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245Y1 - 농산물 전용 상자 - Google Patents

농산물 전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245Y1
KR200467245Y1 KR2020110000155U KR20110000155U KR200467245Y1 KR 200467245 Y1 KR200467245 Y1 KR 200467245Y1 KR 2020110000155 U KR2020110000155 U KR 2020110000155U KR 20110000155 U KR20110000155 U KR 20110000155U KR 200467245 Y1 KR200467245 Y1 KR 200467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einforcement pad
outer box
plastic bag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183U (ko
Inventor
이종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10000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24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twisting mouth portion
    • B65D77/18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twisting mouth portion and securing by a deformable clip o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농산물 전용 상자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 대상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 공간부 내에 외부 상자의 내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강 패드, 및 포장 대상물의 포장을 위하여 공간부 내에 수용되는 비닐 봉투를 포함하는 농산물 전용 상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농산물 전용 상자{BOX FOR EXCLUSIVE AGRICULTURAL PRODUCTS}
본 고안은 농산물 전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택배 등에 의한 물건의 배송 중 물건의 파손 또는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농산물 전용 상자에 의해 물건을 포장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의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는 단일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 같은 단일층 구조의 농산물 전용 상자를 이용하는 경우 농산물 전용 상자 내부에 포장된 물건의 파손 또는 훼손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의 경우, 단일층 구조로 이루어져 구조적 강성이 부족할 수 밖에 없으므로, 배송 중 내부에 수용된 물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배송하고자 하는 물건이 김치 등과 같이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나 성에에 의해 침습되어 농산물 전용 상자가 파손되고, 이로 인해 타 우편물까지도 훼손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택배 배송 중 포장 대상물의 파손 또는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농산물 전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 대상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 공간부 내에 외부 상자의 내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강 패드, 및 포장 대상물의 포장을 위하여 공간부 내에 수용되는 비닐 봉투를 포함하는 농산물 전용 상자가 제공된다.
보강 패드는 외부 상자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보강 패드는, 외부 상자의 내면 중 4개의 측면을 커버하는 4개의 측벽부, 및 외부 상자의 내면 중 하면을 커버하는 하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측벽부 중 인접한 2개의 측벽부가 서로 연결되며, 하벽부는 4개의 측벽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보강 패드는 4개의 측벽부 중 어느 하나와 하벽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의 너비는, 측벽부 두께의 2배 및 하벽부 두께의 합 이상일 수 있다.
비닐 봉투의 일부는 보강 패드의 내면에 접착될 수 있다.
비닐 봉투는 보강 패드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농산물 전용 상자는, 비닐 봉투의 입구를 조이기 위한 묶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상자 및 보강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택배 배송 중 발생될 수 있는 포장 대상물의 파손 또는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의 보강 패드 및 비닐 봉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의 보강 패드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 배송을 위해 김치, 농산물 등과 포장 대상물(10)을 포장하기 위한 상자로서, 외부 상자(110), 보강 패드(120) 및 비닐 봉투(130)로 이루어지는 농산물 전용 상자(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농산물 전용 상자(100)가 3중 구조로 이루어져 구조적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택배 배송 중 외부 환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포장 대상물(10)의 파손 또는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100)의 경우, 포장 대상물(10)이 비닐 봉투(130), 보강 패드(120) 및 외부 상자(110)에 의해 3중으로 보호됨으로써, 배송 중 농산물 전용 상자(10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포장 대상물(10)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 대상물(10)이 김치, 농산물 등과 같이 액체를 포함하고 있어 외부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가스 또는 성에 등이 발생되더라도, 이러한 가스 또는 성에 등이 비닐 봉투(130) 및 보강 패드(120)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가스 또는 성에가 농산물 전용 상자(100)의 외부까지 침습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 상자(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대상물(10)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상자(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상자(110)의 상부에는 농산물 전용 상자(1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상자(110)는 골심지와 그 양면에 적층되는 표면지로 이루어진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상자(110)는 골심지와 그 양면에 적층되는 표면지로 이루어진 골판지 2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6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농산물 전용 상자(100)의 구조적 강성이 보다 향상되고, 포장 대상물(10)과 외부 환경과의 온도 차이에 의한 성에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보강 패드(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2) 내에 외부 상자(110)의 내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 패드(120)는 외부 상자(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외부 상자(11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상자(110) 내부에 보강 패드(120)를 배치함으로써, 외부 상자(110)의 구조적 강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포장 대상물(10)의 액체 또는 포장 대상물(10)과 외부 환경과의 온도 차이로 인한 성에가 외부 상자(110)로 침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패드(120)는 상술한 외부 상자(110)와 유사하게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비닐 봉투(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대상물(10)의 포장을 위하여 공간부(11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대상물(10)은 비닐 봉투(130)에 의해 1차적으로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대상물(10)이 비닐 봉투(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비닐 봉투(130)의 입구를 조이기 위해 묶음 부재(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패드(120) 내부에 비닐 봉투(130) 및 묶음 부재(140)가 추가로 구비되어 포장 대상물(10)을 1차적으로 포장함으로써, 포장 대상물(10)이 액체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액체가 보강 패드(120)나 외부 상자(110)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닐 봉투(130)는 접착제 등에 의해 그 일부가 보강 패드(120)의 내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닐 봉투(130)가 보강 패드(120)의 내면에 접착됨에 따라 보강 패드(120)의 보관 또는 운송 중 발생될 수 있는 비닐 봉투(130)의 분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닐 봉투(130)는 보강 패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닐 봉투(130)는 접착제 등에 의해 보강 패드(120)의 내면에 접착될 수 있으나, 사용 상의 편의에 따라 비닐 봉투(130)는 보강 패드(120)로부터 분리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보강 패드(12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100)의 보강 패드(120) 및 비닐 봉투(13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용 상자(100)의 보강 패드(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강 패드(1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벽부(122), 연결부(126) 및 하벽부(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4개의 측벽부(12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상자(110)의 내면 중 4개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4개의 측벽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측벽부(122)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패드(120)는 측벽부(122)의 내면이 맞닿도록 접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강 패드(120)의 보다 용이한 보관 및 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하벽부(12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상자(110)의 내면 중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벽부(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벽부(1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2)의 내면이 맞닿도록 접혀 있는 상태에서 측벽부(122) 중 일부를 커버하도록 접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강 패드(120)의 보다 용이한 보관 및 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4개의 측벽부(122) 중 어느 하나와 하벽부(124) 사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6)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6)의 너비(w)는 측벽부(122) 두께(t1)의 2배와 하벽부(124) 두께(t2) 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벽부(124)가 측벽부(122)의 표면 측으로 절곡되어 측벽부(122)의 일부를 커버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6)가 측벽부(122)의 두께(t1) 및 하벽부(124)의 두께(t2)를 모두 커버할 수 있으므로, 보강 패드(120)는 보다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포장 대상물
100: 농산물 전용 상자
110: 외부 상자
112: 공간부
120: 보강 패드
122: 측벽부
124: 하벽부
126: 연결부
130: 비닐 봉투
140: 묶음 부재

