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336Y1 -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336Y1
KR200458336Y1 KR2020100003143U KR20100003143U KR200458336Y1 KR 200458336 Y1 KR200458336 Y1 KR 200458336Y1 KR 2020100003143 U KR2020100003143 U KR 2020100003143U KR 20100003143 U KR20100003143 U KR 20100003143U KR 200458336 Y1 KR200458336 Y1 KR 200458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glasses
center
eye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59U (ko
Inventor
이상탁
Original Assignee
이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탁 filed Critical 이상탁
Priority to KR2020100003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33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3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잠시 사용하는 보조안경을 시력을 보정 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도수안경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안경의 도수안경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안경(C)의 브릿지(B)부에 돌출하는 고정구(2)의 상면에 고정홈(203)과 그 상부 전면에 작동홈(1)과 가운데에 관통공(201)을 형성하며 관통공의 하측에 지름이 확대되는 장치공(202)을 중심이 일치하게 형성하고 작동홈(1)의 내면과 소폭간격을 띄워 양측이 대향 돌출하는 슬라이딩돌부(101)를 형성하고,
하측 전면에 고정구(2)의 고정홈(203)과 대향할 수 있도록 가압홈(303)을 형성하고 관통공(201) 및 장치공(202)의 중심과 일치하게 나사공(301)을 형성하며, 양 측벽 후측에 안내홈(302)을 형성하여 안내홈(302)을 경계로 하여 측벽 후측을 슬라이딩돌부(304)로 되는 작동구(3)의 슬라이딩돌부(304)를 고정구(2)의 안내홈(102)에 투입하여 작동구(3)를 작동홈(1)에 결합하고 고정볼트(4)의 외주에 스프링(401)을 개입시켜 고정구(2)의 장치공(202) 및 관통공(201)의 내측을 통하여 나사공(301)에 나사 결합하여 집개부(A)를 형성하여 집개부로 도수안경의 브릿지부를 집어서 결합하고 집개부의 상,하를 이격시켜 도수안경으로부터 보조안경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Powerful glasses combination structure of assistant glasses}
본 고안은 선글라스 및 입체영상안경 등 필요에 따라 잠시 사용하는 보조안경을 시력을 보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도수안경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을 보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근래에는 태양광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선글라스 및 영화관 등에서 입체영상을 관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입체영상안경 등 필요에 따라 한시적으로 착용하는 보조안경이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잠시 사용하는 안경으로 그 예를 보면 운전중에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선글라스 및 상기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영화관 등에서 입체영상을 관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입체영상안경과 비산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산업용 안경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시간과 장소 및 주위환경에 따라 한시적으로 착용하는 안경이다.
상기에서처럼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안경 또한 종래에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지만 그 구성을 보면 통상의 안경 즉 안경렌즈를 가진 안경테와 이를 착용하기 위한 안경다리 및 안경 코 받침을 가진 안경테에 안경렌즈만을 바꾸어서 착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되는 종래의 안경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은 쉽게 안경의 착용이 가능하지만 시력이 약하여 도수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은 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즉, 종래의 안경은 두개의 안경을 동시에 착용하지 못하는 구성으로 되어 안경착용자가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서는 기존의 도수안경을 벗고 착용하여야 함으로 이는 사용자의 시력을 보정 할 수 없어 안경사용자들은 상기의 보조안경을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을 호소하여 왔으나 아직까지 이를 개선한 안경은 제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도수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도수안경의 외측에 보조안경을 덧대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경사용자가 시력을 보정하는 도수안경과 더불어 선글라스와 입체영상안경 및 산업용 안경 등 보조안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를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조안경테(C)의 브릿지(B)부에 형성되는 고정구(2)와 고정구에 결합하여 스프링(401)에 의해 가압 되며, 슬라이딩 작동하는 작동구(3)가 탄력 있게 고정구(2)로부터 이격 및 밀착되도록 하는 집개부(A)를 형성하여 도수안경의 브릿지(B')부를 집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수안경(C')에 보조안경(c)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사용용도에 