과, 특히 제조 시 절단편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생산성에 영향이 없어 원가상승 요인을 제거한 절단편 부착형 유공 반사필림을 제공한다.
고품질과일을 생산하기 위하여 재배과정 중에 일반적으로 과일의 성숙기인 착색기에는 태양광선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광 환경을 조성하여 주어야 재배과일의 착색증진과 더불어 당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과실류의 착색기에는 광 환경이 불량하면 수확과일의 착색이 불량함에 따라 당도 또한 저하되어 과일품질이 매우 저하되는 것이다. 특히 착색계 사과인 경우 착색발현을 위한 붉은색 색소인 안토시아닌 생성을 위하 여는 3가지 기본조건이 있다. 첫째 당이 축척되어야 하며 이는 안토시아닌의 기본원료가 포도당이기 때문이다. 둘째 광환경이 조성 되어야한다 특히380nm정도의 자외선이 과일에 닿지 않으면 안토시아닌이 발현되지 않는다. 섯째 조건은 온도이다 안토시아닌 생성 적온은 15-20℃로서 30℃이상 또는 10℃미만에서는 안토시아닌이 생성되지 않는 특성으로 과일은 햇빛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게 광 환경을 반드시 개선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수원에 있어서는 상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이 가지나 잎 등으로 가려져 과일에 고른 빛이 조사되지 못하여 수확 시 과일의 착색불량과 당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품질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광 환경 불량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하여 일반적으로 광 반사필림을 과일 착색기에 과수원 바닥면에 피복 설치하여 상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이 반사필림에 반사되어 과일의 특성상 착색이 어려운 저부 및 가려진부분에 광선이 고른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용화 되어 과일의 착색증진 및 당도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기존에 상용화되어 사용하고 있는 반사필림(110)의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텔(PET), 폴리에틸렌(PE) 등 강도 및 내구력, 가격 등 사용용도에 따라 수종의 연신, 무연신, 또는 저밀도, 고밀도 프라스틱 수지가 사용되어 알루미늄이 증착되며 알루미늄증착면(120)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텔(PET), 폴리에틸렌(PE) 등 합성수지를 코팅한 코팅층(130)으로 이루어지며 양면 광택형과 단면 광택형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반사필림은 사용 용도에(경사지 또는 평지)에 따라 우천시 물고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림 표면에 다수에 배수 홀을 가공한 유공필림과 배수홀이 없는 무공필림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반사필림을 농작물 하부에 깔아 사용하게 되는데 국내의 기후조건상 조생종과 만생종 과일이 동일하게 사용하게 되고 광량이 풍부한 늦여름에 무공필림을 사용하여 농작물에 직 반사 할 경우 직사광선에 의한 과일에 일소현상을 초래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역효과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농가에서 일소피해 방지를 위하여 원단을 구겨가면서 도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원단표면을 구겨줌에 따라 직사광선의 난반사 기능을 부여하여 일소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단표면에 배수구 역할의 배수공 가공 시 천공형식으로 가공하여 절단편을 제거함에 따라 배수공에 의한 반사율저하 현상 및 배수공을 통하여 풀이 성장하는 문제점과 특히 배수공 절단편에 의한 다량의 산업폐기물 발생과 연속되는 공정에서 절단편 자체를 완전 제거하는 방식은 카타의 마모의성과 생산성저하로 원가가 대단히 상승되는 작업상의 결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배수기능의 불편이 있어도 주로 무공 필림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용 반사필림에 있어서는 농가소득향상과 고품질 과일을 생산하기 위하 여는 원가상승 요인이 없어 가격이 저렴한 배수공이 가공된 반사필림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실용실안등록 