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67Y1 - 자석 결합식 안경 - Google Patents

자석 결합식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67Y1
KR200464667Y1 KR2020120006712U KR20120006712U KR200464667Y1 KR 200464667 Y1 KR200464667 Y1 KR 200464667Y1 KR 2020120006712 U KR2020120006712 U KR 2020120006712U KR 20120006712 U KR20120006712 U KR 20120006712U KR 200464667 Y1 KR200464667 Y1 KR 200464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coupled
eyeglasses
magn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순
Original Assignee
정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순 filed Critical 정한순
Priority to KR2020120006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eadgea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은 자석 결합 식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양측단에 각각 나사 결합 되는 안경다리의 후단부에는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걸려지는 반원형의 헤드걸이대를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안경의 연결부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형성하고, 그 절단면에 연결부가 착,탈되는 자석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석으로 인해 착,탈 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으로부터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석 결합식 안경{Magnet Combination Glasses}
본 고안은 자석 결합 식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양측단에 각각 나사 결합 되는 안경다리의 후단부에는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걸려지는 반원형의 헤드걸이대를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안경의 연결부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형성하며, 그 절단면에 연결부가 착,탈되는 자석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석으로 인해 착,탈 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얼굴 전면으로부터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결합 식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이란 렌즈가 결합 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태의 양단에 결합 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경을 시력이 저하된 사람들이 착용함으로써, 잘 보이지 않는 사물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안경의 문제점은 안경테의 양단에 나사 결합 된 안경다리를 양손으로 벌린 상태에서 안경을 얼굴에 착용하만 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빨리 걷거나 또는 달리기할 경우에는 안경이 위, 아래로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안경다리가 귀에 걸쳐지도록 안경을 착용하기 때문에 안경을 오랜 시간 착용한 사람들은 안경이 귀를 지속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안경을 오랜 시간 착용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두통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경테의 양측단에 결합 되는 안경다리의 후단에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걸쳐지도록 헤드걸이대를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고, 그 안경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의 연결부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면에 연결부가 착,탈되도록 자석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석으로 인해 착,탈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안경을 얼굴 정면으로부터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안경다리에 연장 형성된 헤드걸이대가 후두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빨리 걸어다니거나 또는 운동 시 안경이 위, 아래로 흔들리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들도 원활하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헤드걸이대가 후두부에 최대한으로 밀착된 상태로 안경을 착용함으로, 장시간 안경을 착용하더라도 두통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석 결합 식 안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렌즈가 결합 되는 한 쌍의 렌즈결합부와 상기 렌즈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 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는 안경을 포함하는 자석 결합 식 안경에 있어서,
안경다리를 연결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안경이 걸쳐지도록 반원형의 헤드걸이대를 안경다리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고,
연결부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절단면에는 연결부가 착,탈되도록 자석을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을 얼굴 정면에서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안경테의 양측단에 결합 되는 안경다리의 후단에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걸쳐지도록 헤드걸이대를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고, 그 안경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안경의 연결부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면에 연결부가 착,탈되도록 자석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석으로 인해 착,탈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안경을 얼굴 정면으로부터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안경다리에 연장 형성된 헤드걸이대가 후두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빨리 걸어다니거나 또는 운동 시 안경이 위, 아래로 흔들리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들도 원활하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헤드걸이대가 후두부에 최대한으로 밀착된 상태로 안경을 착용함으로, 장시간 안경을 착용하더라도 두통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석 결합 식 안경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석 결합 식 안경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부의 착,탈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거리조절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반사면이 구비된 관통홈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제 제품을 촬영한 사시 사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상기 도면의 의하면 본 고안은,
렌즈(90)가 결합 되는 한 쌍의 렌즈결합부(11)와 상기 렌즈결합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20)로 이루어진 안경테(10)와, 상기 안경테(10)의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 되는 안경다리(30)로 구성되는 안경(1)을 포함하는 자석 결합 식 안경에 있어서,
안경다리(30)를 연결하여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안경(1)이 걸쳐지도록 반원형의 헤드걸이대(31)를 안경다리(30)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고,
연결부(20)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21)을 형성하며,
상기 절단면(21)에는 연결부(20)가 착,탈되도록 자석(22)을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1)을 얼굴 정면에서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은 자석(22)에 의해 착,탈 되는 연결부(20)로 인하여 안경(1)을 얼굴 정면으로부터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1)을 착용시 후두부에 밀착되는 반원 형태의 헤드걸이대(31)로 인해 오랜 시간 안경(1)을 착용하더라도 안경(1)으로 인해 두통이 발생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일상 생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걸려지는 헤드걸이대(31)는 도 1과 같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안경테(1)의 양측단에 나사로 결합 되는 안경다리(30)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경다리(3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헤드걸이대(31)가 구비된 안경(1)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연결부(20)의 중앙을 도 1과 같이 절단하여 절단면(21)을 형성하고, 그 절단면(21)에 자석(22)을 도 3의 (a)와 같이 결합한다.
