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308Y1 -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308Y1
KR200467308Y1 KR2020100013541U KR20100013541U KR200467308Y1 KR 200467308 Y1 KR200467308 Y1 KR 200467308Y1 KR 2020100013541 U KR2020100013541 U KR 2020100013541U KR 20100013541 U KR20100013541 U KR 20100013541U KR 200467308 Y1 KR200467308 Y1 KR 200467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valve
solenoid valve
cover body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943U (ko
Inventor
장효준
Original Assignee
장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효준 filed Critical 장효준
Priority to KR2020100013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30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낮은 전력 사용으로도 원활히 동작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유체의 정체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누수 현상 및 동작 불능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유체의 유입 관로를 형성하는 유입관 및 유체의 유출 관로를 형성하는 유출관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두 관로의 사이에는 상기 두 관로가 연통되도록 연통 관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면서 중앙측 부위는 상하로 개방된 상태의 안내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부의 외측으로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의 안내공간부 내에 설치된 상태로 내부에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면은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에는 연통공이 형성된 커버체; 상기 커버체 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는 플런저;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의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의 오리피스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단과, 상기 개폐단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플런저의 둘레면과 상기 커버체의 내주면 간을 밀폐하는 밀폐단으로 이루어진 밸브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direct operating type solenoid valve}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런저와 보빈 간의 틈새를 통한 유체의 유입됨을 방지하여 상기 유체의 상함으로 인한 식수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전자력으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 신호에 따른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이다.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취수용으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는 정수기나 이온수기 등에서 담수 저장된 물을 단순 낙차하는 낮은 압력의 유체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유용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취수용(예컨대, 정수기 등)에는 직동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전술된 취수용 솔레노이드 밸브 중 직동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한 일반적인 직동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보빈(21)의 내주면에 권취된 코일(21a)로의 전원이 공급될 경우 상기 코일(21a)에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플런저(22)가 승강 이동되면서 밸브시트(11)가 유체관(10)의 관로를 개방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코일(21a)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상기 플런저(22)가 하강 이동되면서 밸브시트(11)가 유체관(10)의 관로를 폐쇄하도록 동작된다.
전술된 종래의 일반적인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유체의 압력에 때문에 상기 밸브시트(11)가 상기 유체관(10)의 관로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런저(22)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높아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함께, 전술된 종래의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는 장시간 연속적인 전류의 튜입시 보빈(21)의 과열이 발생되어 단락 등이 발생될 우려가 컸기 때문에 제품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설계된 압력 이상의 유체압력이 인가될 경우에는 동작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의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가 상기 플런저(22)와 커버체(2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커버체(23) 내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상기와 같이 커버체(23) 내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는 해당 부위에서의 정체로 인해 세균 번식과 오염 등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낮은 전력 사용으로도 원활히 동작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유체의 정체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누수 현상 및 동작 불능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따르면 유체의 유입 관로를 형성하는 유입관 및 유체의 유출 관로를 형성하는 유출관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두 관로의 사이에는 상기 두 관로가 연통되도록 연통 관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면서 중앙측 부위는 상하로 개방된 상태의 안내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부의 외측으로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의 안내공간부 내에 설치된 상태로 내부에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면은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에는 연통공이 형성된 커버체; 상기 커버체 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는 플런저;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의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의 오리피스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단과, 상기 개폐단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플런저의 둘레면과 상기 커버체의 내주면 간을 밀폐하는 밀폐단으로 이루어진 밸브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보빈의 안내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상단 부위를 이루면서 하측 끝단의 둘레면에는 