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05Y1 -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05Y1
KR200468405Y1 KR2020120000717U KR20120000717U KR200468405Y1 KR 200468405 Y1 KR200468405 Y1 KR 200468405Y1 KR 2020120000717 U KR2020120000717 U KR 2020120000717U KR 20120000717 U KR20120000717 U KR 20120000717U KR 200468405 Y1 KR200468405 Y1 KR 200468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ver
locking
receiv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7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4779U (en
Inventor
류지호
진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to KR2020120000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05Y1/en
Publication of KR20130004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77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0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식물 포장용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며, 양측부들 각각에 걸림 돌기들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걸림 돌기들 각각에 체결되는 걸림홈들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걸림 돌기들 각각의 안쪽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들이 상기 걸림 돌기들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이 형성된다.The food packaging container covers an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food,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cover part having locking protrusions on each of both sides, and a locking groove fastened to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And a fastening part configured to fix the cover part to the receiving part, and the cover part is formed at an inner portion of each of the catching protrusions, and a separation prevention jaw for preventing the catching groov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tching protrusions, respectively. Is formed.

Description

음식물 포장용 용기{CONTAINER FOR PACKING A FOOD}Container for food packaging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본 고안은 음식물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식사 또는 식사대용으로 사용되는 간단한 음식물을 수용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accommodate and store or transport simple foods used for meals or meal replacements.

일반적으로 음식물 포장용 용기는 사람들이 식사 또는 식사대용으로 사용되는 간단한 음식물을 수용한다. 상기 음식물 포장용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포장용 용기를 운반하는 도중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와 후크 형태로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Food packaging containers generally contain simple foods that people use for meals or meal replacements.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accommodate food and a cover portion fastened to the receiving portion while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is generally fastened in the form of a hook and the receiving portion so as not to spill food while transporting the packaging container.

그러나, 상기 포장용 용기는 상기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또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의 후크 결합에 의해 그 분리하는 힘이 과도하게 가해짐으로써, 상기 커버부를 분리시키는 도중에 상기 음식물이 쏟아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the packaging container is relatively difficult to separate the cover portion from the receiving portion for ingesting the food. In addition, when the cov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separating force is excessively applied by the hook coupling, so that the food may spill out during the separation of the cover portion.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커버부를 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ver por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며, 양측부들 각각에 걸림 돌기들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걸림 돌기들 각각에 체결되는 걸림홈들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걸림 돌기들 각각의 안쪽 부위에 상기 체결된 걸림홈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를 밀착하면서 감싸도록 상기 수용부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food,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covers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hile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having catch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Comprising a locking groove which is fastened to each of these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 fixing the cover portion to the receiving portion. Here, 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for preventing the engaging locking grooves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portion of each of the locking projections.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so as to wrap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ng part.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는 커버부가 음식물을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를 체결 없이 단지 커버만 하도록 하고, 추가적인 체결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커버부를 별도로 고정시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용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를 먼저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할 때 상기 커버만 하고 있는 커버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쉽게 분리할 경우, 음식물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tainer for food packag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only the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food, without fastening the cover portion, and through the additional fastening portion to secure the cover portion and the cover separately by the cover portion from the receiving portion By separating the fastening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covers the accommodating part to be separate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cover part, which is only the cover, from th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user wants to consume foo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art. . In addition, when the cover portion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food may be prevented from pouring out from the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용기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용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rom below of the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용기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of the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ure 1 seen from below.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는 수용부(200), 커버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00, a cover portion 300, and a fastening portion 400.

상기 수용부(200)는 상부가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개구된 상부를 통해 식사 또는 식사대용으로 사용되는 간단한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은 예컨대, 샐러드, 도시락, 샌드위치 또는 햄버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ccommodates a simple food used for meal or meal replacement therein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Here, the food may include, for example, a salad, a lunch box, a sandwich or a hamburger.

상기 수용부(200)는 외부의 식탁과 같은 평탄한 받침판에 흔들림 없이 놓여질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된 바닥부(210) 및 내부에 상기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바닥부(210)와 상기 측부(220)가 만나는 부위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00 of the bottom portion 210 so that the bottom portion 210 is formed flat so that it can be placed on a flat support plate, such as an external dining table without shaking,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od therein is formed. It may include a side portion 22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dge. Thus, a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210 and the side portion 220 meet may have a structu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수용부(200)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한다. 이에,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수용부(200)에 강제적으로 체결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200)의 측부(220)에 살짝 얹혀진 구조로 상기 수용부(200)를 커버한다. The cover part 300 covers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200. Thus, the cover part 300 covers the accommodating part 200 in a structure that is slightly mounted on the side portion 220 of the accommodating part 200 without being forcibly fastened to the accommodating part 200.

