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44Y1 - 내전 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내전 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44Y1
KR200468144Y1 KR2020110009582U KR20110009582U KR200468144Y1 KR 200468144 Y1 KR200468144 Y1 KR 200468144Y1 KR 2020110009582 U KR2020110009582 U KR 2020110009582U KR 20110009582 U KR20110009582 U KR 20110009582U KR 200468144 Y1 KR200468144 Y1 KR 200468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shoe
midsole
foo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358U (ko
Inventor
노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Publication of KR20120007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능성 신발은, 경도를 달리하는 3중 구조물로 형성되는 미드솔; 상기 미드솔의 상부로부터 밑창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와 일체로 된 하나 이상의 다리를 갖는 브리지부; 및 내전 현상이 시작되는 거골하 관절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신발 갑피에 형성된 그물 모양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3중 구조물은, 제 1 경도의 저경도 폴리우레탄층과, 제 2 경도의 중경도 폴리우레탄층 및 제 3 경도의 고경도 폴리우레탄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도를 달리하는 3중 구조물은 뒷부분에서 앞부분을 향해 갈수록 높은 경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신발은 발의 내측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재질의 솔리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리드부는 신발 내측의 하부 및 중앙부에 걸쳐 형성된다.

Description

내전 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SHOES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AN PRONATION}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의 내전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경도가 다른 3중 구조물로 형성되는 중창과 지지부가 형성된 밑창 및 갑피를 갖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발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 및 디자인을 갖는 기능성 신발이 출시되고 있으며,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새로운 기능들을 갖는 신발들이 계속 제조되고 있다. 종래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충격 흡수 기능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미드솔의 물성 경도를 2중으로 달리하여 충격의 흡수 및 복원력을 강화하여 접지시 발목 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신발이 있다.
예컨대, 공개 특허 공보 2010-0020078호(공개일자: 2010년 2월 22일)(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는 2중 삽입 구조물의 미드솔을 갖는 건강 신발 및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 1은 신발의 중창을 구성하는 미드솔을 저경도 폴리우레탄과 중경도 폴리우레탄을 발포과정을 통해 상호 접합시켜 제조함으로써 가수분해를 방지하고 쿠션감이 뛰어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삽입구조물의 미드솔을 갖는 건강 신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드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경질(30C)의 나일론 사출피스층과, 상기 나일론 사출피스층의 외곽을 감싸는 저경도 폴리우레탄층과, 상기 저경도 폴리우레탄층의 외곽을 감싸는 중경도(55-60C)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특2000-0036859(공개일자: 2000년 7월 5일)(이하, '종래 기술 2'라 함)는 쿳션부재가 구비되고 내외측 경도가 다른 미드솔을 구비한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 2는 신발 밑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발 미드솔을 저경도 폴리우레탄층 중경도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지는 2중 경도로 형성하여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여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같은 재질이면서 경도만 다른 저경도 폴리우레탄과 중경도 폴리우레탄을 접합하므로 별도의 접착성분이 필요치 않아서 가수분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신발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신발의 미드솔을 저경도 폴리우레탄층 중경도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지는 2중 경도로 형성하여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미드솔의 경도를 단순히 저경도 및 중경도로 한정함으로써 충분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2중 경도로 형성된 미드솔에 의하면 발의 내전 현상에 충분히 대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는 물론 내전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채용된 2중 경도의 미드솔과는 달리, 저경도의 폴리우레탄층과, 중경도의 폴리우레탄층 및 고경도의 폴리우레탄층으로 이루어지는 3중 경도의 미드솔을 채용함은 물론, 상기 미드솔을 지지하기 위해 미드솔의 상부로부터 밑창부에 걸쳐 형성되고 밑창부와 일체로 형성된 브리지부 및 내전 현상이 시작되는 거골하 관절 부위를 지지하는 그물 모양 프레임을 형성한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미드솔의 경도가 다른 3개 부위를 포함하여, 경도를 달리하는 쿠션부를 밑창의 뒷꿈치부 위 및 미드솔의 전족부 위에 접합하여, 5종의 쇼어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미드솔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미드솔의 상부로부터 밑창부에 걸쳐 형성되고 밑창부와 