결합턱이 돌출 형성된 플런저 안내부와, 상기 플런저 안내부와는 별개로 형성되면서 밸브 몸체 내의 상단측 내주면을 감싸도록 결합 고정되며, 상면 중앙 부위에는 상기 플런저 안내부의 결합턱이 요입될 수 있도록 요입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요입홈의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 시트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시트의 밀폐단은 상기 시트캡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요입홈의 상면과 상기 플런저 안내부의 결합턱의 저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시트를 이루는 개폐단의 둘레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는 커버체에 연통홀을 형성하여 외부 공간과 연통되게 구성함으로써 낮은 전력 소모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지며, 연속 동작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보빈의 과열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두압을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크게 설정하더라도 밸브의 개폐 동작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수두압에 의한 누수현상 및 동작 불능 현상의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커버체를 플런저 안내부 및 시트캡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두 구성 사이에 밸브시트를 이루는 밀폐단의 끝단이 끼워진 상태로 커버체와 플런저 간의 틈새를 차단하기 때문에 커버체 내에 유체의 정체로 인한 오염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상 청결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는 크게 밸브 몸체(100)와, 보빈(200)과, 커버체(300)와, 플런저(400) 및 밸브시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밸브 몸체(100)는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체 관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밸브 몸체(1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관로를 형성하는 유입관(110)과,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 관로를 형성하는 유출관(120)을 가지며, 상기 유입 관로 및 상기 유출 관로 사이에는 상기 두 관로를 연통하도록 연통 유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100)의 각 부위 중 상기 오리피스부(130)가 형성된 부위의 직상방에는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면서 유체의 통과 유로를 형성하는 결합챔버(14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빈(200)은 전자력의 발생을 위한 코일(210)이 내장되는 부위로써, 상기 밸브 몸체(100)의 상면 중 상기 결합챔버(140) 상단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한 보빈(200)은 중공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때 상기 보빈(200)의 중공 부위에는 상하로 개방된 상태의 안내공간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일(210)은 터미널(230)을 통해 인가된 전류에 의해 전자력을 생성하는 부위로써, 상기한 보빈(200)의 벽면 내부 중 상기 안내공간부(220)의 둘레측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체(300)는 후술될 플런저(4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커버체(300)는 상기 보빈(200)의 안내공간부(220) 내에 설치된 상태로 내부에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은 개구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체(300)가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플런저 안내부(310) 및 시트캡(320)으로 분할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 안내부(310)는 상기 보빈(200)의 안내공간부(220) 내에 설치되는 상단 부위를 이루면서 하측 끝단의 둘레면에는 결합턱(311)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한 플런저 안내부(310)의 내경은 오리피스부(130)가 이루는 연통 유로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시트캡(320)은 밸브 몸체(100)를 이루는 결합챔버(140)의 상단측 내주면을 감싸도록 결합 고정되며, 상면 중앙 부위에는 상기 플런저 안내부(310)의 결합턱(311)이 요입될 수 있도록 요입홈(32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요입홈(321)의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322)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커버체(300)를 이루는 플런저 안내부(310)의 상면에 연통공(3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연통공(312)은 상기 커버체(300) 내의 공간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한 연통공(312)의 추가 형성에 의해 커버체(300) 내부는 항상 대기압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플런저(400)는 코일(210)에서 생성된 전자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밸브 몸체(100)의 오리피스부(140)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플런저(400)는 상기 커버체(300) 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밸브 몸체(100)의 결합챔버(140)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커버체(300) 내의 상측 공간인 상기 플런저(400)의 상면과 상기 커버체(300) 내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플런저(400)에 탄력 이동력을 제공하는 탄력부재(예컨대, 코일형 스프링 등)(410)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시트(500)는 상기 플런저(400)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기 밸브 몸체(100)의 오리피스부(140)를 개폐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밸브시트(500)가 개폐단(510) 및 밀폐단(520)으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단(510)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플런저(400)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40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100)의 연통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밀폐단(520)은 상기 개폐단(5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플런저(400)의 둘레면과 상기 커버체(300)를 이루는 플런저 안내부(310)의 내주면 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밀폐단(520)은 시트캡(320)의 관통공(322)을 관통하여 요입홈(321)의 상면과 상기 플런저 안내부(310)를 이루는 결합턱(311)의 저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개폐단(510)의 둘레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압의 영향이 고른 방향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솔레노이드 밸브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최초의 상태는 첨부된 도 3과 같다.
