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48Y1 - 앰프 내장형 마이크 - Google Patents

앰프 내장형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48Y1
KR200467448Y1 KR2020130001088U KR20130001088U KR200467448Y1 KR 200467448 Y1 KR200467448 Y1 KR 200467448Y1 KR 2020130001088 U KR2020130001088 U KR 2020130001088U KR 20130001088 U KR20130001088 U KR 20130001088U KR 200467448 Y1 KR200467448 Y1 KR 200467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audio
signal
microphon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2020130001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하고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기능 처리 모듈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와 제 1 오디오 신호와는 상이한 제 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와 제 1 오디오 신호와 제 2 오디오 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독립적으로 처리된 제 1 오디오 신호와 제 2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하는, 신호 처리부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Amplifier)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이용함으로써,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합성가능하도록 하고 음장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앰프 내장형 마이크{MIC EMBEDDED WITH AMPLIFIER}
본 고안은 앰프 내장형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앰프 내장형 마이크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와 음성 오디오 신호를 개별적으로 처리하고 합성하여 증폭할 수 있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는, 사용자 자신의 음성을 외부에 비치된 앰프 또는 출력 장치로 음성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노래방 등에서나 가정에서 많이 활용되고 특히 노래를 부를 때 이어(ear) 마이크에 비해서 보다더 안정적으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이러한 마이크는, 특정 세미나장에서 발표를 위해서 활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고품질의 오디오 콘텐츠나 다양한 고품질의 비디오 콘텐츠가 특정 IT 기기상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IT 기기는 스마트 폰이거나 IP TV 이거나 혹은 TV에 연결될 수 있는 셋탑 박스이거나 노래방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가정용 노래 반주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IT 기기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를 사용자가 활용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오디오 콘텐츠에 따라 노래를 부르거나 오디오 콘텐츠에 음성 신호를 합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오디오 콘텐츠를 음성 신호에 합성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 사항이 있다.
첫째, IT 기기에서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공통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야 별도의 기기나 장치 없이 편리하게 오디오 콘텐츠와 음성 신호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IT 기기와의 연동시에 연동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연동시에 이용되는 마이크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다시 앰프 단으로 입력된다면 이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셋째, IT 기기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과 마이크로부터의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IT 기기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일반적으로 IT 기기에서 음량 레벨이 조절되기에)이 너무 큰 경우에는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출력 레벨과의 큰 차이로 인해서 비록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와 음성 신호가 합성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이 출력되거나 혹은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만이 출력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출력 레벨의 차이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다면 IT 기기와의 연동시에 많은 유용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IT 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 음성 신호를 각각 개별적으로 신호 처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신호에 음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각 신호의 출력 레벨을 사용자에 의해서 조절 가능하다면 많은 유용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IT 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합성하면서도 이러한 문제점 또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마이크가 앰프를 내장하여, 외부에 별도의 앰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음성 신호와 합성하여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직접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IT 기기 등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IT 기기와 연동하여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와 음성 신호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조절가능한, 앰프 내장형 마이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음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또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이 기능 처리 모듈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와 제 1 오디오 신호와는 상이한 제 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와 제 1 오디오 신호와 제 2 오디오 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독립적으로 처리된 제 1 오디오 신호와 제 2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하는, 신호 처리부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Amplifier)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제 1 수신부가 3.5 파이 스테레오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오디오 출력부가 3.5 파이 스테레오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신호 처리부가,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에코 음장 효과, 리버브 음장 효과 및 볼륨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할 수 있고, 제 1 오디오 신호의 볼륨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기능 처리 모듈이 제 1 오디오 신호와 제 2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 지를 검출하고, 제 1 오디오 신호 및 제 2 오디오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에, 신호 처리부가, 제 1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과 제 2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이 서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제 1 오디오 신호 및 제 2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오디오 신호를 합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마이크가 앰프를 내장하여, 외부에 별도의 앰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음성 신호와 합성하여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직접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IT 기기 등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IT 기기와 연동하여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와 음성 신호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IT 기기의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음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의 사용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에 포함되는 기능 처리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사용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사용 환경은,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오디오 수신기(300)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장치는 사용 환경에서 생략될 수 있고, 도 1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장치가 이 사용 환경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에 따른 사용 환경에 포함된 각 장치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내장되어 있는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재생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나아가 내장되어 있는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IP TV, 셋탑 박스이거나 가정용 노래 반주 장치이거나 혹은 업소용 노래 반주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또한 그 장치의 타입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장된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하여 이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디오 콘텐츠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선택으로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유선 방식이나 무선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200)는 이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내장되는 3.5 파이 오디오 잭을 이용하여 스테레오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내장되어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스테레오의 재생되는 오디오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여기서는 데이터 패킷의 스트림)를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3.5 파이 오디오 잭이나 블루투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같은 IT 기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이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스테레오 신호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타입(예를 들어 5.1 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에 따른 사용 환경에서 생략될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연결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디지털 혹은 아날로그 방식의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이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구비한 LCD나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이러한 비디오 콘텐츠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내장되어 있는 콘텐츠이고 예를 들어 압축된 동영상 파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노래를 부르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는 가사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2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이 두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 수신기(300)로 출력한다.
