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88Y1 - 플로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로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88Y1
KR200467588Y1 KR2020130001829U KR20130001829U KR200467588Y1 KR 200467588 Y1 KR200467588 Y1 KR 200467588Y1 KR 2020130001829 U KR2020130001829 U KR 2020130001829U KR 20130001829 U KR20130001829 U KR 20130001829U KR 200467588 Y1 KR200467588 Y1 KR 200467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ixing
bracket
lead screw
floa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to KR2020130001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고정되는 부력체의 고정과 분리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플로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조립체는 핀본체(20)의 하단에 회동아암(30)이 구비되어,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회동아암(30)의 하단이 브라켓(10)의 고정공(11)에 끼워지도록 하고, 핸들(42)과 회동구동기구(40)를 이용하여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면, 서로 다른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당겨져 고정공(11)이 상호 일치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일치된 상태에서 핀본체(20)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공(11)에 핀본체(20)를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핀(B)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아암(30)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고정핀(B)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에 고정핀(B)을 결합한 후 고정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며, 고정핀(B)을 분리하는 것도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로트 조립체{float assembly}
본 고안은 상호 고정되는 부력체의 고정과 분리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플로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착장, 요트계류장, 해상공원, 부교 등을 설치할 때는, 수면에 플로트 조립체를 띄워놓고 그 상부에 각종 시설물을 설치하여 시설물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시설물을 지지하여 시설물에 부력을 제공하는 플로트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중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브라켓(10)이 구비된 부력체(A)와, 상기 브라켓(10)에 결합되어 부력체(A)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핀(B)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0)의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공(1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력체(A)의 둘레면을 밀착시켜 각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상호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11)에 고정핀(B)을 끼워 부력체(A)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B)의 하단에는 도시 안된 너트부재가 결합되어, 고정공(11)에 결합된 고정핀(B)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플로트 조립체의 구조는 등록특허 10-0804057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플로트 조립체는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완전히 일치되지 않을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B)이 상기 브라켓(10)의 상면에 걸려 고정핀(B)을 고정공(11)에 끼우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부력체(A)를 상호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력체(A)의 둘레면이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완전히 일치되도록 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부력체(A)를 수면에 띄운 상태에서 상호 조립할 경우 파도에 의해 부력체(A)가 유동됨으로, 상기 고정공(11)에 고정핀(B)을 끼우는 작업이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핀(B)의 하단에 너트부재를 결합하거나, 고정핀(B)에 결합된 너트부재를 풀기 위해서는 상호 연결된 부력체(A)의 하측에서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너트부재를 결합하거나, 일부의 부력체(A)를 교체하기 위해 너트부재를 풀어내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고정되는 부력체의 고정과 분리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플로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중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브라켓(10)이 구비된 부력체(A)와, 상기 브라켓(10)에 결합되어 부력체(A)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핀(B)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0)의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공(11)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11)에 상기 고정핀(B)을 끼워 부력체(A)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플로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B)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하양단을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외경이 넓은 헤드부(21)가 형성된 핀본체(20)와, 상기 핀본체(20)의 하단에 핀본체(20)의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30)이 내외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기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아암(30)의 선단부 외측에는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공(11)에 걸리는 걸림홈(32)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아암(30)은 상단이 상기 핀본체(2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아암(30)의 상단에는 핀본체(20)의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1)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구동기구(40)는 상기 핀본체(20)의 관통공(22)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핀본체(20)의 상부로 연장된 리드스크류(41)와,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42)과, 상기 리드스크류(41)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41)의 회전시 리드스크류(41)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43)과, 양단이 상기 승강블록(43)과 회동아암(30)의 연장부(31)에 힌지결합된 커넥팅로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 에따르면, 상기 핀본체(20)의 헤드부(21)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은 상기 오목부(24)의 내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조립체는 핀본체(20)의 하단에 회동아암(30)이 구비되어,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회동아암(30)의 하단이 브라켓(10)의 고정공(11)에 끼워지도록 하고, 핸들(42)과 회동구동기구(40)를 이용하여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면, 서로 다른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당겨져 고정공(11)이 상호 일치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일치된 상태에서 핀본체(20)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공(11)에 핀본체(20)를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핀(B)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아암(30)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고정핀(B)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에 고정핀(B)을 결합한 후 고정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며, 고정핀(B)을 분리하는 것도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로트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플로트 조립체의 부력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의 플로트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조립체의 고정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조립체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비중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브라켓(10)이 구비된 부력체(A)와, 상기 브라켓(10)에 결합되어 부력체(A)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핀(B)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0)의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공(11)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11)에 상기 고정핀(B)을 끼워 부력체(A)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의 플로트 조립체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B)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핀본체(20)와, 상기 핀본체(20)의 하단에 핀본체(20)의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30)이 내외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기구(40)로 구성된다.
