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63Y1 - 파티션용 빔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63Y1
KR200464763Y1 KR2020120011376U KR20120011376U KR200464763Y1 KR 200464763 Y1 KR200464763 Y1 KR 200464763Y1 KR 2020120011376 U KR2020120011376 U KR 2020120011376U KR 20120011376 U KR20120011376 U KR 20120011376U KR 200464763 Y1 KR200464763 Y1 KR 200464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air
beam body
partitio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120011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 E04B2/781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18Accessories supported on the free upper edge, e.g. auxiliary panels, noise abate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2Details of panel top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션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파티션용 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파티션용 빔은, 하부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을 수직으로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빔본체; 상기 빔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된 스크린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티션용 빔{Beams for the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용 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무공간을 구획하기 위해서 사무실 등에 사용되는 파티션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보조적인 스크린 또는 액세서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용 빔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파티션에 의해 사무공간이 구획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의 사무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해서 파티션을 사용하고 있다.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개별파티션(1)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개별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파티션은 개별적으로 구획된 공간이 획일적이므로 사무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하여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고, 디자인이 획일적이므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기에 부족하고, 파티션에 액세서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 획일적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의 한계에서 벗어나 다양하게 사무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하고, 파티션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보조적인 스크린 또는 액세서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무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사무공간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용 빔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빔은, 파티션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파티션용 빔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을 수직으로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빔본체; 상기 빔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된 스크린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제1 폭을 갖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경계는 단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빔본체의 상부에는 보조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빔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홈은 상기 빔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수직연장부와, 상기 제1 수직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수평연장부와, 상기 제1 수평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제1 수평연장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에 걸림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빔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수직연장부와, 상기 제2 수직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수평연장부와, 상기 제2 수평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제2 수평연장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에 걸림으로써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빔본체의 측면에는 보조브라켓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빔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가이드홈(50,6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빔본체의 좌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되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좌측연장부와, 상기 좌측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좌측리브와, 상기 좌측리브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빔본체 측으로 휘어지는 제1 만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이격된 좌측리브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만곡부에 걸림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상기 빔본체의 우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되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우측연장부와, 상기 우측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우측리브와, 상기 우측리브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빔본체 측으로 휘어지는 제2 만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이격된 우측리브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만곡부에 걸림으로써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홈의 중심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공간구획용 스크린은, 파티션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보조적인 스크린 또는 액세서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무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사무공간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파티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정면도,
도4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 및 도6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에 스크린이 결합된 사용상태도,
도7 내지 도9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정면도이며, 도4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에 스크린이 결합된 사용상태도이고, 도7 내지 도9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빔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파티션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파티션용 빔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무공간 등을 구획하는 파티션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보조적인 스크린 또는 액세서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용 빔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빔(100)은, 빔본체(10)와 가압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빔본체(10)는 체결홈(11)과 삽입홈(12)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홈(11)은 빔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프레임(1)이 상기 체결홈(11)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삽입홈(12)은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70)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끼우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빔본체(10)의 중앙측에서 상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70)은 예컨대,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칸막이용 부재로 상기 삽입홈(12)에 끼울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은 제1 삽입부(121)와 제2 삽입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부(121)는 제1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부(122)는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다. 