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345Y1 -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 Google Patents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345Y1
KR200465345Y1 KR2020100009064U KR20100009064U KR200465345Y1 KR 200465345 Y1 KR200465345 Y1 KR 200465345Y1 KR 2020100009064 U KR2020100009064 U KR 2020100009064U KR 20100009064 U KR20100009064 U KR 20100009064U KR 200465345 Y1 KR200465345 Y1 KR 200465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e
variety
cloak
shoulder
atmosphe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65U (ko
Inventor
박명복
Original Assignee
박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복 filed Critical 박명복
Priority to KR2020100009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34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8Ca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어깨와 팔을 덮어 걸치면서 다양한 분위기 연출(예: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몸체(50a); 및 상기 몸체의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며, 머리 또는 몸을 통과시켜 몸체를 어깨에 걸쳐지도록 한 구멍(53);이 구비된 망토(5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본적인 망토 연출은 물론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망토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A MANTEAU}
본 고안은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망토 연출은 물론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망토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소매가 없이 케이프처럼 어깨부터 팔을 덮어 걸치는 외투를 망토(manteau)라 한다.
상기 망토는 영어의 맨틀(mantle)에 해당한다. 길이는 여러 가지이며, 좌우를 앞에서 겹쳐 잠그지 않는다. 중세 말기부터는 야회용이나 의식용으로 옷자락이 끌리는 긴 것도 나타났다. 망토는 오랜 옛날부터 입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앞을 핀으로 고정시킨 울(wool:양털·염소털·라마털 따위)로 만든 남자용 망토가 청동기시대 전기의 덴마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도 망토의 일종으로 보이는 외의가 착용되었다. 중세에는 널리 보급되어 남녀가 다 같이 코트(cotte:튜닉의 일종) 위에 착용하고, 앞부분은 단추나 브로치, 장식끈으로 고정시켰다. 르네상스기에는 모피로 가장자리에 테를 두른 것과, 진홍색 또는 검정색 호박단이나 벨벳 등으로 만든 호화로운 것이 나왔다. 17세기에는 모피로 만든 망토도 유행하였는데, 흰 담비의 모피로 만든 망토를 입은 루이 14세의 초상화를 보면 알 수 있다. 망토는 서민들도 입었는데, 여행자나 양치기는 두껍고 조잡한 울로 만든 두건이 달린 망토를 입었으며, 아일랜드의 가난한 여성들은 동물의 거친 털로 가장자리에 테를 둘러 모피처럼 보이게 하였다. 19세기에는 팔을 꺼낼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나타났으며, 1930년대 이후 현재와 같은 오버코트로 차차 변천하였는데, 지금은 여성의 패션용으로 남아 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과 더불어 입었다가, 유행이 지나자 입지 않았으며, 지금은 여성의 패션용으로 남아 있는 정도이다.
선행기술문헌으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1249호(출원번호 2007-0015646호)(명칭: 망토형 우의)가 출원된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도 1(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망토형 우의(1)는 방수소재로 시트부재(10)를 형성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의 두께로 형성하여 신체에 둘러서 착용하였을 때 무게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가벼움으로써, 이동하거나 행동하는데 따른 피로함이나 불편함이 없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시트부재(10)를 0.05㎜의 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소재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10)는 신체의 상부에서 하부의 일부인 무릎까지 충분히 감싸면서 두를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경사지게 퍼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비나 눈이 경사진 시트부재(10)를 통해 바닥에 자연스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트부재(10)는 신체의 상부에 둘러서 착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며, 이 개방된 전면에는 깃여밈부(11)와 흉부여밈부(12)가 형성되고, 이 깃여밈부(11)와 흉부여밈부(12)에는 서로 잠금되어 개방된 전면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수단(13)이 구비된다. 상기 단속수단(13)의 예로는 잠금과 풀림이 용이한 스냅, 단추 및 벨크로 등이 주로 이용되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신속한 잠금과 풀림을 구현할 수 있는 스냅이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망토형 우의(1)는 시트부재(10)의 전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신체의 상부에 둘러 착용하고, 착용 후에는 깃여밈부(11)에 구비된 단속수단(13)을 이용하여 여밈으로써, 위에서 쏟아지는 비나 눈이 신체의 목 부분을 통해 시트부재(10)의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깃여밈부(11)의 하단에 위치한 흉부여밈부(12)도 단속수단(13)을 이용하여 여밈으로써, 전방에서 들이치는 비나 눈에 의해 의복이나 소지품이 젖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부재(10)의 전면 하단은 여미지 않고 자유롭게 펄럭이도록 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시트부재(10)를 둘러서 착용시 이동이나 활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성과 활동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시트부재(10)의 둘레에는 주름부(14)가 형성되어 이동하거나 행동시 상기 주름부(14)의 접힌 부분이 펼쳐지게 되어 시트부재(10)의 내부공간을 확장하게 된다. 