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69Y1 - 부메랑 - Google Patents

부메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69Y1
KR200466769Y1 KR2020110003863U KR20110003863U KR200466769Y1 KR 200466769 Y1 KR200466769 Y1 KR 200466769Y1 KR 2020110003863 U KR2020110003863 U KR 2020110003863U KR 20110003863 U KR20110003863 U KR 20110003863U KR 200466769 Y1 KR200466769 Y1 KR 200466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erang
light
hole
groov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805U (ko
Inventor
이완휘
정미정
Original Assignee
정미정
이완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정, 이완휘 filed Critical 정미정
Priority to KR202011000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6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8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5/00Implements for throwing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63B65/08Boomerangs ; Throwing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메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도 부메랑을 사용할 수 있도록 날개에서 축광이 구비되어 있어 빛을 방출하고 부메랑의 중심점에서는 LED가 점등되어 발광되도록 하며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사용 후 절첩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부메랑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부메랑에 있어서, 일정한 모양을 구비하며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야간에 빛이 발산되도록 축광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날개몸체판의 일끝단에는 결합요홈을 형성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결합요홈과 결합돌기 사이에는 조립시 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일정한 곡율을 갖는 페이스-홈을 구비한 조립부가 형성된 날개부재와; 종이재로 이루어지며 한쪽면에는 접착재가 도포되 상기 날개부재가 다수개로 조립될 때 페이스-홈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페이스-홈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관통공과 같은 형상을 갖는 통공이 구비된 고정시트재와;상기 빛을 발광하는 LED소자가 내부에 삽입 설치되되 페이스-홈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면서 고정시트재가 끼워지는 환형의 홈을 구비한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부메랑{boomerang}
본 고안은 부메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도 부메랑을 사용할 수 있도록 날개에서 축광이 구비되어 있어 빛을 방출하고 부메랑의 중심점에서는 LED가 점등되어 발광되도록 하며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사용 후 절첩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부메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메랑은 방향이 다른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날개로 구성되어 전방으로 던지게 되면 목표물로 날아갔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되어 있어 예전에는 이를 사냥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부메랑은 던지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단순한 작동의 반복이므로 쉽게 싫증을 내게 되고 또한 야간에는 놀이를 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여 현재에는 스프링을 활용한 부메랑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날릴 경우에 끝부분의 원심력이 최대가 되므로 스프링이 늘어나게 되어 접점되는 방식으로서 던지지 않으면 작동이 불가능하며, 날개의 끝부분만 발광하는 방식으로 시각적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날개와 인접하는 다른 날개에는 결합요홈과 결합돌기를 형성시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날개에 축광이 포함되어 야간에도 부메랑을 이용한 놀이가 가능하고, 부메랑 중심부에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수단이 설치되어 점등되도록 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발포폼으로 이루어져 신체접촉 및 유리에 부딪혀도 다치거나 파손 등이 아니 되는 안전성이 부여된 부메랑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부메랑에 있어서, 일정한 모양을 구비하며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야간에 빛이 발산되도록 축광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날개몸체판의 일끝단에는 결합요홈을 형성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결합요홈과 결합돌기 사이에는 조립시 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일정한 곡율을 갖는 페이스-홈을 구비한 조립부가 형성된 날개부재와; 종이재로 이루어지며 한쪽면에는 접착재가 도포되 상기 날개부재가 다수개로 조립될 때 페이스-홈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페이스-홈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관통공과 같은 형상을 갖는 통공이 구비된 고정시트재와; 상기 빛을 발광하는 LED소자가 내부에 삽입 설치되되 페이스-홈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면서 고정시트재가 끼워지는 환형의 홈을 구비한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메랑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통공이 관통공 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환형의 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메랑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날개와 인접하는 다른 날개에는 결합요홈과 결합돌기를 형성시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날개에 축광이 포함되어 야간에도 부메랑을 이용한 놀이가 가능하고, 부메랑 중심부에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수단이 설치되어 점등되도록 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발포폼으로 이루어져 신체접촉 및 유리에 부딪혀도 다치거나 파손 등이 아니 되는 안전성 등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부메랑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인 날개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부메랑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b의 "A"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부메랑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인 날개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도 2b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부메랑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부메랑(1)은 일정한 모양을 구비하며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야간에 빛이 발산되도록 축광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날개몸체판(10a)의 일끝단에는 결합요홈(11)을 형성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돌기(12)가 구비되며 결합요홈(11)과 결합돌기(12) 사이에는 조립시 원형의 관통공(13)을 형성하는 일정한 곡율을 갖는 페이스-홈(14)을 구비한 조립부(15)가 형성된 날개부재(10) 다수개가 서로 결합된다.
즉 날개부재(10)의 결합요홈(11)에는 인접하는 결합돌기(12)가 결합돌기(12)는 인접하는 결합요홈(11)에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상기 날개부재(10)가 다수개로 조립될 때 페이스-홈(14)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관통공(13)과 같은 형상을 갖는 통공(21)이 구비된 고정시트재(20)가 상기 날개부재(10)가 다수개로 조립될 때 페이스-홈(14)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관통공(13)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설치되며,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시트재(20)를 클립수단(30)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시트재(20)의 구조는 종이재로 이루어지며 한쪽면에는 접착재가 도포되 상기 날개부재(10)가 다수개로 조립될 때 페이스-홈(14)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관통공(13)과 같은 형상을 갖는 통공(21)이 구비된 구조이며, 상기 클립수단(30)의 구조는 탄성이 있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ㄷ 형태로 형성된 날개부재(10)가 서로 맞닿은 부분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한편 날개부재(10)가 조립되면 페이스-홈(14)들이 결합하여 관통공(13)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관통공(13)에는 빛을 발광하는 LED소자(44)와 기판 및 건전지가 케이스(40a)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발광수단(40)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때 상기한 발광수단(40)에는 고정시트재(20)가 끼워지는 환형의 홈(41)을 구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클립수단(30)의 끝단부를 끼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클립수단(30)을 사용하게 되면 고정시트재(20)를 사용시 보다는 날개부재(10) 다수개가 조립되어 맞닿는 부분을 클립수단(30)이 클램핑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킴으로 하늘을 향해 부메랑을 날려도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부메랑(1)을 공중으로 날려가며 놀이를 즐기며, 야간에는 날개몸체판(10a)에 축광이 포함되어 부메랑(1)을 하늘로 날리기 전에 부메랑(1)을 손으로 쳐서 충격을 전달하면 일정한 충격에 의해 발광수단(40)을 이루고 있는 LED소자(44)가 발광하게 된다. 상기 LED소자(44)의 발광은 점멸상태를 지칭한다.
상기 LED소자(44)가 점멸상태로 작동하게 되면 부메랑(1)을 하늘로 날리게 되면 LED소자(44)에서 발산되는 점멸상태의 불빛과 날개몸체판(10a)에 포함되어 있는 축광에 의해 날개몸체판(10a)에서 빛이 발산되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날개몸체판(10a)의 무게가 가볍고 발포폼으로 이루어져 신체접촉 및 유리에 부딪혀도 다치거나 파손 등이 아니 되는 안전성 등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 : 부메랑 10 : 날개부재
11 : 결합요홈 12 : 결합돌기
13 : 관통공 14 : 페이스-홈
20 : 고정시트재 30 : 클립수단
40 : 발광수단