일체로 형성된 브리지부 및 내전 현상이 시작되는 거골하 관절 부위를 지지하는 그물 모양 프레임을 형성한 신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벽히 흡수하고, 발의 내전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은, 밑창, 미드솔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후족부는 제 1 경도를 갖는 외측 부재; 상기 외측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경도 보다 큰 제 2 경도와 상기 제 2 경도 보다 큰 제 3 경도를 갖는 내측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부재는 가장자리의 일부에 에지부가 형성되며, 동시에 내측부가 계단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부재도 가장자리의 일부에 에지부가 형성되며 동시에 내측 부재의 외측부도 상기 외측 부재의 내측부에 대응하도록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양 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내측 부재의 에지부는 상기 외측 부재의 에지부 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측 부재의 에지부에 의해 발의 내측부를 지지하여 내전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밑창 위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내측 부재의 제 3 경도부 측면과 외측 부재의 제 1 경도부 측면에 덧대어지며, 하나 이상의 다리를 갖는 브리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내전 현상이 시작되는 거골하 관절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신발 갑피에 그물 모양의 프레임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경도를 달리하는 3중 구조물로 형성되는 미드솔; 상기 미드솔의 상부로부터 밑창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밑창부와 일체로 된 하나 이상의 다리를 갖는 브리지부; 및 내전 현상이 시작되는 거골하 관절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신발 갑피에 형성된 그물 모양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3중 구조물은, 제 1 경도의 저경도 폴리우레탄층과, 제 2 경도의 중경도 폴리우레탄층 및 제 3 경도의 폴리우레탄층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갑피는 발의 내측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재질의 솔리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물 모양 프레임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물 모양 프레임은 신발의 외측 및 신발끈을 고정시키기 위한 신발끈 고정구 주위에도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밑창의 뒷꿈치부 위에 접합되는 제 4 경도를 갖는 쿠션부 및 상기 신발의 미드솔 전족부 위에 접합되는 제 5 경도를 갖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벽히 흡수하고, 발의 내전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신발을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좌측면도이다.
도2는 밑창부 및 중창의 각 부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밑창부의 상세도이다.
도4는 발 부위의 관절 상태를 나타낸 신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내측, 즉 좌측면도를 나타내고, 도2는 밑창부 및 중창의 각 부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신발(1)은 신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밑창(10)과 상기 밑창(10)에 접착되어 착용시 발에 대한 전체적인 쿠션을 제공하는 중창(20)('미드솔'이라고도 함) 및 상기 중창(20)에 결합되어 발을 감싸고 보호하는 갑피(4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20)은 상기 미드솔의 후족부에 제 1 경도를 갖는 외측 부재(12)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경도 보다 큰 제 2 경도와 상기 제 2 경도 보다 큰 제 3 경도를 갖는 내측 부재(14)로 구성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미드솔 후족부는 제 1 경도를 갖는 저경도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측 부재(12)와, 제 2 경도를 갖는 중경도부(22) 및 제 3 경도를 갖는 고경도부(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측 부재(14)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경도부(22)와 고경도부(23)의 면적비는 약 1:2 내지 약 1:4, 바람직하게는 약 1:3의 비율로 중경도부(22) 보다 고경도부(23)가 더 넓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부재(12)는 가장자리의 일부에 에지부가 형성되며, 동시에 계단상의 내측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부재도 가장자리의 일부에 에지부가 형성되며 동시에 내측 부재의 외측부도 상기 외측 부재의 내측부에 대응하도록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양 부재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측 부재의 에지부는 상기 외측 부재의 에지부 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측 부재의 에지부에 의해 발의 내측부를 지지하여 내전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중창(20)은 폴리우레탄(PU) 또는 폴리에틸렌비닐아세터이트(EVA)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중창(20)은 경도를 달리하는 3개의 부분, 즉 제 1 경도의 저경도부(21), 제 2 경도의 중경도부(22) 및 제 3 경도의 고경도부(23)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창의 저경도부(21), 중경도부(22) 및 고경도부(23)는 각각 세로로 구획되고 서로 인접하되, 저경도부(21)와 중경도부(22)는 접착되고, 중경도부(22)와 고경도부(23)는 동시성형 방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경도부(21), 중경도부(22) 및 고경도부(23)의 3중 구조물은 중창의 후족부 내측부에만 형성되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내측의 고경도부(23)에는, 후술하는 브리지의 다리들이 덧대어져 부착되어 있다.
