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95Y1 -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 Google Patents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95Y1
KR200464995Y1 KR2020120005122U KR20120005122U KR200464995Y1 KR 200464995 Y1 KR200464995 Y1 KR 200464995Y1 KR 2020120005122 U KR2020120005122 U KR 2020120005122U KR 20120005122 U KR20120005122 U KR 20120005122U KR 200464995 Y1 KR200464995 Y1 KR 200464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mesh
body portion
hook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1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구
Original Assignee
김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구 filed Critical 김병구
Priority to KR2020120005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9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4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망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 위에 놓여있는 철망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판상체의 형상을 가진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θ)는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앵커삽입 구멍(120)(122)과; 상기 몸체부(110)의 좌우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지면 위의 철망의 철선을 내부로 파여진 부분으로 안착시켜서 상기의 철망을 고정하게 되는 철망 파지홈(13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저항제거용 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망 파지홈(130)은 기역자(ㄱ) 형상의 갈고리 형태로서, 철선이 삽입되는 철선 입구부(132)와 상기의 철선이 고정되어 걸리는 철선 걸고리부(13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mechanism of the wire mesh, body portion 110 having the shape of a plate-like body while pressing the wire mesh lying on the ground; An anchor insertion hole (120) (122) which penetrates obliquely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θ) of 10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body portion (110); It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130 for fixing the wire mesh by seating the wire of the wire mesh on the ground into the hollowed out portion; have.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resistance removing groove 112, the wire gripping groove 130 is a hook-shaped hook shape of the tracer (a), the wire inle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wire 132 and the wire hook portion 134 to which the wire is fix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철망의 고정기구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본 고안은 철망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이나 하천의 제방에 철망을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에, 지면 위에 놓여지는 철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시공 이후 고정된 철망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관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철망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mechanism of a wire mesh,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wire mesh is installed on a retaining wall or a bank of a river, the wire mesh placed on the ground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and fixed after the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mechanism of a wire mesh that can maintain a bonding relationship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gap.

오늘날 자연환경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지면서, 종래의 산업화 과정에서 당연시되어 진행되어왔던 각종의 토목건설 분야의 시공방법이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점차 전환되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As the importa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widely recognized today, construction methods of various civil construction field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in the conventional industrialization process are gradually being converted into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s.

이러한 추세는 소하천이나 강의 제방을 구축하거나 절개지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도 그 예외는 아니어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럭을 배제하고, 그 대신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This trend is not an exception in the construction of small rivers or river banks, or in the construction of cutouts, and thus is being replac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methods using gabion gabions, excluding conventional concrete blocks and lanyard blocks.

이러한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육각형태 또는 오각형태 또는 사각형태의 철 그물망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잡석 또는 부식토 등을 채워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만들고, 그 수용 공간의 내부에 잡석 또는 부식토를 채워넣음과 동시에, 그곳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시공방법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구조물이 상기의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고, 다면체의 철망 구조물로 제조된 개비온 돌망태이다. 개비온 돌망태는 철 그물망으로 짜여진 개비온의 내부에 자연석, 조약돌, 잡석 등을 채워넣은 다음, 이것을 도로의 절개지, 제방의 침식방지용 매트리스, 교각의 침식방지용 교대, 방파제의 방어벽, 경사면의 옹벽이나 축벽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오늘날에는 식물의 식재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clined surface using the Gabion gabion, using a hexagonal, pentagonal, or square iron mesh, a storage space for filling rubble or humus in the interior is made, and rubble inside the storage space. Or by filling the humus and planting plants there. Representative structures that are useful in such a construction method is the Gabion gabion made of a polyhedral wire mesh structure having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Gabion gabions are filled with natural stones, cobblestones, rubble, etc. inside Gabion woven into an iron mesh, which are then cut into road cuts, embankment erosion mattresses, pier erosion shifts, breakwater barriers, and retaining walls or shaft walls. It is widely used for its purpose, and today it basically includes the planting stage of plants.

이와 같은 종래의 개비온 시공방법은 전통적으로 그 수용공간의 내부에 잡석이나 깬돌을 채움재로서 채워넣었던 것인데, 깬돌의 구입시 오히려 자연을 파괴하는 모순을 가져오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잡석의 획득의 곤란성 등을 고려하여, 깬돌 등과 같은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 시공지역의 주변의 토사를 이용하는 반면에, 철망을 지면 위에 고정시키고, 철망의 망눈과 망눈의 사이에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비온 친환경 시공방법이 등장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The conventional Gabion construction method has traditionally filled rubble or crushed stone as a filling material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rushed stone causes a contradiction to destroy nature. New Gabion Eco-Friendly, which does not use fillers such as crushed stone, but uses earth and sand around the construction area, while fixing the wire mesh on the ground and allowing plants to grow between the meshes of the wire mesh. Construction methods have emerged and are in the spotlight.