이때, 플런저(400)는 탄력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체(300) 내로부터 하향 이동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플런저(400)의 하단에 결합된 밸브시트(500)의 개폐단(510)은 밸브 몸체(100)의 오리피스부(130)가 이루는 연통 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밸브 몸체(100)의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결합챔버(140) 내로 제공되며, 이렇게 제공된 유체의 압력은 밸브시트(500)를 상승 이동시키려는 힘 및 하향 이동시키려는 힘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체(300) 내부는 연통공(312)에 의해 외부 공간과 동일한 대기압 상태임과 더불어 오리피스부(130)가 이루는 연통 유로 내부도 대기압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밸브시트(500)는 플런저(400)의 자중에 의한 밀폐력 및 탄력부재(410)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오리피스부(130)가 이루는 연통 유로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플런저 안내부(310)의 내경과 오리피스부(130)의 외경 간 단면적 차이에 따른 크기만큼 미세한 압력이 추가될 수 있으나 상기한 압력은 종래 기술에 비해 극히 낮다.
특히, 전술된 최초의 상태에서는 커버체(300)를 이루는 플런저 안내부(310)의 내주면과 플런저(400)의 외주면 사이 틈새가 밸브시트(500)를 이루는 밀폐단(520)에 의해 상기 결합챔버(140) 내부 공간과는 폐쇄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결합챔버(140) 내로 제공된 유체가 상기 플런저 안내부(310)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은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상태에서 보빈(200)에 형성된 터미널(230)을 통해 코일(210)로 정격 전류가 투입되면 상기 코일(210)에서는 전자력이 발생되고, 상기한 전자력에 의해 플런저(400)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코일(210)로 투입되는 전류는 상기 플런저(400)의 자중에 의한 밀폐력과 탄력부재(410)에 의한 복원력 및 단면적 차이(플런지 안내부의 내경 및 오리피스부 내경 간의 단면적 차이)에 의한 압력 차이를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전자력을 제공하면 된다. 즉, 낮은 전류로도 상기 플런저(400)의 상승 이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플런저(400)가 상향 이동되면 상기 플런저(400)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된 밸브시트(500)의 개폐단(510) 역시 상기 플런저(400)와 함께 상향 이동되며, 이로 인해 오리피스부(130)의 연통 유로는 개방된다.
계속해서, 상기한 연통 유로의 개방에 의해 유입관(110) 내부와 유출관(120) 내부는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유입관(110) 내의 유체는 상기 유출관(120)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전술한 연통 유로의 개방 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더라도 보빈(200)의 과도한 온도 상승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러한 과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과열로 인한 단락 현상 등)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런저(400)의 상향 이동을 위한 전자력의 발생을 위해 코일(210)로 제공되는 전류가 높지 않기 때문에 밸브의 개방 상태 유지를 위해 코일(210)로의 지속적인 전류 투입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코일(210)이 제품의 신뢰성에 위험을 줄 만한 온도(예컨대, 85℃ 정도의 온도))까지의 과열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만일, 전술한 바와 같은 오리피스부(130)의 개방 상태에서 코일(210)로 제공되던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상기 코일(210)을 따라 흐르던 전자력이 해재되면서 플런저(400)를 상승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플런저(400)는 탄력부재(410)에 의한 복원력 및 그 자중에 의해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한 플런저(400)의 낙하로 인한 하향 이동에 의해 밸브시트(500)를 이루는 개폐단(510)은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연통 유로를 폐쇄하게 되면서 더 이상의 유체 유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밸브시트(500)를 이루는 밀폐단(520)에 의해 커버체(300)를 이루는 플런저 안내부(310)의 내주면과 플런저(400)의 외주면 사이 틈새가 차단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결합챔버(140) 내로 제공된 유체가 상기 플런저 안내부(310)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은 미연에 방지된다.
