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07Y1 - 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 Google Patents

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07Y1
KR200467007Y1 KR2020110007795U KR20110007795U KR200467007Y1 KR 200467007 Y1 KR200467007 Y1 KR 200467007Y1 KR 2020110007795 U KR2020110007795 U KR 2020110007795U KR 20110007795 U KR20110007795 U KR 20110007795U KR 200467007 Y1 KR200467007 Y1 KR 200467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bumper
safety
safety indicator
bump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7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1555U (en
Inventor
이봉길
Original Assignee
이봉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길 filed Critical 이봉길
Priority to KR2020110007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07Y1/en
Publication of KR20130001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5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0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에 관한 것으로 리어 범퍼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리어 범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작동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스프링이 작동되면서 범퍼 외부로 방출되는 안전표시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리어 범퍼는 내부에 안전표시대가 내장되어 있고 사고 발생시 운전하차하여 안전표시대를 인출하거나 별도의 조작없이 안전표시대가 자동으로 작동하므로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ar bumper having a safety indicator built-in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bumper for detecting a shock; A spring disposed inside the rear bumper and operating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impact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 pair of supports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spring; As the spring is operated it is configured as a safety indicator to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bumper.
The rear bu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safety sign,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safety sign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without driving or withdrawing the safety sign.

Description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Automotiv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s

본 고안은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ar bumper with a safety indicator.

본 고안은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발생시 자동차 리어 범퍼에 내장된 안전표시대가 운전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리어 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자동차에 안전표시대를 구비하여, 차량 사고시 후방 자동차에 그 사실을 알리기 위해 해당 자동차의 후방에 안전표시대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서 운전자가 사고나 고장 발생시 즉각 하차하여 트렁크를 열고 안전표시대를 인출하여 차도를 걸어가서 이를 설치해야 하지만 이 과정에서 후방 주행 차량이 미처 운전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인명사고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종종 일어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등록특허 10-167972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범퍼내장식 안전 표시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방 차체 또는 범퍼에 고정되며 탄성체를 내장한 본체, 상기 탄성체에 연계되어 본체내외로 왕복동 가능한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에 연계되는 교합편으로 구성되는 랫치(10); 중앙부에서 상기 랫치의 돌출편 및 교합편과 상호 협력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의 일단부에 고정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 2부재, 및 상기 제 2부재의 타단부에 고정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일단부가 고정되며 정상상태에서 범퍼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제 3부재로 구성되는 안전 표시대; 및 차체 또는 범퍼에 고정되며 탄성 스프링을 내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의해 왕복동되며 일단부에 상기 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안전 표시대의 제 1부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는 구동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 또한 운전자가 주행중 또는 정차시 사고를 당하거나 자동차가 고장난 경우 운전자는 자동차의 후방 범퍼(1)의 표면에 노출된 안전 표시대(20)의 중앙 부분을 손으로 눌러야만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의 안전표시대 또한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하차하여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인명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안전표시대가 작동되는 자동차 범퍼에 대한 기술은 연구되거나 공지된 바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된 기술에 해당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rear bumper with a built-in safety indic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 rear bum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sign built into the car rear bumper operates automatically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driver when an accident occurs. .
In general, the driver is provided with a safety sign on the car, and installs a safety sign on the rear of the car to notify the rear car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To do this, the driver should get off immediate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breakdown, open the trunk, pull out the safety sign, walk down the road, and install it, but in this process, the driving vehicle may not find the driver and cause a casualty. Can be.
As a technique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ference may be made to Patent 10-167972.
The technique relates to a bumper-embedded safety indicator assembly, which is fixed to a rear body or a bumper of an automobile and has a body having an elastic body embedded therein, a protrusion piece reciprocated in and out of the body in connection with the elastic body, and an occlusal piec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piece. Latch 10 composed of pieces; A first member having a fixing piece cooperating with the protruding piece and the occlusal piece of the latch at a central portion, a second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fixed by a fastener a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 safety indicator comprising a third member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member and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bumper in a normal state; And a main body fixed to the vehicle body or the bumper and having a built-in elastic spring, and a stopper reciprocated by the elastic spr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preventing one from the main body at one end thereof, and at the other end of the safety indicator. The other end of the one member is a drive rod which is formed to be fixed rotatably; is configured.
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lso operates only when the driver has an accident while driving or stopping, or when the vehicle is broken, by press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safety indicator 20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bumper 1 of the vehicle by hand.
Therefore, the safety sign of the above technology is also a reality that there is a risk of human accident because the driver should get off and operate when an accident occurs.
However, the technology for automobile bumpers that automatically activate safety sign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has not been studied or know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technique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등록특허 10-167972Patent Registration 10-167972

