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65Y1 - 화상표시모듈 - Google Patents

화상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65Y1
KR200465665Y1 KR2020100010211U KR20100010211U KR200465665Y1 KR 200465665 Y1 KR200465665 Y1 KR 200465665Y1 KR 2020100010211 U KR2020100010211 U KR 2020100010211U KR 20100010211 U KR20100010211 U KR 20100010211U KR 200465665 Y1 KR200465665 Y1 KR 200465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m
light source
light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546U (ko
Inventor
권순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2020100010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6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측면 광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모듈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화상이 인쇄된 이미지필름의 전체적인 밝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화상표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리모컨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은 화상이 인쇄된 이미지필름과, 이미지필름의 일 측면에서 화상에 빛을 조사하는 측면 광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모듈에 있어서, 화상이 광원에 가까울수록 명암이 옅게 하고 멀어질수록 명암이 짙어지도록 함으로써 측면 광원의 광 조사시 전체적으로 균일한 명암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백라이트유닛이나 복수의 광원을 채용하지 않고도 화면 밝기가 균일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나 소비전력을 통상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종래에 비해 구성을 현저하게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그 크기 또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모듈{IMAGE DISPLAY MODULE}
본 고안은 화상표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에 측면광을 조사하는 화상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등 최근의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들은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과거에 비해 두께가 훨씬 슬림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리모컨, 오디오, 컴퓨터 등 다른 전자기기들로까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일례로 텔레비전의 경우, 종래의 브라운관 텔레비전은 스크린 뒷면의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가 스크린에 부딪히며 화상이 맺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자총과 스크린 간 소정의 이격 거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텔레비전의 사이즈가 클 수밖에 없었다. 이에 비해 최근의 LCD, PDP, LED 텔레비전은 광원을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필름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전반적인 슬림화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광원을 디스플레이 필름의 측면에 배치할 경우 필름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유지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백라이트유닛(BLU)을 사용하여 필름 전체에 균일한 광원을 조사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필름 주위에 광원을 여러 개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밝기 편차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백라이트유닛은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며 복수의 광원은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모두 가격이 비싸고 소비전력이 높기 때문에 리모컨에 적용하기에는 그 효용가치가 낮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 광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모듈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화상이 인쇄된 이미지필름의 전체적인 밝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화상표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리모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은 화상이 인쇄된 이미지필름과, 이미지필름의 일 측면에서 화상에 빛을 조사하는 측면 광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모듈에 있어서, 화상이 광원에 가까울수록 명암이 옅어지며 멀어질수록 명암이 짙어지도록 하여 광 조사 시 전체적으로 균일한 명암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아이콘이 화상으로 인쇄된 제1이미지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미지필름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이미지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과 상기 제2이미지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1광원과, 상기 제2이미지필름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2광원과,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 중 어느 한쪽으로만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화면 전환형 화상표시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면 전환형 화상표시모듈은 제1광원과 제2광원의 빛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제1광원을 덮도록 제1이미지필름에 부착되는 제1차광테이프와, 제2광원을 덮도록 제2이미지필름에 부착되는 제2차광테이프와, 제1이미지필름의 상측에서 제1이미지필름의 테두리와 제2이미지필름의 테두리를 덮어 제1 및 2이미지필름의 아이콘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제3차광테이프와, 제2이미지필름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4차광테이프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 및 이를 구비한 리모컨은 이미지필름의 화상을 광원에 가까울수록 명암이 옅게 하고 멀어질수록 명암이 짙어지도록 함으로써 측면 광원의 광 조사시 전체적으로 균일한 명암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백라이트유닛이나 복수의 광원을 채용하지 않고도 화면 밝기가 균일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나 소비전력을 통상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종래에 비해 구성을 현저하게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그 크기 또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이 설치된 화면 전환용 리모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이 설치된 화면 전환용 리모콘의 사시도로, 화면 전환형 화상표시모듈에 제1모드의 아이콘들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이 설치된 화면 전환용 리모콘의 사시도로, 화면 전환형 화면표시모듈에 제2모드의 아이콘들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모듈(10)은 크게 화상이 인쇄된 이미지필름(12)과, 이미지필름(12)의 일측면에서 이미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측면 광원(14)을 포함한다.