상기 제1 삽입부(121)와 상기 제2 삽입부(122)의 경계는 단턱(14)을 형성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삽입부(121) 및 상기 제2 삽입부(122)의 폭을 달리하여, 상기 제1 삽입부(121) 또는 제2 삽입부(122)의 폭에 맞는 스크린(70)을 끼움으로써 두께가 다른 2 종의 스크린(70)을 끼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5는 상기 제2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스크린(70)을 삽입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린(70)은 상기 제2 삽입부(122)에 삽입된다. 한편, 도6은 상기 제1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스크린(70)을 삽입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린(70)은 상기 제1 삽입부(121)에 삽입되고, 상기 스크린(70)의 측면은 가압부재(20)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스크린(70)의 하단은 상기 단턱(14)에 안착된다.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빔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스크린(70)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재(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20)는 지지부(21)와 가압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12)에는 상기 가압부재(2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13)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20)의 상기 지지부(21)는 상기 삽입홈(12)에 마련된 안착홈(13)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21)는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지지부(21)의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홈(12)의 중심 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가압부(22)는 상기 스크린(7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스크린(7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빔(100)은 프레임(1)에 설치하여 추가적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7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 파티션프레임에 측판을 결합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무 공간을 구획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일률적으로 사무 공간을 구획하던 종래 방식과는 달리, 다양하게 제작되는 스크린(70)을 필요한 크기로 설치할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빔본체(10)에 대하여, 상기 빔본체(10)의 길이와 상응하는 스크린(70)을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빔본체(10)의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스크린(7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사무공간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빔(100)은 보조적인 브라켓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액세서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제1,2 결합홈(30,40) 및 제1,2 가이드홈(50,60)을 구비한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제1,2 결합홈(30,40)은 빔본체(10)의 상부에 보조브라켓(80,9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빔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상기 제1 결합홈(30)은 제1 수직연장부(31), 제1 수평연장부(32), 제1 절곡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연장부(31)는 상기 빔본체(1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다. 상기 제1 수직연장부(31)는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수평연장부(32)는 상기 제1 수직연장부(3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수직연장부(31)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수평연장부(32)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보조브라켓(80,9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절곡부(33)는 상기 제1 수평연장부(32)의 각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보조브라켓(80,90)은 상기 제1 수평연장부(32)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33)에 걸려서 체결된다. 상기 제1 수직연장부(31), 상기 제1 수평연장부(32) 및 상기 제1 절곡부(33)가 이루는 공간은 상기 보조브라켓(80,9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 결합홈(30)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결합홈(40)은 상기 삽입홈(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결합홈(30)의 맞은 편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홈(40)은 제2 수직연장부(41), 제2 수평연장부(42), 및 제2 절곡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직연장부(41)는 상기 빔본체(10)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다. 상기 빔본체(10)의 타측이라함은 상기 제1 수직연장부(31)가 형성되는 일측과 반대편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수직연장부(41)는 상기 제1 수직연장부(31)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 수평연장부(42)는 상기 제2 수직연장부(4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수평연장부(42)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제2 수평연장부(42)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보조브라켓(80,9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절곡부(43)는 상기 제2 수평연장부(42)의 각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보조브라켓(80,90)은 상기 제2 수평연장부(42)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절곡부(43)에 걸려서 체결된다. 상기 제2 수직연장부(41), 상기 제2 수평연장부(42) 및 상기 제2 절곡부(43)가 이루는 공간은 상기 보조브라켓(80,9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결합홈(4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제1,2 결합홈(30,40)에 체결된 보조브라켓(80)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브라켓(80)의 다리부(81)가 상기 제1,2 결합홈(30,40)에 함께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이다. 한편, 도9를 참조하면, 보조브라켓(90)은 다리부(91)가 제1 결합홈(30)에 삽입되어 체결된 경우를 도시한다. 물론, 제2 결합홈(4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7 내지 도9의 설명되지 않은 부재번호 2는 프레임(1)에 결합되는 측판이다.
상기 보조브라켓(80)은 상측에 다른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보조브라켓(80)에 책장 등을 결합하는 형태로도 활용가능하다. 따라서, 단순히 사무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의 역할을 하던 과거 파티션과는 달리, 보조브라켓에 책장과 같은 액세서리를 결합하여 그 액세서리(예컨대, 책장)이 사무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의 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무공간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가이드홈(50,60)은 빔본체(10)의 측면에 보조브라켓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빔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2 가이드홈(50,60)에 결합되는 보조브라켓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한 보조브라켓(80,90)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2 가이드홈(50,60)에 결합되는 보조브라켓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50)은 상기 빔본체(10)의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좌측연장부(51), 좌측리브(52), 및 제1 만곡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연장부(51)는 상기 빔본체(10)의 좌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되,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연장부(51)는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좌측리브(52)는 상기 좌측연장부(5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좌측리브(52)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보조적인 액세서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만곡부(53)는 상기 좌측리브(5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빔본체(10) 측으로 휘어진다. 보조브라켓은 상기 이격된 좌측리브(52) 사이로 삽입되어 제1 만곡부(53)에 걸려 체결된다.
