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829Y1 -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829Y1
KR200465829Y1 KR2020110006741U KR20110006741U KR200465829Y1 KR 200465829 Y1 KR200465829 Y1 KR 200465829Y1 KR 2020110006741 U KR2020110006741 U KR 2020110006741U KR 20110006741 U KR20110006741 U KR 20110006741U KR 200465829 Y1 KR200465829 Y1 KR 200465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urrent
controller
dmx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93U (ko
Inventor
이장원
용 해 박
Original Assignee
용 해 박
(주)스타엘브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해 박, (주)스타엘브이에스 filed Critical 용 해 박
Priority to KR2020110006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82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829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기억하여 DMX 신호와 출력변동율을 비교 판단하여 하나의 DMX 주소에 연결된 여러 개의 램프 중에서 하나의 램프에 이상이 생겨도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은, 디머에 연결된 각 램프의 한 라인으로부터 전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를 각기 갖는 채널 인/아웃 단자대와; DMX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와 데이타 통신하기 위한 인/아웃 커넥터와; 디머의 출력 전류에 따른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 측정하여 컨트롤러에 입력시키는 전류검출수단과; DMX 제어신호와 전류검출수단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계산된 출력변동율(출력전류량/전부하전류량)값을 비교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서 판단된 해당 램프의 고장 유/무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Lamp breakdown checking monitoring device for lighting fixture}
본 고안은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기억하여 DMX 신호와 출력변동율을 비교 판단하여 하나의 DMX 주소에 연결된 여러 개의 램프 중에서 하나의 램프에 이상이 생겨도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MX"는 "디지털 멀티 플렉스 신호"를 의미한다. 그것이 최대 512 채널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때로는 DMX 512이라고 한다. DMX 컨트롤러는 DMX 조명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LED 조명기기 제어 방식은 DMX(Digital Multiplex) 제어 방식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DMX 제어 방식은 광원과 관련된 장비와 함께 사용되는 가장 공통적인 국제 표준 규격이다. DMX는 DMX512의 줄임말로 두 개의 전선을 통해 통신하는 RS-485 방식을 이용하여, 1초당 250.000비트(250kbps)씩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 링크당 512개 채널을 제공한다.
종래의 LED 조명 기기는 DMX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DMX 컨트롤러와 다수의 LED 조명기기가 데이지 체인(Daisychain)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DMX 컨트롤러는 DMX 통신 규격에 따라 스타트 비트(Start Bit: 1비트), 데이터 비트(Data Bit: 8비트), 스탑 비트(Stop Bit: 2비트)를 한 패킷(Packet)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512개의 패킷을 LED 조명기기로 송신한다. 상기 LED 조명기기들은 각각의 고유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어, 해당하는 패킷의 데이터 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게 된다. 그래서 독립적으로 각각의 빛과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98554호에는 LED 조명기기 구동방식을 가진 LED 조명기기를 다수의 슬롯 보드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LED 조명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외부 DMX 송신장치에서 보내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DMX 보드와; 다양한 방식의 LED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다수의 슬롯 보드와; 전원과 DMX 데이터를 상기 슬롯 보드를 통해 LED 조명기기로 전송하는 메인 보드를 포함하되, 상기 슬롯 보드는 직류전압(+V) 공통용 LED 조명기기에 연결하는 경우에 LED 조명기기를 연결하는 터미널 블록과 직류전압(+V) 단자에 연결되어 LED 조명기기의 전류를 검출하고 구동을 제어하는 LED 드라이버와 DMX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LED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LED 조명기기의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딥 스위치(Dip swi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DMX 주소에 연결된 여러 개의 램프 중에서 하나의 램프에 이상이 생길 경우 이를 검출할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램프(2)가 꺼질때나 해당 램프(2)의 발산 광선이 어둡거나 균등하지 않을 때에 어느 것이 고장상태에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기억하여 DMX 신호와 출력변동율을 비교 판단하여 하나의 DMX 주소에 연결된 여러 개의 램프 중에서 하나의 램프에 이상이 생겨도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은,
디머에 연결된 각 램프의 한 라인으로부터 전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를 각기 갖는 채널 인/아웃 단자대와;
DMX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와 데이타 통신하기 위한 인/아웃 커넥터와;
디머의 출력 전류에 따른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 측정하여 컨트롤러에 입력시키는 전류검출수단과;
DMX 제어신호와 전류검출수단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계산된 출력변동율(출력전류량/전부하전류량)값을 비교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서 판단된 해당 램프의 고장 유/무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MX 주소를 설정하는 DMX 주소 설정 버튼과;
셋팅시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획득하여 컨트롤러에 기억시키는 전부하전류량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류검출수단은 램프에 흐르는 전류값을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계기용 변류기와, 교류 신호를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브리지 정류회로, 브리지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반파 신호를 콘덴서와 병열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여 평활시키는 평활회로와, 컨트롤러에 포함되어 평활신호를 데이타 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평활회로와 AD 컨버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산증폭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 DMX 주소 설정 버튼 및 전부하전류량 설정 버튼은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프론트 PCB에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기억하여 DMX 신호와 출력변동율을 비교 판단하여 하나의 DMX 주소에 연결된 여러 개의 램프 중에서 하나의 램프에 이상이 생겨도 즉시 고장 유/무의 검출 및 확인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회로에 적용되는 전류검출회로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회로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프론트 PCB에 설치된 전부하 전류량 설정 버튼 및 DMX 주소 설정버튼에 따른 각각의 스위치 구성도.