이미지필름(12)에는 도시된 숫자 아이콘 외에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를 크게 A, B, C 블록으로 구분하였다. A 블록은 B 블록보다 명암이 옅고 B 블록은 C 블록보다 명암이 옅다. 즉, 명암도가 A < B < C 블록으로 갈수록 짙어지며, C < B < A 블록으로 갈수록 옅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의 명암비를 세 블록으로 구분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미지필름의 사이즈, 광원의 밝기, 인쇄된 잉크의 색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광원(14)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CCFL, LED, EL 등이 채용가능하며, 미도시된 전원장치와 회로기판(1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원(14)은 이미지필름의 측면 조사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의 빛샘 및 이미지필름 영역 밖으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광테이프(18,19)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4)은 이미지필름(12)의 A 블록에 인접한 측면에 설치된다. 즉, 광원(14)에서 A 블록이 가장 가깝게 배치되며, B 블록과 C 블록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광원(14)과 이미지필름(12)을 배치하면, 이미지필름(12)의 아이콘 이미지는 광원(14)에 가까울수록 명암이 옅어지고 멀어질수록 명암이 짙어지지만, 광이 조사되면 이러한 명암비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일한 명암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균일한 밝기를 갖기 위해 요구되는 백라이트유닛이나 복수의 광원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 작업도 간편해지므로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화상표시모듈이 적층 사용된 화면 전환형 화상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컨(이하, 리모컨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전환형 화상표시모듈을 구비하는 리모컨은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전면부에 설치된 화면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30A,30B) 및 키패드모듈(40)을 구비한다. 하우징(20) 내에는 회로기판과, 무선송출기와, 제어장치와, 각 부분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 등이 마련된다.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상측의 전면하우징(21)과, 전면하우징(21)의 배면 쪽에 결합되는 후면하우징(22)을 포함한다. 전면하우징(21)에는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30A,30B)(화상표시모듈)과 고정형 키패드모듈(4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가 마련된다.
또한, 전면하우징(21) 상부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버튼은 전원버튼(23), 외부입력전환버튼(24), 그리고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30A,30B)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아이콘표시모듈(30A,30B)의 화면을 제1모드와 제2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전환버튼(25)을 포함한다.
고정형 키패드모듈(40)은 상대적으로 사용이 잦은 키들로 구성된다. 이 키패드모듈(40)은 볼륨 증가 및 감소키, 무음키, 채널증가 및 감소키, 및 전자기기의 화면상에 채널리스트를 표출시키기 위한 채널리스트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모듈(40)의 키들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의 접점들을 연결하는 메탈돔시트(52)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그 외 통상적인 리모콘의 키들처럼 버튼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30A,30B)은 다수의 아이콘이 인쇄된 제1아이콘필름(31)(제1이미지필름)과, 제1아이콘필름(31) 하부에 배치되며 제1아이콘필름(31)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아이콘필름(32)(제2이미지필름)과, 제1아이콘필름(31)과 제2아이콘필름(32)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33)과, 제1아이콘필름(31)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34)과, 제1아이콘필름(31)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1광원(35)과, 제2아이콘필름(32)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2광원(36)을 포함한다.
제1아이콘필름(31)은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투명필름에 빛 확산 및 반사특성을 가진 소재에 의해 다수의 아이콘들이 인쇄된 것이다. 제1아이콘필름(31)의 소재로는 빛을 안내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투명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제1아이콘필름(31)에 인쇄되는 아이콘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채널을 직접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키 등 비교적 사용빈도 높은 다수의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아이콘들은 A,B,C 블록으로 구분되며 각 블록은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명암 차이를 갖는다. A 블록에서 C블록으로 갈수록 명암이 짙어진다.