이러한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는, 예를 들어 각각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특정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 수신기(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을 통해서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오디오 수신기(300)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의 귀를 통해 진동 신호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이어폰이거나 헤드폰일 수 있다.
그리고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에는 널리 이용되는 3.5 파이 스테레오 출력 단자(190)를 포함하여 이 스테레오 출력 단자(190)를 통해 오디오 수신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디스플레이(140)와 하나 이상의 버튼(120)을 포함하는 전면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이 도 2의 (a)와 반대편에서의 배면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도면을 통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외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는 마이크 유닛(110)과 하나 이상의 버튼(120)과 스위치(130)와 디스플레이(140)와 기능 처리 모듈(150)과 이 기능 처리 모듈(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160)와 배터리 삽입구(170)와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와 스테레오 출력 단자(190)를 포함한다.
마이크 유닛(110)은, 사용자의 발성에 따른 음성의 진동 신호를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기능 처리 모듈(1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버튼(12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버튼(120)은 메뉴(또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버튼(120), 메뉴에 따라 선택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 및/또는 음성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볼륨을 높이기 위한 볼륨 업(Up) 버튼(120)과 볼륨 다운(Down) 버튼(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볼륨 업 버튼(120)과 볼륨 다운 버튼(120)은 선택된 메뉴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장 효과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스위치(130)는, 예를 들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는 전원 스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스위치는, 이 스위치(130)가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 내부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또는 중단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하게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40)는, LCD나 LED 타입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기능 처리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각종 안내 메시지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이미지나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각종 설정이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기능 처리 모듈(150)은, 오디오 출력 장치(200) 및/또는 음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 처리 모듈(150)은,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능 처리 모듈(150)의 구체적 예시적 구조는 도 3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케이스(160)는, 기능 처리 모듈(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다른 케이스(160) 내부의 블록들이나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고 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160)는, 전면 외관을 위한 탑(Top) 케이스와 배면 외관을 위한 버텀(Bottom) 케이스로 분리될 수 있고, 이 탑 케이스와 버텀 케이스를 조립함으로써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와 외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케이스(160)는 또한 사용자가 손에 쥐어질 수 있고, 이 케이스(160)의 원통형 또는 원뿔형의 외관 형태가 사용자에게 손잡이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이 케이스(160) 외관을 쥐고 있는 상태에서 노래나 발언 등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60)의 길이는 마이크 유닛(110)(마이크 유닛(110) 불 포함)으로부터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나 출력 단자(190)까지 25 센티미터(Cm) 에서 27 센티미터(Cm)이내로 제한될 수 있고, 이 케이스(160)(원통)의 지름은 3 센티미터(Cm) 에서 5 센티미터(Cm)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와 지름은, 사용자의 손으로 쥐는 경우에 그립(grip)감을 좋게 하고, 나아가 케이스(160) 내부에 다수의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으로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60)는 또한 배터리 커버(161)를 더 포함하고 이 배터리 커버(161)는 케이스(160)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커버(161)를 케이스(16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사용자는 건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를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 내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배터리 삽입구(170)는, 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하여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과 기능 처리 모듈(150)에 연결되어 기능 처리 모듈(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점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삽입구(170)는, 접점을 통해 삽입된 건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기능 처리 모듈(15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처리 모듈(150)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자이다. 이러한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는 예를 들어 3.5 파이 구경의 단자일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이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 사이에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내장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가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혹은 이 두 가지 무선 또는 유선의 방식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도록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가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블루투스 무선 통신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다른 방식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가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의 연결이 필요 없어 사용자가 보다더 편리하게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를 활용하면서도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콘텐츠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스테레오 출력 단자(190)는, 기능 처리 모듈(150)에 의해서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서 예를 들어 3.5 파이 구경의 단자일 수 있다. 이러한 스테레오 출력 단자(190)는 오디오 수신기(300)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구성을 통해서 편리하게 오디오 신호를 합성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여러 기기와 공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에 포함되는 기능 처리 모듈(15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기능 처리 모듈(150)은, 제 1 수신부(151)와 제 2 수신부(152)와 입력부(153)와 디스플레이 출력부(154)와 전원부(155)와 제어부(156)와 신호 처리부(157)와 오디오 증폭부(158)와 오디오 출력부(159)를 포함한다. 이중 일부의 블록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도 3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블록이 이 기능 처리 모듈(150)이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3에 따른 각 블록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수신부(151)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 1 수신부(151)는 예를 들어 연결된 3.5 파이의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에 연결되어 이러한 오디오 신호를 유선 와이어(wire) 등이나 PCB 패턴 등을 통해 수신하거나 혹은 블루투스 무선 통신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다.