도 5는 도 1의 모니터링 회로에 적용되는 통신회로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고장 확인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의 회로 구성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머(DIMMER)(1)에 연결된 각 램프(2)의 한 라인으로부터 전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를 각기 갖는 채널 인/아웃 단자대(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채널 인/아웃 단자대(20)는 하나는 채널 인(CHANNEL IN)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채널 아웃(CHANNEL OUT)으로 사용된다.
도시안된 DMX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DMX 제어 신호(3)를 컨트롤러(50)와 데이타 통신하기 위한 인/아웃 커넥터(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인/아웃 커넥터(30)는 하나는 DMX 제어 신호(3)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하나는 DMX 제어 신호(3)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디머(1)의 출력 전류에 따른 각 램프(2)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 측정하여 컨트롤러(50)에 입력시키는 전류검출수단(40)이 구비된다. 전류검출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에 흐르는 전류값을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계기용 변류기(CT)와, 계기용 변류기(CT)의 출력측 교류 신호를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브리지 정류회로(41), 브리지 정류회로(41)에서 출력되는 반파 신호를 콘덴서(C1)와 병열 연결된 저항(R1)을 포함하여 평활시키는 평활회로(42)와, 컨트롤러(50)에 포함되어 평활신호를 데이타(DATA) 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버터(도시안됨)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평활회로(42)와 AD 컨버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산증폭기(4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DMX 제어신호(3)와 전류검출수단의 A/D 컨버터측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계산된 출력변동율(출력전류량/전부하전류량)값을 비교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컨트롤러(50)가 구비된다. 컨트롤러(50)는 전류검출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50)에서 판단된 해당 램프(2)의 고장 유/무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60)가 구비된다.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60)는 데이타 신호선을 통해 컨트롤러(50)와 연결되어 있다.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60)는 도 3에서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회로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회로는 DMX 주소(ADDRESS)를 표시할 3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세그먼트(3DIGIT SEGMENT)와 12채널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표시할 세그먼트(SEGMENT) 36개를 다이나믹 방식으로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를 한다.
한편, 컨트롤러(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MX 주소를 설정하는 DMX 주소 설정 버튼(70)이 구비된다. DMX 주소 설정 버튼(70)은 램프 모니터링 장치의 전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DMX 주소 설정 버튼(70)은 도 4와 같이 업/다운 스위치(SW1,SW2)를 조작시킨다.
또한 셋팅시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획득하여 컨트롤러(50)에 기억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스위치(SW3)를 조작시키는 전부하전류량 설정 버튼(80)이 구비된다. 전부하전류량 설정 버튼(80)도 램프 모니터링 장치의 전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60), DMX 주소 설정 버튼(70) 및 전부하전류량 설정 버튼(80)은 컨트롤러(50)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프론트 PCB(90)에 정착되어 있다.
한편, DMX 통신은 하드웨어적으로는 RS485 통신을 사용하므로 도 5에서와 같이 주지의 RS485 회로 2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도 6의 제어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류량 설정 버튼(80)의 스위치(SW3)를 스위칭 온(on) 시켜 셋팅(S10)한다.
다음, 컨트롤러(50)에서 램프(2)의 전부하 전류량이 기억(S11)된다.
그 다음, 디머(1)의 출력 전류에 따른 각 램프(2)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 측정(S12)한다. 이는 램프(2)에 흐르는 전류값을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계기용 변류기(CT)에 의해 변환된 후 브리지 정류회로(41)로 입력되고, 브리지 정류회로(41)에서 출력되는 반파 신호가 콘덴서(C1)와 병열 연결된 저항(R1)이 포함된 평활회로(42)에 의해 평활되고, 마지막으로 A/D컨버터에 의해 평활신호를 데이타 신호로 변환되어 컨트롤러(50)에 기억된다.
그 다음, DMX 제어신호(3)와 전류검출수단(40)의 측정 신호가 컨트롤러(50)에 입력되고, 컨트롤러(50)는 출력변동율(출력전류량/전부하전류량)값을 산출하여 DMX 제어신호(3)의 입력값과 비교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S13).