제2아이콘필름(32)도 제1아이콘필름(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재에 의해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다. 제2아이콘필름(32)에 인쇄되는 아이콘들은 제1아이콘필름(31)에 인쇄된 아이콘들과 다른 다수의 기능키들, 즉 사용 빈도가 낮은 메뉴설정과 방향설정을 위한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이콘필름(31,32)의 아이콘들은 인쇄용 소재에 색상을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제1아이콘필름(31)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35)은 제1아이콘필름(31)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2아이콘필름(32)으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제2광원(36)은 제2아이콘필름(32)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적층 마련되는 제1,2아이콘필름(31,32)의 특성상 어느 하나의 필름을 향해 조사되는 빛이 다른 필름으로 전파되거나 잔상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광원(35,36)은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탈돔시트(52)가 설치된 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FPCB(37) 상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 내부의 제어장치(미도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광원(35)과 제2광원(36) 중 어느 한쪽으로만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면, 제1광원(35)과 제2광원(36)은 둘 중 어느 한쪽만 발광되면서 제1아이콘필름(31)과 제2아이콘필름(32) 중 어느 한쪽의 아이콘들만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반투명필름(33)은 제1광원(35)이 발광하여 제1아이콘필름(31)의 아이콘들이 표출되는 상황에서 제2아이콘필름(32)에 인쇄된 아이콘들의 잔상이 전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제2반투명필름(34)은 제2광원(36)이 발광하여 제2아이콘필름(32)의 아이콘들이 표출되는 상황에서 제1아이콘필름(31)에 인쇄된 아이콘들의 잔상이 전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 아이콘표시모듈(30A,30B)은 제1광원(35)과 제2광원(36)의 빛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제1광원(35)을 덮도록 제1아이콘필름(31)에 부착되는 제1차광테이프(38a,38b)와, 제2광원(36)을 덮도록 제2아이콘필름(32)에 부착되는 제2차광테이프(39a,39b)와, 제1아이콘필름(31)의 상측에서 제1아이콘필름(31)의 테두리와 제2아이콘필름(32)의 테두리를 덮어 제1 및 2아이콘필름(31,32)의 아이콘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제3차광테이프(60)와, 제2아이콘필름(32)과 돔시트(52) 사이에 마련되는 제4차광테이프(70)를 구비한다.
다음은 본 고안의 화면 전환용 아이콘표시모듈(30A,30B)을 갖춘 리모콘의 사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채널 등을 직접 선택하고자 할 때는 하우징(20) 전면의 모드전환버튼(25)을 조작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표시모듈(30A)의 화면이 표시된다. 모드전환버튼(53)을 실행할 때는 도 3의 예처럼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제1아이콘필름(31)의 아이콘들이 표출된다(제1모드). 이때 제어장치는 제1광원(35)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제1아이콘필름(31)에만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제1아이콘필름(31)에 인쇄된 아이콘들이 표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아이콘필름(31) 상에 나타낸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메탈돔시트(52)가 눌러지면서 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아이콘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송출기를 통해 전자기기에 마련된 리모컨수신부에 송출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이콘표시모듈(30A)을 제1모드로 사용하던 중에 메뉴설정이나 다른 기능의 조작을 위해 아이콘표시모듈(30A)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때는 하우징(20) 상부의 모드전환버튼(25)을 조작하거나 제1모드의 아이콘들 중 모드전환아이콘을 조작한다. 이렇게 하면 제어장치는 제2광원(36)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제2아이콘필름(32)에만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제2아이콘필름(32)의 아이콘들이 표출된다. 따라서 제2아이콘필름(32)의 아이콘들을 조작하여 전자기기의 다른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은 아이콘표시모듈(30A,30B)의 화면전환을 통해 다양한 아이콘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아이콘표시모듈(30A,30B)의 아이콘들을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정형 키패드모듈(40)을 통하여 기본적인 기기의 조작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은 아이콘표시모듈(30A,30B)에 인쇄된 이미지를 광원에 가까울수록 명암을 옅게 하고 멀어질수록 짙게 하여 광이 조사될 때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명암)를 가지도록 했기 때문에, 종래 백라이트유닛과 같은 고가의 장치를 채용하지 않고도 화면 밝기가 균일하여 제조비용이나 소비전력을 통상의 버튼형 리모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버튼형 리모콘에 비하여 그 구성을 현저하게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크기 또한 줄일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면 전환용 화상표시모듈이 리모컨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고판 등에도 적절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화상표시모듈 12..이미지필름
14..측면 광원 20..하우징
30A,30B..아이콘표시모듈 31,32..제1,2아이콘필름
