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951Y1 - 개폐식 광고판 - Google Patents

개폐식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51Y1
KR200466951Y1 KR2020110006342U KR20110006342U KR200466951Y1 KR 200466951 Y1 KR200466951 Y1 KR 200466951Y1 KR 2020110006342 U KR2020110006342 U KR 2020110006342U KR 20110006342 U KR20110006342 U KR 20110006342U KR 200466951 Y1 KR200466951 Y1 KR 200466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rotation
base frame
rotation suppor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520U (ko
Inventor
김길홍
Original Assignee
김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홍 filed Critical 김길홍
Priority to KR2020110006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5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09F13/0446Frame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45Interchangeable pos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 내용이 기록된 광고 시트의 후방을 구비되는 간판 베이스; 그리고 상기 간판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광고 시트의 전방을 커버하며, 일정각도 이상 회전 개방되면 상기 간판 베이스의 일측에서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식 광고판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광고 시트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를 일정각도 이상 회전 개방한 후에 상기 전면 커버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광고 시트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며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식 광고판{Open/Close Type Sign Board}
본 고안은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판의 전면 커버를 회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식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판은 광고하는 글이나 그림을 붙이는 판으로서, 간판도 광고판의 일 예라 볼 수 있으며, 상점이나 대리점 등의 영업소나 회사 등에서 상호나 판매 상품, 업종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광고판, 특히 간판은 설치장소에 따라 옥상간판, 벽면간판, 돌출간판, 점두간판, 입간판, 빌보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조에 따라 네온사인, 광고탑, 조명광고간판, 그림간판, 플라스틱간판, 시네사인(Cine Sign)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간판은 교통광고분야에서도 볼 수 있는데 차내광고판, 차외광고판, 역사내에 설치되는 고정광고판 등이 있다.
상기 광고판의 내용은 문자, 부호, 도형, 그림, 로고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기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광고판의 내용을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구조의 광고판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자는 광고 내용의 교체가 용이하고, 더 나아가 광고 내용을 조명하는 광원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한 구조의 개폐식 광고판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광고판의 내부에 삽입되는 광고 내용의 교체나 변경이 용이한 구조의 개폐식 광고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고 내용을 조명하는 광원의 수리나 교체가 용이한 구조의 개폐식 광고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 내용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의 고정을 위한 자석의 설치 및 수용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가 쉬운 개폐식 광고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광고 내용이 기록된 광고 시트의 후방을 구비되는 간판 베이스; 그리고 상기 간판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광고 시트의 전방을 커버하며, 일정각도 이상 회전 개방되면 상기 간판 베이스의 일측에서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식 광고판을 제공한다.
상기 간판 베이스는, 상기 전면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면 커버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광고 시트를 덮는 커버 패널과 상기 커버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와 연결되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전면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회전 연결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탈거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회전 지지축과 상기 회전 연결부가 상기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연결부는 상기 회전 지지축이 끼워지는 걸림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 고리의 일측 단부는, 상기 걸림 고리가 상기 회전 지지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구속홈에 인입되며, 상기 전면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걸림 고리와 상기 회전 지지축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구속홈의 외부로 탈거된다.
상기 구속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고리는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에 접하는 180°이하의 원호 구간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면 커버의 개방을 방지하는 마그네틱 부재와 상기 마그네틱 부재의 장착을 위한 마그네틱 수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 부착되는 금속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압출성형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회전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 탈착된다.
