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05Y1 -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 Google Patents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05Y1
KR200466405Y1 KR2020100011404U KR20100011404U KR200466405Y1 KR 200466405 Y1 KR200466405 Y1 KR 200466405Y1 KR 2020100011404 U KR2020100011404 U KR 2020100011404U KR 20100011404 U KR20100011404 U KR 20100011404U KR 200466405 Y1 KR200466405 Y1 KR 200466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reservative
hot plate
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341U (ko
Inventor
이철주
Original Assignee
이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주 filed Critical 이철주
Priority to KR2020100011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0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47J31/4432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with means for keeping the beverage warm
    • A47J31/4435Heated support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를 내리는 커피브로워(Brewer)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올려지는 열판과; 상기 본체의 추출구로부터 보존액을 저수하는 포트와; 상기 열판과 상기 포트사이에 설치된 보존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존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를 포함하고, 보존재의 상면은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를 포함하며,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재를 포함함으로써, 열판으로부터 열을 직접적으로 커피포트에 전달하지 않고 보존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내려진 커피의 맛이 변하지 않도록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Preserver and Coffe-brewer in use with preserver}
본 고안은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에 관한 것이다.
커피를 차로 마시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가 바로 커피를 내리는 방식의 커피브로워이다.
커피맛의 유지는 뽑아진 커피의 온도를 어떻게 유지하는가의 문제인데 커피브로워는 커피를 갓 뽑아서 마실 수 있도록 해주는 반면 뽑아낸 커피의 맛을 유지시켜주지는 못한다.
종래의 기술은 내려진 커피를 담은 커피포트를 열판만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커피를 직접적으로 가열하여 온도를 유지시키게 되면 커피의 색깔이 쉽게 검은색으로 변하게 되고 탄닌산이 증가하기 때문에 커피의 맛도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피브로워에서 열판과 커피포트 사이에 보존재를 설치하여 커피에 간접적인 열공급원을 제공함으로써 내려진 커피의 맛을 좀 더 오래 보존할 수 있고 색깔 변화속도도 늦출 수 있도록 하는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올려지는 열판과; 상기 본체의 추출구로부터 보존액을 저수하는 포트와; 상기 열판과 상기 포트사이에 설치된 보존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존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를 포함한다.
또한, 보존재의 상면은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재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열판으로부터 열을 직접적으로 커피포트에 전달하지 않고 보존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내려진 커피의 맛이 변하지 않도록 보존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존재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보존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천정(140)에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추출구(110)를 가진다.
커피는 추출구(110)로부터 추출구(110) 아래에 위치하는 포트(300)에 취출되어 저수된다.
본체(100)는 열판(200)이 올려질 수 있도록 바닥부(150)에 편평한 지지부(120)를 형성한다.
열판(200)은 하면(220)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본체(100)의 지지부(120)에 안착된다.
보존재(400)의 윗면(미도시)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포트(300)를 안착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존재(400)의 윗면(미도시)는 포트(300)의 하부와 동형으로 형성된다.
포트(300)는 본체(100)의 천정(140)에 형성된 추출구(110)로부터 추출되어 내려오는 커피를 저수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존재(400)의 사시도로서, 이하에서는 보존재(400)의 형상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보존재(400)는 윗면(420)의 가운데가 편평한 편평면(423)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서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421)을 갖는다.
따라서 포트(300)가 보존재(400) 위로 안착될 때 보존재(400)의 윗면(420)을 벗어남이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또한, 경사면(421)이 존재함으로써 편평면(423)만 있을 때보다 보존재(400)와 포트(300)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존재(400)의 아래면(430)은 열판(200)의 상면(210)에 안착된다.
보존재(400)는 열판(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에너지를 커피포트(300)로 전달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열판(200)으로부터 커피포트(300)로 직접 열을 전달하는 것에 비하여 보존재(400)를 통한 간접적인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피본연의 맛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존재(40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중공부(미도시)를 가진다.
보존재(400)는 일측에서 중공부(미도시)를 외부와 연통하는 뚜껑(410)을 포함한다.
따라서, 뚜껑(410)을 열어 중공부(미도시)에 액체류를 교체 할 수 있기 때문에 열판(200)이 미처 가열되지 않더라도 중공부(미도시)에 뜨거운 액체를 주입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공부(미도시)에는 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예를 설명한다.