없음none

그러므로 본 고안은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를 제공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서도 안전표시대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과제로 삼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rear bumper with a built-in safety sign so that the safety sign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without the driver getting off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Make what you offer a major challenge to solv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 차체에 설치되는 리어 범퍼(10)에 있어서
상기 리어 범퍼(10)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1)와
상기 리어 범퍼(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센서(10)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작동하여 걸림을 해제하는 한 쌍의 걸림부(55)와
스프링(30)과
상기 스프링(30)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지지대(40)와
상기 스프링(30)이 작동되면서 범퍼 외부로 방출되는 안전표시대(50);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표시대(50)는 내부 하부에 흙 또는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1/4 ~ 1/3 충진되어 있는 구(球)형상의 본체(51)와
상기 본체(51)로부터 연장되는 메인프레임(52)과
상기 메인프레임(52)의 끝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53)과
안전표시 문양이 그려져 있는 방수천(54)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球)형상의 본체(51)는 상기 리어 범퍼(10) 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권취드럼(60)과 실리콘 와이어(70)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球)형상의 본체(51)는 하부 일측면에 한 쌍의 걸림부(5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10)를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리어 범퍼에는 후방감지센서(22)가 더 구비되며,
상기 후방감지센서(22)에 의해 상기 리어 범퍼와 인접하여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는 충격감지센서(21)에 의해 충격이 감지되더라도 걸림부의 해제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10) 를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rear bumper 10 installed in the rear body of the vehicle
The shock sensor 21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bumper 10 to detect the shock and
A pair of locking portions 55 disposed inside the rear bumper 10 and operating when the shock sensor detects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from the detection sensor 10 to release the locking;
With spring 30
A pair of supports 40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spring 30 and
Consists of the safety indicator 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mper while the spring 30 is operated,
The safety indicator 50 is a sphere-shaped body (51) is filled with 1/4 ~ 1/3 of the soil or sand in the bottom of the interior and the volume;
The main frame 52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51 and
A pair of auxiliary frames 53 connected to an end of the main frame 52 and
It consists of a waterproof cloth (54) on which a safety mark pattern is drawn.
The spherical body 51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60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bumper 10 by a silicon wire 70.
The spherical main body 51 is a vehicle rear bumper 10 incorporating a safety indicator as on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engaging portions 55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to provid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effectively
The rear bump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sensor 22,
When the object is detected adjacent to the rear bumper by the rear sensor 22, even if a shock is detected by the shock sensor 21,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is stopped
Car rear bumper 10 with a built-in safety indicator is provided 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는 내부에 안전표시대가 내장되어 있고 사고 발생시 운전하차하여 안전표시대를 인출하거나 별도의 조작없이 안전표시대가 자동으로 작동하므로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후행 차량의 운전자가 이를 쉽게 확인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The car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fety indicator inside, and when the accident occurs, the driver can pull out the safety indicator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it or operate the safety indicator automatically without any operation, so that the driver's safety can be promoted. It is expected that the driver of the lagging vehicle can easily check this and prevent the accident in advance.