상기 간판 베이스는, 상기 광고 시트의 조명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 커버에 의해 전방이 차폐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고 시트의 후방에 구비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을 향해 조명광을 출사하는 엘이디(LE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도광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도광판의 후방을 마감하는 미장용 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미장용 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배면 사이에는 반사시트가 적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광고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광고 시트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를 일정각도 이상 회전 개방한 후에 상기 전면 커버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광고 시트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며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 커버의 회전 및 탈착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상기 전면 커버의 탈착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 커버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마그네틱 부재를 수용하는 마그네틱 수용홈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압출성형시에 동시 성형이 가능하므로 마그네틱 수용홈의 형성을 위한 후가공이 필요 없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에 미장용 시트가 구비되어 도광판의 후방을 마감할 수 있으며, 상기 미장용 시트의 전방에 적층되는 반사시트와 함께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광고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식 광고판의 간판 베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식 광고판의 전면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식 광고판의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식 광고판의 전면 커버가 회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식 광고판의 전면 커버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하고 간판 베이스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광고판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광고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식 광고판의 간판 베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식 광고판의 전면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광고판은, 간판 베이스(100)와 상기 간판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판 베이스(100)는 광고 내용, 예를 들면 문자, 기호, 이미지 등이 기록된 광고 시트(도시되지 않음)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커버(200)는 상기 간판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개폐되면서 상기 간판 베이스(100)의 전방에 회전 개폐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고 시트가 설치되는 부분을 개폐한다. 따라서 상기 광고 시트는 상기 간판 베이스(100)와 상기 전면 커버(20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200)는 상기 간판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 개방되면 상기 간판 베이스(100)의 일측에서 회전 축선(전면 커버의 회전 중심)의 반경방향, 예를 들면 상기 간판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면 커버(200)의 회전 개방 각도가 일정 각도 미만일 때에는 상기 전면 커버(200)가 상기 간판 베이스(100)에 구속되어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으나, 상기 전면 커버(2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면 상기 간판 베이스(10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전면 커버(200)가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탈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판 베이스(100)는, 상기 전면 커버(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전면 커버(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111)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 커버(200)는 상기 광고 시트를 덮는 커버 패널(210)과 상기 커버 패널(210)에 구비되는 회전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220)는 상기 회전 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111)는 상기 전면 커버(10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22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면 커버(200)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회전 연결부(220)가 상기 회전 지지부(111)에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 특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으로 탈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회전 연결부(220)는 상기 회전 지지부(111)에 걸림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전면 커버(20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예를 들면 대략 45°로 회전 개방되면 상기 회전 지지부(111)에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 지지부(111)는 상기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회전 지지축(111a)과 상기 회전 연결부(220)를 구속하는 구속홈(111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220)는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이 끼워지는 걸림 고리(221)를 포함한다.
상기 구속홈(111b)은 상기 회전 연결부(220), 즉 상기 걸림 고리(221)가 상기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걸림 고리(221)의 일측 단부가 상기 구속홈(111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고리(221)의 일측 단부(221a)가 상기 구속홈(111b)에 걸려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전면 커버(200)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걸림 고리(221)가 상기 회전 지지축(111a)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 고리(221)의 일측 단부(221a)가 상기 구속홈(111b)의 외부로 빠져나온다.
