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190Y1 - 휴대용 금긋기 공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금긋기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90Y1
KR200464190Y1 KR2020110006113U KR20110006113U KR200464190Y1 KR 200464190 Y1 KR200464190 Y1 KR 200464190Y1 KR 2020110006113 U KR2020110006113 U KR 2020110006113U KR 20110006113 U KR20110006113 U KR 20110006113U KR 200464190 Y1 KR200464190 Y1 KR 200464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wl
slide shaft
insertion tub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495U (ko
Inventor
최도수
Original Assignee
최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도수 filed Critical 최도수
Priority to KR2020110006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9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25H7/045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ark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금긋기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선단캡(10)과, 선단캡을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단부측 내경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외측둘레에 작동홈(22)이 천공된 중공의 손잡이대(20)와, 손잡이대 내에 안내되며, 금속소재로서 단부에 암나사체결부(31)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홈(32)이 형성된 슬라이드축(3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작동홈(22)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드축(30)의 고정홈(32)에 단부가 압입되어 작동홈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레버(40)와, 상기 슬라이드축(30)의 암나사체결부(31)에 단부가 체결되는 송곳(50)과, 상기 선단캡(10) 내부로부터 송곳(50)이 통과되게 설치되어 송곳에 탄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6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외측둘레에 탈착 가능한 장착부(71)와 포켓에 꽂기 위한 걸이부(72)를 갖는 클립(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금긋기 공구(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20)의 상단부 내경에 안내되는 중공의 삽입부(81) 및 삽입부(81)의 단부에 플랜지부(82)를 갖는 금속소재의 삽입관체(80)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관체(80)의 내경에는 슬라이드축(30)의 단부를 자력으로 부착하는 위한 자석(90)이 압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70)의 상단은 삽입관체(80)의 삽입부(81)가 관통되는 링 결합부(73)가 형성되어 자석(90)을 통한 삽입관체(80)로부터의 자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자석을 손잡이대의 상단 내경으로부터 삽입관체에 압입하여 송곳과 함께 레버의 작동으로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축의 상단부분이 송곳의 미사용시에는 자석에 부착되어 인위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송곳이 돌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자석으로 인한 클립부분에도 자력이 전도되어 금긋기 공구를 금속체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작업대로부터 낙하로 인한 송곳보호를 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금긋기 공구{A tool draw a line for portable}
본 고안은 휴대용 금긋기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송곳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휴대용 금긋기 공구에 있어, 금긋기 공구의 손잡이대에 자석을 적용 설치하여 금긋기 공구의 휴대시 뾰족한 송곳이 돌출되어 무의식적으로 상해를 입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중 금속부위에 부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긋기 공구는 끝이 뾰족하게 가공된 일명 철필로서 판금 작업시 또는 기타 얇은 소재에 구멍을 내거나, 주로 가공 표시선을 표시하는데 용도로서 사용된다.
간단한 휴대용에서부터 별도의 가이드장치 등에 부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으로 개인이 지참하여 사용하는 금긋기 공구에 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종래의 휴대용 금긋기 공구는 펜슬타입으로서 중공의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손잡이대와, 상기 손잡이대 일단측 내경으로부터 중앙에 송곳이 압입 고정된 선단캡 일단이 안내되어 압입 고정되고, 손잡이대의 길이방향 상에 휴대를 위한 클립이 고정 설치되며, 손잡이대 타단에 마개가 압입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선단캡은 상기 손잡이대 내부 직경으로 그 일단이 압입되되, 그 외측둘레로부터 스폿용접 등과 같이 프레싱 작업으로서 견고하게 고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금긋기 공구는 미사용시 마개를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보통 사용상에 있어 마개의 분실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금긋기 공구에 있어, 송곳은 초경 소재로 되어 있어 경도가 높은 만큼 취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금긋기 공구를 작업대에서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쉽게 송곳이 부러지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이 때문에 금긋기 공구는 여벌 준비하여 사용하는 예가 대부분이고, 한번 부러진 송곳은 재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 손잡이대를 포함하는 선단캡, 마개 등은 동시에 버려지고, 여벌로 구입한 또 다른 새로운 금긋기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버려지는 금긋기 공구는 작업장 내에서는 별도로 여벌로 구입한 금긋기 공구를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외부 현장작업 등과 같은 때에서는 바로 금긋기 공구가 제공되지 않는 한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어 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을 주기도 한다.
한편, 금긋기 공구를 상기와 같은 사례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문제없이 사용할 수는 있어도, 휴대시 마개를 분실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별도로 송곳부위를 종이로 두텁게 감싸서 휴대하거나 별도 공구가방에 지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참고로, 상기 초경 소재로 제작된 송곳의 뾰족한 끝단은 항상 날카로움이 있어 작업복 등에 클립을 꽂은 상태에서 송곳에 찔리는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량한 금긋기 공구가 있다.
