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81Y1 -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 Google Patents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81Y1
KR200467081Y1 KR2020100013088U KR20100013088U KR200467081Y1 KR 200467081 Y1 KR200467081 Y1 KR 200467081Y1 KR 2020100013088 U KR2020100013088 U KR 2020100013088U KR 20100013088 U KR20100013088 U KR 20100013088U KR 200467081 Y1 KR200467081 Y1 KR 200467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abalone
sea cucumber
cucumber culture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611U (ko
Inventor
박송범
Original Assignee
박송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송범 filed Critical 박송범
Priority to KR2020100013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8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고안은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형상을 갖는 상면과, 상기 상면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전복 및 해삼 양식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면이 양식장의 저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다리 및 상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쉘터의 저부 공간에는 다수의 격벽들에 의해 상기 전복 및 해삼의 은신 및 서식 공간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단위 쉘터 당 보다 많은 전복 및 해삼의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복 및 해삼 양식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SELTA FOR CULTIVATING SEA CUCUMBER AND ABALONE}
본 고안은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한 크기에서 다량의 전복 및 해삼의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전복 및 해삼의 서식 활동 영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복 및 해삼 종묘 생산과 양식용 쉘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해상 생물에 대한 양식 기술이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전복(abalone)과 해삼(sea cucumber)도 양식하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들어 해삼 및 전복의 수요가 크게 늘어 어민 소득이 크게 증대되고 있는데, 특히 해삼은 중국사람이 선호하는 수산물로써 국내보다 중국에서 가격이 훨씬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상기 해삼은 4~5월경 집중적으로 생산되는데 거의 중국에서 소비한다. 전반적인 현상인 수자원의 고갈에서 해삼도 예외일 수 없어, 자연에서의 생산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공 종묘의 살포가 절실한 실정이며 서해안의 축제식 양식장에서 고소득 양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복은 전세계적으로 약 1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에는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을 비롯하여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기 및, 마대오분자기 등이 분포하고 있다.
종래에 전복의 인공양식은 방류에 의한 양식, 채롱에 의한 수하양식, 가두리 양식이 있으며, 상기 방류에 의한 양식은 전복의 생존율이 1∼10%로 낮다는 점과 수획시 잠수부 또는 해녀등이 수획하여야 하는 만큼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고, 상기 채롱에 의한 수하양식은 먹이 공급의 어려움과 부착 생물 구재 및 청소를 위한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가두리 양식은 태풍에 의한 유실과 도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개선된 육상수조식 전복양식이 나오게 되었다.
한편, 기존의 어린 치패를 방류하는 경우 생존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어린 치패를 어느 정도 성장시킨 후에 방류함으로써 그 생존율을 높여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린 치패를 중간 양성시키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전복 종묘를 바다에 방류해 수확하는 것 보다 가두리나 수조에서 고밀도로 양식하는 것이 성장 이 빠르고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개선된 육상 전복양식장이 필요하게 되었다.따라서, 이러한 수조식 양식장에 전복 및 해삼을 양식하기 위하여 다수의 파판 및 상기 파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쉘터가 전복 및 해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쉘터들은 획일적으로 플레이트 타입 상면과 상기 상면을 지지하는 일정 높이를 갖는 다리만 가지고 있을 뿐 전복 및 해삼을 위한 별도의 서식 공간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복 및 해삼의 서식처 및 은폐처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양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과 동일한 양식 공간에서 좀더 확장된 전복 및 해삼의 서식 공간 및 은폐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양식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동일한 쉘터에 다수의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양식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에 있어서, 일정 형상을 갖는 상면과, 상기 상면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전복 및 해삼 양식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면이 양식장의 저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다리 및 상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쉘터의 저부 공간에는 다수의 격벽들에 의해 상기 전복 및 해삼의 은신 및 서식 공간이 다수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쉘터는 쉘터의 저부에 다수의 공간을 마련하여 전복 및 해삼의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복 및 해삼 양식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의 후면 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를 다수개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10)는 상면(11)과, 상기 상면(11)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측면(12)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12)은 상기 상면(11)의 저부에서 상기 전복 및 해삼 서식을 위한 어두운 공간을 갖도록 한다. 상기 측면(1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돌출된 일정 높이의 다리(1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면(12)이 수조의 저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측면(12)에서 연장된 다리(13)의 높이 만큼 상기 측면(12)과 수조 바닥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되며, 이 간격을 통하여 상기 전복 및 해삼이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면(11)은 일정 곡률 반경을 갖도록 곡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쉘터(10)를 청소할 경우 상기 상면(11)에 붙어있는 오염 물질 등을 쉽게 청소하기 위함이다.
도면상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부가 튀어 올라오게 곡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상면(11)의 정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청소시 오물 등이 흘러내리기 쉬운 다양한 곡형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쉘터(11)는 다수개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하나의 쉘터(10)의 다리(13)가 다른 쉘터의 상면에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쉘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쉘터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다리가 안착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안착홈(14)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쉘터(10)의 저부에는 다수의 격벽(15)에 의한 다수의 공간들(151)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들(151)은 해삼 및 전복의 은신처를 보다 많이 제공하게 되며, 이는 단위 쉘터 당 좀더 많은 개체수의 전복 및 해삼의 양식이 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쉘터는 상면보다 어두운 플레이트 타입 저부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전복 및 해삼의 서식 특성상 각지고 좁은 다수의 공간은 제공하지 못하는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쉘터(10)의 저부는 이러한 다수의 공간들(151)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격벽들(15)들은 규칙적인 일정 공간들(151)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쉘터(10) 역시 장방형으로써 4개소의 안착홈(14)과 다리(13)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쉘터(10)는 필요하다면 장방형 대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13)의 숫자 역시 상기 쉘터(10)를 지지할 수 있는 최소의 갯수로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수의 공간들(151) 역시 장방형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었으나, 적용되는 수조의 공간 및 격벽들(15)의 배치에 따라 동일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형성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를 다수개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써, 이러한 쉘터(10)의 적층체들이 수조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쉘터(10)의 다리(13)는 그 하측 쉘터(1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4)에 안착되기 때문에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10: 쉘터 11: 상면
12: 측면 13: 다리
14: 안착홈 15: 격벽