상기 제2 가이드홈(60)은 상기 빔본체(10)의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우측연장부(61), 우측리브(62), 및 제2 만곡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연장부(61)는 상기 빔본체(10)의 우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되,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연장부(61)는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우측리브(62)는 상기 우측연장부(6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우측리브(62)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보조적인 액세서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만곡부(63)는 상기 우측리브(6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빔본체(10) 측으로 휘어진다. 보조브라켓은 상기 이격된 우측리브(62) 사이로 삽입되어 제2 만곡부(63)에 걸려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브라켓(80,90)이 제1 결합홈(30) 및/또는 제2 결합홈(40)에 체결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2 가이드홈(50,60)에 또 다른 보조브라켓(미도시)을 이용하여 다양한 액세서리를 체결할 수 있다. 보조브라켓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빔(100)은 파티션의 프레임(1)에 설치되어 보조적인 스크린(7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70)에 의해 사무공간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빔(100)은, 보조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브라켓에 추가적인 액세서리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빔본체 11... 체결홈
12... 삽입홈 121... 제1 삽입부
122... 제2 삽입부 13... 안착홈
14... 단턱 20... 가압부재
21... 지지부 22... 가압부
30... 제1 결합홈 31... 제1 수직연장부
32... 제1 수평연장부 33... 제1 절곡부
40... 제2 결합홈 41... 제2 수직연장부
42... 제2 수평연장부 43... 제2 절곡부
50... 제1 가이드홈 51... 좌측연장부
52... 좌측리브 53... 제1 만곡부
60... 제2 가이드홈 61... 우측연장부
62... 우측리브 63... 제2 만곡부
70... 스크린 80,90... 보조브라켓
1... 프레임 100... 파티션용 빔

Claims (5)

  1. 파티션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파티션용 빔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11)이 형성되고,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70)을 수직으로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홈(12)이 형성된 빔본체(10);
    상기 빔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된 스크린(7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은 제1 폭을 갖는 제1 삽입부(121)와,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제2 삽입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121)와 상기 제2 삽입부(122)의 경계는 단턱(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본체(10)의 상부에는 보조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빔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결합홈(30,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홈(30)은 상기 빔본체(1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수직연장부(31)와, 상기 제1 수직연장부(3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수평연장부(32)와, 상기 제1 수평연장부(32)의 각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33)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제1 수평연장부(32)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33)에 걸림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제2 결합홈(40)은 상기 빔본체(10)의 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수직연장부(41)와, 상기 제2 수직연장부(4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수평연장부(42)와, 상기 제2 수평연장부(42)의 각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43)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제2 수평연장부(42)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절곡부(33)에 걸림으로써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본체(10)의 측면에는 보조브라켓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빔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가이드홈(50,6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홈(50)은 상기 빔본체(10)의 좌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되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좌측연장부(51)와, 상기 좌측연장부(5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좌측리브(52)와, 상기 좌측리브(5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빔본체(10) 측으로 휘어지는 제1 만곡부(53)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이격된 좌측리브(52)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만곡부(53)에 걸림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홈(60)은 상기 빔본체(10)의 우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되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우측연장부(61)와, 상기 우측연장부(61)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우측리브(62)와, 상기 우측리브(6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빔본체(10) 측으로 휘어지는 제2 만곡부(63)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이격된 우측리브(62)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만곡부(63)에 걸림으로써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에는 상기 가압부재(2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홈(1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홈(12)의 중심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70)을 가압하는 가압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빔.
KR2020120011376U 2012-12-05 2012-12-05 파티션용 빔 KR200464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76U KR200464763Y1 (ko) 2012-12-05 2012-12-05 파티션용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76U KR200464763Y1 (ko) 2012-12-05 2012-12-05 파티션용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63Y1 true KR200464763Y1 (ko) 2013-01-22

Family

ID=5136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376U KR200464763Y1 (ko) 2012-12-05 2012-12-05 파티션용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6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8795A2 (en) 1999-04-28 2000-11-02 Screen Solutions Limited Screen panel connectors
JP2005054390A (ja) 2003-08-08 2005-03-03 Okamura Corp 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KR20060057768A (ko) * 2004-11-24 2006-05-29 조명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JP2011106223A (ja) 2009-11-20 2011-06-02 Comany Inc 衝立パネルの縦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8795A2 (en) 1999-04-28 2000-11-02 Screen Solutions Limited Screen panel connectors
JP2005054390A (ja) 2003-08-08 2005-03-03 Okamura Corp 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KR20060057768A (ko) * 2004-11-24 2006-05-29 조명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JP2011106223A (ja) 2009-11-20 2011-06-02 Comany Inc 衝立パネルの縦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21263B1 (nl) Steunbeugel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lamel van een tuindraadpaneel
RU2700822C2 (ru) Шкаф
CN106063062A (zh) 用于开关柜的机架的底部组件
JP5668246B2 (ja) 少なくとも1つのフレームアダプタを有するフレームスリーブ
KR101302972B1 (ko) 서가
US20160360884A1 (en) Drawer wall element and filler element for a drawer wall, and item of furniture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CN206179679U (zh) 电容器安装底座
US9901173B2 (en) Frame for a drawer having a frame body as well as a drawer and furniture item having a drawer
KR200464763Y1 (ko) 파티션용 빔
JP3173673U (ja) テレビ載置部天板全面使用可能ユニット式ローボード
KR200461257Y1 (ko) 파티션
CN205355731U (zh) 一种新型线缆固定架
CN104363793B (zh) 抽屉后壁
CN214483783U (zh) 一种可快速安装的置物架
CN205100478U (zh) 一种易定位的装饰板
US20160003273A1 (en) Assembly of an elongate thin lip in an elongate narrow slit and use for assembling an air guide onto a shroud
CN211114248U (zh) 改进结构的面板连接器及所应用的挂装式间隔墙
KR101249592B1 (ko) 반자동으로 결합되는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US20190307247A1 (en) Storage compartment that can be inserted into a cabinet element
CN211691239U (zh) 一种斜装装配式装修结构件
CN104481113A (zh) 一种大块组合式的拼接地板
KR200481216Y1 (ko) 방음벽
AU2018293542A1 (en) Device for fastening a finishing strip
JP6723885B2 (ja) 戸車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