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518Y1 -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518Y1
KR200467518Y1 KR2020120002582U KR20120002582U KR200467518Y1 KR 200467518 Y1 KR200467518 Y1 KR 200467518Y1 KR 2020120002582 U KR2020120002582 U KR 2020120002582U KR 20120002582 U KR20120002582 U KR 20120002582U KR 200467518 Y1 KR200467518 Y1 KR 200467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hot
heating cable
heating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동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동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동기업
Priority to KR2020120002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51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MI 히팅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부와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의 연결부분을 고온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MI 히팅 케이블(15)의 전원을 공급하며, 핫 리드(11)와 콜드 리드(12)로 이루어진 리드부(10)와;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주름진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쿨링 핀 본체(21) 및 그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보호구(22)(23)로 이루어진 쿨링 핀 조립체(20)와; 쿨링 핀 조립체(20)에 핫 리드(11)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고,
체결부재(30)는, 쿨링 핀 조립체(20)에 부착된 보호구(22)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구(31)와; 내부에 핫 리드(11)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소경부(32b)와, 내부에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가 위치되고 외주면에는 고정구(31)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대경부(32a) 및 소경부(32b)와 대경부(32a) 사이에 위치된 너트부(32c)로 이루어는 연결구(32)와; 핫 리드(11)가 삽입되며 연결구(32)의 소경부(32b)에 체결되어 핫 리드(11)를 고정하는 체결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Protector for Hot to Cold Section of MI Heating Cable}
본 고안은 MI 히팅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드부와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의 연결부분을 고온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MI 케이블(Mineral Insulated Cable)이란, 원형의 금속 파이프 속에 구리선이나 발열 저항을 넣고 그 주위를 산화마그네슘과 같은 무기물로 절연시켜 만들게 된다.
이러한 MI 케이블은, 250℃ 정도의 온도에서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재시에도 700~800℃의 온도까지 온도가 상승하여도 단시간 동안은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고온이 허용되는 장소에서 주로 사용되고, 파이프의 보온용 히터로도 사용된다. 또한, 고층 건물의 화재시 인명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비상 엘리베이터 및 소방 펌프의 전원 공급용 케이블로 이용되고 있고, 지하철과 같은 폐쇄공간에서 사용되는 환풍기의 전원 공급용 케이블이나 화재에 취약한 장소에서의 제어신호용 케이블 및 통신용 케이블로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MI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을 위한 콜드 리드(Cold Lead, 52)를 포함하는 리드부(5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MI 케이블의 히팅부에서 발생한 열이 전원 공급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콜드 리드(52)는 핫 리드(5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핫 리드(51)는 히팅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에 노출될 수 있지만, 전원 케이블(61)을 통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콜드 리드(52)는 고온에 노출되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히팅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핫 리드(51)를 통해 상기 콜드 리드(5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MI 케이블은 핫 리드와의 연결 부분이 은봉 용접되어 있어 과도한 열이 전달될 경우 용접 부위의 물성이 약해지는 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MI 케이블의 콜드 리드와 전원 공급선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 키트와, 콜드 리드와 핫 리드를 연결하기 위한 리드 연결 키트 및 MI 케이블의 종단을 봉입하는 엔드 키트로 이루어진 MI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출원하여 20-0257059호로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MI 케이블의 연결구조는 핫 리드와 콜드 리드를 연결하는 리드 연결 키트에서 핫 리드의 삽입구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핫 리드의 유동에 의한 접촉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MI 케이블의 연결구조는 전원 연결 키트와 리드 연결 키트 및 엔드 키트로 이루어지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드부에 연결되는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를 냉각시킴으로써 리드부와의 연결부분을 고온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발열부와 리드부를 연결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를 제공한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발열부가 체결구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드부와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와 리드부를 견고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이 연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는, MI 히팅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에 연결되는 핫 리드와 전원박스에 연결되는 콜드 리드로 이루어진 리드부와; 상기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자유로운 변형 및 열 발산을 위하여 주름진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쿨링 핀 본체 및 그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보호구로 이루어진 쿨링 핀 조립체와; 상기 쿨링 핀 조립체의 일측 단부에 상기 리드부의 핫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쿨링 핀 조립체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보호구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구와; 내부에 상기 핫 리드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소경부와, 내부에 상기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가 위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구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대경부 사이에 위치된 너트부로 이루어는 연결구와; 상기 핫 리드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의 소경부에 체결되어 핫 