도 1은 사고 발생시 종래의 방법으로 안전표시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리어 범퍼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afety indicator is installed by a conventional method when an accident occurs.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rear bumper built-in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용어 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으로 안전표시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안전표시대는 차량 트렁크와 같이 공간에 보관하는데, 사고가 발생되면 운전자가 즉시 하차하여 트렁크를 열고 안전표시대를 인출하여 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하여 안전표시대를 설치한다. 만일 차량 후미가 파손되어 트렁크가 열리지 않거나 하차할 수 없을 정도의 부상을 당했을 때 또는 갑작스런 사로로 인해 경황이 없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안전표시대를 설치해야 한다는 사실을 망각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안전표시대가 무용지물이 된다. 한편 종래의 안전표시대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후방으로 이동해서 트렁크를 열고 수동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과정에서 후행차량의 운전자가 사고 사실을 확인하지 못하고 계속 주행하여 또 다른 인명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리어 범퍼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2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에 해당된다.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리어 범퍼(10)는 외부 측면에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1)가 부착되어 있고, 내부 일측면에는 권취드럼이 부착되어 있고, 스프링과, 지지대와, 안전표시대가 설치된다.
상기 권취드럼은 리어 범퍼의 내부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데, 실리콘 와이어를 통해 후술하는 구(球)형상의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권취드럼은 실리콘 와이어를 권취할 수 있으면 족한 것으로 그 형상이나 재질은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만 크기에 있어서는 리어 범퍼에 부착될 수 있어야 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 2~3M 정도의 와이어를 권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여야 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작동한다. 작동하는 방향은 후방으로 직선방향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스프링과 밀착하여 한 쌍의 지지대가 설치된다. 즉, 사고 발생시 스프링은 지지대가 설치된 방향으로 작동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되어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차량 후방으로 스프링이 작동되면서 안전표시대가 외부로 튕겨 나가게된다.

이하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안전표시대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안전표시대는 내부의 하부에 흙 또는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1/4 ~ 1/3 충전되어 있는 구(球)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끝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타 끝단과 연결된 안전표시 문양이 그려져 있는 방수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球)형상의 본체는 하부 일 측면에 한 쌍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球)형상의 본체는 상기 리어 범퍼 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권취드럼과 실리콘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작동하면서 걸림부의 압력을 극복하면서 본체가 외부로 튕겨나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는 권취드럼과 실리콘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한정 튕겨나가지는 않고 와이어의 거리 만큼만 튕겨나간다. 통상적으로 2~3M 정도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적절히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구(球)형상의 본체 내부의 하부에는 흙 또는 모래가 충전되어 있다. 이는 구(球)형상의 본체가 튕겨나간 뒤 중심을 잡고 똑바로 설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인데, 이때 충전되는 흙 또는 모래의 양은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과 방수천의 무게를 합한 것보다 많으면 무방하나 통상 부피 기준으로 1/4 ~ 1/3 정도가 적당하다.