적합한 안경렌즈를 가진 결합하여서 되는 보조안경의 결합부인 집개부에 도수안경의 브릿지부를 집어서 결합하고 집개부의 상,하를 이격시켜 벌리면 도수안경으로부터 보조안경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조안경 및 집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집개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집개부에 도수안경의 브릿지부를 결합한 실시예를 나타낸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보조안경과 도수안경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집개부를 구성하는 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보조안경 및 집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집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즉, 본 고안은 보조안경(C)의 브릿지(B)부에 고정구(2)를 돌출형성하고 고정구(2)의 상부에 작동홈(1)을 마련하여 그 내측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작동구(3)를 장치하여 상기 작동구(3)와 고정구(2)를 고정볼트(4) 및 스프링(401)으로 결합하여 가압작동하는 집개부(A)를 구성하여 도수안경(C')의 브릿지(B')를 집개부(A)로 집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고정구(2)는 브릿지(B)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그 상부 전면에 작동홈(1)과 가운데에 관통공(201)을 형성하며 관통공의 하측에 지름이 확대되는 장치공(202)을 중심이 일치하게 형성하고 작동홈(1)은 고정구(2)의 상부에 브릿지(B)의 두께폭 내측으로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하고 작동홈(1)의 내면과 소폭간격을 띄워 양측이 대향 돌출하는 슬라이딩돌부(101)를 형성함으로써 작동홈(1)의 양측 끝과 슬라이딩돌부(101) 사이에는 안내홈(102)이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서 작동구(3)는 하측 전면에 고정구(2)의 고정홈(203)과 대향할 수 있도록 가압홈(303)을 형성하고, 관통공(201) 및 장치공(202)의 중심과 일치하게 나사공(301)을 형성하며, 양 측벽 후측에 안내홈(302)을 형성하여 안내홈(302)을 경계로 하여 측벽 후측을 슬라이딩돌부(304)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먼저 작동구(3)의 슬라이딩돌부(304)가 고정구(2)의 상부에 형성되는 양측 안내홈(102)에 투입되게 하면 고정구(2)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돌부(101) 또한 작동구(3)의 안내홈(302)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작동구(3)는 작동홈(1)의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대향하여 결합된 각각의 슬라이딩돌부(101)(304) 및 안내홈(102)(302)에 의해 전,후로는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하로 승,하강 슬라이딩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작동구(3)는 고정볼트(4)의 외주에 스프링(401)을 개입시켜 고정구(2)의 장치공(202) 및 관통공(201)의 내측을 통하여 나사공(301)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스프링(401)의 일측은 고정나사(4)의 머리부(402)에 받침 되고, 타측은 장치공(202)과 관통공(201)의 구경의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부(204)에 받침되어 탄력있게 장치된다.
상기와 같이 장치되는 본 고안은 작동구(3)를 승강시키면 작동구(3)와 나사결합된 고정볼트(4)가 장치공(202)의 내에서 작동구(3)의 작동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때 스프링(401)의 양단부가 위치하는 고정볼트(4)의 머리부(402)와 장치공(202)과 관통공(201)의 경계부(204)와 거리가 좁아지게 되므로 스프링(401)은 압축된다
따라서, 작동구(3)는 스프링(401)에 의해 고정구(2) 측으로 항상 탄발력이 발생함으로서 고정구(2)와 작동구(3)는 집개부(A)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집개부(A)를 형성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구(2)의 상부에 작동구(3)가 고정구(2) 측으로 가압 슬라이딩 되게 구성하고 있지만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가장 쉽게 설명한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고정구(2)의 하측에 작동구(3)가 슬라이딩 작동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정구(2)의 상,하 양측에 대향하는 작동구(3)를 형성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A : 집개부 B : 브릿지
C : 안경테 1 : 작동홈
101,304 : 슬라이딩돌부 102, 302 : 안내홈
2 : 고정구 201 : 관통공
202 : 장치공 203 : 고정홈
204 : 경계부 205.305 : 슬라이딩돌부
3 : 작동구 301 : 나사공
303 : 가압홈 4 : 고정볼트
401 : 스프링 402 : 볼트머리

Claims (1)

  1. 보조안경(C)의 브릿지(B)부에 돌출하는 고정구(2)의 상면에 고정홈(203)과 그 상부 전면에 작동홈(1)과 가운데에 관통공(201)을 형성하며, 관통공의 하측에 지름이 확대되는 장치공(202)을 중심이 일치하게 형성하고 작동홈(1)의 내면과 소폭간격을 띄워 양측이 대향 돌출하는 슬라이딩돌부(101)를 형성하고,
    하측 전면에 고정구(2)의 고정홈(203)과 대향할 수 있도록 가압홈(303)을 형성하고, 관통공(201) 및 장치공(202)의 중심과 일치하게 나사공(301)을 형성하며, 양 측벽 후측에 안내홈(302)을 형성하여 안내홈(302)을 경계로 하여 측벽 후측을 슬라이딩돌부(304)로 되는 작동구(3)의 슬라이딩돌부(304)를 고정구(2)의 안내홈(102)에 투입하여 작동구(3)를 작동홈(1)에 결합하고 고정볼트(4)의 외주에 스프링(401)을 개입시켜 고정구(2)의 장치공(202) 및 관통공(201)의 내측을 통하여 나사공(301)에 나사 결합하여 집개부(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안경의 도수안경결합구조.