이와 같은 새로운 개비온 시공방법은 종래의 깬돌과 같은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연훼손의 측면이 전혀 없고, 원재료 구입난에 따른 곤란성이 없으며, 더구나 식물의 식재로 인하여 가장 적합한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그 기대하는 바가 크게 입증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시공방법에서는 지면 위에 설치된 철망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철망 고정기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Since the new Gabion construction method does not use fillers such as crushed stone, it does not have any side effects of natural damage, and there is no difficulty in purchasing raw materials. The bar is greatly proven. In this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 in order to fix the wire mesh installed on the ground to the ground, a separate wire mesh fixing mechanism was developed and used.

도 5는 새로운 친환경 시공방법에 사용되고 있었던 철망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인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52684호 "철망의 고정기구"에 의해 제공된 것이다. 5 is related to the fixing mechanism of the wire mesh that was used in the new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d by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52684 "fixing mechanism of the wire mesh".

이러한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는 철망과 함께 지면에 고정된 이후, 외부의 자연환경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철망 고정기구가 철망의 철선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는 제방의 언덕과 같은 곳에 시공되었을 때, 장마철이나 여름철에 빗물이 불어나 하천이 범람하거나 하천에 불어난 유속에 노출되어지게 되면, 전체적인 철망 구조물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의 종래 철망 고정기구 자체가 철망의 철선에서 빠져나와 버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세차게 밀려오는 하천의 물에 대해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가 일종의 저항체로 작용한 결과,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가 위쪽으로 들려 올려지는 힘을 받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철선에서 이탈되어지는 현상으로까지 발전하기 때문이었다. Since the conventional wire mesh fixing mechanism is fixed to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wire mesh, when the impact caused by the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is applied,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is easily detached from the wire of the wire mesh.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wire mesh fixing device is fixed to the ground when exposed to the flow rate of rain or flood or stream flooding during the rainy season or summer when it is installed in the hills of the embankment,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wire mesh fixing device itself has been thrown out of the wire of the wire mesh. As a result of the conventional wire mesh fasteners acting as a kind of resistance to the rapidly flowing river water, the conventional wire mesh fasteners are lifted upwards and eventually develop into the phenomenon of being separated from the wire. It was because.