리드를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구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체결구를 상기 연결구의 소경부에 체결할 때 테이퍼 형상의 선단 부분이 상기 소경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핫 리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핫 리드는 상기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리드 본체와, 상기 리드 본체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와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리드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 따르면, 상기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와 상기 리드부의 핫 리드는 은봉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는, 리드부에 연결되는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가 쿨링 핀 조립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쿨링 핀 조립체에 의해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가 냉각되어 MI 히팅 케이블의 열이 리드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쿨링 핀 조립체에 의해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와 리드부 사이의 연결 부분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 따르면, 핫 리드가 지지구에 의해 연결구의 소경부 내에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콜드 리드의 움직임에 따른 핫 리드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 따르면,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와 핫 리드가 은봉 용접되고 이 용접부를 리드 커버가 보호하게 되므로 리드부와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게 유지됨은 물론 연결 부분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MI 케이블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쿨링 핀 조립체 및 체결부재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쿨링 핀 조립체 및 체결부재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체결부재 부분의 외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핫 리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과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에서 쿨링 핀 조립체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는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 히팅 케이블(15)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에 연결되는 핫 리드(11)와 전원박스(40)에 연결되는 콜드 리드(12)로 이루어진 리드부(10)와;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자유로운 변형 및 열 발산을 위하여 주름진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쿨링 핀 본체(21) 및 그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보호구(22)(23)로 이루어진 쿨링 핀 조립체(20)와;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의 일측 단부에 상기 리드부(10)의 핫 리드(11)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보호구(22)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구(31)와; 내부에 상기 핫 리드(11)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소경부(32b)와, 내부에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이 위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구(31)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대경부(32a) 및 상기 소경부(32b)와 대경부(32a) 사이에 위치된 너트부(32c)로 이루어는 연결구(32)와; 상기 핫 리드(11)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32)의 소경부(32b)에 체결되어 핫 리드(11)를 고정하는 체결구(33)와; 상기 체결구(33)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체결구(33)를 상기 연결구(32)의 소경부(32b)에 체결할 때 테이퍼 형상의 선단 부분이 상기 소경부(32b)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핫 리드(1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구(34);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핫 리드(11)는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리드 본체(11a)와, 상기 리드 본체(11a)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와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리드 커버(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MI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와 상기 리드부(10)의 핫 리드(11)는 은봉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드부(10)의 핫 리드(11)에 상기 지지구(34) 및 체결구(33)를 끼운 후 상기 핫 리드(11)가 상기 연결구(32)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의 내부에 수용된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를 상기 핫 리드(1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와 상기 핫 리드(11)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핫 리드(11)를 리드 본체(11a)와 리드 커버(11b)로 분리하며, 상기 리드 커버(11b)에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리드 커버(11b)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를 상기 리드 본체(11a)에 은봉 용접한다. 용접이 끝나면 상기 리드 커버(11b)를 상기 리드 본체(11a)에 체결하여 용접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구(32)의 대경부(32a)를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의 보호구(22)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31)에 조립하고, 상기 연결구(32)의 소경부(32b)에 체결구(33)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리드부(10)를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의 일측 단부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32)의 소경부와 상기 체결구(33)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구(34)는 상기 체결구(33)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경부(32b)의 내부로 압입되며, 테이퍼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핫 리드(11)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이어 상기 리드부(10)의 콜드 리드(12)를 전원박스(40)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전원박스(40)의 전원이 상기 MI 히팅 케이블(15)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는 MI 히팅 케이블의 발열측 단부가 쿨링 핀 조립체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MI 히팅 케이블의 열이 핫 리드를 통해 콜드 리드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에 리드부(10)의 핫 리드(11)가 연결되므로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에 전원이 공급되어 열이 발생하면 발열측 단부에 연결된 상기 핫 리드(11)를 통해 콜드 리드(12)에도 열이 전달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핫 리드(11)에 연결되는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와 상기 핫 리드(11)의 연결부가 쿨링 핀 조립체(2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에 의해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가 냉각되어 상기 핫 리드(11) 및 콜드 리드(12)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콜드 리드(12)의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며, 상기 콜드 리드(12)를 통해 전원박스(40)의 전원을 상기 MI 히팅 케이블(15)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드부(10)의 핫 리드(111)는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에 연결될 때 은봉 용접에 의해 연결되므로, 전기 저항이 매우 작은 은(Ag)으로 인해 연결에 따른 전력 손실이 최소화됨은 물론 저항에 따른 열의 발생 역시 최소화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리드부