따라서, 손에 들고 있는 소지품이 신체 일부인 다리나 무릎에 닿지 않기 때문에 행동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게 되며, 이러한 주름부(14)는 외부에서 바라볼 때 미관상으로도 유려함을 보일 수 있어 구매의욕을 고취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트부재(10)의 상단에는 모자(15)가 형성되어 머리를 덮을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비나 눈으로 인해 머리가 젖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모자(15)는 가상선으로 보인 것과 같이, 양쪽 끝단을 잡고 서로 안쪽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접은 후에 맞닿는 부분을 재봉함으로써, 머리를 덮을 수 있는 수용공간(16)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자(15)는 시트부재(10)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모자(15)를 장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사전에 미리 밝혀둔다. 이와 같은 모자(15)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넓게 제1반사판(20)이 부착되고, 상기 모자(15)에 부착된 제1반사판(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반사판(21)이 시트부재(10)의 배면에 등이나 어깨와 같은 곳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부착된다. 이는, 비나 눈이 내리게 되는 야간에는 평상시와는 다르게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 및 후방의 물체, 사람 등을 식별하기가 매우 곤란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비나 눈이 내리게 되는 악천후에 야간운전을 하면 운전자의 식별력 및 집중력이 저하되어 안전사고가 다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평상시보다 사고발생률이 높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상기 제1,2반사판(20)(21)이 모자(15)와 시트부재(10)에 부착되어 제공됨으로써, 이로 인해 운전자들에게 경각심을 유발토록 하여 야간 보행시 우의(1)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모자(15) 및 시트부재(10)를 포함하고 있는 망토형 우의(1)는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볼 때 세련미를 줄 수 있고, 특히 상기 모자(15)가 투명하기 때문에 보행시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망토형 우의(1)는 비나 눈이 그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시트부재(10) 및 모자(15)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깃여밈부(11)와 흉부여밈부(12)에 구비된 단속수단(13)을 순차적으로 잡아당겨서 분리한 후 차곡차곡 접어 휴대하거나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망토를 우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다는 것이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종래 기술의 망토는 망토 하나만으로 16가지로 다양하게 연출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망토 연출 외에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의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멍이 뚫린 몸체와 이 몸체에 일측면과 타측면 그리고 주름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기본적인 망토 연출은 물론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를 제공하고, 제3목적은 망토 하나만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다수의 망토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이 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따라서 제4목적은 망토 하나로 전혀 새로운 이미지 메이킹이 가능함은 물론 가장 편하면서도 멋스럽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망토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망토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소매가 없이 케이프처럼 어깨부터 팔을 덮어 걸치는 망토에 있어서, 상기 망토는, 어깨와 팔을 덮어 걸치면서 다양한 분위기 연출(예: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며, 머리 또는 몸을 통과시켜 몸체를 어깨에 걸쳐지도록 한 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멍이 뚫린 몸체와 이 몸체에 일측면과 타측면 그리고 주름부가 구비된 망토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기본적인 망토 연출은 물론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망토 하나만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다수의 망토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이 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망토 하나로 전혀 새로운 이미지 메이킹이 가능함은 물론 가장 편하면서도 멋스럽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망토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망토형 우의의 사용상태도이고,
(b)는 종래 망토형 우의의 배면도이며,
(c)는 종래 망토형 우의의 정면도이다.
도 2 의 (a)(b)는 본 고안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의 일측면(브라
운)을 나타낸 것으로, 펼친 상태와 양쪽 샤링을 잡은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의 (a)(b)는 본 고안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의 타측면(보라
토트)을 나타낸 것으로, 펼친 상태와 양쪽 샤링을 잡은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4 의 (a)(b)(c)(d)는 본 고안 망토 브라운 및 보라토트로 베스트 연출을
도시한 각각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 의 (a)(b)(c)(d)는 본 고안 망토 브라운 및 보라토트로 망토 연출을 도
시한 각각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 은 본 고안 망토로 스카프를 연출한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 망토로 벨트 원피스를 연출한 정면도.
도 8 의 (a)(b)(c)(d)는 본 고안 망토 브라운 및 보라토트에 의해 양쪽 끈으
로 샤링 잡은 연출을 도시한 각각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9 는 본 고안 망토로 샤링 망토를 연출한 정면도.
도 10 의 (a)(b)는 본 고안 망토로 어깨 숄 연출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
도.
도 11 의 (a)(b)는 본 고안 망토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
도 12 의 (a)(b)는 본 고안 망토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을 도시한 정
면도 및 배면도.
