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47Y1 -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47Y1
KR200464547Y1 KR2020120004492U KR20120004492U KR200464547Y1 KR 200464547 Y1 KR200464547 Y1 KR 200464547Y1 KR 2020120004492 U KR2020120004492 U KR 2020120004492U KR 20120004492 U KR20120004492 U KR 20120004492U KR 200464547 Y1 KR200464547 Y1 KR 200464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passing
accumulato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만근
하재관
Original Assignee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도로의 톨게이트 등에 설치하여 도로교통법상 제한된 중량을 초과하여 적재하는 운행 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중량을 측정하는 축중기; 상기 축중기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도로의 좌우측에 설치된 제1 차량 대수 분리기 및 제2 차량 대수 분리기에서 차량의 통과를 감지함으로써 통과하는 차량을 구분하여 식별하고, 생성된 식별 번호를 식별된 차량에 할당하는 차량 분리 장치; 상기 축중기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상기 도로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설된 루프 코일 위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각각의 루프 코일에 진입하는 시간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차로부터 상기 해당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차량 속도 측정 장치; 및 상기 축중기, 차량 분리 장치 및 차량 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해당 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SYSTEM FOR CRACKING DOWN THE CAR EXCEEDING WEIGHT LIMIT USNIG THE ROAD WEIGHTER}
본 고안은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도로의 톨게이트 등에 설치하여 도로교통법상 제한된 중량을 초과하여 적재하는 운행 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도로 교통법에는 제한 차량의 제원을 규정하여 도로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고의 위험을 줄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로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하여 축중량 및 총중량을 제한하고 낙하물의 사고 위험으로부터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적재 불량 단속까지 실시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차량 단속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5006호의 "과적 차량 단속 방법 및 시스템(김종우)"(문헌 1)에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여 운전자 및 단속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고속도로 등에서 축중기 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이 속도를 줄이지 못함으로 인해 정확한 측정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축중기 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정확한 차량 분리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축중기 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을 정확히 식별하고 진입 속도를 줄이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측정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5006호 과적 차량 단속 방법 및 시스템(김종우) 2007.02.13.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상에 운행하는 차량 중 축중기 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진입 속도를 표출함으로써 차량이 천천히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축중기를 위한 차량 분리기에서 모션 센서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저상 트레일러의 오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은, 도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중량을 측정하는 축중기; 상기 축중기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도로의 좌우측에 설치된 제1 차량 대수 분리기 및 제2 차량 대수 분리기에서 차량의 통과를 감지함으로써 통과하는 차량을 구분하여 식별하고, 생성된 식별 번호를 식별된 차량에 할당하는 차량 분리 장치; 상기 축중기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상기 도로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설된 루프 코일 위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각각의 루프 코일에 진입하는 시간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차로부터 상기 해당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차량 속도 측정 장치; 및 상기 축중기, 차량 분리 장치 및 차량 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해당 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차량 대수 분리기 또는 상기 제2 차량 대수 분리기의 하부에 모션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차량 대수 분리기 또는 상기 제2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가 오프될 경우라도, 상기 모션 센서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통과하는 차량을 하나의 차량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통과시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하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인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무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이미지 정보에서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에 할당된 식별 번호에 상기 추출된 차량의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측정된 축중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차로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측정된 축중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차량 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속도로 등에서 축중기 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속도를 표시함으로써 차량이 천천히 진입하도록 유도하여 정확한 축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축중기를 위한 차량 분리기에서 모션 센서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저상 트레일러 등의 경우와 같이 차량 대수 분리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오감지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속도 측정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축중기를 위한 이상적인 차량 분리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제 설치된 축중기를 위한 차량 분리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저상 트레일러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분리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중기를 위한 차량 분리기의 차량 분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중기 진입 차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고안은 도로상에 운행하는 차량 중 축중기 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진입 속도를 표출함으로써 차량이 천천히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축중기에 진입하기 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차량 속도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속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차량 속도 정보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차량이 천천히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속도 측정 수단으로 루프 코일(Loop coil)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분리 장치에 모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션 센서와 차량 대수 분리기를 연동시킴으로써 저상 트레일러 등과 같은 특수 차량에 대한 정확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중앙 제어 장치(100), 차량 경보기(110), 차로 차단기(120), 무인 카메라(130), 차량 분리 장치(140), 차량 속도 측정 장치(150), 축중기(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100)는 차량 분리 장치(140), 차량 속도 측정 장치(150) 및 축중기(160)로부터 차량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경보기(110), 차로 차단기(120), 무인 카메라(13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이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분리 장치(140)가 설치된 위치로 진입하면, 상기 차량 분리 장치(140)에 의해 차량이 분리된다. 상기 차량 분리 장치(140)에 의해 분리하여 구별된 차량에는 후술하는 설명에서와 같이 식별 번호가 부여되어 매핑되고, 해당 차량에 대해 수집된 각종 정보들은 상기 매핑된 식별 번호에 의해 관리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분리 장치(140)의 상세한 세부 구조는 도 4 내지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중앙 제어 장치(100)에서는 식별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무인 카메라(130)를 제어하여 해당 차량을 촬영한다.