본체(100)에 추출할 재료를 넣는다.
본체(100)의 바닥부(150)에 마련된 지지부(120)위로 열판(200)을 안착시킨다.
열판(200)의 상면(210)에 보존재(400)를 올린다.
보존재(400)의 윗면(420)에 포트(300)를 안착시킨다.
본체(100)를 작동시키면, 본체(100)의 상부(130) 천정(140)에 형성된 추출구(110)로부터 보존액(미도시)이 나오게 된다.
내려진 보존액(미도시)은 포트(300)에 저수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할 재료로는 커피재료가 적당하며, 또한 보존액(미도시)은 커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본체 110 : 추출구
120 : 지지부 200 : 열판
210 : 열판 220 : 열판
300 : 커피포트 310 : 바닥면
400 : 보존재 410 : 뚜껑
420 : 윗면 430 : 아랫면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올려지는 열판과;
    상기 본체의 추출구로부터 보존액을 저수하는 포트와;
    상기 열판과 상기 포트사이에서 상기 열판 및 상기 포트의 바닥면과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보존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존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중공부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보존재의 상면은 오목하되, 상기 포트의 바닥면보다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2. 삭제
  3. 삭제
KR2020100011404U 2010-11-05 2010-11-05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KR200466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04U KR200466405Y1 (ko) 2010-11-05 2010-11-05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04U KR200466405Y1 (ko) 2010-11-05 2010-11-05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41U KR20120003341U (ko) 2012-05-15
KR200466405Y1 true KR200466405Y1 (ko) 2013-04-17

Family

ID=4661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404U KR200466405Y1 (ko) 2010-11-05 2010-11-05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147B1 (ko) 2015-05-22 2016-11-24 최진원 휴대용 캡슐 음료 추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989U (ko) * 1997-08-30 1999-03-25 쿠오-이 링 다목적 주스 추출기
JP2000005075A (ja) * 1998-06-18 2000-01-11 Sharp Corp 電気コーヒー沸かし器
KR200201033Y1 (ko) 2000-04-27 2000-11-01 이창희 전기판넬을 구비한 물침대
KR200282479Y1 (ko) 2002-04-13 2002-07-19 동보바이오식품(주) 중탕용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989U (ko) * 1997-08-30 1999-03-25 쿠오-이 링 다목적 주스 추출기
JP2000005075A (ja) * 1998-06-18 2000-01-11 Sharp Corp 電気コーヒー沸かし器
KR200201033Y1 (ko) 2000-04-27 2000-11-01 이창희 전기판넬을 구비한 물침대
KR200282479Y1 (ko) 2002-04-13 2002-07-19 동보바이오식품(주) 중탕용 가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147B1 (ko) 2015-05-22 2016-11-24 최진원 휴대용 캡슐 음료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41U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14540U (zh) 一种蒸发导流式电热煮茶壶
KR200466405Y1 (ko) 보존재 및 보존재를 이용한 커피브로워
CN204937779U (zh) 一种外卖配送保温盒
ATE475340T1 (de) Getränkeherstellungsvorrichtung mit vorsprüngen an der oberen wand der aufgusskammer
CN102772135A (zh) 一种真空保温式电热水壶
CN108354409A (zh) 一种可以分区域控制温度的保温装置
CN202981613U (zh) 一种具备自动泡茶功能的饮水机
CN204071551U (zh) 带有储物盒的防烫杯子
CN201691686U (zh) 一种煮水、泡茶一体化的煮茶器
CN202198436U (zh) 泡茶机结构
CN203446989U (zh) 便携式户外自助茶道
KR101741330B1 (ko) 가정용 요구르트 발효기
CN203749206U (zh) 一种烧水式咖啡冲泡机
CN203898001U (zh) 双用迷你电热锅
CN204146774U (zh) 一种带自动温控的玻璃茶具
CN205548203U (zh) 基于定时装置的起床茶壶
WO2013097977A1 (en)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204846775U (zh) 葡萄酒包装盒
CN204739637U (zh) 微波炉
CN204541565U (zh) 一种花茶壶
CN104687944B (zh) 一种泡茶杯
CN208769516U (zh) 一种保温摩卡壶
CN206080143U (zh) 一种全自动蒸煮装置
CN213757662U (zh) 一种具有保温加热功能的杯子
CN103230217A (zh) 一种蒸豆浆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