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680Y1 -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 Google Patents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680Y1
KR200466680Y1 KR2020100004909U KR20100004909U KR200466680Y1 KR 200466680 Y1 KR200466680 Y1 KR 200466680Y1 KR 2020100004909 U KR2020100004909 U KR 2020100004909U KR 20100004909 U KR20100004909 U KR 20100004909U KR 200466680 Y1 KR200466680 Y1 KR 200466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hoe
foot
sp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9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0706U (en
Inventor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전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현 filed Critical 전상현
Priority to KR2020100004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680Y1/en
Publication of KR20110010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0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68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원형구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의 원형구조립체를 신발에 적용시킴으로써,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과도한 회내전(pronation) 및 회외전(supination)에 의한 중심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구가 철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견고성 및 수명이 증가될 수 있는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midsole equipped with a circular assembly, specifically, by applying a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of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circular sphere and a spring to the shoe, while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s, excessive pro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provided with a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eviation from the center due to the supination, as well as the circular sphere made of an iron material, which can increase the rigidity and the life.

Description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본 고안은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구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의 원형구조립체를 신발 아치부분에 적용시킴으로써, 보행 또는 운동 시, 발의 과도한 회내전(pronation) 및 회외전(supination)에 의한 중심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midsole provided with a circula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circular structure of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circular ball and a spring to the shoe arch portion, excessive pronation of the foot during walking or exercise And it relates to a shoe midsole equipped with a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eviation from the center due to supination (supination).

인간의 보행능력이 오늘날 진화를 이룩한 절대적 이유라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진화를 유지해 온 발에 대하여 단순한 멋의 유지를 위한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발의 기능 저하 및 발의 변형발달을 가져왔다. 이는 기본적인 보행능력 및 운동능력을 저하시키고 발에 의해 유발되는 중요 질병의 원인이 되었다.
It is well known that human walking is the absolute reason for evolution today. For the feet that have maintained this evolution, wearing shoes for the maintenance of simple fashion has resulted in deterioration of foot function and development of foot deformation. This lowered the basic walking ability and exercise ability and caused the important disease caused by the foot.

발에는 크고 작은 26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고, 이 뼈들이 인대와 근육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 또한 발에는 돔형의 아치가 있고, 발을 디딜 때 체중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The foot consists of 26 large and small bones, which are supported by ligaments and muscles. The foot also has a domed arch and absorbs the impact of weight when treading.

인간의 성장을 통해서 발에 있어 가장 많은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발가락과 돔형의 아치이며, 특히 돔형의 아치가 변형 성장(무너짐, 평발, 까치발)하는 것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골격이 무너지는 것이며, 이는 발에 의해 야기되는 중요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The most deformation of the foot through human growth is the toe and dome arches, and especially the deformation of the dome arches (collapsing, flat feet, crow's feet) is the collapse of the shock-absorbing skeleton. It can also be a major cause of illness caused by the feet.

일반적으로 발의 보행 동작을 분석해 보면, 먼저 발뒤꿈치 바깥쪽이 지면에 닿고, 앞쪽으로 발을 굴린 다음 발가락이 지면에서 만나며, 마지막으로 지면으로부터 발뒤꿈치가 들리고 발이 앞쪽으로 당겨지면서 운동이 일어 난다.
In general, when the foot movement is analyzed, the movement of the foot occurs first as the outside of the heel touches the ground, the front of the foot is rolled, then the toes meet at the ground, and finally the heel is lifted from the ground and the foot is pulled forward.

발은 아래쪽으로 회전되고 내측 지면에 닿을 때 회내전(pronation)을 불러온다. 이것은 정상적인 하나의 과정이다. 이러한 정상적인 과정의 회내전(pronation)은 발이 땅에 닿는 순간 발의 충격을 흡수하기에 좋다.
The foot rotates downward and causes pronation when it touches the medial ground. This is a normal process. This normal process of pronation is good for absorbing the impact of the foot the moment it touches the ground.