이와 같이, 진입하는 차량이 구분되면, 차량 속도 측정 장치(150)에서는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통과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차량의 속도 정보는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제공된다.
또한, 진입하는 차량이 축중기(160)를 통과할 경우, 축중기(160)에서는 해당 통과 차량의 축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중앙 제어 장치(100)에 제공한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100)에서는 해당 통과 차량의 축중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차량 경보기(1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차로 차단기(12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차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즉, 중앙 제어 장치(100), 차량 경보기(110), 차로 차단기(120), 무인 카메라(130), 차량 분리 장치(140), 차량 속도 측정 장치(150), 축중기(160) 등)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치들 간에 형성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의 측정 결과 및 사진 촬영 이미지, 차량 정보 등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단말(미도시) 또는 단속자 단말(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에 알림창을 생성하거나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때, 상기 관리자 또는 단속자 단말은 사용자가 과적 차량 단속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포함하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고안에 따른 관리자 또는 단속자 단말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서 통과 차량의 적재 중량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100)는 정보 추출부(210), 제어 신호 생성부(220), 기준값 비교부(230), 차량 계수부(240), 제어부(250), 차량 데이터 저장부(260), 차량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270), 통신 인터페이스부(2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80)는 차로 차단기(120), 무인 카메라(130), 차량 분리 장치(140), 차량 속도 측정 장치(150), 축중기(160) 등과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차량 분리 장치(140)로부터 수신된 차량 분리 정보는 제어부(250)를 통해 차량 계수부(240)로 제공되며, 차량 계수부(240)에서는 분리 식별된 해당 차량에 대해 식별 번호를 할당하여 차량 데이터 저장부(260)를 통해 차량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한다. 이후부터는, 상기 할당된 식별 번호에 의해 해당 차량의 각종 정보가 수집되고 관리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에서는 무인 카메라(13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분리 식별된 해당 차량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무인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차량 사진 정보는 제어부(250)를 통해 정보 추출부(210)로 제공된다. 상기 정보 추출부(210)에서는 촬영된 차량 사진 정보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할당된 식별 번호와 매핑하여 차량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한다.
한편, 차량 속도 측정 장치(150)로부터 측정된 해당 차량의 속도 측정값은 제어부로 수신되며, 기준값 비교부(230)를 통해 상기 속도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2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는 차량 경보기(110)로 제공되며, 차량 경보기(110)에서는 과속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속도 측정값과 비교하는 기준값은 고속도로의 과속 기준 속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축중기에서 중량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낮은 속도를 의미한다.
또한, 축중기(160)로부터 측정된 해당 차량의 축중량 정보는 제어부(250)를 통해 기준값 비교부(230)로 제공되며, 기준값 비교부(230)에서는 상기 제공된 축중량 정보를 해당 차량의 기준 중량과 비교하고, 기준 중량을 초과할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2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는 차량 경보기(110)로 제공되며, 차량 경보기(110)에서는 과적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차량 데이터 저장부(260)를 통해 상기 측정된 축중량 정보를 차량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준 중량을 초과할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20)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는 차로 차단기(120)로도 전송될 수 있으며, 차로 차단기(120)에서 차로를 차단함으로써 과적 차량을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속도 측정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속도 측정 장치(150)는 제1 루프 코일(311), 제2 루프 코일(312), 루프 검출부(320), 제어부(330), 속도 표시부(340), 정보 전송부(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이 제1 루프 코일(311) 및 제2 루프 코일(312)을 통과하면, 루프 검출부(320)에서는 상기 차량 통과를 검출하여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제어부(330)에서는 상기 검출된 정보로부터 해당 차량의 속도를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차량의 속도 정보는 속도 표시부(340)로 제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속도 표시부(340)는 LED, LCD 등 다양한 표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0)를 통해 산출된 차량의 속도 정보는 정보 전송부(350)를 통해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루프를 통한 속도 산출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다.
