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59Y1 -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59Y1
KR200468359Y1 KR2020120007229U KR20120007229U KR200468359Y1 KR 200468359 Y1 KR200468359 Y1 KR 200468359Y1 KR 2020120007229 U KR2020120007229 U KR 2020120007229U KR 20120007229 U KR20120007229 U KR 20120007229U KR 200468359 Y1 KR200468359 Y1 KR 200468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armature
fixed core
trip b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양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립장치를 구립바가압부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로부터 상기 고정코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외함; 상기 외함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 간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 상기 개폐기구를 트립시키는 트립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립장치는, 상기 개폐기구를 트립시키는 트립바(trip bar); 과전류 통전시 상기 트립바가 트립되게 가압하는 바이메탈; 자성체로 서로 대향된 양 측벽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상기 바이메탈이 수용되게 배치되는 고정코어; 및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과전류보다 큰 설정전류 통전시 상기 고정코어의 양 측벽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는 아마추어(amature) 본체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로부터 상기 트립바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트립바를 트립되게 가압하는 트립바가압부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로부터 상기 고정코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흡인력을 증대시켜 차단 성능 및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WITH TRIP DEVICE}
본 고안은,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인력을 증대시켜 차단 성능 및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는 단락, 지락 등의 사고 전류 발생 시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 보호기기의 일종이다.
회로차단기는, 모선 측과 부하 측의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와, 이상(異常, abnomal) 전류(과전류, 단락, 지락 등 사고전류) 통전시 개폐기구를 트립(trip)시켜 전원을 차단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소형)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립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트립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는, 단자(12)를 구비한 외함(10)과, 상기 단자(12) 사이에 배치되어 단자(12) 간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20)와, 이상 전류 통전 시 개폐기구(20)를 트립시켜 단자(12) 간 전원 연결을 해제하는 트립장치(30)를 구비한다.
상기 외함(10)은 대략 직육면체로 구성된다.
상기 외함(10)의 양 단부에는 모선 및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단자(12)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외함(10)의 내부에는 상기 단자(12) 간의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20)가 배치된다.
상기 개폐기구(20)는, 일 측의 단자(12)와 연결되는 고정접촉자(22)와, 타 측 단자(12)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22)에 대해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촉자(23)와, 개폐조작용 핸들(25)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기구(20)의 일 측에는 이상 전류 통전 시 상기 개폐기구(20)를 트립시키는 트립장치(30)가 마련된다.
상기 트립장치(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20)를 트립시키는 트립바(trip bar)(31)와, 과전류 통전시 만곡되는 바이메탈(33)과, 상기 바이메탈(33)의 둘레에 배치되는 고정코어(41), 상기 고정코어(41)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아마추어(amature)(50)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메탈(33)은 연선(35)에 의해 개폐기구(20)의 가동접촉자(23)와 전기적으로(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코어(41)는 일 측이 개방된 "U" 단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고정코어(41)의 내부에는 상기 바이메탈(33)이 수용된다.
상기 아마추어(50)는 상기 고정코어(41)의 일 측, 즉 개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아마추어(50)는 자성체로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마추어(50)의 상부영역에는 힌지(52)가 마련된다.
상기 아마추어(50)의 일 측에는 상기 트립바(31)와 접촉되어 상기 트립바(31)가 상기 개폐기구(20)를 트립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트립바가압부(54)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코어(41)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힌지(52)가 삽입될 수 있게 힌지ㅅ삽입부(43)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아마추어(50)는 상기 트립바(31)의 동작거리(상기 개폐기구(20)를 트립시키기 위해 상기 트립바(31)가 회동하는 거리)(D)만큼 상기 고정코어(41)로부터 이격될 경우, 자기(磁氣) 흡인력(吸引力)이 미흡(순시배수 구현이 곤란)하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차단 성능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흡인력을 증대시켜 차단 성능 및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트립바의 동작거리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외함; 상기 외함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 간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 상기 개폐기구를 트립시키는 트립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립장치는, 상기 개폐기구를 트립시키는 트립바(trip bar); 과전류 통전시 상기 트립바가 트립되게 가압하는 바이메탈; 자성체로 서로 대향된 양 측벽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상기 바이메탈이 수용되게 배치되는 고정코어; 및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과전류보다 큰 설정전류 통전시 상기 고정코어의 양 측벽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는 아마추어(amature) 본체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로부터 상기 트립바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트립바를 트립되게 가압하는 트립바가압부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로부터 상기 고정코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아마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아마추어 본체의 상기 