Claims (3)

  1. 부메랑에 있어서,
    일정한 모양을 구비하며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야간에 빛이 발산되도록 축광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날개몸체판의 일끝단에는 결합요홈을 형성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결합요홈과 결합돌기 사이에는 조립시 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일정한 곡율을 갖는 페이스-홈을 구비한 조립부가 형성된 날개부재와;
    종이재로 이루어지며 한쪽면에는 접착재가 도포되 상기 날개부재가 다수개로 조립될 때 페이스-홈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페이스-홈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관통공과 같은 형상을 갖는 통공이 구비된 고정시트재와;
    상기 빛을 발광하는 LED소자가 내부에 삽입 설치되되 페이스-홈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면서 고정시트재가 끼워지는 환형의 홈을 구비한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메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이 관통공 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환형의 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메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트재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ㄷ 형태의 클립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메랑.
KR2020110003863U 2011-05-04 2011-05-04 부메랑 KR200466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63U KR200466769Y1 (ko) 2011-05-04 2011-05-04 부메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63U KR200466769Y1 (ko) 2011-05-04 2011-05-04 부메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05U KR20120007805U (ko) 2012-11-14
KR200466769Y1 true KR200466769Y1 (ko) 2013-05-13

Family

ID=4751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63U KR200466769Y1 (ko) 2011-05-04 2011-05-04 부메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501B1 (ko) * 2014-05-01 2014-11-10 (주)경남산업 양손 부메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03Y1 (ko) 1999-10-04 2000-03-15 허정진 회전 원반
US6443861B1 (en) 2000-07-10 2002-09-03 Robert W. Foulke Flying toy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03Y1 (ko) 1999-10-04 2000-03-15 허정진 회전 원반
US6443861B1 (en) 2000-07-10 2002-09-03 Robert W. Foulke Flying toy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05U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1035B1 (en) Sound and light effects ball structure
US20160245628A1 (en) Universal Lighted Nock and Processes Therefor
US7631876B1 (en) Magnetic projectile and target game that uses a fulcrum board launcher
AU2008203535A1 (en) Soft Projectile
CN106573177A (zh) 具有头部的带箭杆的抛射体
KR101937154B1 (ko) 화살용 발광 낙
US9526294B2 (en) Footwear with insertable lighting assembly
KR200466769Y1 (ko) 부메랑
US20150198289A1 (en) Light tube
US20150151209A1 (en) Individual and assembleable flying toys
US20150292715A1 (en) Cheering device
CN107438736B (zh) 发光体,该发光体的应用以及发射装置
KR200281724Y1 (ko) 모형비행기와 발사기
KR200465452Y1 (ko) 엘이디램프를 구성한 부메랑
US20190247763A1 (en) Glider toy and kit
KR100861141B1 (ko) 배드민턴 셔틀콕
US20100296300A1 (en) LED lamp
KR101272124B1 (ko) 학습 교구용 비행기와 로켓 겸용형 비행기구
US20100062676A1 (en) Boomerang flying disc
US9352241B1 (en) Rubber band powered toy vehicle
KR200439558Y1 (ko)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JP3205430U (ja) 落下羽根付led光彩玩具
KR200232680Y1 (ko) 고공 비행이 가능한 완구용 로켓트
CN109126016B (zh) 跳跃器
CN202516246U (zh) 一种用于表演的发光垒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