결국, 본 고안의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는 커버체(300)에 연통홀(312)을 형성하여 외부 공간과 연통되게 구성함으로써 낮은 전력 소모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전술한 장점으로 인해 연속 동작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보빈(200)의 과열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두압을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크게 설정하더라도 밸브의 개폐 동작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수두압에 의한 누수현상 및 동작 불능 현상의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커버체를 플런저 안내부 및 시트캡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두 구성 사이에 밸브시트(500)를 이루는 밀폐단(520)의 끝단이 끼워진 상태로 커버체(300)와 플런저(400) 간의 틈새를 차단하기 때문에 커버체(310) 내에 유체의 정체로 인한 오염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상 청결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00. 밸브 몸체 110. 유입관
120. 유출관 130. 오리피스부
140. 결합챔버 200. 보빈
210. 코일 220. 안내공간부
230. 터미널 300. 커버체
310. 플런저 안내부 311. 결합턱
312. 연통공 320. 시트캡
321. 요입홈 322. 관통공
400. 플런저 410. 탄력부재
500. 밸브시트 510. 개폐단
520. 밀폐단

Claims (4)

  1. 유체의 유입 관로를 형성하는 유입관 및 유체의 유출 관로를 형성하는 유출관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두 관로의 사이에는 상기 두 관로가 연통되도록 연통 관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면서 중앙측 부위는 상하로 개방된 상태의 안내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부의 외측으로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의 안내공간부 내에 설치된 상태로 내부에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저면은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에는 연통공이 형성된 커버체;
    상기 커버체 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는 플런저;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의 승강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의 오리피스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단과, 상기 개폐단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플런저의 둘레면과 상기 커버체의 내주면 간을 밀폐하는 밀폐단으로 이루어진 밸브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보빈의 안내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상단 부위를 이루면서 하측 끝단의 둘레면에는 결합턱이 돌출 형성된 플런저 안내부와,
    상기 플런저 안내부와는 별개로 형성되면서 밸브 몸체 내의 상단측 내주면을 감싸도록 결합 고정되며, 상면 중앙 부위에는 상기 플런저 안내부의 결합턱이 요입될 수 있도록 요입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요입홈의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 시트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의 밀폐단은
    상기 시트캡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요입홈의 상면과 상기 플런저 안내부의 결합턱의 저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를 이루는 개폐단의 둘레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KR2020100013541U 2010-12-29 2010-12-29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67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41U KR200467308Y1 (ko) 2010-12-29 2010-12-29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41U KR200467308Y1 (ko) 2010-12-29 2010-12-29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43U KR20120004943U (ko) 2012-07-09
KR200467308Y1 true KR200467308Y1 (ko) 2013-06-05

Family

ID=4685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41U KR200467308Y1 (ko) 2010-12-29 2010-12-29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30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11U (ko) * 1987-08-19 1989-04-18 성용선 솔레노이드 밸브
KR20030057793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KR20030059922A (ko) * 2002-01-03 2003-07-12 배재호 솔레노이드 밸브 어셈블리
KR20080009941A (ko) * 2006-07-25 2008-01-30 주식회사 아셀텍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11U (ko) * 1987-08-19 1989-04-18 성용선 솔레노이드 밸브
KR20030057793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KR20030059922A (ko) * 2002-01-03 2003-07-12 배재호 솔레노이드 밸브 어셈블리
KR20080009941A (ko) * 2006-07-25 2008-01-30 주식회사 아셀텍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43U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55650B (zh) 先导式电磁阀
CA2693851A1 (en) Clog resistant pilot valve
EP2539615B1 (en) An electric valve device
KR101011641B1 (ko) 온오프용 솔레노이드 밸브
RU2010138199A (ru) Трехходовой клапан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тклонения потока
JP2010528235A5 (ko)
US20180193850A1 (en) Pulse-width-modulated electromagnetic valve for controlling fluid flow direction and shower head incorporating same
RU2012136549A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ей
TWD186393S (zh) 電磁閥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BR112013000058B1 (pt) Válvula de solenoide
US20160305561A1 (en) Water filtering device safety valve
MX2018006589A (es) Valvula termica de liberacion del pasador.
KR101786770B1 (ko) 음료 공급 장치의 전자 밸브
KR200467308Y1 (ko) 취수용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TWM573400U (zh) The electromagnetic valve
CN205479640U (zh) 一种先导活塞式电磁阀
CN102301169B (zh) 伺服阀
ATE557178T1 (de) Elektromagnetische kraftstoffeinspritzdüse
KR102152861B1 (ko) 급수밸브
KR200449604Y1 (ko) 솔레노이드가 측면에 구비된 개폐밸브
KR20120079956A (ko) 이중포핏 솔레노이드 밸브
CN205446803U (zh) 一种水路的切换结构
KR200473129Y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5626902B (zh) 一种水路的切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