트립바가압부의 대향측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코어의 양 측벽부에 대응되게 상기 아마추어 본체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코어의 측벽부와 대면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본체의 상기 고정코어 접촉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코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마추어가 고정코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코어 및 아마추어 간 흡인력을 증대시켜 차단 성능 및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에 의해 고정코어 및 아마추어 간 흡인력이 증대되는 만큼 작용바의 설계시 동작거리에 대한 제약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소형) 회로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트립장치 중 트립바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트립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트립장치 중 트립바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트립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아마추어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고정코어 및 아마추어의 결합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아마추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돌출부측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트립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는,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112)를 구비한 외함(110); 상기 외함(110)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112) 간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120); 상기 개폐기구(120)를 트립시키는 트립장치(130);를 포함하고, 상기 트립장치(130)는, 상기 개폐기구(120)를 트립시키는 트립바(trip bar)(131); 과전류 통전시 상기 트립바(131)가 트립되게 가압하는 바이메탈(133); 자성체로 서로 대향된 양 측벽부(142)를 구비하여 내부에 상기 바이메탈(133)이 수용되게 배치되는 고정코어(140); 및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과전류보다 큰 설정전류 통전시 상기 고정코어(140)의 양 측벽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는 아마추어(amature) 본체(151)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상기 트립바(131)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트립바(131)를 트립되게 가압하는 트립바가압부(155)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상기 고정코어(140)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아마추어(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함(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0)의 양 단부에는 복수의 단자(11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함(110)의 일 측의 제1단자(113)들은 모선에 연결되고, 상기 외함(110)의 타 측의 제2단자(114)들은 부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단자(113) 및 제2단자(114) 들 간의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120)는, 상기 단자(112) 중 일 측의 단자(112)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122)와, 상기 단자(112) 중 타 측의 단자(112)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12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촉자(123) 및 수동조작용 핸들(125)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접촉자(122)는 상기 제1단자(113)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접촉자(123)는 상기 제2단자(1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23)가 상기 고정접촉자(122)에 접촉된 경우 상기 제1단자(113)와 상기 제2단자(114)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120)의 일 측에는 이상전류(과전류 및/또는 단락, 지락 등 사고전류) 통전 시 상기 가동접촉자(123)가 상기 고정접촉자(122)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개폐기구(120)를 트립시키는 트립장치(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립장치(130)는, 상기 개폐기구(120)를 트립시키는 상기 개폐기구(120)를 트립시키는 트립바(13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립장치(130)는 과전류 통전시 상기 트립바(131)가 트립되게 가압하는 바이메탈(1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33)은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33)의 일 측에는 일 단이 가동접촉자(123)에 연결된 연선(135)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33)의 하부에는 전기의 도체로 구성된 고정대(136)가 구비되어 통전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바이메탈(133)은 과전류 통전시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만곡되면서 상기 트립바(131)를 가압하여 트립시키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가동접촉자(123)가 고정접촉자(12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단자(122)들 간의 전원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과전류로부터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133)의 둘레에는 고정코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40)는 자성체로 서로 대향된 양 측벽부(142)를 구비하여 내부에 상기 바이메탈(133)이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코어(140)는 상기 바이메탈(133)의 폭보다 큰 내폭을 구비하여 대략 "U" 단면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40)의 상단에는 요크(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크(145)에는 힌지삽입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40)의 일 측에는 아마추어(amature)(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150)는 상기 바이메탈(133)의 상기 과전류 보다 큰 설정전류(예를 들면 단락, 지락 등 사고전류) 통전시 바이메탈(133)의 둘레에 형성되는 자속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40)에 흡인(吸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150)는 상기 설정전류 통전시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어 상기 고정코어(140)에 접촉되어 회동이 저지될 때까지 흡인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마추어(150)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과전류보다 큰 설정전류 통전시 상기 고정코어(140)의 양 측벽부(142)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는 아마추어 본체(151)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상기 