20-0403011호에서 반사필림 표면에 요철돌기를 부여하여 직사광선을 산란시켜 일소피해를 방지하고 배수공을 가공하여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함은 우수한 방안이나, 필림 표면에 다양한 요철돌기의 부여방법에 있어서는 프라스틱 합성수지 재질특성상 열을 가하여 재질자체의 물성변화를 변화시켜야만 가공이 가능하며, 물성변화 시 신축성이 없는 알루미늄막이 파괴되어 반사능력이 급격이 저하되며, 필림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강도가 약화되어 찢어질 우려가 있으며, 기계적가공이 어려움 결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한 가공되는 배수공 가공에 있어서는 배수홀에 의한 반사율 저하현상과 작업성저하로 인한 원가상승 요인과 절단 폐기물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이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20-0233833호에서 개시한 반사광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비닐에 은분을 혼합하여 구성하고 1mm직경의 1-2cm간격의 일정한 규격 구멍이 천공된 시트를 과수원바닥에 깔아주어 직사광선량 조절 목적이나 비닐에 미세 천공가공을 위하 여는 재질자체에 물성변화를 주는 열을 이용한 가공이 필요하며, 또한 다수의 천공에 의해 직사광선의 반사율을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20-0272836호에서 PET 증착필림에 10cm미만의 타공 홀을 가공 후 부직포를 부착한 부직포 반사필림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타공홀이 크고 통기성이 있는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어 지질이 강화되고 통기성이 우수한 장점은 있으나, 고가의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어 원가상승 요인이 되며 반사필림에 타공 홀을 가공함에 따라 타공 폐기물이 발생되며, 부직포에 의해 부피가 커지며 결점과 물성이 다른 두 물질 사용으로 재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한 반사필림 으로 기존의 무공 필림의 문제점인 반사 빛의 집중화로 인한 빛의 분산작용 미흡에 따른 과일표면의 일소발생과, 우천시 필림 표면에 빗물고임으로 인한 반사율 저하현상, 유공 필림의 경우 배수공을 통한 잡초성장으로 반사율저하 및 가공 상의 다량의 폐기물 발생과 생산성 저하로 인한 원가상승 요인 등의 문제점 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공 가공방식에 있어서 절단편이 발생되지 않는 절단편부착형 배수공 가공기술을 적용하여 산업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생산작업이 용이한 유공 반사필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례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필림표면에 배수공 가공 시 절단편(140-1)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절단 기술방식에 의한 절단편부착형식의 배수공(140)을 일정한 간격으로 부여함에 따라 배수기능과 더불어 특히 산업폐기물이 발생되지 않으며 생산성 저하에 의한 원가상승 요인을 제거한 반사필림을 제공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비닐계 절단 방식에 있어서는 카타가 부착되는 롤러사이로 필림이 통과되는 회전카타 절단방식과 금형 프레스절단방식, 레이저 절단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작업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은 카팅설비가 간단한 카타가 부착되어 있는 롤러사이로 필림이 통과되며 절단되는 회전카타 방식 적용이 유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림 표면에 배수공 가공 시 절단편(140-1)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절단에 의한 절단편 부착형 배수공(140) 가공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절단편 자체가 광을 분산시키는 기능과 기존의 천공형식의 배수공 가공에 의한 잡초 성장으로 반사율 저하현상이 방지되며, 특히 산업폐기물이 발생하기 않고 생산성이 저하되지 않아 원가상승의 요인이 없어 가격이 저렴한 기능성 유공 반사필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제품에 대한 본 고안의 대표 사시도.
도 1a의(K)는 제품에 대한 본고안의 배수공에 대한 상세도.
