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105Y1 -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 Google Patents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105Y1
KR200467105Y1 KR2020120010675U KR20120010675U KR200467105Y1 KR 200467105 Y1 KR200467105 Y1 KR 200467105Y1 KR 2020120010675 U KR2020120010675 U KR 2020120010675U KR 20120010675 U KR20120010675 U KR 20120010675U KR 200467105 Y1 KR200467105 Y1 KR 200467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crew member
flat roller
toad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헌 호 임
Original Assignee
헌 호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 호 임 filed Critical 헌 호 임
Priority to KR2020120010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01B29/02Rollers with smooth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helicoidal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못자리용 두둑의 상면을 효과적으로 평탄하게 성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못자리용 두둑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는 쟁기부재(20)를 이용하여 고랑을 형성한 후 배토판(30)을 이용하여 흙을 두둑(1)쪽으로 배토하고, 스크류부재(40)를 이용하여 배토된 흙을 두둑(1)의 중앙부로 모은 후 평탄로울러(50)를 이용하여 두둑(1)의 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게 한다.
따라서, 두둑(1)의 상면 전체가 균일하게 가압되어 평탄해지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두둑(1)의 상면을 평탄하게 다질 필요가 없으며,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작업속도가 바를 뿐 아니라, 못자리용 두둑을 성형하는데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못자리용 두둑성형기{Apparatus for making levee for rice seedbed}
본 고안은 못자리용 두둑을 형성하고, 두둑의 상면을 효과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못자리용 두둑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내기할 어린 모를 기르는 못자리는 양측에 도랑이 형성되고 상면이 평탄한 두둑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최근 들어, 등록특허 제10-0778655호를 비롯하여 두둑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두둑성형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두둑성형기는 두둑의 양측에 고랑을 파내어 두둑의 기본 형태를 형성할 수 있을 뿐, 두둑의 상면을 평단하게 만들 수 없었다.
따라서, 못자리용 두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단 두둑성형기를 이용하여 두둑의 양측에 고랑을 형성하여 두둑의 기본형태를 만든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못자리의 상면을 평탄하게 다짐을 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못자리용 두둑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못자리용 두둑을 형성하고, 이 두둑의 상면을 효과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며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쟁기부재(20)와, 상기 쟁기부재(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배토판(30)과, 상기 배토판(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이 상기 배토판(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토판(30)에 의해 배토된 흙을 두둑(1)의 상면 중앙부로 모으는 스크류부재(4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두둑(1)의 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게 하는 평탄로울러(5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에 연결되어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못자리용 두둑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트랙터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쟁기부재(20)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토판(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못자리용 두둑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토판(30)은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전방에서 선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부(32)와, 상기 지지부(3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하단지지부(33)와, 상기 하단지지부(33)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4)과, 상기 지지부(31)의 후방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5)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로울러(50)는 상기 연장부(35)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못자리용 두둑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브라켓(34)에는 상기 평탄로울러(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베어링(5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못자리용 두둑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스크류부재(4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61)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에 각각 결합된 스프로켓(62) 및 상기 스프로켓(62)을 연결하는 체인(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못자리용 두둑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는 쟁기부재(20)를 이용하여 고랑을 형성한 후 배토판(30)을 이용하여 흙을 두둑(1)쪽으로 배토하고, 스크류부재(40)를 이용하여 배토된 흙을 뒤섞으면서 두둑(1)의 중앙부로 모은 후 평탄로울러(50)를 이용하여 두둑(1)의 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게 한다.