트립바(131)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트립바(131)를 트립되게 가압하는 트립바가압부(155)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상기 고정코어(140)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40)로부터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가 멀리 이격 배치된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157)가 상기 고정코어(140)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설정전류 통전시 흡인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마추어(1500가 상기 고정코어(140)로 신속하게 흡인되어 트립바(131)를 가압할 수 있어 트립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주지된 바와 같이, 자기(흡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변화하므로 상기 돌출부(157)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40)와 상기 아마추어(150)간 거리가 단축될 수 있어 상기 고정코어(140) 및 아마추어(150) 간 흡인력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에는 힌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153)는 상기 요크(145)의 힌지삽입부(14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일 측에는 상기 트립바(131)측으로 돌출된 트립바가압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립바가압부(155)는 상기 트립바(131)의 일 측에 접촉되어 상기 설정전류 통전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150)가 고정코어(140)측으로 흡인되어 회동되는 경우 상기 트립바(131)를 트립방향으로 가압하여 트립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7)는, 예를 들면,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상기 트립바가압부(155)의 대향측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7)는 상기 고정코어(140)의 측벽과 대면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7)는 상기 힌지(153)측으로부터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단부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돌출길이가 증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7)는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면(158)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57)의 일부 영역에만 경사지게 접촉면(158)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돌출부(157)의 전 길이에 걸쳐 접촉면(158)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립바가압부(155)는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돌출부(157)가 형성되어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회동각도가 감소되므로, 상기 트립바(131)가 상기 개폐기구(120)를 트입시키기 위해 회전동작하는 동작거리(D)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회동각도 감소에 기인한 거리 감소를 고려하여 상기 힌지(153)로부터 멀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동접촉자(123)가 상기 고정접촉자(122)에 접촉되면 상기 제1단자(113) 및 제2단자(114)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바이메탈(133)에 과전류가 통전되면 상기 바이메탈(133)은 만곡되어 상기 트립바(131)를 가압하여 트립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23)가 상기 고정접촉자(12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단자(113) 및 제2단자(114) 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접촉자(123)가 상기 고정접촉자(1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메탈(133)이 상기 설정전류가 통전되면 상기 아마추어(150)는 신속하게 상기 고정코어(140)측으로 흡인 및 회동되고, 상기 트립바(131)를 가압하여 트립시킨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150)는 상기 고정코어(140)에 근접 배치된 돌출부(157)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40) 및 아마추어(150) 간 작용하는 흡인력이 증대되어 신속하게 흡인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구(120)의 신속한 트립이 가능하여 사고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
이하,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160)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과전류보다 큰 설정전류 통전시 상기 고정코어(140)의 양 측벽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는 아마추어 본체(151)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상기 트립바(131)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트립바(131)를 트립되게 가압하는 트립바가압부(155)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상기 고정코어(140)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57)는 상기 고정코어(140)의 양 측벽부(142)에 대응되게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돌출부(161) 및 제2돌출부(165)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40) 및 상기 아마추어(160) 간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일 측에는 상기 트립바(131)를 가압하는 트립바가압부(15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트립바가압부(155)의 대향 측에는 상기 고정코어(140)를 향해 돌출된 제1돌출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의 상기 트립바가압부(155)의 일 측에는 상기 고정코어(140)를 향해 돌출된 제2돌출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161) 및 제2돌출부(165)는 서로 다른 길이(L1, L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돌출부(165)는 상기 트립바가압부(155)의 일 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2돌출부(165)의 길이(L2)는 상기 제1돌출부(161)의 길이(L1) 보다 작아진다.
상기 제1돌출부(161) 및 제2돌출부(165)는 상기 설정전류 통전 시 상기 고정코어(140)의 양 측벽부(142)에 각각 대면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61) 및 제2돌출부(165)는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접촉면(162,166)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트립장치(130)는, 아마추어 본체(151)의 양 측에 돌출부(157)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고정코어(140) 및 아마추어(160) 간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정전류 통전시 더욱 신속한 트립이 가능하여 사고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기(흡인)력이 증대되는 만큼 아마추어 본체(151)를 고정코어(140)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트립바(131)의 동작거리(D)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트립바(131)의 설계시 동작거리에 기인한 제약 발생을 줄일 수 있다.