상기 연결부(20)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21)을 형성하고, 그 절단면(21)에 도 3의 (a)와 같이 자석(22)을 내장되게 연결부(20)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헤드걸이대(31)가 형성된 안경(1)을 착용 시 연결부(20)를 분리된 상태에서 얼굴 정면으로부터 착용하기 때문에 헤드걸이대(31)가 구비된 안경(1)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자석(22)으로 부착된 연결부(20)를 분리하고, 그 분리된 연결부(20)의 사이를 이용하여 안경(1)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자석(22)이 결합 된 연결부(20)를 부착하기 때문에 안경(1)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경테(10)와 안경다리(30)의 사이로 안경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하여 헤드걸이대(31)가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최대한으로 밀착되도록 거리조절부재(50)를 설치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50)는 도 1과 같이 안경테(10)의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편(14)에 나사 결합 되는 고정편(14)이 전단에 형성되고, 후단에는 고정돌기(63)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60)를 안경테(10)의 양측단에 각각 나사로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부(60)가 안경다리(30)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가이드홈(7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안경다리(30)의 내측면에는 도 1과 같이 가이드홈(70)과 연통되며, 도 4와 같이 고정돌기(63)가 끼워진 상태에서 안경다리(30)의 전,후 길이를 가변시키는 안내홈(80)을 상기 안경다리(30)의 전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내측면에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80)의 상,하면에는 고정돌기(63)가 끼워져 길이가 가변 된 안경다리(30)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홈(8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거리조절부재(50)로 인해 안경다리(30)의 전,후 길이를 도 4의 (a),(b)와 같이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안경다리(30)에 연장 형성된 헤드걸이대(31)는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최대한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안경(1)이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안경테(10)와 안경다리(30) 사이로 결합 되는 가이드부(60)에 도 2와 같이 조명부재(40)를 각각 나사로 결합한다.
상기 조명부재(40)는 가이드부(60)에 형성된 결합면(62)에 나사로 결합 되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44)와 상기 스위치(44)의 작동 신호에 의해 빛을 발산시키는 조명등(4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명등(45)은 전구 또는 LED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가이드부(60)에 결합되도록 케이스(41)의 상부면에는 결합홈(43)이 구비된 결합부(43)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1)의 외측면에는 가압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44)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44)의 신호에 의해 빛이 발생 되는 조명등(45)을 상기 케이스(41)의 전면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안경(1)에 조명부재(40)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명부재(40)로 인해 어두운 장소에서도 책을 읽거나 또는 사물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경테(10)의 양측면 하부에는 조명등(45)이 삽입되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관통홈(12)을 형성하는 데, 상기 관통홈(12)의 내부에는 전면으로 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반사면(13)을 형성한다.
상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반사면(13)을 안경테(10)에 형성함으로써, 조명등(45)으로부터 발생 되는 빛은 도 5와 같이 반사면(13)에 반사되면서 렌즈(90)로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반사면(13)에 의해 조명등(45)으로 발생 되는 빛이 렌즈결합부(11)로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하여 조명등(45)의 빛에 의해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눈이 부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석(22)으로 부착된 연결부(20)에 힘을 가하여 도 3의 (b)와 같이 렌즈결합부(11)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20)를 분리한다.
상기 연결부(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1)을 착용한 후에 연결부(2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안경다리(30)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22)는 처음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도 3의 (a)와 같이 연결부(20)의 내부에 결합 된 자석(22)으로 인해 상기 연결부(20)는 결합 되면서 안경(1)을 착용한다.
상기와 같이 자석(22)으로 부착된 연결부(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안경(1)을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경(1)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20)가 결합 된 상태에서 안경다리(30)를 손으로 잡고 도 4의 (a),(b)와 같이 도면상 좌,우측로 안경다리(30)를 이동시킨다.
상기 안경다리(30)가 좌,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안경다리(30)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헤드걸이대(31)는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밀착되는 것이다.
즉, 안경(1)의 안경테(10)와 연결된 가이드부(50)가 도 4의 (a)와 같이 안경다리(30)에 최대한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도 4의 (b)와 같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당겨 안경다리(3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경다리(30)가 늘어남에 따라서 안내홈(80)에 끼워진 고정돌기(63)에 고정홈(81)이 순차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길이가 늘어난 안경다리(3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거리조절부재(50)를 이용하여 안경다리(3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또는 줄이면서 헤드걸이대(31)가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경다리(30)에 형성된 헤드걸이대(31)가 최대한으로 후두부에 밀착되게 안경(1)을 착용하기 때문에 상기 헤드걸이대(31)로 인해 안경(1)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헤드걸이대(31)가 후두부에 밀착되게 안경(1)을 착용하기 때문에 상기 안경(1)이 귀를 가압하여 발생 되는 두통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부(20)가 자석(22)으로 인해 착,탈 되고, 안경다리(30)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헤드걸이대(31)가 구비된 안경(1)에 도 2와 같이 조명부재(40)를 설치하고, 그 조명부재(40)에 구비된 조명등(45)으로부터 빛을 발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명등(45)으로부터 발생 되는 빛으로 인해 어두운 곳에서 책을 읽거나 또는 사물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 안경, 10: 안경테,
11: 렌즈결합부, 12: 관통홈,
13: 반사면, 14: 고정편,
20: 연결부, 21: 절단면,
22: 자석, 30: 안경다리,
31: 헤드걸이대, 40: 조명부재,
41: 케이스, 42: 결합부,
43: 결합홈, 44: 스위치,
45: 조명등, 50: 거리조절부재,
60: 가이드부, 61: 결합편,
62: 결합면, 63: 고정돌기,
70: 가이드홈, 80: 안내홈,
81: 고정홈, 90: 렌즈,