따라서, 두둑(1)의 상면 전체가 균일하게 가압되어 평탄해지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두둑(1)의 상면을 평탄하게 다질 필요가 없으며,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작업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못자리용 두둑을 성형하는데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를 도시한 후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트랙터를 기준으로 트랙터 측 방향을 전방(도 1에서 우측)으로, 트랙터 반대 측 방향을 후방(도 1에서 좌측)으로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를 도시한 것으로, 좌우로 길게 연장되며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쟁기부재(20)와, 상기 쟁기부재(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배토판(30)과, 상기 배토판(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이 상기 배토판(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토판(30)에 의해 배토된 흙을 못자리의 상면 중앙부로 모으는 스크류부재(4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못자리의 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게 하는 평탄로울러(5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에 연결되어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트랙터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쟁기부재(20)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토판(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1)에는 선단부가 트랙터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4)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14)를 트랙터의 후단에 구비된 결합부에 결합하여 지지프레임(10)을 트랙터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쟁기부재(20)는 원판형태로 구성된 원형쟁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인접면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토판(30)은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전방에서 선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부(32)와, 상기 지지부(3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하단지지부(33)와, 상기 하단지지부(33)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4)과, 상기 지지부(31)의 후방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1)는 상단이 인접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선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은 연장프레임(13)의 후단부가 상기 지지부(31)의 외측면에 용접결합된다.
상기 경사부(32)는 상기 지지부(31)의 전방에서 상기 쟁기부재(20)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하단지지부(33)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선단부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벤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4)은 상기 하단지지부(33)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스크류부재(40)는 양단이 상기 지지브라켓(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외주면 양측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을 이루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스크류날(42,43)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수단(60)으로 스크류부재(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부재(40)가 회전되면서 못자리 상면 양측의 흙을 뒤섞으면서 두둑(1)의 중앙부로 모아주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토판(30)의 지지부(31)에는 상기 회전축(41)이 관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1)이 상기 관통공(31a)을 통해 상기 지지브라켓(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평탄로울러(50)는 상기 연장부(3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34)에는 상기 평탄로울러(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베어링(51)이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베어링(51)을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하여 평탄로울러(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부재(4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61)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에 각각 결합된 스프로켓(62) 및 상기 스프로켓(62)을 연결하는 체인(63)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모터(61)를 구동시키면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측의 배토판(30)에 구비된 지지브라켓(34)과 우측의 배토판(30)에 구비된 지지브라켓(34)은 형태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좌측의 지지브라켓(34)에 상기 구동수단(60)의 유압모터(6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을 트랙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전진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쟁기부재(20)에 의해 두둑(1)을 형성할 위치의 양측에 고랑(2)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쟁기부재(20)에 의해 파여진 흙이 상기 배토판(30)에 의해 배토된다.
이때, 상기 쟁기부재(20)에 의해 파여진 흙은 상기 경사부(32)에 의해 상기 쟁기부재(20)에 의해 파여진 흙을 모아 상기 지지부(31)로 안내하고, 상기 지지부(31)는 흙을 두둑(1)의 양측 상부로 배토한다.
따라서, 상기 배토판(30)에 의해 배토된 흙은 상기 두둑(1)의 상면 양측에 볼록하게 쌓여진다. 그리고, 상기 하단지지부(33)가 고랑(2)을 지나면서 고랑(2)의 내부 바닥면을 가압하여 평면 형태로 형성하고, 연장부(35)의 내면이 고랑의 벽면을 가압하여 평면 형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토판(30)에 의해 배토된 흙은 상기 스크류부재(40)에 의해 뒤섞이며 넓게 펼쳐지게 되고, 상기 평탄로울러(50)가 두둑(1)의 상면을 가압하여 두둑(1)의 상면을 평탄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못자리용 두둑성형기는 쟁기부재(20)를 이용하여 고랑(2)을 형성한 후 배토판(30)을 이용하여 흙을 두둑(1)쪽으로 배토하고, 스크류부재(40)를 이용하여 배토된 흙을 두둑(1)의 중앙부로 모은 후 평탄로울러(50)를 이용하여 두둑(1)의 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게 한다.