이와 같은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를 계속 사용할 경우, 시공 당시 및 그 이후 어느 정도 경과된 시점에서는 별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해가 거듭될수록 또는 시공구간에 큰 물에 의한 하천수가 불어날수록, 시공구간에 설치되어 있던 철망 고정기구가 철망에서 이탈되어지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시공구간의 부실이라는 부작용을 발생시키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If the conventional wire mesh fixing device continues to be used, no problems occu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at some time thereafter.However, as the year is repeated or as the river water is blown up by the large water in the construction section, Installed wire mesh fixtures may be dislodged from the wire mesh, and may eventually cause side effects such as failure of construction sections.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452684호 "철망의 고정기구" (2011. 3. 7.);[Reference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52684 "Fixing Mechanism of Wire Mesh" (2011. 3. 7.);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723호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2012. 04. 16.).[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38723 "Fixed wedge of the wire mesh used in the environment-friendly embankment construction" (2012. 04. 16.).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옹벽이나 하천의 제방에 철망을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에, 지면 위에 놓여지는 철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시공 이후 고정된 철망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관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철망의 고정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wire mesh placed on the ground firmly to the ground when constructing the wire mesh on the retaining wall or the bank of the river, and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relationship is continu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wire mesh after construction. To provide a fixing mechanism of the wire mesh that can be maintained with.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는 지면 위에 놓여있는 철망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판상체의 형상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는 상기 몸체부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앵커삽입 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좌우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지면 위의 철망의 철선을 내부로 파여진 부분으로 안착시켜서 상기의 철망을 고정하게 되는 철망 파지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저항제거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망 파지홈은 기역자(ㄱ) 형상의 갈고리 형태로서 상기의 철선이 삽입되는 철선 입구부와 상기의 철선이 고정되어 걸리는 철선 걸고리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Wire mesh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dy portion having the shape of the plate-like body while pressing the wire mesh lying on the ground; An anchor insertion hole penetrating inclin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which is 10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for fixing the wire mesh by seating the wire of the wire mesh on the ground into the hollowed part; forming the body portion Resistive groove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and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has a hook-shaped hook shape, and includes a wire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d a wire hook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fix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철망 파지홈의 철선 걸고리부는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wire hook portion of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is formed in a V shap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은 상기 몸체부에서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앵커 삽입유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insertion hol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body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nchor insertion guide portion.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는 하천의 유속의 방향으로 일치되는 화살표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ncludes an arrow mark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경사면에 고정되는 철망을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using the wire mesh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wire mesh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또한, 본 고안은 일단 한번 고정되어지면, 지면에 박혀진 앵커들이 서로 엇각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상기 철망 파지홈이 기역자(ㄱ) 형상의 갈고리 형태로 제조되므로, 하천의 유속에 의한 저항을 받을 경우에도, 상기의 철망 고정기구가 철선에서 이탈하여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nce fixed once, the anchors embedded in the ground to form a mutual angle, and also because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hook-shaped hook (a), receive the resistance by the flow rate of the river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ir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철망 고정기구(100)에 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철선에 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개비온 철망에 본 고안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100)에 관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 mesh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embodiments of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fastening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ire,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installing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Gabion wire mesh,
5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wire mesh fixing device 100.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describ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고안은 옹벽이나 하천의 제방에 시공되는 철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된 이후 그 철망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관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철망의 고정기구(100)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stening mechanism 100 of the wire mesh that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wire mesh constructed on the retaining wall or the bank of the river, and can continue to maintain the coupling relationship without leaving the wire mesh after being fix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 mesh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철망 고정기구(100)에 관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embodiments of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지면 위에 놓여있는 철망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판상체의 형상을 가진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는 상기 몸체부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앵커삽입 구멍(122)과; 상기 몸체부의 좌우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지면 위의 철망의 철선을 내부로 파여진 부분으로 안착시켜서 상기의 철망을 고정하게 되는 철망 파지홈(130);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having a plate-like shape while pressing the wire mesh lying on the ground; An anchor insertion hole 122 penetrating obliquely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which is 10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130 for fixing the wire mesh by seating the wire of the wire mesh on the ground in the inner part; basically forming It is included.