이때,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측부(220)에 얹혀지는 부위에 상기 측부(2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측부(220)를 측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부로 볼록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ver part 300 supports the support part 310 for supporting the side part 220 of the side part 220 to prevent the side part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part 220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may include. In addition, the cover part 300 may have a convex structure toward the top to exp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ing part 200.

이러한 커버부(300)는 이하에서 설명할 체결부(400)와 체결되기 위해서 양측부(220)들 각각에 걸림 돌기(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 돌기(320)들은 상기 양측부(220)들에서 상기 커버부(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300 may include locking protrusions 320 on each of the side parts 22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400 to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the locking protrusions 320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cover portion 300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 portions 220.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수용부(200)를 커버한 커버부(300)를 상기 수용부(2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200)의 하부를 감싸면서 그 양단 부위들 각각에 상기 걸림 돌기(320)들 각각에 체결되는 걸림홈(410)들을 갖는다.The fastening part 400 surrounds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200 to fix the cover part 300 covering the accommodating part 200 to the accommodating part 200. The locking grooves 410 are fastened to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320.

이하, 상기 커버부(300)와 상기 체결부(400)가 체결된 구조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part 300 and the fastening part 400 are fasten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용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3 is a side view of the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걸림 돌기(320)들에 체결된 걸림홈(410)들이 상기 포장용 용기(100)를 운반하는 도중 상기 걸림 돌기(320)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 돌기(320)들 각각의 안쪽 부위에 이탈 방지턱(33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턱(330)에는 예를 들면 이탈 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턱(330) 및 이탈 방지홈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3 and 4, the cover part 300 includes the locking protrusions 320 while the locking grooves 410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s 320 carry the packaging container 100. In order to prevent the deviation from the may have a separation prevention jaw 330 in the inner portion of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320. For example, a departure preven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departure prevention step 330. The departure prevention step 330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groove use the same reference number.

상기 이탈 방지홈(330)은 상기 체결부(400)의 상기 걸림홈(410)들이 형성된 부위의 두께보다 두꺼운 폭을 가지면서 상기 걸림 돌기(320)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20)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400)의 체결홈이 상기 이탈 방지홈(330)으로 자연스럽게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안쪽 부위가 상기 이탈 방지홈(33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체결홈을 상기 걸림 돌기(3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상기 경사진 부위를 통해서 보다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 departure preventing groove 330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320 while having a width that is thicker than a thickness of a portion where the locking grooves 410 of the fastening part 400 are formed. In addition, the inner portion of the fastening groove 400 of the fastening portion 400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 3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eparture preventing groove 330 to naturally guide the departure preventing groove 330. Can be. In this case, when the fastening groove is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320, it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한편,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걸림홈(410)들이 상기 걸림 돌기(320)들에 체결된 상태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200)의 외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체결부(400)는 띠 형태로 상기 수용부(200)를 감싸면서 상기 커버부(300)의 걸림 돌기(320)들에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part 400 may be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200 so that the locking grooves 410 do not fall well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grooves 410 are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s 320. Thus, the fastening part 400 may have the elastic force by being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catching protrusions 320 of the cover part 300 while surrounding the receiving part 200 in a band shape.

이럴 경우, 상기 체결부(400)는 구부림이 가능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400)가 종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걸림홈(410)을 상기 걸림 돌기(320)들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이를 찢어서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재활용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part 400 may be made of a paper or plastic material that can be bent. In this case, when the fastening part 400 is made of paper, when the locking groove 41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s 320, the fastening part 400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ily detached by tearing 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is recyclable.