그러나 발특성 또는 운동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신발의 착용으로 인하여 보행 또는 운동시 과도한 회내전(pronation)을 하게 되고 어떤 경우는 회외전(supination)을 하게 된다. 즉, 발이 중심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due to wearing wrong shoes that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t or exercise, excessive pronation occurs during walking or exercise, and in some cases, supination. In other words, the foot is unable to stay centered.

이는 발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며 특히 하지와 무릎 및 허리의 손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This results in damage to the feet, and in particular leads to damage to the lower extremities, knees and waist.

상기와 같은 과도한 회내전과 회외전에 의한 중심이탈은 주로 발의 내측 아치가 원인이며, 과도한 회내전은 발의 내측 아치가 무너졌을 때, 회외전은 발의 내측 아치가 평균치보다 높을 때 야기되는 현상이다.
The above-mentioned center deviation due to excessive abduction and abduction is mainly caused by the medial arch of the foot. Excessive abduction is caused when the medial arch of the foot collapses and the medial arch of the foot i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이와 같이 발의 중심이탈을 보완을 위하여 깔창(insole)을 삽입하여 보완하고 있으나, 평균치에 의한 대량생산에 의존하여 개별적 특성이 적용될 수 없어 보완의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In this way, the insole is inserted to compensate for the deviation from the center of the foot. Howev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nnot be applied depending on the mass production by the average value, and thus has a limitation of the supplement.

이러한 보완의 한계성은 신발 착용자로 하여금 기형 성장을 유발하며, 기타 부위로의 불편함의 확대 등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The limitation of this supplement causes malformation growth of the shoe wearer and causes many side effects such as an increase in discomfort to other parts.

일부의 경우 발의 내측 아치가 일부 손상된 상태이거나 기타 부위의 통증 등 불편함으로 인하여 재활이나 교정을 위한 개별 맞춤형 깔창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신발에 추가적인 보조구(Arch support, Metatarsal pad)를 삽입하여 보완의 완성도를 높이는 조치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발에 있어 이상 징후의 정도가 초기를 넘어 많이 진전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사전에 예방을 위한 조치는 아닌 것이다.
In some cases, the internal arch of the foot may be partially damaged or inconvenient, such as pain in other areas, which may lead to the use of individual customized insoles for rehabilitation or correction, or by inserting additional support (Arch support, Metatarsal pad) into existing shoes. Sometimes measures to increase the However, in this case, the degree of abnormal symptoms in the foot is more advanced than the early stage, and is not a preventive measure in advance.

발 문제는 이상의 징후를 초기에 발견하거나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보행방법 등의 교정을 통하여 일정 부분 예방을 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계속해서 발의 보행 특성에 맞지 않는 잘못된 신발을 지속적으로 착용하게 되면 기본적인 예방이 어려워지며, 근원적인 문제를 가지게 된다.
It is true that foot problems can be prevented in part by early detection of abnormal symptoms or by correction of walking methods if symptoms are not severe. However, if you continue to wear the wrong shoes that do not match the walking characteristics of the foot, the basic prevention is difficult, and the underly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7412호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뒷꿈치 부분에 블래더 시스템(10)을 구비하여 보행 시, 과도한 회내전 및 회외전 방지하여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07412 is shown in Figures 1 and 2, when walking with a bladder system 10 in the heel portion of the shoe, excessive Proposed shoes that can maintain the center by preventing the abduction and abduction.