상기 핀본체(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내부에 상하양단을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에는 외경이 넓은 헤드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핀본체(20)의 하단에는 상기 회동아암(30)이 힌지결합되는 절개부(23)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아암(3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바형태로 구성되어 상단이 상기 절개부(23)에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으로, 상단에는 핀본체(20)의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1)가 구비되며, 하측을 향하는 선단부 외측에는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공(11)에 걸리는 걸림홈(3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아암(30)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돌출부(33)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32)은 상기 회동아암(30)과 돌출부(33)의 연결부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회동구동기구(40)는 상기 핀본체(20)의 관통공(22)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핀본체(20)의 상부로 연장된 리드스크류(41)와,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42)과, 상기 리드스크류(41)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41)의 회전시 리드스크류(41)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43)과, 양단이 상기 승강블록(43)과 회동아암(30)의 연장부(31)에 힌지결합된 커넥팅로드(44)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이 하강되어 선단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41)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블록(43)이 하강되면, 상기 커넥팅로드(44)에 의해 상기 회동아암(30)의 연장부(31)가 하측으로 밀려, 회동아암(30)의 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핀본체(20)의 헤드부(21)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은 상기 오목부(24)의 내부로 노출되어,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이 상기 헤드부(21)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에 상기 핸들(42)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아암(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되어, 상기 핀본체(20)의 둘레면에 120°각도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넥팅로드(44) 역시 3개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승강블록(43)의 둘레면에 형성된 3개의 힌지결합부(43a)와 상기 회동아암(30)의 연장부(31)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로트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블록(43)이 상승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상호 접촉되도록, 즉, 상기 회동아암(30)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부력체(A)의 측면을 밀착시켜 상기 브라켓(10)이 상호 겹쳐지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공(11)에 상기 고정핀(B)의 하단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회동아암(30)의 하단은 역삼각형을 이루므로, 상호 연결될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완전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회동아암(30)의 하단이 각 브라켓(10)에 형성된 고정공(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리드스크류(41)에 핸들(42)을 결합한 후 핸들(42)을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10)은 상기 회동아암(30)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당겨져 브라켓(10)에 형성된 고정공(11)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공(11)이 일치되면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B)을 하측으로 밀어 각 브라켓(10)에 형성된 고정공(11)에 고정핀(B)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B)이 브라켓(10)에 형성된 고정공(1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42)을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아암(30)이 완전히 외측으로 벌어져 고정핀(B)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핀(B)이 완전히 고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핸들(42)을 분리하여, 고정핀(B)의 상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고정핀(B)을 분리할 때는 상기 리드스크류(41)에 핸들(42)을 연결하여 핸들(4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아암(30)이 상호 인접되도록 회동되어 고정핀(B)의 고정이 해제되며, 고정핀(B)의 고정이 해제되면 고정핀(B)을 상측으로 당겨 고정핀(B)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로트 조립체는 핀본체(20)의 하단에 회동아암(30)이 구비되어,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회동아암(30)의 하단이 브라켓(10)의 고정공(11)에 끼워지도록 하고, 핸들(42)과 회동구동기구(40)를 이용하여 회동아암(30)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면, 서로 다른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당겨져 고정공(11)이 상호 일치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일치된 상태에서 핀본체(20)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공(11)에 핀본체(20)를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핀(B)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아암(30)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고정핀(B)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에 고정핀(B)을 결합한 후 고정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며, 고정핀(B)을 분리하는 것도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아암(30)의 선단부 외측에는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공(11) 하측에 걸리는 걸림홈(32)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회동아암(30)을 이용하여 고정공(11)이 일치되지 않은 브라켓(10)을 당겨 고정공(11)이 일치되도록 할 때, 상기 걸림홈(32)이 하측의 브라켓(10)에 형성된 고정공(1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고정공(11)에 회동아암(30)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회동아암(30)을 