제 2 수신부(152)는, 마이크 유닛(110)을 통해서 변환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와는 상이한 음성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 2 수신부(152)는 유선 와이어나 PCB 패턴 등을 통해 음성의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유닛(110)을 통해 수신한다.
입력부(153)는, 하나 이상의 버튼(120)이나 스위치(130)에 연결되어 이 버튼(120)이나 스위치(130)로부터의 제어 입력을 수신한다. 이러한 입력부(153)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입력은 예를 들어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On/Off 신호이거나 메뉴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신호이거나 특정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높이기 위한 볼륨 업 신호이거나 볼륨을 낮추기 위한 볼륨 다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륨 업 신호나 볼륨 다운 신호는 선택된 메뉴에 따라서 동작이 상이한 요구를 하는 신호로 제어부(156)에 의해 인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장 효과의 제어를 위한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53)를 통해 수신된 제어 입력에 따라 제어부(156)가 다른 블록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출력부(154)는, 제어부(156)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40)의 비디오 신호 출력 포맷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부(155)는, 배터리 삽입부의 접점에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원을 기능 처리 모듈(150)의 블록들에서 필요한 전원 레벨로 변환한다. 이러한 전원부(155)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DC-DC 변환기(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변환된 전원 레벨의 전원은 신호 처리부(157)나 제어부(156)나 디스플레이 출력부(154)나 오디오 증폭부(158)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56)는, 입력부(153)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 입력에 따라 기능 처리 모듈(15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6)는 예를 들어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어부(156)에서 이루어지는 제어와 나아가 신호 처리부(157)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신호 처리부(157)는, 제 1 수신부(151)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와 제 2 수신부(152)로부터 수신된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오디오 신호 각각을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처리된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한다.
이와 같이 합성된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일 수 있고, 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에 혹은 양 오디오 신호에 제 2 수신부(152)로부터의 단일 오디오 신호가 제 1 수신부(151)로부터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처리부(157)는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의 오디오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호 처리부(157)는 제어부(156)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나아가 제어부(156)의 제어 없이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신호 처리부(157)는, 제 1 수신부(151)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과 같은 볼륨 제어를 제어부(156)의 제어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볼륨 제어는 오디오 신호의 합성시에 이용될 볼륨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신호 처리부(157)는, 제 2 수신부(152)를 통해 수신된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에코(Echo) 음장 효과, 리버브(Reverb) 음장 효과 및/또는 볼륨 업 또는 다운과 같은 볼륨 제어 중 하나 이상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볼륨 제어는 오디오 신호의 합성시에 이용될 입력 레벨 상의 볼륨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에코 음장 효과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를 통한 음성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울림을 좋게 하기 위하여 반사음(예를 들어 메아리)을 부가하는 음장 효과(Sound Effect)이다.
이러한 에코 음장 효과는,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57)에서 수신된 디지털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프레임 단위별로 분할하여 일정한 프레임 개수 후에 후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오디오 신호에 이전의 오디오 프레임의 오디오 신호를 부가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혹은 이외에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리버브 음장 효과는, 벽이나 천장, 바닥 등으로부터 반사되어 생성된 잔향을 의미하는 공간상의 떨림 현상을 부가하는 음장 효과이다. 이러한 리버브 음장 효과는 신호 처리부(157)에 의해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이 미리 설정된 오디오 신호음을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이러한 리버브 음장 효과를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에코 음장 효과나 리버브 음장 효과를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부가함으로써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보다더 고품질의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수신부(151)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와 제 2 수신부(152)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 각각은 필요에 따라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증폭은 신호 처리부(157)에서의 수신 전원 레벨에 따라서 혹은 신호 처리부(157)에 포함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의 수신 가능한 전원 레벨 범위에 따라 이 증폭의 게인(gain)이 결정될 수 있다.