상기 블래더시스템(10)은, 도관(20,30)에 의해 상호 연통되는 블래더 챔버(12,14,16)를 구성하고, 상기 도관(20,30)에 밸브(22,32)를 구비함으로써, 보행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밸브(22,32)가 블래더 챔버(12,14,16) 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과도한 회내전 및 회외전을 억제하는 구성이다.
The bladder system 10 constitutes bladder chambers 12, 14, 16 that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conduits 20, 30, and has valves 22, 32 in the conduits 20, 30. As a result, the valves 22 and 32 operated by the load generated during walking adjust the pressure in the bladder chambers 12, 14 and 16 to suppress excessive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하지만, 상기와 같은 블래더시스템(10)은 챔버, 도관, 밸브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통상의 폴리우레탄필름으로 제조되는 챔버의 특성상 과도한 하중 및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터짐, 찢어짐)됨으로써 오히려 중심이탈을 더욱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bladder system 10 as described abov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a chamber, a conduit, a valve, and the like,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a chamber made of a conventional polyurethane film. When excessive loads and impacts are applied,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breakage (torn, tearing), thereby causing more center devia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원형구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의 원형구조립체를 신발에 적용시킴으로써,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과도한 회내전 및 회외전에 의한 중심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s, by applying a circular structure of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circular sphere and a spring to the shoe,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s, the center of excessive rotation and abdu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midsole equipped with a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departure.

또한, 상기 원형구가 철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견고성 및 수명이 증가될 수 있는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circular sphere is made of an iron material, to provide a shoe midsole with a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that can increase the durability and life.

본 고안은 신발의 중창에 있어서, 신발 중창의 중앙부 일단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 내에 삽입되는 원형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dsole of the shoe, a spac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oe midsole; And a shoe midsole provided with a circular structural member including a circular structural member inserted into the space.

한편, 상기 상기 원형구조립체는, 원형구; 및 일단이 상기 원형구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공간부의 측벽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r structure, a circular sphere; And at least one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with the circular sphere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the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또한, 상기 스프링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원형 강관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pring,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circular steel pipe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고안에 의하면, 원형구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의 원형구조립체를 신발에 적용시킴으로써,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과도한 회내전 및 회외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구가 철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견고성 및 수명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circular structure assembly of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circular sphere and a spring to the shoe, while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excessive internal and external warfare as well as the circular sphere is iron By being made of the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bustness and life can be increased.

도 1 및 도 2는 종래 블래더 시스템이 구비된 중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중창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원형구조립체의 상세도
도 5는 도 3의 원형구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구조립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dso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bladder system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dsole provided with a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view of the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of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ircular assembly of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ircular struc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중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형구조립체의 상세도로써, 본 고안은 신발 중창(40)의 중앙부 일단에 공간부(41)를 형성시키고, 상기 공간부(41) 내에 원형구조립체(4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dsole provided with a circul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circular structure of Figure 3, the subject innovation space in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oe midsole 40 The part 41 is formed, and the circular structure 42 is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41.

상기 원형구조립체(42)는 보행 시, 하중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여 유동하여 발의 과도한 회내전 및 회외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구(42a) 및 스프링(4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ircular assembly 42 is configured to prevent excessive extinction and abduction of the foot by flow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load when walking, and includes a circular sphere 42a and a spring 42b.

상기 원형구(42a)는 일정 무게를 가지는 철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스프링(42b)에 의해 유동성 및 탄성을 가진다.
The circular sphere 42a is made of an iron material having a certain weight, and has fluidity and elasticity by a spring 42b coupl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스프링(42b)은 일단이 상기 원형구(42a)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공간부(41)의 측벽과 결합되며, 신발의 크기, 착용자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갯수로 설치될 수 있으나,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상기 원형구(42a)의 외주면에서 4방향으로 뻗어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spring 42b is coupled to the circular sphere 42a,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41,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number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hoe, the load of the wearer, and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preferable to extend in four direction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sphere (42a).

한편, 상기 스프링(42b)은 인장과 축소를 반복하는 것으로, 그 꼬임을 방지하고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원형 강관(42c)이 체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pring (42b) is to repeat the tension and shrinkage, in order to prevent the twist and to improve the firmness of one or more circular steel pipe (42c)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5는 도 3의 원형구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원형구조립체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lar assembly of Figure 3,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circul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인 보행 시, 발은 도 5의 'A' 선과 같은 동선(회내전(pronation))을 가지며, 이에 따라 'A' 선에 대응하여 하중 및 충격이 가해진다.
In general walking, the foot has the same copper wire as the 'A' line of FIG. 5 (pronation), so that a load and an impact are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A' line.