한편 본 고안의 자동차 리어 범퍼(10)에는 후방감지센서(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방감지센서(22)는 상기 리어 범퍼(10)와 인접하여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는 충격감지센서(21)에 의해 충격이 감지되더라도 걸림부의 해제 작동을 중지하도록 작동된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가 작동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로부터 별다른 충격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표시대의 구(球)형상의 본체 하부 일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에 의해 안전표시대는 리어 범퍼 내부에 위치한다. 만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작동하면서 걸림부의 압력을 극복하면서 본체가 외부로 튕겨나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는 권취드럼과 실리콘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한정 튕겨나가지는 않고 와이어의 길이만큼만 튕겨나간다. 튕겨나간 안전표시대는 구(球)형상의 본체의 무게중심으로 인해 수직으로 서게 되는데, 이는 마치 오뚜기가 바로 서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球)형상의 본체가 바로 서게 되면 본체와 연결된 메인프레임이 수직으로 설 수 있다. 메인프레임이 수직하게 서면 이와 인접한 보조프레임이 펼쳐지게 되면서 안전표시 문양이 그려져 있는 방수천이 펼쳐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고안의 안전표시대는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작동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tc. are merely illustrat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afety indicator is installed by a conventional method. In general, the safety sign is stored in the same space as the trunk of a vehicle, and when an accident occurs, the driver immediately gets off, opens the trunk, pulls out the safety sign, and moves the rear side by a certain distance to install the safety sign. If the tail of the vehicle is broken and the trunk cannot open or get off, or if there is a sudden accident, the driver may forget to install a safety sign. In this case, the safety indicator becomes useless.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afety sign, because the driver to get off and move backwards to open the trunk and install manually, the driver of the following vehicle does not check the fact of the accident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may continue another life accident may occur.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rear bumper built-in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ure 2 corresponds to the plan view seen from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rear bump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mpact sensor 21 for detecting an impact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a winding drum is attached to one inner side thereof, and a spring, a supporter, and a safety indicator are installed.
The winding drum is attached to one inner surface of the rear bumper, and is connected to a spherical bod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silicon wire. The winding drum is sufficient as long as the silicon wire can be wound, and the shape and the material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in terms of size, it should be able to be attached to the rear bumper and be sized enough to wind a wire of about 2 to 3M as described below.
The spring operates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impact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The direction of operation shall be linear in the rear. For this purpose, a pair of supports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ing as shown. That is, when an accident occurs, the spring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is installed. 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an accident occurs and an external shock is detected, the safety indicator is bounced to the outside while the spring is opera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indica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indicator is a sphere (sphere) is filled with 1/4 ~ 1/3 of the soil or san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A main fram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A pair of auxiliary frames connected to an end of the main frame; It consists of a waterproof cloth that is drawn to the safety marking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In addition, the spherical main body has a pair of engaging por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spherical main body is connected to a winding drum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bumper by a silicon wire. .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pring is operated and the main body is bounced outward while overcoming the pressure of the catch.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and the silicon wire, the main body does not bounce indefinitely but only bounces by the distance of the wire. Typically, about 2 to 3M is appropria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designed and changed as appropriate.

In addition, earth or sand is f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a spherical main body. This is to allow the ball-shaped body to stand upright after being thrown out, and the amount of soil or sand charged may be larger than the sum of the weights of the mainframe, the auxiliary frame, and the waterproof cloth, but is usually based on volume. 1/4 to 1/3 is suitable.

Meanwhile, the rear bump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sensor 22. When the object is detected adjacent to the rear bumper 10, the rear detection sensor 22 is operated to stop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engaging portion even when an impact is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21.

Hereinafter,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f there is no impact from the outside, the safety indicator is located inside the rear bumper by a pair of engaging por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spherical body of the safety indicator.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pring is operated and the main body is bounced outward while overcoming the pressure of the catch.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and the silicon wire, the main body does not bounce indefinitely but only bounces the length of the wire. The bounced safety sign stands vertically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pherical body, just like Ottogi stands uprigh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herical main body stands upright, the main frame connected to the main body may stand vertically. As the main frame is vertical, the auxiliary frame adjacent to it is unfolded, and a waterproof cloth with a safety symbol is spread out.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driver can be operated even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10: 리어 범퍼 21: 충격감지센서 22: 후방감지센서 30: 스프링
40:지지대 50: 안전표시대 51: 본체 52: 메인프레임 53: 보조프레임
54: 방수천 55: 걸림부 60: 권취드럼 70: 실리콘 와이어
10: rear bumper 21: shock sensor 22: rear sensor 30: spring
40: support 50: safety indicator 51: main body 52: main frame 53: auxiliary frame
54: waterproof cloth 55: hook 60: winding drum 70: silicon wire

Claims (2)