Claims (6)

  1.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에 있어서,
    일정 형상을 갖는 상면;
    상기 상면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전복 및 해삼 양식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에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면이 양식장의 저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쉘터의 저부 공간에는 다수의 격벽들에 의해 상기 전복 및 해삼의 은신 및 서식 공간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쉘터의 상면에는 그 상부에 적층되는 쉘터의 다리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쉘터의 상면은 청소시 오염물을 쉽게 흘러내리게 하기 위하여 곡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터는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터의 상면은 정중앙이 제일 높으며, 각 모서리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서식 공간들은 동일한 크기 및 깊이를 가지며 규칙적인 장방형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서식 공간들은 동일하지 않은 크기 및 깊이를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KR2020100013088U 2010-12-17 2010-12-17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KR200467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088U KR200467081Y1 (ko) 2010-12-17 2010-12-17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088U KR200467081Y1 (ko) 2010-12-17 2010-12-17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11U KR20120004611U (ko) 2012-06-27
KR200467081Y1 true KR200467081Y1 (ko) 2013-05-24

Family

ID=4685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088U KR200467081Y1 (ko) 2010-12-17 2010-12-17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0712A (zh) * 2012-09-20 2013-01-16 黄思睿 海参种苗的育苗方法
CN103518658B (zh) * 2013-10-30 2014-12-10 辽宁医学院 池塘悬浮式网箱刺参苗培育方法
CN104396806A (zh) * 2014-10-17 2015-03-11 青岛农业大学 一种加利福尼亚红参人工催产的方法
CN105900880A (zh) * 2016-05-03 2016-08-31 山东省友发水产有限公司 黄河三角洲地区池塘内刺参与篮子鱼、海蜇的生态养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066A (ja) * 2002-07-11 2004-02-12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藻場造成用コンクリート構造体及び藻場造成用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形成方法
KR100998034B1 (ko) * 2008-11-04 2010-12-03 (주)정화건설 해중림 조성용 인공 암초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066A (ja) * 2002-07-11 2004-02-12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藻場造成用コンクリート構造体及び藻場造成用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形成方法
KR100998034B1 (ko) * 2008-11-04 2010-12-03 (주)정화건설 해중림 조성용 인공 암초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11U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858B1 (ko) 외해 수중 침하식 밀폐형 가두리 양식장
KR200467081Y1 (ko)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KR101327397B1 (ko)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KR101464243B1 (ko)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200396100Y1 (ko)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1133681B1 (ko) 생태기능을 강화한 복합형 인공 식물섬
KR101378940B1 (ko) 전복 양식용 쉘터
KR102306835B1 (ko) 가두리 해삼 양식장치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
KR101740791B1 (ko) 해상 전복양식용 아파트형 쉘터
KR102010011B1 (ko) 전복의 수조 바닥면 부착 방지를 위한 쉘터지지구
KR101213624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CN204616777U (zh) 一种蟹和无土泥鳅混养池
KR20130021305A (ko)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KR101632862B1 (ko) 침하식 전복 가두리 양식장치
KR101355164B1 (ko) 침하식 문어과 생물 양식 장치
KR101261130B1 (ko) 해삼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2350819B1 (ko) 화로형 인공어초
KR20140056687A (ko)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
JP2000279051A (ja) 藻場造成型魚礁
KR100385477B1 (ko) 패각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1981488B1 (ko) 전복 해상가두리 양성용 기능성 쉘터
KR200422708Y1 (ko) 인공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