[3]
한편, 상기 아마추어(17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 본체(151), 트립바가압부(155) 및 상기 고정코어(140)를 향해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57)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157)는 상기 고정코어(140)의 양 측벽부(142)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제1돌출부(171) 및 제2돌출부(17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171) 및 제2돌출부(175)가 상기 고정코어(140)의 양 측벽부(142)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돌출부(171) 및 제2돌출부(175)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코어(140)의 측벽부(142)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트립장치(130)는, 상기 돌출부(157)를 상기 고정코어(140)에 더욱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코어(140) 및 아마추어(170) 간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설정전류 통전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170)의 흡인시 상기 제1돌출부(171) 및 제2돌출부(172)가 상기 측벽부(142)와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아마추어 본체(151)를 상기 고정코어(140)로부터 멀리 이격시키지 아니하고도 동작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110 : 외함 112 : 단자
113 : 제1단자 114 : 제2단자
120 : 개폐기구 122 : 고정접촉자
123 : 가동접촉자 125 : 핸들
130 : 트립장치 131 : 트립바
133 ; 바이메탈 140 : 고정코어
142 : 측벽부 145 : 요크
150,160.170 : 아마추어 151 : 아마추어 본체
155 : 트립바가압부 157 : 돌출부
158,162,166 : 접촉면 161,171 : 제1돌출부
165,175 : 제2돌출부

Claims (6)

  1.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외함;
    상기 외함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 간 전원 연결을 개폐하는 개폐기구;
    상기 개폐기구를 트립시키는 트립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립장치는,
    상기 개폐기구를 트립시키는 트립바(trip bar);
    과전류 통전시 상기 트립바가 트립되게 가압하는 바이메탈;
    자성체로 서로 대향된 양 측벽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상기 바이메탈이 수용되게 배치되는 고정코어; 및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과전류보다 큰 설정전류 통전시 상기 고정코어의 양 측벽에 접촉될 수 있게 배치되는 아마추어(amature) 본체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로부터 상기 트립바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트립바를 트립되게 가압하는 트립바가압부와, 상기 아마추어 본체로부터 상기 고정코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아마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아마추어 본체의 상기 트립바가압부의 대향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코어의 양 측벽부에 대응되게 상기 아마추어 본체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코어의 측벽부와 대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 본체의 상기 고정코어 접촉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코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측벽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KR2020120007229U 2012-08-14 2012-08-14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KR200468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29U KR200468359Y1 (ko) 2012-08-14 2012-08-14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29U KR200468359Y1 (ko) 2012-08-14 2012-08-14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59Y1 true KR200468359Y1 (ko) 2013-08-08

Family

ID=5139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229U KR200468359Y1 (ko) 2012-08-14 2012-08-14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5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369A (ko) * 2017-03-09 2018-09-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부를 갖는 차단기
CN108573835A (zh) * 2017-03-09 2018-09-25 Ls产电株式会社 具有瞬时跳闸机构的断路器
KR101904876B1 (ko) * 2017-03-09 2018-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부를 갖는 차단기
KR102056642B1 (ko) * 2018-07-23 2019-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102442505B1 (ko) * 2022-02-09 2022-09-13 주식회사 일렉스 단락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KR102494983B1 (ko) * 2022-02-09 2023-02-06 주식회사 일렉스 순시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035A (ko) * 2005-03-18 200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20090045789A (ko) * 2007-11-02 2009-05-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090097033A (ko) * 2008-03-10 2009-09-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기구
KR20120071937A (ko) * 2010-12-23 2012-07-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035A (ko) * 2005-03-18 200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20090045789A (ko) * 2007-11-02 2009-05-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090097033A (ko) * 2008-03-10 2009-09-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기구
KR20120071937A (ko) * 2010-12-23 2012-07-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369A (ko) * 2017-03-09 2018-09-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부를 갖는 차단기
CN108573835A (zh) * 2017-03-09 2018-09-25 Ls产电株式会社 具有瞬时跳闸机构的断路器
KR101904876B1 (ko) * 2017-03-09 2018-10-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부를 갖는 차단기
KR101908424B1 (ko) * 2017-03-09 2018-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부를 갖는 차단기
US10672579B2 (en) 2017-03-09 2020-06-02 Lsis Co., Ltd.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KR102056642B1 (ko) * 2018-07-23 2019-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102442505B1 (ko) * 2022-02-09 2022-09-13 주식회사 일렉스 단락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KR102494983B1 (ko) * 2022-02-09 2023-02-06 주식회사 일렉스 순시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359Y1 (ko)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JP5074605B2 (ja) 限流型配線用遮断器の可動接触子アセンブリ
US10332714B2 (en) Trip mechanism for direct current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10348000B2 (en) Thermal overcurrent circuit breaker
EP2315228A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an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CN209859890U (zh) 断路器的跳闸机构
KR20120071937A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JP6704181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KR20150029165A (ko) 차단기
KR102423488B1 (ko)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JP4599799B2 (ja) 気中遮断器
KR20047725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기구
KR101301335B1 (ko) 회로차단기
US10763067B1 (en) Panel wire install indicator of a residential circuit breaker
JP5517566B2 (ja) 漏電遮断器
KR101252409B1 (ko) 히터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RU2486621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высокими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CN103187215A (zh) 塑壳断路器的欠压跳闸装置
JP3117075B2 (ja) 回路遮断器
KR20049673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TWI541851B (zh) 電路遮斷器
TWI336483B (en) Earth leakage breaker
CN209963002U (zh) 小型断路器的跳闸机构
JP5760545B2 (ja) 回路遮断器
KR200454586Y1 (ko)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