한편, 본 고안의 원형구(42a)는 스프링(42b)에 의한 탄성을 바탕으로 상기 'A' 선과 반대되는 'B'선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r sphere 42a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B' line opposite to the 'A' line based on the elasticity by the spring 42b.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선에 따른 하중 및 충격이 상기 'A' 선에 근접한 스프링(42b)을 압박하게 되고, 상기 원형구(42a)는 상기 압박된 스프링(42b)의 반대 반향측으로 유동, 즉 'B'선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발이 'A' 선의 'a'와 같은 방향으로 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6, the load and the impact along the 'A' line will press the spring 42b close to the 'A' line, the circular sphere 42a is the pressed spring 42b It will flow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low, ie in the direction of the 'B' line, thereby restraining the foot from the cent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 of the 'A' line.

따라서, 본 고안은 원형구(42a)와 스프링(42b)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의 원형구조립체(42)를 신발에 적용시킴으로써,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과도한 회내전 및 회외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구(42a)가 철소재로 이루어지고, 스프링(42b)에 별도의 강관(42c)이 체결됨으로써, 견고성 및 수명이 증가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circular structure 42 having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circular sphere 42a and a spring 42b to a sho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excessive internal and external revolutions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phere 42a is made of an iron material, and a separate steel pipe 42c is fastened to the spring 42b,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and lifespan.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40 : 중창 41 : 공간부
42 : 원형구조립체 42a : 원형구
42b : 스프링 42c : 강관
40: midsole 41: space part
42: circular structure 42a: circular sphere
42b: spring 42c: steel pipe

Claims (3)

신발의 중창에 있어서,
신발 중창의 중앙부 일단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 내에 삽입되는 원형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구조립체는, 원형구; 및 일단이 상기 원형구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공간부의 측벽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원형 강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구조립체가 구비된 신발 중창
In the middle of the shoe,
A spac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oe midsole; And
Consists of including; circular structure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e circular structure, a circular sphere; And one or more springs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ircular spher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space portion.
The spring is a shoe midsole with a circular structura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circular steel pipe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00004909U 2010-05-11 2010-05-11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KR2004666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09U KR200466680Y1 (en) 2010-05-11 2010-05-11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09U KR200466680Y1 (en) 2010-05-11 2010-05-11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06U KR20110010706U (en) 2011-11-17
KR200466680Y1 true KR200466680Y1 (en) 2013-05-02

Family

ID=7288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909U KR200466680Y1 (en) 2010-05-11 2010-05-11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680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06U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821B2 (en) Sole
EP3432751A1 (en) Inflatable shock-absorbing sole structure
US20150272273A1 (en) Orthotic insole
US7353625B2 (en) Resilient cushioning device for the heel portion of a sole
KR100675816B1 (en) A shoes for compensating the arch of foot
EP3432752B1 (en) Modular sole structure
US20100058614A1 (en) Shoe
KR20110119904A (en) Air bag device for a shoe with pump-type and shoes having the air bag device
EP2399475A2 (en) Footwear with Rocker Sole
JP2001299404A (en) Shoe sole
US20190090583A1 (en) Sole structure for shoes and shoe including the same
KR20110004572A (en) Shoe sole for health
KR102090974B1 (en) Personalized shoes
JP2023539184A (en) Footwear with pads to adjust body balance according to body type
KR200466680Y1 (en) Shoe midsole having bead assembly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CN217446856U (en) Child is with correcting shoe-pad
KR200495970Y1 (en) Slippers for correcting the human body
KR101263614B1 (en) Shoes
JP2023505319A (en) Shoes with soles that provide dynamic heel support
CN201657864U (en) Elastic insole capable of reducing pressure and cushioning vibration
KR101672477B1 (en) Functional insole
JP4619056B2 (en) Footwear products and their sole members and sole pads
CN210227075U (en) Functional shoes for children
KR102332280B1 (en) Plantar fasciitis specific in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