오디오 증폭부(Amplifier)(158)는, 신호 처리부(157)에 의해서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수신기(300)가 수용하거나 매칭되는 전력 레벨로 증폭한다. 이러한 오디오 증폭부(158)는 예를 들어 헤드폰이나 이어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100mW 레벨로 증폭할 수 있는 스트레오 증폭기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9)는, 3.5 파이의 오디오 스테레오 출력 단자(190)로 유선 와이어 또는 PCB 패턴 등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증폭부(158)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56)와 신호 처리부(157)를 별도의 블록으로 도 3에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57)가 제어부(156)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혹은 하나의 칩셋 내에 이 신호 처리부(157)와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기능 처리 모듈(150)에 포함된 각 블록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56) 및/또는 신호 처리부(157)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를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를 통해 연결하고, 이후 메뉴 버튼(120)을 눌러 제어하고자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입력이나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볼륨 업 버튼(120)을 눌러 선택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나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오디오 신호의 개별적인 (입력) 볼륨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볼륨 다운 버튼(120)을 눌러 선택된 오디오 출력 장치(200)나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볼륨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 버튼(120)을 눌러 리버브 음장 효과나 에코 음장 효과를 선택하여 이후 볼륨 업 또는 다운 버튼(120)을 눌러 해당되는 음장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 버튼(120)을 눌러 오디오 수신기(300)로의 출력 메뉴를 선택하고 이후 볼륨 업 또는 다운 버튼(120)을 눌러 출력되는 합성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입력은 제어부(156)에 의해서 수신되고, 결정된 메뉴(모드)에 따라서 해당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제어부(156)가 신호 처리부(157)로 전송하여 신호 처리부(157)로 하여금 해당 제어 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3개의 버튼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어부(156)가 수행하거나 신호 처리부(157)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나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입력에 대한 볼륨 제어의 대안으로 혹은 덧붙여서, 메뉴는 오디오 수신기(300)의 출력 메뉴와 리버브 음장 효과 메뉴와 에코 음장 효과 메뉴를 포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200)와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입력에 대한 메뉴는 생략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제어부(156) 또는 신호 처리부(157)(제어부(156)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는,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가 제 1 수신부(151)에서 존재하는 지를 검출하고 나아가 제 2 수신부(152)에서의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 지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은, 제 1 수신부(151)나 제 2 수신부(152)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지정된 임계 레벨 이상의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 지로 결정할 수 있다. 혹은 제 1 수신부(151)는 무선인 경우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데이터 패킷의 스트림이 존재하는 지로 혹은 유선인 경우, 스테레오 입력 단자(180)에 오디오 잭이 연결되어 있는 지로 오디오 신호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 1 수신부(151)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와 제 2 수신부(152)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제어부(156) 또는 바람직하게 신호 처리부(157)에 의해서, 이 두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의 차이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 레벨의 차이는 지정된 기간(예를 들어 1초 등) 동안의 연속적으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평균값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
이러한 레벨의 차이는, 어떤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더 큰 소리로 출력되는지를 알 수 있고 어떤 오디오 신호가 더 작은 소리로 출력되는지를 알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출력 레벨은 오디오 출력 장치(200)에서 제어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출력 레벨은 아주 작은 레벨을 가지거나 아주 큰 출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6) 또는 신호 처리부(157)는, 지정된 임계 범위 내에 이 신호 레벨의 차이가 속하는 지를 결정하고 만일 지정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특정 오디오 신호, 특히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신호 처리부(157)로의 입력 볼륨 레벨이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볼륨 레벨보다 오디오 수신기(300)로 확연히 드러나도록 차이가 더 크거나 더 작은 것이므로,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 및/또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이 임계 범위 내가 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하고, 이후 이러한 오디오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 범위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최소한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와 외부의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가 서로 구별되어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임계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나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입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볼륨 레벨을 조절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자의 관여 없이 자동으로 앰프 내장형 마이크(100)와 오디오 출력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합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적 입력 볼륨 레벨 조절은 바람직하게는 두 오디오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두 오디오 신호가 이후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라도, 레벨의 차이가 이전의 레벨의 차이보다 지정된 일정 시간 이상 변경된 경우에 입력 볼륨 레벨의 조절이 또한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앰프 내장형 마이크