이 점에서, 본 고안은 선행기술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52684호의 개량기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n improvement techn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Model No. 20-452684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110)는 지면 위에 존재하는 철망(10)을 지긋이 눌러주게 되며,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상의 형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체는 일반적으로 그 평면을 이루고 있고, 대체적으로 1 센티미터 내지 4 센티미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 센티미터 내지 3 센티미터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몸체부(110)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 이후 작업자가 예초기 등을 사용할 경우, 예초기의 칼날이 모난 부분에 부딪혀서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줄여주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0 is to gently press the wire mesh 10 existing on the grou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ate-like shape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platelets generally form their planes, and generally form one centimeter to four centimeters, and more preferably have a thickness of two centimeters to three centimeters. Since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10 is relatively thin, when the worker uses a lawn mower after construction, the blade of the lawn mower hits the angular portion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accident.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110)는 그 전방 및 후방에 하천의 유속에 의한 저항을 줄여주기 위한 저항제거용 홈(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개비온 철망을 시공할 경우, 철망의 덮개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철망 고정부재를 사용할 경우, 그 철망 고정부재는 하천의 물이 흘러가는 방향에 대하여 유속의 저항을 적게 받는 모습으로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몸체부(110)가 직사각형상을 이룰 경우에는, 하천의 유속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그 몸체부의 좁은 형상이 하천의 유속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몸체부(110)는 상하 방향에 상방벽면과 하방벽면이 그대로 존재하였으므로, 하천의 유속에 의한 저항을 그대로 받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resistance removal grooves 112 for reducing the resistance due to the flow rate of the river. In general, when the Gabion wire mesh is used, when the wire mesh fixing member is used to fix the cover of the wire mesh to the ground, the wire mesh fixing member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flow velocity is less resistan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stream. . Therefore,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order to minimize the resistance to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e narrow shape of the body portion is to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rate of the river. However, the conventional body portion 110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upper wall surface and the lower wall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it is, and receives the resistance by the flow rate of the river as it is.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방벽면과 하방벽면에 각각 상기의 저항제거용 홈(112)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의 물살이 일부 그 속으로 빠져나갈 공간을 제공하여 하천의 유속에 의한 저항을 더욱 적게 받도록 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천의 유속에 대하여 몸체부(110)가 저항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above-described resistance removing grooves 112 on the upper wall and the lower wall, respectively, to provide a space for the water flow of the stream to partially escape into the resistance of the stream. To receive less. Referring to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body portion 110 is arranged to receive less resistance to the flow rate of the river.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는 앵커삽입 구멍(122)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122)은 작업자가 앵커 또는 대형 못을 지면에 박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122)은 상기 몸체부(110)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chor insertion hole 122 penetrated obliquely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perator drives the anchor or the large nail to the ground.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penetrates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앵커삽입 구멍(122)의 경사각도는 종래와 동일하게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 도 내지 60 도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is preferably 10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body portion 110, as in the prior art, more preferably 30 to It is good to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60 degrees.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122)은 상기 몸체부(110)에서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경우, 보다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고, 철망을 고정하는 힘이 전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122)은 그의 전후 방향으로 앵커 삽입유도부(1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삽입유도부(125)는 작업자가 앵커 또는 대못을 앵커삽입 구멍(122)에 끼워넣을 때 좀더 쉽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신속한 작업수행이 전체적인 시공성능의 효율에 직결되어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is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body portion (110). This is because when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balance can be more maintained, and the force for fixing the wire mesh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addition,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preferably forms the anchor insertion guide portion 125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of. The anchor insertion guide 125 performs a function of inducing the operator to easily insert the anchor or nail into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This is because quick work is directly related to the overall efficiency of construction performance.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하 좌우방향에 존재하는 철망 파지홈(130)을 포함하고 있다.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ncludes a wire mesh gripping groove 130 existing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 파지홈(130)은 기역자(ㄱ) 형상의 갈고리 형태로서 상기의 철선이 삽입되는 철선 입구부(132)와 상기의 철선이 고정되어 걸리는 철선 걸고리부(134)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는 상기의 철망 파지홈이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직선형태로 파여진 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반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철망 파지홈(130)은 전체적으로 기역자(ㄱ) 형상의 갈고리 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기의 철선이 삽입되는 철선 입구부(132)와 상기의 철선이 고정되어 걸리는 철선 걸고리부(134)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서로 상이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gripping groove 130 is a hook-shaped hook-shaped hook-type wire inlet 132 is inserted into the wire and the wire hook portion 134 to which the iron wire is fixed It is included. The conventional wire mesh fixing device has a shape in which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excavated in a straight shape, whereas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ok-shaped hook shape as a whole. The wire inlet 132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is different from the wire hook part 134 to which the wire is fixe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철선 입구부(132)는 철선(12)이 삽입되어지는 입구 부분이다. 작업자는 철망의 철선(12)을 상기 철선 입구부(132)에 대고 살짝 눌러주면, 상기의 철선(12)이 상기 철선 입구부(132)로 끼워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의 철선 걸고리부(134)는 상기 철선 입구부(132)에 끼워진 철선(12)이 고정되어 걸리는 부분인데, 작업자가 상기의 몸체부(1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눌러주면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 내리면, 상기의 철선(12)이 자동적으로 상기의 철선 걸고리부(13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철선 걸고리부(134)의 아래쪽에는 걸림부(13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일단 상기의 철선 걸고리부(134)에 삽입된 철망의 철선(12)이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해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entry portion 132 is an entry portion into which the wire 12 is inserted. When the worker gently presses the wire 12 of the wire mesh against the wire inlet 132, the wire 12 is inserted into the wire inlet 132. The wire hook portion 134 is a portion to which the wire 12 fitted to the wire inlet portion 132 is fixed and caught, while the worker presses the body portion 110 by hand while press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When pulled down, the wire 12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wire hook portion 134. The hook portion 133 is formed below the wire hook portion 134 to prevent the wire wire 12 of the wire mesh inserted into the wire hook portion 134 from being easily pulled out.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철망 파지홈(130)의 철선 걸고리부(134)는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일단 상기의 철선 걸고리부(134)에 삽입된 철선이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의 몸체부(110)가 움직일 경우에도,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철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hook portion 134 of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130 is more preferably formed in a V shape. This is to prevent the iron wire inserted into the iron wire hook portion 134 once the body portion 110 is moved out of the outside even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표면에는 하천의 유속의 방향으로 일치되는 화살표 표시부(1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화살표 표시부(118)는, 상기 철선 걸고리부(134)가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철선 입구부(132)가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을 경우, 상기 철선 걸고리부(134)에서 상기 철선 입구부(132)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화살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손으로 철망 고정기구(100)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천의 유속이 진행하는 방향과 일치되게 상기의 화살표를 배치하게 되면, 추후 하천의 물이 불어나 유속이 발생되어지는 상황에서, 물의 유속이 상기 몸체부(110)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게 될 때, 오히려 지면의 철선은 상기 철선 걸고리부(134)의 전방으로 더욱 밀착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철망 고정기구가 철선에서 이탈되어질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의 화살표 표시부(118)에 표시된 화살표를 이용할 경우, 그 화살표의 방향만을 지표로 하여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천의 유속이 흘러가는 방향과 상기 화살표 표시부(118)의 화살표의 진행 방향이 서로 일치함을 알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includes an arrow display portion 118 matched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The arrow display unit 118, when the wire hook portion 134 is disposed in front and the wire inlet portion 132 is located in the rear, the wire inlet portion 132 in the wire hook portion 134 It is characterized by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arrow to face in the direction of). In such a case, when the worker arranges the arrow to mat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proceeds while holding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by hand, the water flows in the stream later or the flow velocity is generated. In, when the flow rate of the water acts to push the body portion 110, rather than the wire of the ground wire closer to the front of the wire hook portion 134,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as in the conventional wir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fear of leaving. Therefore, when the worker uses the arrow displayed on the arrow display unit 118,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only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an indicator.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stream flows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rrow of the arrow display unit 118 coincides with each other.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친환경 시공방법에 사용된 철망(10)의 철선(12)에 체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being fastened to the wire 12 of the wire mesh 10 us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method in the following manner.