자동차의 후방 차체에 설치되는 리어 범퍼(10)에 있어서
상기 리어 범퍼(10)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1)와
상기 리어 범퍼(10)의 내부 공간에 하기 한 쌍의 지지대(40)에 밀착하여 위치하는 스프링(30)과
상기 스프링(30)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지지대(40)와
상기 스프링(30)이 작동되면서 범퍼 외부로 방출되는 안전표시대(50);
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표시대(50)는 내부 하부에 흙 또는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1/4 ~ 1/3 충진되어 있는 구(球)형상의 본체(51)와
상기 본체(51)로부터 연장되는 메인프레임(52)과
상기 메인프레임(52)의 끝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53)과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53)의 타 끝단과 연결되어 있고 안전표시 문양이 그려져 있는 방수천(54)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球)형상의 본체(51)는 상기 리어 범퍼(10) 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권취드럼(60)과 실리콘 와이어(70)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球)형상의 본체(51)는 하부 일측면에 한 쌍의 걸림부(5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10)
In the rear bumper 10 installed in the rear body of the vehicl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bumper 10 to detect the impact With impact sensor 21
A spring 30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supports 40 below in the inner space of the rear bumper 10;
A pair of supports 40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spring 30 and
A safety indicator 50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mper while the spring 30 is operated;
Lt; / RTI >
The safety indicator 50 is a sphere-shaped body (51) is filled with 1/4 ~ 1/3 of the soil or sand in the bottom of the interior and the volume;
The main frame 52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51 and
A pair of auxiliary frames 53 connected to an end of the main frame 52 and
It is composed of a waterproof cloth 5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auxiliary frames 53 and the safety display pattern is drawn,
The spherical body 51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60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bumper 10 by a silicon wire 70.
The spherical main body 51 is a rear bumper 10 with a built-in safety indicato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engaging portions 55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범퍼에는 후방감지센서(22)가 더 구비되며,
상기 후방감지센서(22)에 의해 상기 리어 범퍼와 인접하여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는 충격감지센서(21)에 의해 충격이 감지되더라도 걸림부의 해제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bump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sensor 22,
When the object is detected adjacent to the rear bumper by the rear sensor 22, even if a shock is detected by the shock sensor 21, the vehicle stops the release of the lock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pping the operation Rear bumper (10)
KR2020110007795U 2011-08-29 2011-08-29 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KR2004670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95U KR200467007Y1 (en) 2011-08-29 2011-08-29 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95U KR200467007Y1 (en) 2011-08-29 2011-08-29 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55U KR20130001555U (en) 2013-03-08
KR200467007Y1 true KR200467007Y1 (en) 2013-05-20

Family

ID=5242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795U KR200467007Y1 (en) 2011-08-29 2011-08-29 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07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45B1 (en) * 2015-02-23 2016-09-06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Drop-Type Tripod Apparatus for Ca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818A (en) 1999-03-30 2000-10-10 Poota Kogyo:Kk Emergency lighting device and car with the emergency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818A (en) 1999-03-30 2000-10-10 Poota Kogyo:Kk Emergency lighting device and car with the emergency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55U (en)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73802B2 (en) Mechanical side impact protection for a child restraint
JP2005263036A (en)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KR101191142B1 (en) Fixing device of post for guide rail
JP2013112336A (en) Hitch receiver device for vehicle
KR200467007Y1 (en) Automobile Rear Bumper With Safety Indicator
US8167320B2 (en) Vehicle with carriage anti-tilting structure
KR101537103B1 (en) indicating device for car accident
KR101241021B1 (en) Active hood device for vehicle
KR101139285B1 (en) Closing bar system of Vehicle
KR101300611B1 (en) An avoidance structure for a car crash at a split road and a tunnel
KR200450305Y1 (en) vehicle tire chock
KR102165367B1 (en) Collision prevention system, and door protection a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424295A (en) A kind of intelligent height-limiting frame with vehicle bumper function
KR20120001409U (en) Automatic safety tripangular pole
CN201745659U (en) Wire rope type spare wheel-fixing secondary locking mechanism and spare wheel lifter
CN111455828B (en) Airbag device capable of handling bridge sudden danger
KR200448766Y1 (en) Pole for indicating traffic control of road
CN208393295U (en) A kind of bumper radar probe sensor
JP2002240711A (en) Protector with rescue apparatus for train
CN110053579A (en) Water dropping self saving formula automobile
CN206812979U (en) Swing arm unit for active Prevention-Security brake pedal
CN202294583U (en) Safety hammer fixing device
CN210941676U (en) Vehicle-mounted safety hammer
KR102068695B1 (en) Vehicl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CN108482293B (en) A kind of double automatic anti-stab safety devices of cylinder spring return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18

Effective date: 2013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