즉, 상기 전면 커버(200)의 개방 각도가 일정 각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전면 커버가 닫히면 상기 걸림 고리의 일측 단부(221a)가 상기 구속홈(111b)에 인입되면서 상기 걸림 고리(221)가 상기 회전 지지부(111)에 구속되며, 상기 전면 커버(20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걸림 고리의 일측 단부(221a)가 상기 구속홈(111b)의 입구에서 빠져나오면서 상기 걸림 고리(221)가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탈거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속홈(111b)은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의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 고리(221)의 일측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고리(221)는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의 외주면에 접하는 180°이하의 원호 구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200)의 회전 축선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은 둘레의 일측이 연결 리브(111c)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은 축단면이 길이방향으로 동일 단면형상, 예를 들면 원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리브(111c)는 상기 회전 지지축(111a)과 동일 길이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형상인 것이 좋으며,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을 압출 성형할 때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부터 일정 개방각도 이상, 예를 들면 대략 45°이상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전면 커버(200)가 45°개방되면 상기 걸림 고리(221)의 일측 단부가 상기 구속홈(111b)에서 빠져 나와서 상기 걸림 고리가 상기 회전 지지축(111a)에서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자력에 의해 상기 전면 커버(200)의 개방을 방지하는 마그네틱 부재(120)와 상기 마그네틱 부재(120)의 장착을 위한 마그네틱 수용홈(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200)는 상기 마그네틱 부재(120)에 부착되는 금속부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200)는 일측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부분이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부착됨으로써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압출성형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길게 연통되는 형상으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을 압출성형할 때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마그네틱 부재(12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후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동일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직선으로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지지부(111), 특히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이 상기 전면 커버(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회전 연결부(220), 즉 걸림 고리(22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부재(230)는 상기 전면 커버(200)의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틱 부재(120)에 자력에 의해 탈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지지축(111a)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형 단면의 바(Bar) 형상이 될 수 있고, 상기 걸림 고리(221)는 상기 커버 패널(210)의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대략 "C"형 단면의 고리 형상으로서, 상기 회전 지지축(111a)에 지지된 상태로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여유 틈새를 갖도록 둘레의 일측이 터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220)는 상기 커버 패널(210)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커버 패널(210)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며 전면이 개방된 형태, 예를 들면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의 전면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길게 슬롯(Slot)이 형성된 홈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그네틱 부재(120)는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의 전방에서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에 삽입되는 막대형상이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121)에 부착방식, 예를 들면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금속부재(230)는 상기 커버 패널(210)의 하단에 상기 마그네틱 부재(120)와 맞닿도록 고정되는데, 예를 들면 금속 플레이트를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패널(210)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고정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상기 금속부재(230)는 상기 회전 연결부(220)와 동일한 형상과 재질로서 상기 회전 연결부(220)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커버 패널(210)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 패널(210)의 상하방향이 역전된 상태로서도 상기 간판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금속부재(230)와 상기 회전 연결부(220)의 기능이 상호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판 베이스(100)는 상기 광고 시트의 조명을 위해 백라이트 유닛(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 커버(200), 특히 상기 커버 패널(210)에 의해 전방이 차폐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30)은, 상기 광고 시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도광판(131)과 상기 도광판(131)을 향해 조명광을 출사하는 엘이디(132,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광판(131)은 사각형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모서리를 향해 상기 엘이디(132)의 조명광이 출사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기 도광판(131)을 수용하는 일정 깊이의 도광판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 설치홈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상기 엘이디(132)가 일 열로 복수 개씩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131)의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를 조명하나 상기 도광판의 좌측 및/또는 우측 모서리 부분에도 상기 엘이디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31)의 전면과 상기 커버 패널(210) 사이에는 상기 광고 시트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200)가 회전 개방된 후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으로 전방으로 분리되면 상기 광고 시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엘이디(132)와 상기 도광판(131)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엘이디(132)의 수리나 교체가 손쉽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기 도광판(131)의 후방에 위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도광판(131)의 후방을 마감하는 미장용 시트(141)가 구비되고, 상기 미장용 시트(141)와 상기 도광판(131)의 배면 사이에는 반사시트(142)가 적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이 심미감 있게 마감될 수 있는 동시에 빛의 누설, 즉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장용 시트(141)에는 상기 반사시트(142)가 부착되는데,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143)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미장용 시트(141)의 설치를 위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미장용 시트(141)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간판 베이스(100)와 상기 전면 커버(200)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 패널(210)을 