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143Y1 -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 - Google Patents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143Y1
KR200466143Y1 KR2020110008556U KR20110008556U KR200466143Y1 KR 200466143 Y1 KR200466143 Y1 KR 200466143Y1 KR 2020110008556 U KR2020110008556 U KR 2020110008556U KR 20110008556 U KR20110008556 U KR 20110008556U KR 200466143 Y1 KR200466143 Y1 KR 200466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ceiling fan
plate
shaft core
coup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형
서호찬
Original Assignee
서호찬
권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찬, 권태형 filed Critical 서호찬
Priority to KR2020110008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1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6Fans, e.g. 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에 고정되는 몸체와, 날개 고정판에 의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정 선풍기로서, 상기 날개는, 일 단부가 상기 날개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는 ∧ 형상의 결합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면에는 축심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심 좌우에는 돌출단이 구비되는 날개 하판과; 일 단부가 ∨ 형상의 결합면으로 이루어지되, 결합면 중앙부에는 상기 축심이 관통 삽입되는 축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심공 좌우에는 상기 돌출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복수 개의 장식등이 구비되는 날개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정 선풍기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통상적인 천정 선풍기의 날개에 있어 상판이 하판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날개 상판의 일면에 장식등을 부가함으로써 보다 장식적인 천정 선풍기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Celling fan which having light device}
본 고안은 천정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에 고정되는 몸체와, 날개 고정판에 의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정 선풍기로서, 상기 날개는, 일 단부가 상기 날개 고정판에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는 ∧ 형상의 결합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면에는 축심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심 좌우에는 돌출단이 구비되는 날개 하판과; 일 단부가 ∨ 형상의 결합면으로 이루어지되, 결합면 중앙부에는 상기 축심이 관통 삽입되는 축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심공 좌우에는 상기 돌출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복수 개의 장식등이 구비되는 날개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호텔 로비 또는 레스토랑과 대규모 수용 공간으로서 천정의 높이가 높은 건축물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순환 및 환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천정 선풍기가 설치된다.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통상적인 천정 선풍기는 천정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10)와, 날개 고정판(20)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성의 천정 선풍기는 인테리어 기능이 있어 통상적인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도 부가적으로 설치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용중인 대부분의 천정 선풍기는 단순한 장식으로서 실내 공기를 순환시기거나 또는 환기시키는 정도로만 사용될 뿐이어서 그 활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180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더하여 선풍기의 작동이 필요없는 계절에 장식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천정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천정에 고정되는 몸체(10)와, 날개 고정판(20)에 의해 상기 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정 선풍기로서, 상기 날개는, 일 단부가 상기 날개 고정판(20)에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는 ∧ 형상의 결합면(32)으로 이루어지되, 결합면(32) 첨단에는 축심(3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심(34) 좌우에는 돌출단(36)이 구비되는 날개 하판(30)과; 일 단부가 ∨ 형상의 결합면(42)으로 이루어지되, 결합면(42) 중앙부에는 상기 축심(34)이 관통 삽입되는 축심공(44)이 형성되고, 상기 축심공(44) 좌우에는 상기 돌출단(36)이 삽입되는 삽입홈(46)이 형성되며, 배면부(45)에는 복수 개의 장식등(48)이 구비되는 날개 상판(40)을, 포함하여 날개 상판(40)을 날개 하판(30)에 대하여 90도 회전시켜 장식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통상적인 천정 선풍기의 날개를 상판 및 하판으로 분리 구성하여 상판이 하판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날개 상판의 일면에 장식등을 부가함으로써 보다 장식적인 천정 선풍기를 제공해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선풍기의 일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선풍기이 다른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선풍기에 있어 날개 하판 및 날개 상판의 결합 구성도.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선풍기의 일 사용 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선풍기이 다른 사용 상태도,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선풍기에 있어 날개 하판 및 날개 상판의 결합 구성도이다. 개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몸체(10)와, 날개 고정판(20) 및 날개로 이루어지는 종래 천정 선풍기에 있어, 상기 날개를 날개 하판(30)과 날개 상판(40)으로 분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10)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이며, 그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모터와 같은 날개 회동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날개 고정판(20)은 몸체의 날개 회동 수단과 연결되는 회동 축(도면 미도시)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 하판(30)은 일 단부가 날개 고정판(20)에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는 ∧ 형상의 결합면(32)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결합면(32)의 ∧ 형상 첨단에는 축심(3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축심(34) 좌우에는 돌출단(36)이 형성된다. 상기 축심(34)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단부는 결합면(32)의 ∧ 형상 첨단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 상판(40)은 일 단부가 ∨ 형상의 결합면(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면(42) 중앙부에는 날개 하판(30)의 축심(34)이 관통 삽입되는 축심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축심공(44)의 내경은 축심(34)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심공(44)의 깊이는 축심(34)의 돌출 길이보다 조금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심공(44) 좌우에는 날개 하판(30)의 돌출단(36)이 삽입되는 삽입홈(4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날개 상판(40)의 배면부(45)에는 복수 개의 장식등(48)이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즉,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또는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날개 상판(40)의 전면부(41)가 공간 방향(하부 방향)으로 향하게 위치시켜 사용하다가, 선풍기의 기능이 필요없거나 또는 장식등이 필요할 경우에는 날개 상판(40)의 배면부(45)를 공간 방향으로 향하게 위치시켜 이를 이용하면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날개 상판(40)의 변환을 살펴본다.
먼저, 외력을 가하여 날개 상판(40)을 날개 하판(30)으로부터 분리하면, 날개 상판(40)의 결합면(42)은 축심(34)을 축으로 하여 날개 하판(30)의 결합면(3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외부로 빠져나온다. 다음으로. 외력을 가하여 날개 상판(40)을 90도 각도 회전시켜 장식등(48)이 구비되어 있는 배면부(45)를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배면부(45)가 아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날개 상판(40)을 날개 하판(30)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 과정에서 날개 하판(30)의 축심(34)의 돌출 부위는 날개 상판(40)의 축심공(44) 내부로 삽입되며, 날개 하판(30)의 돌출단(36)은 날개 상판(40)의 삽입홈(46) 내부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날개는 장식등(48)이 하부 방향을 향한 상태로 날개 상판(40)과 날개 하판(30)의 결합이 완료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49는 전원부이다. 상기 전원은 장식등(48)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건전지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장식등(48) 및 전원부(49)의 구성, 그리고 이들 상호 간의 배선 연결은 관련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 중에서 임의 선택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몸체 20 : 날개 고정판
30 : 날개 하판 40 : 날개 상판