KR2020100003143U 2010-03-26 2010-03-26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KR200458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43U KR200458336Y1 (ko) 2010-03-26 2010-03-26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43U KR200458336Y1 (ko) 2010-03-26 2010-03-26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59U KR20110009359U (ko) 2011-10-05
KR200458336Y1 true KR200458336Y1 (ko) 2012-02-15

Family

ID=4584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43U KR200458336Y1 (ko) 2010-03-26 2010-03-26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3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9326B (zh) * 2018-02-01 2023-12-26 北京七鑫易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配于与眼镜使用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289A (ko) * 2002-12-23 2003-01-14 배명란 안경에 보조안경의 결합구조
US6827438B1 (en) 2003-08-14 2004-12-07 Yun-Cheng Wang Combination device for attaching auxiliary spectacles to main spectacles
JP2005049669A (ja) 2003-07-30 2005-02-24 Toyo Bussan Kogyo Kk 補助眼鏡の着脱構造
US20070002273A1 (en) 2005-06-29 2007-01-04 Wenzhou Jingmei Optical Co. Ltd. Universal clip-on eyeglas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289A (ko) * 2002-12-23 2003-01-14 배명란 안경에 보조안경의 결합구조
JP2005049669A (ja) 2003-07-30 2005-02-24 Toyo Bussan Kogyo Kk 補助眼鏡の着脱構造
US6827438B1 (en) 2003-08-14 2004-12-07 Yun-Cheng Wang Combination device for attaching auxiliary spectacles to main spectacles
US20070002273A1 (en) 2005-06-29 2007-01-04 Wenzhou Jingmei Optical Co. Ltd. Universal clip-on eyeg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59U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221Y1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3d 안경
US6386703B1 (en) Sunglasses combinable easily and quickly with a pair of near-sight eyeglasses
US20110083256A1 (en) Structure for Securing a Secondary Goggle Frame
US20060268217A1 (en) Side guards for eyeglasses
WO2005043222A3 (en) Rotatable and removable auxiliary eyewear system with snap alignment
KR101064599B1 (ko) 돗수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액티브 타입 입체영상안경
KR200458336Y1 (ko) 보조안경의 도수안경 결합구조
KR101566101B1 (ko) 안경테 탈착 구조체
US7144108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US20150146158A1 (en) Structure of eyeglasses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KR101335776B1 (ko) 안경착용자(시)와 비착용자(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쓰리디안경
US9958702B1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having nose support
TWI683205B (zh) 頭戴顯示裝置
US8651658B2 (en) Masks
KR20120005840U (ko) 도수안경테결합용 보조안경
KR200458335Y1 (ko) 안경테의 코 받침기둥 결합구조
KR101734648B1 (ko) 착탈식 도수 필름을 가지는 선그라스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101374129B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KR20180001138U (ko) 보조안경에 사용하는 자기적으로 마운트되는 조립체
KR200475570Y1 (ko) 스포츠안경과 보조안경의 탈착구조체
KR20110004077U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안경
KR20100088303A (ko) 렌즈교체가 용이한 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