110 : 마이크 유닛 120 : 버튼
130 : 스위치 140 : 디스플레이
150 : 기능 처리 모듈
151 : 제 1 수신부 152 : 제 2 수신부
153 : 입력부 154 : 디스플레이 출력부
155 : 전원부 156 : 제어부
157 : 신호 처리부 158 : 오디오 증폭부
159 : 오디오 출력부
160 : 케이스 161 : 배터리 커버
170 : 배터리 삽입구 180 : 스테레오 입력 단자
190 : 스테레오 출력 단자
200 : 오디오 출력 장치
300 : 오디오 수신기 40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5)

  1. 삭제
  2. 앰프 내장형 마이크로서,
    손잡이를 구비하는 상기 앰프 내장형 마이크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처리 모듈은,
    제 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와는 상이한 제 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독립적으로 처리된 제 1 오디오 신호와 제 2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Amplifier); 및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신부는, 3.5 파이 스테레오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3.5 파이 스테레오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인,
    앰프 내장형 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제 2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에코 음장 효과, 리버브 음장 효과 및 볼륨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제 1 오디오 신호의 볼륨 제어를 처리할 수 있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삽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는 25cm에서 27cm 이내이고, 상기 케이스의 지름은 5 cm 이내이고,
    상기 기능 처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삽입구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모듈은,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 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가 검출된 시점 이후에,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과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이 서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 2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는,
    앰프 내장형 마이크.
KR2020130001088U 2013-02-13 2013-02-13 앰프 내장형 마이크 KR200467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88U KR200467448Y1 (ko) 2013-02-13 2013-02-13 앰프 내장형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88U KR200467448Y1 (ko) 2013-02-13 2013-02-13 앰프 내장형 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48Y1 true KR200467448Y1 (ko) 2013-06-13

Family

ID=5138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88U KR200467448Y1 (ko) 2013-02-13 2013-02-13 앰프 내장형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4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299Y1 (ko) * 1990-12-07 1993-06-07 신건영 믹싱(mixing)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폰장치
KR200302584Y1 (ko) 2002-10-05 2003-01-30 황의광 조립식 마이크
KR20070063393A (ko) * 2005-12-14 2007-06-19 김성규 오디오 처리 기능이 구비된 노래 반주기용 무선 마이크
KR20080017698A (ko) * 2006-08-22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기기에서의 마이크 게인 조절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299Y1 (ko) * 1990-12-07 1993-06-07 신건영 믹싱(mixing)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폰장치
KR200302584Y1 (ko) 2002-10-05 2003-01-30 황의광 조립식 마이크
KR20070063393A (ko) * 2005-12-14 2007-06-19 김성규 오디오 처리 기능이 구비된 노래 반주기용 무선 마이크
KR20080017698A (ko) * 2006-08-22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기기에서의 마이크 게인 조절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541Y1 (ko) 마이크로폰 사운드박스 일체형 장치
US8126181B2 (en) Acoustic system
JP7012103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音声制御を有するゲーム周辺機器
US20170039024A1 (en) Streaming audio, dsp, and light controller system
JP2007336511A (ja) 携帯用電磁機器用外装型スピーカーシステム及びこのための無線受信パック
JP5246111B2 (ja) オーディオ装置
CN113641329A (zh) 音效配置方法和装置、智能音箱、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4796816A (zh) 一种自动开关的wifi智能音箱
KR200467448Y1 (ko) 앰프 내장형 마이크
CN109471609B (zh) K歌投影一体机及其k歌方法
CN204790994U (zh) 调音用多功能显示器
CN211089871U (zh) 一种音响
JP2008172551A (ja) Av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JP2015046728A (ja) スピーカ装置、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208174930U (zh) 一种新型麦克风
CN108684028B (zh) 基于ble的音频播放设备适配方法及蓝牙音频接收器
KR20210081050A (ko) 절전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기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시스템
KR101023889B1 (ko) 에코기능을 갖는 마이크 음향 효과장치
JP2013158045A (ja) オーディオ装置
CN212278450U (zh) 一种无线麦克风音响设备
JP5505104B2 (ja) スピーカ装置
CN209746534U (zh) 一种小型便携式耳麦k歌效果增强器及k歌系统
CN106454611A (zh) 一种可远程操控的多功能壁挂音箱
JP5729504B2 (ja) スピーカ装置
KR20170002169U (ko) 블루투스 수신기능을 가진 악기 연결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