외측으로 벌릴 때, 회동아암(30)의 단부가 고정공(11)에 걸리지 않고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동기구(40)는 상기 핀본체(20)의 관통공(2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핀본체(20)의 상부로 연장된 리드스크류(41)와,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42)과, 상기 리드스크류(41)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41)의 회전시 리드스크류(41)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43)과, 양단이 상기 승강블록(43)과 회동아암(30)의 연장부(31)에 힌지결합된 커넥팅로드(44)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핸들(42)은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41)와 핸들(42)의 사이에 별도의 감속기를 구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리드스크류(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A. 부력체 B. 고정핀
20. 핀본체 30. 회동아암
40. 회동구동기구

Claims (4)

  1. 비중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브라켓(10)이 구비된 부력체(A)와,
    상기 브라켓(10)에 결합되어 부력체(A)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핀(B)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0)의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공(11)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부력체(A)에 구비된 브라켓(10)의 고정공(11)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공(11)에 상기 고정핀(B)을 끼워 부력체(A)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플로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B)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하양단을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외경이 넓은 헤드부(21)가 형성된 핀본체(20)와,
    상기 핀본체(20)의 하단에 핀본체(20)의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30)을 내외측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기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30)의 선단부 외측에는 상기 브라켓(10)의 고정공(11)에 걸리는 걸림홈(32)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30)은 상단이 상기 핀본체(2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아암(30)의 상단에는 핀본체(20)의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1)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구동기구(40)는
    상기 핀본체(20)의 관통공(2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핀본체(20)의 상부로 연장된 리드스크류(41)와,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42)과,
    상기 리드스크류(41)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41)의 회전시 리드스크류(41)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43)과,
    양단이 상기 승강블록(43)과 회동아암(30)의 연장부(31)에 힌지결합된 커넥팅로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본체(20)의 헤드부(21)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스크류(41)의 상단은 상기 오목부(24)의 내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조립체.
KR2020130001829U 2013-03-12 2013-03-12 플로트 조립체 KR200467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29U KR200467588Y1 (ko) 2013-03-12 2013-03-12 플로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29U KR200467588Y1 (ko) 2013-03-12 2013-03-12 플로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88Y1 true KR200467588Y1 (ko) 2013-06-26

Family

ID=5139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29U KR200467588Y1 (ko) 2013-03-12 2013-03-12 플로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6018U1 (ru) * 2017-10-05 2018-12-2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КСКАЯ СУДОВЕРФЬ" Звено плавучего сооружения
CN110820534A (zh) * 2019-11-19 2020-02-21 中山市鑫海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耐冲击的高强度浮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528A (ko) * 2010-02-04 2011-08-10 오세진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528A (ko) * 2010-02-04 2011-08-10 오세진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6018U1 (ru) * 2017-10-05 2018-12-2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КСКАЯ СУДОВЕРФЬ" Звено плавучего сооружения
CN110820534A (zh) * 2019-11-19 2020-02-21 中山市鑫海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耐冲击的高强度浮道
CN110820534B (zh) * 2019-11-19 2021-09-17 中山市鑫海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耐冲击的高强度浮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7848B (zh) 具有折叠结构的船舶用锚
FR2579663A1 (fr) Trepan a fond de trou recuperable
KR200467588Y1 (ko) 플로트 조립체
JP2010162022A (ja) マルチローラースナップリング
CN103835348B (zh) 排水塞连动装置
CN203256864U (zh) 排水塞连动装置
CN203119200U (zh) 插座及其防脱锁定机构
CN207812970U (zh) 一种插接式脚手架
CN211344364U (zh) 一种方便安装的防水锤马桶角阀
CN207881970U (zh) 一种便于取样的重力柱式取样器
US7938076B2 (en) Keel mechanism for sailboats
CN207837645U (zh) 一种泵体卡紧装置
CN204266778U (zh) 设有缓震条及金属横杆的密封型双支撑木门
KR101435397B1 (ko) 선박
CN210605366U (zh) 一种便于收纳机械钟钥匙
KR101282869B1 (ko) 배수밸브 및 이를 채용한 배수구 개폐장치
CN204455335U (zh) 轧辊电镀夹具夹紧装置
CN107269232A (zh) 一种具备自防护功能的石油钻杆结构
CN204859835U (zh) 一种方便打开的电器控制盒
KR200431355Y1 (ko) 토글볼트
KR20110014028A (ko) 배수구 개폐장치
CN207796224U (zh) 一种闸板阀内脱落闸板的提起装置
CN204266864U (zh) 设有缓震条的密封型双支撑木门
CN204266832U (zh) 设有缓震条及金属杆的密封型双支撑木门
CN204266866U (zh) 设有缓震条及合页连接杆的密封型双支撑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