도 3은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철선에 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fastening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of FIG.

도 4는 친환경시공구간에 설치된 철망에 본 고안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ire mesh installed in the eco-friendly construction sec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지면에 놓여 있는 개비온 철망(10)의 철선(12)을 철망 고정기구(100)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반면에, 도 3b는 상기 개비온 철망(10)의 철선(12)을 철망 고정기구(100)에 완전히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3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llustrates a step of inserting the wire 12 of the Gabion wire mesh 10 placed on the ground into the wire mesh fixing device 100. On the other hand, Figure 3b shows a step of fastening the wire 12 of the Gabion wire mesh 10 to the wire mesh fastening mechanism 100 completely fixed.

작업자는 일단 하천의 경사면 또는 제방에 철망(10)을 펼쳐 놓은 다음, 작업순서에 따라 진행하되, 상기의 철망(10)을 고정시켜야 할 단계에 들어서면,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를 상기 철망(10)의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작업자는 철망의 철선(12)이 상기 철망 파지홈(130)의 철선 입구부(132)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Once the worker unfolds the wire mesh 10 on the slope or dike of the river, and then proceed in accordance with the working order, step into the step to fix the wire mesh 10,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t on top of the wire mesh (10). At this time, the worker should be located in the wire wire entry portion 132 of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130 of the wire mesh.

작업자는 상기 철망 고정기구의 몸체부(110)를 잡고, 약간 밑으로 눌러주면서, 상기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내려주면, 상기의 철선(12)이 상기의 철선 걸고리부(134)에 위치하게 되고, 그곳에서 걸리게 된다. When the worker grasps the body portion 110 of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while pressing down slightly, pushing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wire 12 is positioned in the wire hook portion 134, It will take you there.

작업자는 앵커 또는 대형 못을 상기 앵커삽입 구멍(122)에 삽입시키고, 하나씩 지면에 박아넣는다. 이때, 상기의 앵커 또는 대형 못이 상기 앵커삽입 구멍(122)에 충분히 들어가도록 하고, 그 윗부분이 바깥쪽에 노출되지 않도록 박아준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의 앵커 또는 대형 못이 일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상 설명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임을 밝혀둔다.An operator inserts an anchor or a large nail into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and drives one by one into the ground. At this time, the anchor or the large nail is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anchor insertion hole 122, and the upper portion is driven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nchor or a large nail is exposed to some outsi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is considered in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작업자는 상기의 앵커 또는 대형 못이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확인하고, 고정작업을 종료한다. 그 이후 단계는 개비온 철망의 시공작업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The operator confirms that the anchor or the large nail is completely inserted, and ends the fixing operation. Subsequent steps proce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he Gabion wire mesh.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Although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is is only for describ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thereof is defined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Determined and defined.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this is also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철망 고정기구, 110 : 몸체부,
112 : 저항제거용 홈, 118 : 화살표 표시부,
122 : 앵커삽입 구멍, 125 : 앵커삽입 유도부,
130 : 철망 파지홈, 132 : 철선 삽입구,
134 : 철선 걸고리부
100: wire mesh fixing mechanism, 110: body portion,
112: resistance removing groove, 118: arrow indicator,
122: anchor insertion hole, 125: anchor insertion guide,
130: wire gripping groove, 132: wire insertion hole,
134: wire hook part

