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29Y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29Y1
KR200467529Y1 KR2020120009378U KR20120009378U KR200467529Y1 KR 200467529 Y1 KR200467529 Y1 KR 200467529Y1 KR 2020120009378 U KR2020120009378 U KR 2020120009378U KR 20120009378 U KR20120009378 U KR 20120009378U KR 200467529 Y1 KR200467529 Y1 KR 200467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ver
receiving
butt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식
하동원
Original Assignee
하동원
이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898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752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동원, 이춘식 filed Critical 하동원
Priority to KR2020120009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납부에 휴대폰을 삽입한 상태에서 덮개부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창에 덮어진 경우, 덮개를 열지 않고도 휴대폰에 수신되는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휴대폰이 결착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며, 접철가능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창을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에는 전화의 수신시에 통화음량을 전달하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전화 수신시에 전화의 수신을 허락하는 전화수신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덮개에는 스피커와 대응하는 위치에 스피커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화수신버튼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전화수신버튼을 누룰 수 있는 터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수단은 상기 전화수신버튼과 대응하는 영역만큼 외피부가 밀착되는 가압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영역의 가압시에 상기 전화수신버튼이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CELLULAR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감싸 휴대폰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내측에 별도의 수용부를 형성하여 지갑형태로도 이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폰이 보급화되면서,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가 많이 팔리고 있다.
보통,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와, 수납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의 종래 선행문헌으로써,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14494호에서는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수납부에 의해 수용된 상태에서 덮개로 덮힘으로써, 휴대폰의 외측과 디스플레이창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종래 휴대폰 가운데,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있는데, 종래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수신하는 방식은 먼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는 통화확인버튼을 터치하는 방식과, 휴대폰과 일체로 형성되는 버튼을 눌러 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종래 휴대폰은 디스플레이창을 터치하여 전화는 수신하는 경우와, 휴대폰의 외측에 형성되는 버튼을 눌러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휴대폰이 전술한 바와 같은 수납부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형태인 경우에 필수적으로 덮개를 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창을 터치하거나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전화를 받는데에 불필요한 동작이 수반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납부에 휴대폰을 삽입한 상태에서 덮개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창에 덮어진 경우, 덮개를 열지 않고도 휴대폰에 수신되는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이 결착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며, 접철가능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창을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에는 전화의 수신시에 통화음량을 전달하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전화 수신시에 전화의 수신을 허락하는 전화수신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에는 스피커와 대응하는 위치에 스피커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화수신버튼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전화수신버튼을 누룰 수 있는 터치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를 열지 않고도 통화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수신시에 덮개부를 열어 사용해야만 했던 종래 휴대폰 케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지갑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지갑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던 영역이 덮개부 밖에 없던 형태에서, 추가적으로 덮개부에서 접철되는 보조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보다 많은 량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가 휴대폰 케이스의 디스플레이창을 덮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터치수단이 형성되는 영역 일부를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가 휴대폰 케이스의 디스플레이창을 덮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터치수단이 형성되는 영역 일부를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가 휴대폰 케이스의 디스플레이창을 덮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터치수단이 형성되는 영역 일부를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보조수납부가 외측으로 접철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20)가 휴대폰 케이스의 디스플레이창(1a)을 덮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터치수단이 형성되는 영역 일부를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수용부(10) 및 덮개부(2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들 각각의 구조, 각각의 결합관계 및, 각각의 역할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용되는 휴대폰(1)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휴대폰(1)은 전면에 터치패널이 중첩되는 디스플레이창(1a)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창(1a) 전면이나 주변의 일부에 전화의 수신시에 통화음량을 전달하는 스피커(1b)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창(1a)의 하단에 전화 수신시에 전화의 수신을 허락하는 전화수신버튼(1c)이 설치되는 형태이다.