루프를 이용한 차량의 속도 산출 방법은, 해당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의 도로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설된 루프 코일 위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각각의 루프 코일에 진입하는 시간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차로부터 속도 검지를 원하는 지점의 도로를 통과하는 해당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중기 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진입 속도를 표출함으로써 진입 속도를 낮추어 진입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정확한 중량 계측을 통한 과적 차량 단속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분리기를 설명한다.
축중기를 위한 차량 분리 방법
도 4는 축중기를 위한 이상적인 차량 대수 분리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분리 장치(140)에서 이상적으로 설치된 차량 대수 분리기(410, 420)는 지면과 10cm 높이의 아일랜드 위에 설치되어야 하나 실제 설치된 차량 대수 분리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20cm 또는 30cm에 해당하는 아일랜드 위에 차량 대수 분리기(510, 5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상 트레일러 차량(600) 등이 진입시 차량 대수 분리기의 위치가 높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트레일러(610) 부분이 차량 대수 분리기(510, 520)의 광센서 영역을 벗어나서 진입함으로 차량이 분리되어 감지되는 오작동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대수 분리기의 하단에 모션 센서를 더 구비함으로써 저상 트레일러 차량(600)의 정확한 분리가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분리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좌측 차량 대수 분리기(710) 또는 우측 차량 대수 분리기(720)의 하단에 모션 센서(730)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차량 대수 분리기(710, 720)에서 차량이 분리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라도, 모션 센서(730)에서 물체가 센싱되면, 차량이 분리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중기를 위한 차량 분리기의 차량 분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가 ON 되면(S801), 식별 번호를 생성(S802)한다. 그런 다음, 차량 대수 분리기 감지가 OFF 되면(S803), 해당 차량을 분리하여 감지한다.
한편,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대수 분리기 감지가 OFF 되더라도, 추가로 구비된 하단의 모션 센서가 ON 상태가 유지되면(S804), 저상 트레일러와 같은 차량이므로, 감지된 차량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차량으로 인식한다.
그런 다음, 상기 ON 상태의 모션 센서가 OFF 상태가 될 경우(S804), 해당 차량을 분리하여 인식한다. 즉, 분리 감지된 차량을 카운트하고 해당 차량에 상기에서 생성된 식별 번호를 할당(S805)한다.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중기 진입 차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축중기(960)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카운트하고 분리하기 위해 차량 대수 분리기(910, 920)가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차량 대수 분리기(910) 하부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911)가 장착된다.
차량이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910, 920)를 통과하면, 상기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대수 분리기(910, 920)와 모션 센서(911)의 연동을 통해 정확한 차량 분리 및 카운트가 이루어지며, 식별된 차량의 정보는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차량이 제1 루프 코일(931) 및 제2 루프 코일(932)을 통과하면, 상술한 방법에 따라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속도는 속도 표시부(940)에 표시됨으로써, 차량이 속도를 줄이면서 축중기(960)에 진입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통과시 무인 카메라(950)가 제어되어, 차량을 촬영하고,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함으로써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가 중앙 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중앙 제어 장치 110 : 차량 경보기
120 : 차로 차단기 130, 950 : 무인 카메라
140 : 차량 분리 장치 150 : 차량 속도 측정 장치
160, 960 : 축중기 210 : 정보 추출부
220 : 제어 신호 생성부 230 : 기준값 비교부
240 : 차량 계수부 250 : 제어부
260 : 차량 데이터 저장부 270 : 차량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
280 : 통신 인터페이스부 311, 931 : 제1 루프 코일
312, 932 : 제2 루프 코일 320 : 루프 검출부
330 : 제어부 340, 940 : 속도 표시부
350 : 정보 전송부
410, 420, 510, 520, 710, 720, 910, 920 : 차량 대수 분리기
600 : 차량 610 : 트레일러
730, 911 : 모션 센서

Claims (5)

  1. 도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축중량을 측정하는 축중기;
    상기 축중기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도로의 좌우측에 설치된 제1 차량 대수 분리기 및 제2 차량 대수 분리기에서 차량의 통과를 감지함으로써 통과하는 차량을 구분하여 식별하고, 생성된 식별 번호를 식별된 차량에 할당하는 차량 분리 장치;
    상기 축중기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상기 도로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설된 루프 코일 위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 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각각의 루프 코일에 진입하는 시간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차로부터 상기 해당 차량의 속도를 연산하여 표시함으로써 진입 속도를 낮추어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차량 속도 측정 장치;
    상기 축중기, 차량 분리 장치 및 차량 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해당 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 제어 장치;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통과시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하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인 카메라;