35..제1광원 36..제2광원
40..키패드모듈

Claims (3)

  1. 삭제
  2. 다수의 아이콘이 화상으로 인쇄된 제1이미지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미지필름의 아이콘들과 다른 아이콘들이 인쇄된 제2이미지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과 상기 제2이미지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1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 위에 배치된 제2반투명필름과; 상기 제1이미지필름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1광원과, 상기 제2이미지필름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제2광원과,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 중 어느 한쪽으로만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형 화상표시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제1광원과 제2광원의 빛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제1광원을 덮도록 제1이미지필름에 부착되는 제1차광테이프와, 제2광원을 덮도록 제2이미지필름에 부착되는 제2차광테이프와, 제1이미지필름의 상측에서 제1이미지필름의 테두리와 제2이미지필름의 테두리를 덮어 제1 및 2이미지필름의 아이콘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된 제3차광테이프와, 제2이미지필름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4차광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형 화상표시모듈.
KR2020100010211U 2010-10-04 2010-10-04 화상표시모듈 KR200465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11U KR200465665Y1 (ko) 2010-10-04 2010-10-04 화상표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11U KR200465665Y1 (ko) 2010-10-04 2010-10-04 화상표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46U KR20120002546U (ko) 2012-04-13
KR200465665Y1 true KR200465665Y1 (ko) 2013-03-05

Family

ID=4660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11U KR200465665Y1 (ko) 2010-10-04 2010-10-04 화상표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6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4412A (ja) 2006-03-01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ッジ入力型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20961A (ja) 2008-07-09 2010-01-28 Citizen Electronics Co Ltd 面状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097909A (ja) 2008-10-20 2010-04-30 Panasonic Corp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4412A (ja) 2006-03-01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ッジ入力型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20961A (ja) 2008-07-09 2010-01-28 Citizen Electronics Co Ltd 面状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097909A (ja) 2008-10-20 2010-04-30 Panasonic Corp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46U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5124B1 (en) Mobile terminal
RU2341032C1 (ru) Кнопочный узел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этим узлом
KR101318034B1 (ko) 광학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KR100358668B1 (ko) 터치스크린과 함께 이용 가능한 정렬된 광학 셔터 및 배경조명 셀을 구비한 표시 장치
CN107710314B (zh) 显示装置
EP2720443B1 (en) Mobile terminal with light diffuser for a key
KR101105770B1 (ko) 색상 변화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색상 변화방법
US20070285913A1 (en) Device with modal light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20120036076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 장치
US20080280652A1 (en) Reconfigurable keypad method in handset device operable with plural subsystems
EP246123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device
US803131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ixed to a backlight assembly
US8376603B2 (en) Multi-segmented light guide for an input device
KR200465665Y1 (ko) 화상표시모듈
JP2007073445A (ja) 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KR101347997B1 (ko) 전자 기기
KR20110135345A (ko) 용량성 센싱 그리드를 포함한 광 가이드 및 관련 방법
EP1768147A2 (en) Keypad Backlighting Device
CN107949147B (zh) 一种柔性电路板和触控设备
KR101031008B1 (ko)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KR101097733B1 (ko)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JP5036835B2 (ja) 導光シート、接点ばね付きシート及びスイッチ装置
CN103312837A (zh) 便携式电子装置
KR200460797Y1 (ko) 중첩된 자판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US20210144241A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