투시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투명 아크릴로 제조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광고판의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와 회전 개방된 상태가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광고판의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 개방된 후 간판 베이스에서 탈거(분리)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도 6a와 같이 전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마그네틱 부재(12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전면 커버(200)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전면 커버(200)가 상단 가장자리의 회전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상방 회전하여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걸림 고리가 상기 구속홈(111b)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 지지부(111), 특히 상기 구속홈(111b)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도 6c에서와 같이 전면 커버(200)를 상기 간판 베이스(100)의 전방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고시트의 교체나 엘이디의 수리 등을 위한 작업이 전면 커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간판 베이스 110: 베이스 프레임
111: 회전 지지부 111a: 회전 지지축
111b: 구속홈 111c: 연결 리브
120: 마그네틱 부재 121: 마그네틱 수용홈
131: 도광판 132: 엘이디
200: 전면 커버 210: 커버 패널
220: 회전 연결부 221: 걸림 고리
230: 금속부재

Claims (9)

  1. 광고 내용이 기록된 광고 시트의 후방에 구비되는 간판 베이스; 그리고
    상기 간판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광고 시트의 전방을 커버하며, 일정각도 이상 회전 개방되면 상기 간판 베이스의 일측에서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간판 베이스는, 상기 전면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광고 시트의 조명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커버에 의해 전방이 차폐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면 커버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광고 시트를 덮는 커버 패널과 상기 커버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와 연결되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전면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회전 연결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탈거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연결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고 시트의 후방에 구비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을 향해 조명광을 출사하는 엘이디(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도광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도광판의 후방을 마감하는 미장용 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미장용 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배면 사이에는 반사시트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광고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회전 지지축과 상기 회전 연결부가 상기 회전 축선의 반경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연결부는 상기 회전 지지축이 끼워지는 걸림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림 고리의 일측 단부는, 상기 걸림 고리가 상기 회전 지지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구속홈에 인입되며, 상기 전면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걸림 고리와 상기 회전 지지축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구속홈의 외부로 탈거되는 개폐식 광고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은, 상기 회전 지지축의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고리는 상기 회전 지지축의 외주면에 접하는 180°이하의 원호 구간을 형성하는 개폐식 광고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전면 커버의 개방을 방지하는 마그네틱 부재와 상기 마그네틱 부재의 장착을 위한 마그네틱 수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 부착되는 금속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식 광고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압출성형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 개폐식 광고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회전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와 나란한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틱 부재에 탈착되는 개폐식 광고판.
  8. 삭제
  9. 삭제
KR2020110006342U 2011-07-13 2011-07-13 개폐식 광고판 KR200466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42U KR200466951Y1 (ko) 2011-07-13 2011-07-13 개폐식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42U KR200466951Y1 (ko) 2011-07-13 2011-07-13 개폐식 광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20U KR20130000520U (ko) 2013-01-23
KR200466951Y1 true KR200466951Y1 (ko) 2013-05-16

Family

ID=5242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342U KR200466951Y1 (ko) 2011-07-13 2011-07-13 개폐식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52Y1 (ko) * 2014-12-12 2017-02-24 주식회사 에이엘 Led 안내표지판
KR102091080B1 (ko) * 2018-03-21 2020-03-19 이봄이 개폐와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유도 안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20U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876B2 (en) Display system for gaming cabinets
KR200466951Y1 (ko) 개폐식 광고판
KR200466950Y1 (ko) 개폐식 광고판
KR200438312Y1 (ko) 간판 장치
KR101631134B1 (ko) 광고용 조명장치
KR101026881B1 (ko) 광 감응성 광고부를 구비한 광고 패널
KR20100026520A (ko) 물기의 유입이 방지된 슬림형 라이트 박스
KR100994041B1 (ko) 광고시트의 교환이 용이한 엘이디를 사용한 라이트박스
KR20170027470A (ko) 유리부착용 조명식 광고장치
JP2009042537A (ja) 薄型表示装置
KR101099323B1 (ko) 게시물 홀더
KR102230722B1 (ko) 조명 무조명 일체형 실내 광고판
JP2020524891A (ja) ライトフレーム
KR100922779B1 (ko) 연립형 돌출간판
KR101371728B1 (ko) 버스용 광고장치
US8695255B2 (en) Holder for displaying a sheet of material
JP5496831B2 (ja) 電飾看板装置
JP2005107075A (ja) 表示装置
KR200392422Y1 (ko) 액자
KR102110014B1 (ko) 광고물 교체가 용이한 led 광고판
KR200310179Y1 (ko) 광고액자용 프레임
EP0960415B1 (en) Window display arrangement
KR200348262Y1 (ko) 광고용 간판
KR200311585Y1 (ko) 도광판을 이용한 포스터 박스 겸용 광고용 판넬
KR102091080B1 (ko) 개폐와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유도 안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