Claims (3)

  1. 렌즈(90)가 결합 되는 한 쌍의 렌즈결합부(11)와 상기 렌즈결합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20)로 이루어진 안경테(10)와, 상기 안경테(10)의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 되는 안경다리(30)로 구성되는 안경(1)을 포함하는 자석 결합 식 안경에 있어서,
    안경다리(30)를 연결하여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안경(1)이 걸쳐지도록 반원형의 헤드걸이대(31)를 안경다리(30)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고,
    연결부(20)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면(21)을 형성하며,
    상기 절단면(21)에는 연결부(20)가 착,탈되도록 자석(22)을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1)을 얼굴 정면에서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경다리(30)의 길이를 가변시켜 안경(1)을 착용하는 사람의 후두부에 헤드걸이대(31)가 밀착되도록 안경테(10)와 안경다리(30)의 사이로 거리조절부재(50)를 설치 구성하며,
    상기 거리조절부재(50)는 안경테(10)의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편(14)에 나사 결합 되도록 결합편(61)이 전단에 형성되고, 후단 내측면에 고정돌기(63)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60)를 안경테(10)의 양측단에 각각 나사로 결합하며,
    상기 안경다리(30)의 전면에는 가이드부(6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70)을 안경다리(30)의 내측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63)가 끼워진 상태로 안경다리(30)의 전,후 길이의 조절을 안내하는 안내홈(80)을 안경다리(30)의 전단으로부터 이격 되게 내측면에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80)의 상,하면에는 고정돌기(63)가 끼워져 길이가 가변 된 안경다리(30)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홈(8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60)에 조명부재(40)를 더 설치 구성하되,
    상기 조명부재(40)는 스위치(44)가 외측면에 설치된 케이스(41)를 가이드부(60)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41)의 전면에는 스위치(44)의 작동에 따라 On/Off 작동하면서 빛을 발산시키는 조명등(45)이 설치 구성된 조명부재(40)를 설치하며,
    상기 조명등(45)이 내부로 삽입되고, 전면으로 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눈부심 방지용 반사면(13)이 구비된 관통홈(12)을 안경테(10)의 양측 하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결합 식 안경.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6712U 2012-07-27 2012-07-27 자석 결합식 안경 KR200464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12U KR200464667Y1 (ko) 2012-07-27 2012-07-27 자석 결합식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12U KR200464667Y1 (ko) 2012-07-27 2012-07-27 자석 결합식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67Y1 true KR200464667Y1 (ko) 2013-01-11

Family

ID=5135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712U KR200464667Y1 (ko) 2012-07-27 2012-07-27 자석 결합식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85Y1 (ko) * 2014-02-10 2015-06-15 임창선 선글라스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592U (ko) * 1997-12-31 1998-03-30 길이조절이 용이한 선그라스다리
KR20100119631A (ko) * 2009-05-01 2010-11-10 노승균 브릿지의 착탈구조를 갖는 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592U (ko) * 1997-12-31 1998-03-30 길이조절이 용이한 선그라스다리
KR20100119631A (ko) * 2009-05-01 2010-11-10 노승균 브릿지의 착탈구조를 갖는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85Y1 (ko) * 2014-02-10 2015-06-15 임창선 선글라스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979B2 (en) Lighted reading glasses
KR200463221Y1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3d 안경
TW201719238A (zh) 眼鏡
KR200464667Y1 (ko) 자석 결합식 안경
KR20140127568A (ko) 반테형 안경
KR20160004555A (ko)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TWM554177U (zh) 可拆卸的鏡腳結構
CN210270400U (zh) 一种智能运动款视力矫正眼镜
CN210222392U (zh) 一种伸缩式眼镜
AU2017293435B2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KR200496615Y1 (ko) 안경용 마스크 걸이구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CN210573068U (zh) 一种眼镜附镜的安装结构
JP2005134579A (ja) 眼鏡用投光具、及び、眼鏡
TWM539063U (zh) 可附加前掛鏡片的磁吸連結件
KR200458336Y1 (ko)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CN210401899U (zh) 一种方便夜间寻找的眼镜
CN212965667U (zh) 一种眼镜
CN216286045U (zh) 插接式眼镜功能配件
CN212965666U (zh) 一种眼镜铰链结构
TWM457190U (zh) 具有警示效果之眼鏡
KR20230004195A (ko) Led를 활용해 야간에도 시야확보가 용이한 안경
CN117742000A (zh) 镜腿可拆卸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