상기 수용부(10)는 휴대폰(1)이 결착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수용부(10)의 일예로써, 수용부(10)는 휴대폰(1)의 외측테두리부와 결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형상의 내측이 휴대폰(1)의 외측테두리부의 일부를 덮은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휴대폰(1)과 끼움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0)는 휴대폰(1)의 기종에 따라 외측에 마이크홀이나 버튼누름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는 휴대폰(1)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 수용부(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용부(10)의 형태는 휴대폰(1)과 결합되기 위한 탈착구조를 형성하는 다양향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덮개부(20)는 수용부(10)와 결합하며, 접철가능하여 수용부(10)에 수용되는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창(1a)을 덮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덮개부(20)는 휴대폰(1)의 스피커(1b)와 대응하는 위치에 스피커홀(20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20)는 수용부(10)와 본딩(미도시) 또는 접착테이프(미도시)등의 수용부(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접철되기 위한 절철되는 영역이 다른 부위보다 얇은 선형태의 영역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는 수용부(10)를 덮은 상태에서 자석결합이나 단추결합등으로 수용부(10)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덮개부(20)의 일예로써, 덮개부(20)는 내층부(21) 및 외피부(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층부(21)는 플라스틱, 종이, 금속재질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충격에도 휘어지거나 쉽게 구부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부(22)는 내층부(21)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덮개부(20)의 외측표면에 미려함을 향상시키거나 촉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경우, 외피부(22)는 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연역은 외피부(22)에 갈라진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절개영역을 통해 카드 및 신분증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드, 신분증, 기타 종이나 판재형태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덮개부(20)는 몸체의 일부에 전화수신버튼(1c)을 누룰 수 있는 터치수단이 더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터치수단은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영역에 터치홀(31)에 해당한다. 여기서, 터치홀(31)은 내층부(21)와 외피부(22) 전체가 통공되어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시에 발생되는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폰(1)에 수신호가 인입되면, 휴대폰(1)에는 디스플레이창(1a)의 전면에 통화하기아이콘이 출력되는 영역을 터치하거나,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창(1a)의 주변에 전화수신버튼(1c)을 눌러 전화를 수신하여 통화를 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덮개부(20)가 휴대폰(1)의 전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창(1a)의 전면에 통화하기아이콘을 누룰 수 없게 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디스플레이창(1a)을 터치하여 통화하는 형태는 불가능하다. 이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하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덮개부(20)에 터치홀(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터치홀(31)을 통해 전화수신버튼(1c)을 눌러 통화를 시행하게 된다.
이 경우, 덮개부(20)에는 스피커(1b)홀이 형성되어 상대방의 음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덮개부(20)를 열지 않고도 통화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수신시에 덮개부(20)를 열어 사용해야만 했던 종래 휴대폰 케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20)가 휴대폰 케이스의 디스플레이창(1a)을 덮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터치수단이 형성되는 영역 일부를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수용부(10) 및 덮개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부(10) 및 덮개부(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터치수단을 형성하는 영역에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덮개부(20)는 터치수단이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내층부(21)에 내층부홀(31a)을 형성하여 구현된다. 보다 상세하게 더 6을 참조하면, 덮개부(20)의 내층부(21)에 내층부홀(31a)을 형성하되, 상기 내층부홀(31a)이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영역에 외피부(22)만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 휴대폰(1)에 덮개부(20)가 덮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1)에 걸려 오는 전화를 수신하기 위하여 전화수신버튼(1c)을 누르고자 하는 경우,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는 내층부홀(31a)이 형성된 영역의 외피부(22)를 눌려 전화수신버튼(1c)을 누루게 되면, 덮개부(20)를 열지 않고도 통화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외피부(22)가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영역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도, 덮개부(20)를 열지않고도 전화수신버튼(1c)을 눌러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통화시에 덮개부(20)를 열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휴대폰(1)에 먼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덮개부(20)가 휴대폰 케이스의 디스플레이창(1a)을 덮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터치수단이 형성되는 영역 일부를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보조수납부가 외측으로 접철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수용부(10) 및 덮개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부(10) 및 덮개부(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터치수단을 형성하는 영역에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터치수단은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영역만큼 내층부(21)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하부에 배치되는 외피부(22)가 밀착되는 형태의 가압영역(31b)을 형성하고, 가압영역(31b)의 가압시에 전화수신버튼(1c)이 가압되도록 한다.
이 경우, 휴대폰(1)에 덮개부(20)가 덮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1)에 걸려 오는 전화를 수신하기 위하여 전화수신버튼(1c)을 누르고자 하는 경우,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는 가압영역(31b)의 외측 외피부(22)를 눌려 전화수신버튼(1c)을 누룬 후, 덮개부(20)를 열지 않고도 통화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외피부(22)가 전화수신버튼(1c)과 대응하는 영역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도, 덮개부(20)를 열지않고도 전화수신버튼(1c)을 눌러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통화시에 덮개부(20)를 열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휴대폰(1)에 먼지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보조수납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수납부(40)는 덮개부(20)에서 접철가능하도록 덮개부(20)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수납부(40)는 두 장의 필름(41)이 서로 간에 중첩하도록 외곽부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보조수납부(40)는 상기 필름(41)이 결합된 영역의 일부에 개구부(41a)를 형성하여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두장의 필름(41)의 결합은 열융착 또는 본딩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41)의 재질은 연질의 고분자수지, 실리콘 및, 가죽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보조수납부(40)는 일측부가 덮개부(20)와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부(20)의 내측으로 접철되어 이용되며, 필름(41)들의 중첩되어 형성한 영역에 카드, 지폐 및, 명함과 같은 지갑에 수용되는 것들을 수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보조수납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종래 지갑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지갑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던 영역이 덮개부(20)밖에 없던 형태에서 추가적으로 덮개부(20)에서 접철되는 보조수납부(4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보다 많은 량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휴대폰 1a ; 디스플레이창
1b ; 스피커 1c ; 전화수신버튼
10 ; 수용부 20 ; 덮개부
21 ; 내층부 22 ; 외피부
31 ; 터치홀 31a ; 내층부홀
31b ; 가압영역 40 ; 보조수납부