도 1b는 제품에 대한 본고안의 배수공에 대한 단면 상세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과수원 재배지 바닥에 깔아주어 햇빛을 반사시켜 착색이 어려운 과일의 하부에도 햇빛이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반사필림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림 표면에 가공되는 배수공을 절단편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절단 가공방식에 의한 절단편부착형식의 상호반달모양 또는 반달모양 형상의 배수공(140)을 부여하여 배수기능과 부착된 절단편 자체가 광 분산기능으로 기존의 천공방식과 달리 반사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과일표면의 일소현상을 줄여주는 2중 효과의 기능과 특히 산업폐기물이 발생되지 않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없어 가격이 저렴한 기능성 유공 반사필림을 제공하여 상기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필림재질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텔(PET),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합성수지로 0.01mm-0.3mm두께의 필림(110)재질에 알루미늄이 증착되고 알루미늄 증착층면(120)에)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텔(PET),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코팅된 코팅층(130)으로 구성된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에 관한 것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지 바닥에 깔아주어 지면으로부터 햇빛을 반사시켜 착색이 어려운 과일의 하부에도 햇빛이 반사되어 과일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상용화 되어있는 반사필림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림 표면에 가공되는 배수공(140)에 있어서 절단편(140-1)을 제거하지 않는 절단편 부착형식의 상호반달형 또는 반달모양 형상의 지름 5-20mm의 배수공(14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배수공은 카타의 형태에 따라 반달형 또는 상호반달형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며 물 빠짐이 원활하고 필림에 강도에 영향이 없는 지름 5-20mm의 크기로 절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공의 배치방법은 1㎡에 15-25개 기준으로 폭과 길이 방향으로 배설하며 배수구의 개수는 필림 폭과 배수상태 및 난반사의 역할에 따라 적절히 변경 할 수 있다 . 여기서 일반적인 비닐계의 배수공 절단 방식에 있어서는 카타가 부착되는 롤러사이로 필림이 통과되는 회전카타 절단방식과 금형 프레스절단방식, 레이저 절단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작업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카팅설비가 간단하며 비용이 적게 발생되는 카타가 부착되어 있는 롤러사이로 필림이 통과되며 절단되는 회전카타 방식 적용이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반사필림(100)의 배수공 가공에 있어 절단폐기물 발생이 없는 부분절단방식 절단편부착형 배수공이 가공되어 필림피복 시 절단부가 벌어지면서 배수공이 발생됨에 따라 우천시 빗물고임을 방지하고 부착되어진 절단편 자체가 다양한 각도로 광 분산 역할을 하게 되어 직광에 의한 일소현상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공기 유통과 풀이 배수공을 통하여 성장하는 일이 없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반사필림은 기존의 반사필림에 비하여 과일의 일소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약15-20% 인하되어 보다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반사필림을 이용하여 조사,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배수공 가공방식에 따른 완전 천공형과 실험의 상호반달형의 대조]
Figure 112013500817728-utm00006
*실험기준 : 기존 - 배수공 지름 10mm기준으로 1㎡당 20개 기준 절단편
제거 천공형 가공 기준임.
실험예 - 배수공 지름 10mm기준으로 1㎡당 10-25개 기준 4단
계 실험 기준임.
* 판단기준 : ○(양호) △(보통) ×(미흡) 단계로 구분함.
상기와 같이 기존의 배수공 가공에 있어 완전 천공형과 본 고안의 상호반달형 배수공 가공방법에 따라 배수상태, 반사율, 일소감소 및 착색도, 필림강도, 생산효율성 등을 조사해본 결과 배수상태에서 1㎡당 10홀을 가공시 배수상태가 다소 미흡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반사율에 있어서는 측정이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나 실험군에서 배수공에 의한 반사율 저하현상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소발생 및 착색도에 있어서도 기후상황에 따라 변동은 있었으나 일소현상과 착색미흡 현상은 없었다. 이는 배수구 절단부분이 직사광선을 일부 분산시킨 효과로 판단된다. 또한 배수공 가공에 따른 필림강도 변화에 있어서는 1㎡당 15-25홀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업성 면에서 기존의 천공형식보다 절단편이 발생되지 아니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출원 범위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 그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필림의 재질변경(저밀도, 고밀도), 색상변경, 배수공 형태(U형, V형, +형) 및 가공방식 등이다.
100 : 본 고안 반사필림 110 : 필림층
120 : 알루미늄 증착층 130 : 합성수지 코팅층
140 : 배수공(절단선) 140-1: 절단편
K : 배수공 상세

Claims (2)

  1. 폴리프로필렌이나 PET필림,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합성수지로 0.01mm-0.3mm두께의 필림(110)재질에 알루미늄이 증착되며 알루미늄증착층(120)면에 폴리프로필렌 또는, PET필림, 폴리에틸렌 등의 기타 합성수지로 코팅된 코팅층(130)으로 구성된 과수착색용 반사필림에 있어서, 지름 5-20mm의 , 상호반달형, 반달형 중 선택된 모양의 배수공이 1㎡에 15- 25개 기준으로 폭과 길이 방향으로 배설한 절단편부착형 배수공이 부여된 과수용 반사필림.