또한,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수용부(200)의 하부를 감쌈에 따라 상기 수용부(200)가 평탄한 받침판에 흔들림 없이 놓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200)의 하부 모양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200)가 서로 만나는 부위가 소정 각도로 절곡된 바닥부(210)와 측부(22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의 만나는 부위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수용부(200)를 밀착하면서 감싸도록 인위적으로 형성된 꺾임 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fastening part 400 wraps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200, the accommodating part 200 is formed along the lower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0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part 200 from being placed on a flat support plate without shaking. Can be formed. Specifically, since the portion where the receiving portion 200 meets each other is composed of the bottom portion 210 and the side portion 220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astening portion 400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meeting the above. It may include a bent line 420 artificially formed so as to wrap close to the receiving portion 200.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300)가 음식물을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200)를 체결 없이 단지 커버만 하도록 하고, 추가적인 체결부(400)를 통해 상기 수용부(200)와 상기 커버부(300)를 별도로 고정시켜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수용부(2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커버부(300)가 상기 수용부(2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400)를 먼저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수용부(200)에 수용된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상기 커버만 하고 있는 커버부(300)를 상기 수용부(200)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음식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the cover part 300 only covers the receiving part 200 containing the food without fastening, and through the additional fastening part 400, the receiving part 200 and the cover part 300. When the cover part 300 is to be separated and the cover part 30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art 200 by separately separating the fastening part 400 in a state where the cover part 300 covers the receiving part 200. When the user wants to eat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200, the cover part 300, which is only the cov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art 200 to prevent food from spilling.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rt.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는 단지 커버만 하고 있는 커버부와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체결부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할 때 음식물의 포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상기 체결부만 인위적으로 분리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 용기는 수용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써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ainer for food packag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only through the cover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food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only the fastening portion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ackaging of food when ingesting food Can be ingested artificially. In addition, the packaging container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contained contents from spilling.

100 : 포장용 용기 200 : 수용부
300 : 커버부 310 : 지지부
320 : 걸림 돌기 330 : 이탈 방지홈
400 : 체결부 410 : 걸림홈
420 : 꺾임 라인
100: packaging container 200: receiving portion
300: cover portion 310: support portion
320: locking projection 330: departure prevention groove
400: fastening portion 410: locking groove
420: bending line

Claims (3)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200);
상기 수용부(20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며, 양측부들 각각에 걸림 돌기들(320)을 갖는 커버부(300); 및
상기 수용부(200)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걸림 돌기들(320) 각각에 체결되는 걸림홈들(410)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수용부(200)에 고정하는 체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들(320) 각각의 안쪽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들(410)이 상기 걸림 돌기들(320)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홈(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
Receiving unit 200 for receiving food;
A cover part 300 covering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art 200 and having locking protrusions 320 on each of both sides; And
A fastening part for fixing the cover part 300 to the receiving part 200 by having locking grooves 410 fastened to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320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200. 400),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each of the locking projections 320,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s 330 for preventing the locking grooves 41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f the locking projections 320 is formed Food packaging containe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수용부(200)를 밀착하면서 감싸도록 상기 수용부(200)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part (4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part (200) so as to wrap the packing part (200) in close contact.
KR2020120000717U 2012-01-31 2012-01-31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KR20046840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717U KR200468405Y1 (en) 2012-01-31 2012-01-31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717U KR200468405Y1 (en) 2012-01-31 2012-01-31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79U KR20130004779U (en) 2013-08-08
KR200468405Y1 true KR200468405Y1 (en) 2013-08-09

Family

ID=5139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717U KR200468405Y1 (en) 2012-01-31 2012-01-31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05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673U (en) * 1986-06-30 1988-01-19
WO1997039959A1 (en) * 1996-04-25 1997-10-30 Quality Pack B.V. Container in box form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11110309A (en) * 2009-11-30 2011-06-09 Tafuko:Kk Lunch bo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673U (en) * 1986-06-30 1988-01-19
WO1997039959A1 (en) * 1996-04-25 1997-10-30 Quality Pack B.V. Container in box form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11110309A (en) * 2009-11-30 2011-06-09 Tafuko:Kk Lunch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79U (en)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405Y1 (en) Container for packing a food
KR102099946B1 (en) Packing container having function of table
JP7149559B2 (en) food packaging container
KR200485349Y1 (en) A food packaging container
US9868576B2 (en) Plastic package with an open reminder
JP5656277B2 (en) Packaging container
JP5912284B2 (en) Packaging container with finger hook
KR20110011870U (en) Container
KR20180000716U (en) A packing box
KR20130080195A (en) Disposable lunch package
KR20110130879A (en) Stacking type packing box
JP4979749B2 (en) Food packaging container
JP2009255967A (en) Food container
KR200398299Y1 (en) Packaging box of a hamburger
JP6838724B2 (en) Food packaging container
KR200458758Y1 (en) Package box for the goods
JP4825039B2 (en) Packaging container
JP2010013110A (en) Closed container
KR20090028888A (en) Packaging box
KR200472278Y1 (en) Container for packing food
EP2570368A1 (en) A Display and Distribution Package for Eggs
KR20090001698U (en) Package box
KR200476613Y1 (en) Food container
KR20140100169A (en) Take-out for packaging containers
KR960002950Y1 (en) Pack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