이후, 컨트롤러(50)에서 판단된 해당 램프(2)의 고장 유/무 상태를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60)를 통해 표시한다(S14). 예를 들어, 램프(2)가 꺼질때나 램프(2)의 발산 광선이 어둡거나 균등하지 않을 때에 출력변동율값이 일치되지 않으므로 램프 스테이트 플레이트(60)에 고장이 있음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컨트롤러(50)가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DMX 주소(각각의 램프 불빛에 특정 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함)에 연결된 여러개의 램프 중에서 하나의 램프(2)에 이상이 발생되어도 즉시 검출 및 확인이 가능하므로 고장 수리가 용이해진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20: 채널 인/아웃 단자대
30: 인/아웃 커넥터
50: 컨트롤러
60: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
70: DMX 주소 설정버튼
80: 전부하전류량 설정버튼
90: 프론트 PCB

Claims (7)

  1. 디머(1)에 연결된 각 램프(2)의 한 라인으로부터 전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를 각기 갖는 채널 인/아웃 단자대(20)와;
    DMX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50)와 데이타 통신하기 위한 인/아웃 커넥터(30)와;
    디머(1)의 출력 전류에 따른 각 램프(2)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 측정하여 컨트롤러(50)에 입력시키는 전류검출수단과;
    DMX 제어신호와 전류검출수단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계산된 출력변동율(출력전류량/전부하전류량)값을 비교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컨트롤러(50)와;
    컨트롤러(50)에서 판단된 해당 램프(2)의 고장 유/무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6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컨트롤러(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MX 주소를 설정하는 DMX 주소 설정 버튼(70)과;
    셋팅시 전부하에서의 전류량을 획득하여 컨트롤러(50)에 기억시키는 전부하전류량 설정 버튼(80)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전류검출수단은,
    램프(2)에 흐르는 전류값을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계기용 변류기(CT)와, 교류 신호를 한쪽으로 반전시키는 브리지 정류회로, 브리지 정류회로에서 출력되는 반파 신호를 콘덴서(C1)와 병열 연결된 저항(R1)을 포함하여 평활시키는 평활회로와, 컨트롤러(50)에 포함되어 평활신호를 데이타 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평활회로와 AD 컨버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산증폭기(43)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램프 스테이트 디스플레이(60), DMX 주소 설정 버튼(70) 및 전부하전류량 설정 버튼(80)은 컨트롤러(50)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프론트 PCB(90)에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6. 삭제
  7. 삭제
KR2020110006741U 2011-07-25 2011-07-25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KR200465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41U KR200465829Y1 (ko) 2011-07-25 2011-07-25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41U KR200465829Y1 (ko) 2011-07-25 2011-07-25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93U KR20130000793U (ko) 2013-02-04
KR200465829Y1 true KR200465829Y1 (ko) 2013-04-03

Family

ID=5138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41U KR200465829Y1 (ko) 2011-07-25 2011-07-25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82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950B1 (ko) * 1992-10-16 1998-10-01 윤종용 스탠드의 조도조절장치 및 그 조도조절방법
JP2005502167A (ja) 2001-08-30 2005-01-20 レイディアント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照明システム
JP2005142137A (ja) 2003-10-15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ed点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950B1 (ko) * 1992-10-16 1998-10-01 윤종용 스탠드의 조도조절장치 및 그 조도조절방법
JP2005502167A (ja) 2001-08-30 2005-01-20 レイディアント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照明システム
JP2005142137A (ja) 2003-10-15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ed点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93U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779B1 (ko) H-Bridge 회로를 이용한 직류 전력선 통신 제어장치
US11963272B2 (en) Data acquisi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network connected LED driver
US9819183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US9370057B2 (en) Interface circuit for a lighting device
KR20100016599A (ko) 디밍 회로 및 저항 및 단락 회로 검출용 전구 종류 검출기
KR101362453B1 (ko)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방법
EP3229561A1 (en) Stepless dimming control method of lighting system
US9693434B2 (en) Dimming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same
CN104703339A (zh) 照明控制系统以及通信单元
KR200465829Y1 (ko) 조명기구의 램프 고장 유/무 모니터링 장치
KR101580260B1 (ko) 다수의 led 조명등 디밍 제어 시스템
JP2017037785A (ja) 光源点灯システム
KR101204652B1 (ko) 다등용 일체형 안정기 및 다등용 일체형 안정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593142B1 (ko)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598987B1 (ko) 가로등 및 터널등 등의 엘이디 등기구 디밍 제어방법 및 엘이디 등기구 시스템
US7385310B2 (en) Electronic ballasts which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on the basis of the type of lamp
JP7172384B2 (ja) 調光装置
KR101494816B1 (ko) 조명 조절 시스템 및 조도 조절 방법
JP7188624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6879146B2 (ja) 調光装置回路、チェッカ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4976150B2 (ja) 調光制御システム
US8358086B2 (en) Electronic ballast for a lamp
JP7020079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108658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4088514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端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