11: 핫 리드
12: 콜드 리드
15: MI 히팅 케이블
20: 쿨링 핀 조립체
21: 쿨링 핀 본체
22: 보호구
23: 보호구
30: 체결부재
31: 고정구
32: 연결구
32a: 대경부
32b: 소경부
32c: 너트부
33: 체결구
34: 케이블 지지구
40: 전원박스

Claims (4)

  1. MI 히팅 케이블(15)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에 연결되는 핫 리드(11)와 전원박스(40)에 연결되는 콜드 리드(12)로 이루어진 리드부(10)와;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자유로운 변형 및 열 발산을 위하여 주름진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쿨링 핀 본체(21) 및 그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보호구(22)(23)로 이루어진 쿨링 핀 조립체(20)와;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의 일측 단부에 상기 리드부(10)의 핫 리드(11)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쿨링 핀 조립체(20)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보호구(22)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구(31)와; 내부에 상기 핫 리드(11)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소경부(32b)와, 내부에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이 위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구(31)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대경부(32a) 및 상기 소경부(32b)와 대경부(32a) 사이에 위치된 너트부(32c)로 이루어는 연결구(32)와; 상기 핫 리드(11)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32)의 소경부(32b)에 체결되어 핫 리드(11)를 고정하는 체결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체결구(33)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체결구(33)를 상기 연결구(32)의 소경부(32b)에 체결할 때 테이퍼 형상의 선단 부분이 상기 소경부(32b)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핫 리드(1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구(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리드(11)는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리드 본체(11a)와, 상기 리드 본체(11a)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와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리드 커버(1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I 히팅 케이블(15)의 발열측 단부와 상기 리드부(10)의 핫 리드(11)는 은봉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KR2020120002582U 2012-03-30 2012-03-30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67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82U KR200467518Y1 (ko) 2012-03-30 2012-03-30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82U KR200467518Y1 (ko) 2012-03-30 2012-03-30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518Y1 true KR200467518Y1 (ko) 2013-06-21

Family

ID=5139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582U Expired - Lifetime KR200467518Y1 (ko) 2012-03-30 2012-03-30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51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443Y1 (ko) 2001-03-29 2001-12-01 김한식 급속가열플러그
KR20030011624A (ko) * 2001-07-30 2003-02-11 베루 악티엔게젤샤프트 로드형상의 히팅 요소를 튜브형의 운반 요소와 결합하는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특정되는 글로우 플러그
KR100875716B1 (ko) 2008-06-24 2008-12-26 이춘서 관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선 연결용 커플링
KR200453133Y1 (ko) 2009-10-28 2011-04-08 주식회사 거동기업 핫 리드-전원연결키트 직결식 로드히팅용 광물절연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443Y1 (ko) 2001-03-29 2001-12-01 김한식 급속가열플러그
KR20030011624A (ko) * 2001-07-30 2003-02-11 베루 악티엔게젤샤프트 로드형상의 히팅 요소를 튜브형의 운반 요소와 결합하는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특정되는 글로우 플러그
KR100875716B1 (ko) 2008-06-24 2008-12-26 이춘서 관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선 연결용 커플링
KR200453133Y1 (ko) 2009-10-28 2011-04-08 주식회사 거동기업 핫 리드-전원연결키트 직결식 로드히팅용 광물절연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53647A8 (ko) 감열선을 내장한 복합 전력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과열 보호 장치
CN104010394A (zh) 一种电加热管
KR200467518Y1 (ko) Mi 히팅 케이블의 핫 투 콜드 섹션 보호장치
CA2860402C (en) Heated extension cord
JP2018078872A (ja) 水中ヒータ
CN205752763U (zh) 一种转接防水壳
CN205845553U (zh) 地埋式复合电缆
KR102061131B1 (ko) 배관라인의 동파방지 장치
CN106804067A (zh) 一种活动式自控温伴热电缆
CN204333535U (zh) 连接线
US11215310B2 (en) Decontamination bath electrical heating device
CN203617488U (zh) 一种导线防断股保护装置
JP2013008600A (ja) 凍結予防ヒーター装置
ITMI20140353U1 (it) Riscaldatore a cartuccia per radiatore elettrico
CN105828573B (zh) 用于冷却电力部件的装置
JP2016116279A5 (ja) 電力ケーブル用ポリマー接続部及び鉄道車両
CN209913461U (zh) 一种电气工程线缆保护装置
KR20130005137U (ko) 케이블 보호 패킹이 구비된 온도센서용 단자함
KR200428795Y1 (ko) 360도 회전이 가능한 용접용 토치의 연결체 구조
KR20100005941U (ko) 납땜용 인두기
CN212226150U (zh) 一种喷头电磁阀防护结构
KR200325166Y1 (ko) 전기온돌 열선의 연결 보호캡
CN204464905U (zh) 耐火母线槽
JP4230446B2 (ja) 耐圧防爆型シースヒータ
CN219677710U (zh) 一种冰箱用线束及其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3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6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