Claims (1)

  1. 천정에 고정되는 몸체(10)와, 날개 고정판(20)에 의해 상기 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천정 선풍기로서,
    상기 날개는,
    일 단부가 상기 날개 고정판(20)에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는 ∧ 형상의 결합면(32)으로 이루어지되, 결합면(32) 첨단에는 축심(3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심(34) 좌우에는 돌출단(36)이 구비되는 날개 하판(30)과,
    일 단부가 ∨ 형상의 결합면(42)으로 이루어지되, 결합면(42) 중앙부에는 상기 축심(34)이 관통 삽입되는 축심공(44)이 형성되고, 상기 축심공(44) 좌우에는 상기 돌출단(36)이 삽입되는 삽입홈(46)이 형성되며, 배면부(45)에는 복수 개의 장식등(48)이 구비되는 날개 상판(40)을, 포함하여 날개 상판(40)을 날개 하판(30)에 대하여 90도 회전시켜 장식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선풍기.
KR2020110008556U 2011-09-23 2011-09-23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 KR200466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556U KR200466143Y1 (ko) 2011-09-23 2011-09-23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556U KR200466143Y1 (ko) 2011-09-23 2011-09-23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143Y1 true KR200466143Y1 (ko) 2013-04-03

Family

ID=5138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556U KR200466143Y1 (ko) 2011-09-23 2011-09-23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14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0693U (ko) 1986-05-09 1987-11-16
JP2002021776A (ja) 2000-07-10 2002-01-23 Ikuo Sugiyama 照明器付天井直近扇風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0693U (ko) 1986-05-09 1987-11-16
JP2002021776A (ja) 2000-07-10 2002-01-23 Ikuo Sugiyama 照明器付天井直近扇風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99682S1 (en) Ceiling fan motor housing with light kit
USD898182S1 (en) Ceiling fan light kit
USD972710S1 (en) Ceiling fan light kit and motor housing assembly
USD744633S1 (en) Ceiling fan motor housing with light kit
US11215188B2 (en) Apparatus including a combination of a ceiling fan and a heater with light effects
USD568983S1 (en) Fan blade bracket
USD628286S1 (en) Ceiling fan motor housing and light kit
US8337057B2 (en) Flameless candle with threaded inser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TWI548843B (zh) 氣流交換裝置及其通風除塵方法
USD626207S1 (en) Ceiling fan motor housing and light kit
KR200466143Y1 (ko) 장식등이 구비되는 천정 선풍기
CN104315435A (zh) 一种吊灯
USD525698S1 (en) Combined ceiling fan motor housing and light kit
CN205014094U (zh) 便携灯具
USD743525S1 (en) Ceiling fan motor housing with light kit
USD627049S1 (en) Ceiling fan motor housing, blade bracket and light kit
CN205002293U (zh) 一种手动快速控制风门的换风机
CN205208259U (zh) 一种可自动旋转的led装饰灯
CN203453096U (zh) 多头直流无刷电风扇
KR20170002079U (ko) 구형 선풍기
CN211476245U (zh) 一种简易式木质天花隐蔽风口结构
KR20170002773U (ko) 이중의 회전날개를 가지는 선풍기
CN203857346U (zh) 灯笼扇升降结构
USD569494S1 (en) Ceiling fan motor housing
CN210371287U (zh) 新型循环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