    상기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측정된 축중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차로 차단기; 및
    상기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측정된 차량 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상기 축중기에서 중량을 측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또한 상기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측정된 축중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차량 경보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차량 대수 분리기 또는 상기 제2 차량 대수 분리기의 하부에 모션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차량 대수 분리기 또는 상기 제2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가 오프될 경우라도, 상기 모션 센서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통과하는 차량을 하나의 차량으로 인식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무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이미지 정보에서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에 할당된 식별 번호에 상기 추출된 차량의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04492U 2012-05-29 2012-05-29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KR200464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92U KR200464547Y1 (ko) 2012-05-29 2012-05-29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92U KR200464547Y1 (ko) 2012-05-29 2012-05-29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547Y1 true KR200464547Y1 (ko) 2013-01-08

Family

ID=5371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92U KR200464547Y1 (ko) 2012-05-29 2012-05-29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41B1 (ko) * 2015-06-04 2017-04-28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과적 차량 무인 단속 시스템
CN109087512A (zh) * 2018-08-20 2018-12-25 中北大学 一种基于分布式震动传感器阵列的车辆超载动态监测方法
CN111477014A (zh) * 2020-04-09 2020-07-31 安徽皖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道路的车道监控运营方法
KR102140793B1 (ko) * 2020-04-17 2020-08-03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고속도로 제한 차량 단속 시스템에서 과적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고속 축중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287B1 (ko) * 2001-03-28 2004-09-22 박철봉 적재화물의 너비초과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0814028B1 (ko) * 2006-05-30 2008-03-14 김주현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287B1 (ko) * 2001-03-28 2004-09-22 박철봉 적재화물의 너비초과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0814028B1 (ko) * 2006-05-30 2008-03-14 김주현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41B1 (ko) * 2015-06-04 2017-04-28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과적 차량 무인 단속 시스템
CN109087512A (zh) * 2018-08-20 2018-12-25 中北大学 一种基于分布式震动传感器阵列的车辆超载动态监测方法
CN111477014A (zh) * 2020-04-09 2020-07-31 安徽皖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道路的车道监控运营方法
KR102140793B1 (ko) * 2020-04-17 2020-08-03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고속도로 제한 차량 단속 시스템에서 과적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고속 축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9939B2 (ja) 車両検出システム、車載機およびセンター
KR100890625B1 (ko) 고속주행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JP4710896B2 (ja) 運転評価装置、運転評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運転評価方法
CN108645628A (zh) 基于道路驾驶技能的自动驾驶汽车测试系统
JP7227578B2 (ja) 危険運転リスク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危険運転リスク情報出力プログラム
JP4776299B2 (ja) 車両挙動把握システム
KR200464547Y1 (ko) 축중기를 이용한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JP2020196442A (ja) 事故判定装置
KR101136393B1 (ko) 과중량 차량 적발 및 단속 시스템
CN109080640A (zh) 用于在车辆内提供昏睡警报的方法
CN113724531B (zh) 一种车联网环境下路口人车路协作预警系统及方法
CN108492554B (zh) 一种交通数据采集处理系统的控制方法
KR101816566B1 (ko) 차량센서를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10635A (zh) 一种非现场执法超限检测系统
CN10809113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交通安全自动评估系统
KR101256506B1 (ko) 과적 차량 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0814028B1 (ko)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JP5362225B2 (ja) 運行記録機器及び運行状況記録方法
KR102107791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속도준수 제어시스템
CN206431824U (zh) 高速公路车辆测速系统
CN210983746U (zh) 一种非现场执法超限检测系统
KR101067746B1 (ko) 도로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051592B1 (ko)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위한 블랙박스 장치
CN107978159A (zh) 高速公路车辆测速系统
CN212779526U (zh) 一种路面通行车辆限高限重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