한편, 중창(미드솔)의 외측부에는 상기와 같이 중창의 내측부와는 달리 상기 저경도부(21), 중경도부(22) 및 고경도부(23)의 3중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으며, 그 대신 뒷꿈치부에 부착되는 쿠션부(11)가 저경도부(21)와 일체로 접착되어 중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1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1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경도부(21), 중경도부(22) 및 고경도부(23)의 재질로서,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사용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전족부(24)는 통상적으로 미드솔로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드솔의 후족부에 위치하는, 저경도부의 제 1 경도와 동일한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경도를 달리하는 3개의 부분은 쇼어 경도(shore hardness)에 있어서 제 1 경도의 저경도부(21)는 약 51 초과 53 미만이고, 제 2 경도의 중경도부(22)는 약 56 초과 58 미만이며, 제 3 경도의 고경도부(23)는 약 61 초과 63 미만 정도의 것을 사용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도는 약 52, 제 2 경도는 약 57, 제 3 경도는 약 62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경도를 달리하는 3중 구조물(21,22,23)은 뒷부분에서 앞부분을 향해 갈수록 높은 경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최후미의 미드솔(21)보다 그 앞에 위치한 미드솔(22)이 보다 경도가 높고, 상기 미드솔(22)보다 그 앞의 미드솔(23)이 경도가 높으며, 이에 따라, 최초 착지 시에는 저경도의 미드솔 부분(21)의 쿠셔닝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고, 다음 중경도부(22) 및 고경도부(23)가 차례로 지면에 닿게 되어, 발의 충격 흡수가 보다 원활히 행해진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리지(30)가 밑창(10) 위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30)는 발의 내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밑창의 중앙부에서 뒤 부분에 걸쳐 발의 뒷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유연한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 부재의 제 3 경도부 측면과 외측 부재의 제 1 경도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다리(30')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부에 2개의 다리를 갖고, 외측부에 1개의 다리를 갖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다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창(20)에 결합되어 발을 감싸고 보호하는 갑피(40)에는, 발의 내측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재질의 그물모양 프레임(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리머 재질의 그물모양 프레임(41)은 예컨대 직조 천이나 합성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의 갑피를 그물 모양으로 보강하여, 발을 더욱 확실히 지지하여 발의 내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그물모양 프레임(41)은 신발의 내측은 물론 외측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을 고정시키기 위한 신발끈 고정구(41') 주위에도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신발 끈 고정구(41')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발 내측부의 일부에는 발의 내측부를 보다 확실히 지지하기 위해 폴리머 재질의 솔리드부(42)가 신발 내측의 하측 및 중앙부에 걸쳐 갑피(40)에 덧대어져 접합되어 있어, 내측으로 가해지는 발의 힘에 저항하여 발을 단단히 지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그물모양 프레임(41)과 솔리드부(42)는 상호작용하여 발의 내전 현상을 완벽히 제거하도록 한다.
도3은 밑창부의 상세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고 강인한 폴리머 재질의 브리지(30)가 밑창(10) 위에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0)는 하나 이상의 다리(30')가 발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30')는 상기 내측 부재(14)의 제 3 경도부 측면과 외측 부재(12)의 제 1 경도부 측면에 덧대어져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제 4 경도를 갖는 쿠션부(11)가 신발의 밑창의 뒷꿈치부 위에 접합되고, 제 5 경도를 갖는 쿠션부(25)가 신발의 미드솔 전족부(24) 위에 접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쿠션부(11, 25)는 쇼어 경도에 있어서, 제 4 경도를 갖는 쿠션부(11)는 약 54 초과 56 미만 정도이고, 제 5 경도를 갖는 쿠션부(25)는 약 48 초과 50 미만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 4 경도는 약 55이고, 제 5 경도는 약 49이다.
도4는 발 부위의 관절 상태를 나타낸 신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4는 상기 폴리머 재질의 그물모양 프레임(41)이 인체의 발등 부위의 관절(점선으로 도시)에 대응하는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모양 프레임(41)이 그 사이의 솔리드부(42)와 상호작용하여 발의 관절 부위를 지지하여 내전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외측, 즉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외측 부위에 있어서는 상기 좌측면 부위와 달리 상기 중창이 저경도부(21), 중경도부(22) 및 고경도부(23)의 3중 구조물로 형성되지 않고, 쿠션부(11) 옆에 중창의 중경도부(21)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신발의 외측면에는 갑피(40)에 솔리드부(42)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이, 신발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형성함으로써, 착지시 발의 쿠션 기능이 더욱 보강됨은 물론 발의 내전 현상 방지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은 미드솔의 경도가 다른 3개 부위를 포함하여, 경도를 달리하는 쿠션부(11, 25)를 밑창의 뒷꿈치부 위 및 미드솔의 전족부 위에 접합하여, 5종의 쇼어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미드솔의 상부로부터 밑창부에 걸쳐 브리지부를 형성하고 또한 신발 갑피의 내측부에 그물 모양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구션 기능을 보강하고 발의 내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 신발
10: 밑창
11: 쿠션부
12: 외측 부재
13: 계단상 내측부
14: 내측 부재
20: 중창
21: 저경도부
22: 중경도부
23: 고경도부
24: 미드솔 전족부
25: 쿠션부
30: 브리지부
30': 다리
40: 갑피
41: 그물모양 프레임
41': 신발끈 고정구
42: 솔리드부

Claims (8)

  1. 밑창, 미드솔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후족부는 제 1 경도를 갖는 외측 부재;