본 고안에 적용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는 도 2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소매가 없이 케이프처럼 어깨부터 팔을 덮어 걸치는 망토에 있어서, 이하의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원고안의 상기 망토(50)는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와 팔을 덮어 걸치면서 다양한 분위기 연출(예: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몸체(50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50a)는 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다각형 등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50a)의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며, 머리 또는 몸을 통과시켜 몸체를 어깨에 걸쳐지도록 한 구멍(53)이 구비된 망토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특히 상기 구멍(53)을 중심으로 몸체(50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측은 몸체(50a)와 일체로 박음질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 끈(56)을 이용하여 샤링(shirring:장식 주름)을 잡을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부(5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주름부(56)는 끈을 이용하여 몸체(50a)를 치켜서 올릴 경우 주름 장식이 되도록 구멍(53)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상기 몸체(50a)의 앞면과 뒷면은 다양한 분위기가 연출 가능하도록 각기 색상과 모양을 달리한 일측면(브라운)(도2a,b)(51)과 타측면(보라 토트)(도3a,b)(52)으로 구비된다.
아울러 본 고안 상기 몸체(50a)의 외곽 둘레 중에서 구멍(53)과 가까운 부분은 양쪽으로 장식을 위해 큰레이스(57)가 구비되고, 나머지 외곽 둘레에는 작은레이스(58)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고안 상기 양쪽으로 큰레이스(57)가 구비된 중앙에는 목에 걸어 감을 수 있도록 개구부(54)가 구비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기본적인 망토 연출은 물론 베스트 연출, 스카프 연출, 벨트 원피스 연출, 양쪽 끈으로 샤링 잡은 연출, 샤링 망토 연출, 어깨 숄 연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여성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도록 한 망토를 제공한다.
도 2 는 본 고안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50)의 일측면(브라운)을 나타낸 것으로, 도 2 의 (a)는 펼친 상태이고 도 2 의 (b)는 양쪽 샤링을 잡은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50)의 타측면(보라 토트)을 나타낸 것으로, 도 3 의 (a)는 펼친 상태이고, 도 3 의 (b)는 양쪽 샤링을 잡은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망토(50)를 도 2(a)(b)와 같이 브라운이 밖으로 보이게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도 3(a)(b)와 같이 보라 토트가 밖으로 보이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 는 본 고안 망토(50)로 베스트를 연출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일측면(51)(브라운면 앞 모습)을 보인 앞모습이고, 도 4(b)는 일측면(51)(브라운면 뒷 모습)을 보인 뒷모습이다.
또한 본 고안 망토(50)의 도 4(c)는 타측면(52)(보라 토트면 앞모습)을 보인 앞모습이고, 도 4(d)는 타측면(52)(보라 토트면 뒷모습)을 보인 뒷모습이다.
도 5 는 본 고안 망토(50)로 망토를 연출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일측면(51)(브라운면 앞 모습)을 보인 앞모습이고, 도 5(b)는 일측면(51)(브라운면 뒷 모습)을 보인 뒷모습이다.
또한 본 고안 망토(50)의 도 5(c)는 타측면(52)(보라 토트면 앞모습)을 보인 앞모습이고, 도 5(d)는 타측면(52)(보라 토트면 뒷모습)을 보인 뒷모습이다.
도 6 은 본 고안 망토(50)로 스카프를 연출한 정면도 모습으로, 일측면(51)과 타측면(52)을 혼합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 은 본 고안 망토(50)로 벨트 원피스를 연출한 정면도 모습으로, 사진에서는 일측면(51)(브라운면)을 보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뒤집어서 타측면(52)(보라 토트면)이 보이게 원피스 연출이 가능하다.
도 8 은 본 고안 망토(50)를 양쪽 끈(56)으로 샤링 잡은 연출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끈(56)을 당기면 주름부(55)가 접히면서 장식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며, 도 8(a)는 일측면(51)(브라운면)이 보인 앞모습이고, 도 8(b)는 일측면(51)(브라운면)을 보인 옆모습이다.
그리고 도 8(c)는 타측면(52)(보라토트면)이 보인 앞모습이고, 도 8(d)는 타측면(52)(보라토트면)을 보인 옆모습이다.
도 9 는 본 고안 망토(50)로 샤링 망토를 연출한 정면도로, 소매부분을 끈(56)으로 잡아 당겨 주름부(55)에 샤링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10 은 본 고안 망토(50)로 어깨 숄 연출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로, 도 10(a)는 어깨 숄 연출의 앞모습을 보인 것이고, 도 10(b)는 어깨 숄 연출의 뒷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11 은 본 고안 망토(50)로 어깨 숄 허리 뒤로 묶기 연출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로, 도 11(a)는 타측면(52)(보라토트면)을 보인 앞모습이고, 도 11(b)는 타측면(52)(보라토트면)을 보인 뒷모습이다.