Claims (4)

지면 위에 놓여있는 철망(10)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판상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방 및 후방에는 저항제거용 홈(112)을 포함하고 있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θ)는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앵커삽입 구멍(120)(122)과; 상기 몸체부(110)의 좌우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지면 위의 철망의 철선을 내부로 파여진 부분으로 안착시켜서 상기의 철망을 고정하게 되는 철망 파지홈(130);을 포함하고 있는 철망 고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철망 파지홈(130)은 기역자(ㄱ) 형상의 갈고리 형태로서, 철선이 삽입되는 철선 입구부(132)와 상기의 철선이 고정되어 걸리는 철선 걸고리부(134)를 포함하고 있고,
이때, 상기의 철선 걸고리부(134)는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철망 고정기구(100).
A body portion 110 having a plate-like shape while pressing the wire mesh 10 lying on the ground, and including a resistance removing groove 112 at the front and the rear; An anchor insertion hole (120) (122) which penetrates obliquely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θ) of 10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body portion (110); It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the wire mesh gripping groove 130 for fixing the wire mesh by seating the wire of the wire mesh on the ground into the hollowed out portion; Wire mesh fasteners,
The wire gripping groove 130 has a hook-shaped hook shape, and includes a wire inlet portion 132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d a wire hook portion 134 to which the wire is fixed.
At this time, the wire hook portion 13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shape, wire mesh fixing mechanism 10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122)(124)은 상기 몸체부(110)에서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앵커 삽입유도부(125)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철망 고정기구(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anchor insertion holes 122 and 1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body portion 110,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 insertion guide portion 125 is formed, the wire mesh fixing mechanism 1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표면에는 하천의 유속의 방향으로 일치되는 화살표 표시부(1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철망 고정기구(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row display portion 118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low rate of the river, wire mesh fixing mechanism 100.

KR2020120005122U 2012-06-15 2012-06-15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KR2004649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22U KR200464995Y1 (en) 2012-06-15 2012-06-15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22U KR200464995Y1 (en) 2012-06-15 2012-06-15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995Y1 true KR200464995Y1 (en) 2013-01-29

Family

ID=5136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122U KR200464995Y1 (en) 2012-06-15 2012-06-15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95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202A (en) * 2007-12-24 2009-07-09 Kissho Kk Wire net fixing hardware
KR200452684Y1 (en) * 2008-07-04 2011-03-21 전완진 Apparatus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202A (en) * 2007-12-24 2009-07-09 Kissho Kk Wire net fixing hardware
KR200452684Y1 (en) * 2008-07-04 2011-03-21 전완진 Apparatus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2653C (en) Fiber block planting system
CA2713304A1 (en) Erosion control ballast and soil confinement mat
KR101193948B1 (en) Apparatus for fixing connection of stone net and stone net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37323B1 (en) Plant germination bag with plant germination pocke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packing plate for fixing plant germination bag
US20040076477A1 (en) Underwater building unit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200464995Y1 (en) Device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JP2018204391A (en) Gabion and slope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138723B1 (en) The wedge for fixing wire mesh that use buid a dike eco friendly
NO320078B1 (en) Method for forming a steep dam, system for use in forming the steep dam, and a steep dam.
KR100884017B1 (en) Method of Constructing Bank Walls with Recovering Natural Environment
KR20010026934A (en) Landscape block for protecting a slop side and carrying out method of using it
KR101035132B1 (en) Base block for supporting shore protection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628201B1 (en) Ecological block structure
KR101023983B1 (en) Method for executing punching type ditch
KR101334749B1 (en)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200452684Y1 (en) Apparatus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KR20090075476A (en) Slope greening method
KR100705934B1 (en) Interval adjusting device of gardening block and anchor block
KR20150109121A (en) Concrete pile utilizing wasted tire and the slope stabilizing structure thereof
KR102449164B1 (en) Eco-friendly Greening System Using Shells
JP4039419B2 (en)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block and revetment using it
KR102155824B1 (en) Precast panel retaining wall
CN214245762U (en) A safety protection structure for mine engineering prevents weighing down stone
KR101138192B1 (en) Afforestation method of vertical wall and shelf assembly thereof
KR200405621Y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breast for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