Claims (7)

  1. 휴대폰이 결착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결합하며, 접철가능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창을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에는 전화의 수신시에 통화음량을 전달하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전화 수신시에 전화의 수신을 허락하는 전화수신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에는 스피커와 대응하는 위치에 스피커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화수신버튼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전화수신버튼을 누룰 수 있는 터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수단은 상기 전화수신버튼과 대응하는 영역만큼 외피부가 밀착되는 가압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영역의 가압시에 상기 전화수신버튼이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일부에 절개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영역을 통해 카드 및 신분증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서 접철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보조수납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수납부는 두 장의 필름이 서로 간에 중첩하도록 외곽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영역의 일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120009378U 2012-10-17 2012-10-17 휴대폰 케이스 KR200467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378U KR200467529Y1 (ko) 2012-10-17 2012-10-17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378U KR200467529Y1 (ko) 2012-10-17 2012-10-17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29Y1 true KR200467529Y1 (ko) 2013-06-17

Family

ID=5138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378U KR200467529Y1 (ko) 2012-10-17 2012-10-17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2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10011234U (ko) * 2010-05-28 2011-12-06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10011234U (ko) * 2010-05-28 2011-12-06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0290B1 (en)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14569B2 (en) Waterproof casing with exposed display surface
US9462099B2 (en) Mobile device case
US8326383B1 (en)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246339A1 (en) Shock-resistant and/or waterproof mobile device jacket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US922333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KR101285669B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246026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KR101499381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67529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88290B1 (ko) 스탠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80096641A (ko) 보호구
KR101255559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JP3200537U (ja) スマートフォン収納ケース
KR101620780B1 (ko)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KR101393145B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2113269B1 (ko)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147950B1 (ko)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0477848Y1 (ko) 휴대단말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14

Effective date: 2014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