Claims (10)

  1. 포장 대상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외부 상자;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외부 상자의 내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강 패드; 및
    상기 포장 대상물의 포장을 위하여 상기 공간부 내에 수용되는 비닐 봉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패드는 상기 외부 상자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보강 패드는,
    상기 외부 상자의 내면 중 4개의 측면을 커버하는 4개의 측벽부; 및
    상기 외부 상자의 내면 중 하면을 커버하는 하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측벽부 중 인접한 2개의 상기 측벽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벽부는 상기 4개의 측벽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보강 패드는, 상기 4개의 측벽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하벽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너비는, 상기 측벽부 두께의 2배와 상기 하벽부 두께의 합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전용 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봉투의 일부는 상기 보강 패드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전용 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봉투는 상기 보강 패드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전용 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봉투의 입구를 조이기 위한 묶음 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전용 상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상자 및 상기 보강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골판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전용 상자.
KR2020110000155U 2011-01-06 2011-01-06 농산물 전용 상자 KR200467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155U KR200467245Y1 (ko) 2011-01-06 2011-01-06 농산물 전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155U KR200467245Y1 (ko) 2011-01-06 2011-01-06 농산물 전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83U KR20120005183U (ko) 2012-07-16
KR200467245Y1 true KR200467245Y1 (ko) 2013-06-07

Family

ID=4685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155U KR200467245Y1 (ko) 2011-01-06 2011-01-06 농산물 전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24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227A (en) * 1995-07-31 1996-10-08 Honshu Paper Co., Ltd. Anti-bulging bag-in-box
KR19990044827A (ko) * 1998-09-23 1999-06-25 이성 포장용 골판지 박스의 보강장치
KR100811790B1 (ko) * 2006-11-17 2008-03-11 박배국 3중구조의 우편용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227A (en) * 1995-07-31 1996-10-08 Honshu Paper Co., Ltd. Anti-bulging bag-in-box
KR19990044827A (ko) * 1998-09-23 1999-06-25 이성 포장용 골판지 박스의 보강장치
KR100811790B1 (ko) * 2006-11-17 2008-03-11 박배국 3중구조의 우편용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83U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83567A1 (en) Mattress package
US11319134B2 (en) Product packaging system
US10974886B2 (en) Air-sealed bag with enhanced side and corner protection
KR101252519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200467245Y1 (ko) 농산물 전용 상자
CN109178645A (zh) 一种m型吊床气柱装置
KR200427816Y1 (ko) 과일포장박스
KR200430118Y1 (ko) 상품 포장 케이스
JP6119675B2 (ja) 梱包材
KR101136989B1 (ko) 박스 보호대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101878197B1 (ko) 포장용 상자
KR101549496B1 (ko) 보강재가 구비된 포장박스
KR200477384Y1 (ko) 포장 상자
KR200477581Y1 (ko) 공간분할 육각형 종이상자
US20030155272A1 (en) Cushioning insert for packages
KR101164088B1 (ko) 포장박스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102361106B1 (ko) 가금류 란 유통용 포장상자
KR200489029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JP2008150118A (ja) 梱包装置
KR20130001005U (ko) 접이식 완충재를 구비하는 포장 상자
US20180044053A1 (en) Container with reinforced sides
JP5288194B2 (ja) 包装システム
KR200473044Y1 (ko) 포장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