따라서, 두둑(1)의 상면 전체가 균일하게 가압되어 평탄해지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두둑의 상면을 평탄하게 다질 필요가 없으며,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작업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못자리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트랙터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쟁기부재(20)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토판(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13)으로 구성되어, 상기 쟁기부재(20)와 배토판(30), 스크류부재(40) 및 평탄로울러(50)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지지프레임(10)이 두둑(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두둑(1)을 정확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토판(30)은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전방에서 선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부(32)와, 상기 지지부(3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하단지지부(33)와, 상기 하단지지부(33)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4)과, 상기 지지부(31)의 후방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5)로 구성되므로, 상기 쟁기부재(20)에 의해 파여진 흙을 두둑(1)쪽으로 효과적으로 배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평탄로울러(50)는 상기 연장부(35)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로울러(50)에 의해 두둑(1)의 상면이 가압될 때, 두둑(1)의 양측이 상기 연장부(3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평탄로울러(50)로 두둑(1)의 상면을 가압할 때, 두둑(1)의 양측이 무너지거나 두둑(1)의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둑(1)의 상면을 더욱 강하게 가압하여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스크류부재(4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61)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에 각각 결합된 스프로켓(62) 및 상기 스프로켓(62)을 연결하는 체인(63)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유압모터(61)만으로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평탄로울러(50)만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쟁기부재(20)와 스크류부재(40)역시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쟁기부재(20)는 원형쟁기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쟁기부재(20)는 경사판형태로 구성된 일반적인 쟁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지지프레임 20. 쟁기부재
30. 배토판 40. 스크류부재
50. 평탄로울러 60. 구동수단

Claims (5)

  1. 좌우로 길게 연장되며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쟁기부재(20)와,
    상기 쟁기부재(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배토판(30)과,
    상기 배토판(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이 상기 배토판(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토판(30)에 의해 배토된 흙을 두둑(1)의 상면 중앙부로 모으는 스크류부재(4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두둑(1)의 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게 하는 평탄로울러(50)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에 연결되어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트랙터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쟁기부재(20)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토판(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13)을 포함하고,
    상기 배토판(30)은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전방에서 선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부(32)와,
    상기 지지부(3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하단지지부(33)와,
    상기 하단지지부(33)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34)과,
    상기 지지부(31)의 후방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5)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로울러(50)는 상기 연장부(35)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4)에는 상기 평탄로울러(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베어링(5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스크류부재(4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에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61)와,
    상기 스크류부재(40)와 평탄로울러(50)에 각각 결합된 스프로켓(62) 및 상기 스프로켓(62)을 연결하는 체인(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10675U 2012-11-21 2012-11-21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KR200467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75U KR200467105Y1 (ko) 2012-11-21 2012-11-21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75U KR200467105Y1 (ko) 2012-11-21 2012-11-21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105Y1 true KR200467105Y1 (ko) 2013-05-30

Family

ID=5371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75U KR200467105Y1 (ko) 2012-11-21 2012-11-21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0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33Y1 (ko) * 2012-05-11 2012-08-22 헌 호 임 이랑 성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33Y1 (ko) * 2012-05-11 2012-08-22 헌 호 임 이랑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34461Y (zh) 马铃薯联合收获机
CN107278390B (zh) 一种耕地平整装置
CN205681795U (zh) 棉杆粉碎及残膜回收机
CN102687614A (zh) 一种宽膜多行自动覆土播种机
KR200467105Y1 (ko) 못자리용 두둑성형기
KR200462033Y1 (ko) 이랑 성형기
CN205142807U (zh) 一种挂接式多功能西芹种植一体机
CN104303645A (zh) 一种多功能开沟覆土一体机
CN203040153U (zh) 一种多功能马铃薯种植机
CN203206691U (zh) 葡萄开沟培土埋藤机
CN105325083A (zh) 一种挂接式多功能西芹种植一体机
KR20130002824A (ko) 트랙터용 써레
JP6604628B2 (ja) 畦成形機
CN210381821U (zh) 一种农用平土机
CN202799607U (zh) 一种甘蔗种植机
KR100359260B1 (ko) 이랑 성형기
CN105325098B (zh) 一种地膜升降旋转打孔驱动装置
CN205142829U (zh) 一种地膜升降旋转打孔驱动装置
CN204579076U (zh) 全覆膜播种机
US969187A (en) Crumber.
CN203860043U (zh) 一种手扶大蒜收获机
CN112970388A (zh) 自动铺膜播种机
CN207604176U (zh) 大蒜种植机
JP6566475B2 (ja) 畦成形機
KR101157165B1 (ko) 농업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