  2. 삭제
KR2020110002337U 2011-03-18 2011-03-18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 KR200468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37U KR200468408Y1 (ko) 2011-03-18 2011-03-18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37U KR200468408Y1 (ko) 2011-03-18 2011-03-18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83U KR20120000983U (ko) 2012-02-09
KR200468408Y1 true KR200468408Y1 (ko) 2013-08-09

Family

ID=4584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337U KR200468408Y1 (ko) 2011-03-18 2011-03-18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772B1 (ko) * 2019-08-29 2020-06-11 김대익 튜브를 형성한 농업용 반사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7267B (zh) * 2019-03-22 2021-01-12 海安浩驰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聚脂薄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83B1 (ko) * 1986-08-06 1995-01-27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해충 퇴치용 멀칭 필름
KR970009534A (ko) * 1996-05-21 1997-03-27 최민석 농업용 반사 필름
KR20060043733A (ko) * 2004-03-31 2006-05-15 엠케이브이 플라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필름
KR20070031518A (ko) * 2005-09-15 2007-03-20 송사랑 농업용 산란광 반사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83B1 (ko) * 1986-08-06 1995-01-27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해충 퇴치용 멀칭 필름
KR970009534A (ko) * 1996-05-21 1997-03-27 최민석 농업용 반사 필름
KR20060043733A (ko) * 2004-03-31 2006-05-15 엠케이브이 플라테크 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필름
KR20070031518A (ko) * 2005-09-15 2007-03-20 송사랑 농업용 산란광 반사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772B1 (ko) * 2019-08-29 2020-06-11 김대익 튜브를 형성한 농업용 반사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83U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37076B2 (en) Reflective netting material
US20160174474A1 (en) Woven ground cover materials
US20050229481A1 (en) Colored Plastic Mulches and Geotextiles Imprinted and Embossed with Natural Images
CN107415395A (zh) 一种多色地膜及其制备方法
CN107258390B (zh) 一种方便收放折叠的连动温室大棚及莲雾的优质稳产栽培方法
CN213153180U (zh) 一种银黑双色反光农用地膜
CN109937774B (zh) 高光效环保耐候银白黑三层复合地膜及其制备方法
CN1777359B (zh) 植物保护覆盖层
KR200468408Y1 (ko) 과수용 기능성 반사필림
WO2014206565A1 (de) Gewächshaus-bedachung mit temperaturabhängiger strahlungstransparenz und verfahren zur kultivierung von nutzpflanzen
Castellano et al.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 parameters on radiometric performances of agricultural nets
KR101229925B1 (ko) 농업용 반사필름
EP1652422A2 (de) Thermoplastische Erzeugnisse zur Wachstumbeschleunigung, Ertragssteigerung und Qualitätsverbesserung von Nutzpflanzen in der Landwirtschaft
KR200403011Y1 (ko) 농업용 산란광 반사필름
CA2830189A1 (en) Reflective ground cover material
Castellano et al. Design and use criteria of netting systems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 Italy
CN111519345B (zh) 一种防虫防草布聚丙烯无纺布的生产设备
JP3078702U (ja) 農業土壌覆いマルチシート
CN208850309U (zh) 一种透明银黑三色多功能复合地膜
CN208724530U (zh) 一种两银黑中间透明多功能复合地膜
KR20070031518A (ko) 농업용 산란광 반사필름
AU2011277120A1 (en) Canopy material
AU2007210775A1 (en) Method of reversibly sealing the pores of nets and its application to agricultural protection
EP1372373A1 (de)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bestehende witterungsbeständige folie
CN109479833A (zh) 倍蚜种虫自然迁飞散放增加五倍子产量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