도 12 는 본 고안 망토(50)로 앞치마 스타일 원피스 연출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로, 도 12(a)는 타측면(52)(보라토트면)을 보인 앞모습이고, 도 12(b)는 타측면(52)(보라토트면)을 보인 뒷모습이다.
본 고안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망토 51: 일측면
52: 타측면 53: 구멍
54: 개구부 55: 주름부
56: 끈 57: 큰레이스

Claims (6)

  1. 삭제
  2. 어깨와 팔을 덮어 걸치면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도록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며, 머리 또는 몸을 통과시켜 몸체를 어깨에 걸쳐지도록 한 구멍이 구비되어 소매가 없이 케이프처럼 어깨부터 팔을 덮어 걸치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에 있어서,
    구멍(53)을 중심으로 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측은 몸체와 일체로 박음질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 끈(56)을 이용하여 샤링(shirring:장식 주름)을 잡을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부(55);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주름부(55)는 끈을 이용하여 몸체를 치켜서 올릴 경우 주름 장식이 되도록 구멍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4. 청구항 2 에 있어서,
    몸체의 앞면과 뒷면은 다양한 분위기가 연출 가능하도록 각기 색상과 모양을 달리한 일측면(51)과 타측면(52)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5. 청구항 2 에 있어서,
    몸체의 외곽 둘레 중에서 구멍과 가까운 부분은 양쪽으로 장식을 위해 큰레이스(57)가 구비되고, 나머지 외곽 둘레에는 작은레이스(5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양쪽으로 큰레이스(57)가 구비된 중앙에는 목에 걸어 감을 수 있도록 개구부(5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KR2020100009064U 2010-08-30 2010-08-30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KR200465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64U KR200465345Y1 (ko) 2010-08-30 2010-08-30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64U KR200465345Y1 (ko) 2010-08-30 2010-08-30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65U KR20120001665U (ko) 2012-03-08
KR200465345Y1 true KR200465345Y1 (ko) 2013-02-14

Family

ID=4660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064U KR200465345Y1 (ko) 2010-08-30 2010-08-30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3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020B1 (ko) * 2012-09-27 2013-10-3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원단 및 그 제조방법
WO2021030215A1 (en) * 2019-08-09 2021-02-18 Nike, Inc. Hooded and adjustable adaptive gar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212Y1 (ko) * 1989-07-25 1991-09-25 백수만 코우트
JPH0841705A (ja) * 1994-07-27 1996-02-13 Kanebo Ltd 編 地
JPH10158913A (ja) 1996-11-18 1998-06-16 Yoshiko Hayashi 穴あきスカーフ
JP2004183147A (ja) 2002-12-03 2004-07-02 Setsuko Nagai ケープ状外衣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212Y1 (ko) * 1989-07-25 1991-09-25 백수만 코우트
JPH0841705A (ja) * 1994-07-27 1996-02-13 Kanebo Ltd 編 地
JPH10158913A (ja) 1996-11-18 1998-06-16 Yoshiko Hayashi 穴あきスカーフ
JP2004183147A (ja) 2002-12-03 2004-07-02 Setsuko Nagai ケープ状外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65U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200Y1 (ko) 망토형 우의
CA2879259C (en) Hood
US20140259269A1 (en) Personal reflective garment
US7467422B2 (en) Hooded scarf
US20120079644A1 (en) Convertible scarf garment
US20150013046A1 (en) Detachable and adjustable hood
US20070266476A1 (en) Head Covering With Magnetic Closure
US20150305411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KR200465345Y1 (ko)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망토
US20160255887A1 (en) Scarf with Pockets and Hood
KR101121007B1 (ko) 다용도 스카프
JP2013249563A (ja) 簡易レインコート
JP3200971U (ja) 二部式着物
CN2251896Y (zh) 蝶式挡阳披
Lindholm Invisible no more: the embellished abaya in Qatar
CN210432862U (zh) 一种双面两用防水外套
KR200473552Y1 (ko) 차양부가 구비된 모자
CN214802450U (zh) 防尘御寒服
KR200463546Y1 (ko)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JP3178988U (ja) クールビズ対応ビジネスシャツ
CN210445739U (zh) 一种可折叠包式雨衣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JP3082070U (ja) 帽子付和洋装兼用二部式雨コート
JP3212080U (ja) 自転車用雨除けエプロン
CN206744660U (zh) 双面穿警便两用多功能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