    상기 외측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경도 보다 큰 제 2 경도와 상기 제 2 경도 보다 큰 제 3 경도를 갖는 내측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부재는 가장자리의 일부에 에지부가 형성되며, 동시에 내측부가 계단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부재도 가장자리의 일부에 에지부가 형성되며 동시에 내측 부재의 외측부도 상기 외측 부재의 내측부에 대응하도록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양 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내측 부재의 에지부는 상기 외측 부재의 에지부 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측 부재의 에지부에 의해 발의 내측부를 지지하여 내전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밑창 위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내측 부재의 제 3 경도부 측면과 외측 부재의 제 1 경도부 측면에 덧대어지며, 하나 이상의 다리를 갖는 브리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내전 현상이 시작되는 거골하 관절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신발 갑피에 그물 모양의 프레임이 형성되는 신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발의 내측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 재질의 솔리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리드부는 신발 내측의 하부 및 중앙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 모양 프레임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 모양 프레임은 신발끈을 고정시키기 위한 신발끈 고정구 주위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밑창의 뒷꿈치부 위에 접합되는 제 4 경도를 갖는 쿠션부, 및 상기 신발의 미드솔 전족부 위에 접합되는 제 5 경도를 갖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쇼어 경도에 있어서, 제 1 경도는 51 초과 53 미만이고, 제 2 경도는 56 초과 58 미만이며, 제 3 경도는 61 초과 6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6항에 있어서, 쇼어 경도에 있어서, 제 4 경도는 54 초과 56 미만이고, 제 5 경도는 48 초과 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20110009582U 2011-04-15 2011-10-28 내전 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4681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3237 2011-04-15
KR2020110003237 2011-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58U KR20120007358U (ko) 2012-10-24
KR200468144Y1 true KR200468144Y1 (ko) 2013-07-26

Family

ID=4700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582U KR200468144Y1 (ko) 2011-04-15 2011-10-28 내전 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8144Y1 (ko)
WO (1) WO20121413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958A1 (ko) 2013-10-14 2015-04-23 박인식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369U (ko) * 1994-03-09 1995-10-16 박희득 구두굽
KR100817521B1 (ko) 2007-12-28 2008-04-02 (주)조은제화 경질의 마모저항부가 일체로 성형된 신발용 아웃솔 및 그제조방법
KR20080091061A (ko) * 2008-09-11 2008-10-09 허양욱 발뒤꿈치깔창용 3단계경도충격흡수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005A (ja) * 1992-05-30 1993-12-14 Achilles Corp 多重硬度靴底
US20060123664A1 (en) * 2003-10-14 2006-06-15 Boyd Robert E Insole having multiple energy sources
JP4612327B2 (ja) * 2004-04-20 2011-01-1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のフレーム装置
US20080052960A1 (en) * 2006-05-18 2008-03-06 Manon Belley Footwea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369U (ko) * 1994-03-09 1995-10-16 박희득 구두굽
KR100817521B1 (ko) 2007-12-28 2008-04-02 (주)조은제화 경질의 마모저항부가 일체로 성형된 신발용 아웃솔 및 그제조방법
KR20080091061A (ko) * 2008-09-11 2008-10-09 허양욱 발뒤꿈치깔창용 3단계경도충격흡수에어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958A1 (ko) 2013-10-14 2015-04-23 박인식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US10433615B2 (en) 2013-10-14 2019-10-08 In Sik Park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1376A1 (en) 2012-10-18
KR20120007358U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8078B2 (en) Foot support members that provide dynamically transformative properties
JP6995826B2 (ja) シューソール
US1015930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US20070240333A1 (en) Chassis for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footwear
US875230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structure
US7882648B2 (en) Footwear with laminated sole assembly
US8839531B2 (en) Footwear
CA3066563C (en) Pain prevention footwear sole
BR112015006329B1 (pt) estrutura de sola para um artigo de calçado
WO2008156228A1 (en) A structure of shoes uppers, a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a structure of shoes
CN117440763A (zh) 用于鞋类制品的在加固罩架中具有中足空隙和前足囊的鞋底结构
US9462848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US20120260527A1 (en) shoe having triple-hardness midsole, outsole, and upper with support for preventing an overpronation
KR200468144Y1 (ko) 내전 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CN116157038A (zh) 具有嵌入板的鞋类鞋底结构和鞋面
CN113925256A (zh) 带有网鞋底构造的鞋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TWI835159B (zh) 鞋類物件、用於鞋類物件的鞋底結構及製造用於鞋類物件之鞋底結構的方法
JP3234721U (ja)
KR101088459B1 (ko) 다중경도에 의한 충격흡수 및 보행추진기능을 갖는 신발창
KR200413646Y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