상기 금긋기 공구(100)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수나사부(11)가 형성된 선단캡(10)과, 선단캡을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단부측 내경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외측둘레에 작동홈(22)이 천공된 중공의 손잡이대(20)와, 손잡이대 내에 안내되며, 금속소재로서 단부에 암나사체결부(31)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홈(32)이 형성된 슬라이드축(3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작동홈(22)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드축(30)의 고정홈(32)에 단부가 압입되어 작동홈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레버(40)와, 상기 슬라이드축(30)의 암나사체결부(31)에 단부가 체결되는 송곳(50)과, 상기 선단캡(10) 내부로부터 송곳(50)이 통과되게 설치되어 송곳에 탄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6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외측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켓에 꽂기 위한 클립(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홈(22)은 상하 슬라이드부(22a) 및 슬라이드부의 종단으로부터 형성되어 레버(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2b)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대의 상단에는 마개(C)가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막음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금긋기 공구(100)의 사용은 레버(40)를 슬라이드부(22a)로부터 하강시켜 고정부(22b)에 걸어줌으로써, 손잡이대(20) 내부에서는 슬라이드축(30)과 함께 송곳(50)이 하강하고, 송곳이 선단캡(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은 것으로, 다시 고정부에서 레버(40)를 슬라이드부(22a)측으로 위치시키면 내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60)의 복원에 의해 슬라이드축(30)과 송곳(50)의 후퇴로서 송곳이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긋기 공구는 작업복에 클립(70)부분을 꽂거나 주머니(포켓)에 그대로 넣어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 레버(40)의 눌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눌림 현상으로 송곳이 선단캡으로 돌출되면서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작업중 특별히 보관할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작업대로부터 바닥에 떨어드리는 경우 송곳이 부러지는 사례가 발생하여 송곳을 교체하여야 하는 사례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곳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휴대용 금긋기 공구에 있어, 금긋기 공구의 손잡이대에 자석을 적용 설치하여 금긋기 공구의 휴대시 뾰족한 송곳이 돌출되어 무의식적으로 상해를 입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중 금속부위에 부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선단캡과, 선단캡을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단부측 내경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외측둘레에 작동홈이 천공된 중공의 손잡이대와, 손잡이대 내에 안내되며, 금속소재로서 단부에 암나사체결부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슬라이드축과, 상기 손잡이대의 작동홈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드축의 고정홈에 단부가 압입되어 작동홈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축의 암나사체결부에 단부가 체결되는 송곳과, 상기 선단캡 내부로부터 송곳이 통과되게 설치되어 송곳에 탄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손잡이대의 외측둘레에 탈착 가능한 장착부와 포켓에 꽂기 위한 걸이부를 갖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 금긋기 공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의 상단부 내경에 안내되는 중공의 삽입부 및 삽입부의 단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금속소재의 삽입관체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관체의 내경에는 슬라이드축의 단부를 자력으로 부착하는 위한 자석이 압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의 상단은 삽입관체의 삽입부가 관통되는 링 결합부가 형성되어 자석을 통한 삽입관체(80)로부터의 자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클립의 걸이부는 장착부의 상부로부터 삽입관체의 상단부와 접촉되는 형태가 되면서 손잡이대측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금긋기 공구는 자석을 손잡이대의 상단 내경으로부터 삽입관체에 압입하여 송곳과 함께 레버의 작동으로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축의 상단부분이 송곳의 미사용시에는 자석에 부착되어 인위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송곳이 돌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자석으로 인한 클립부분에도 자력이 전도되어 금긋기 공구를 금속체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작업대로부터 낙하로 인한 송곳보호를 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금긋기 공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금긋기 공구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휴대용 금긋기 공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긋기 공구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금긋기 공구 중 클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고 6은 도 5에서 클립이 적용된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일측에 수나사부(11)가 형성된 선단캡(10)과, 선단캡을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단부측 내경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외측둘레에 작동홈(22)이 천공된 중공의 손잡이대(20)와, 손잡이대 내에 안내되며, 금속소재로서 단부에 암나사체결부(31)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홈(32)이 형성된 슬라이드축(3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작동홈(22)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드축(30)의 고정홈(32)에 단부가 압입되어 작동홈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레버(40)와, 상기 슬라이드축(30)의 암나사체결부(31)에 단부가 체결되는 송곳(50)과, 상기 선단캡(10) 내부로부터 송곳(50)이 통과되게 설치되어 송곳에 탄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6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외측둘레에 탈착 가능한 장착부(71)와 포켓에 꽂기 위한 걸이부(72)를 갖는 클립(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금긋기 공구(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20)의 상단부 내경에 안내되는 중공의 삽입부(81) 및 삽입부(81)의 단부에 플랜지부(82)를 갖는 금속소재의 삽입관체(80)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관체(80)의 내경에는 슬라이드축(30)의 단부를 자력으로 부착하는 위한 자석(90)이 압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70)의 상단은 삽입관체(80)의 삽입부(81)가 관통되는 링 결합부(73)가 형성되어 자석(90)을 통한 삽입관체(80)로부터의 자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70)의 걸이부(72)는 장착부(71)의 상부로부터 삽입관체(80)의 상단부와 접촉되는 형태가 되면서 손잡이대(20)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금긋기 공구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금긋기 공구(100)의 조립 및 그 사용법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레버(40)를 손잡이대(20)의 작동홈(22)을 이루는 슬라이드부(22a)로부터 내려 고정부(22b)로 레버(40)를 위치하면, 송곳(50)이 선단캡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이때의 압축스프링(60)은 압축되는 상태에서 금긋기 공구(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송곳(50)은 슬라이드축(30)과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작동한다.
상기 레버(40)를 고정부로부터 해제시켜 주면 슬라이드부(22a)를 통해 원 시점으로 되돌아 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송곳(50)은 선단캡(10)의 내측에 은폐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원 시점인 상태, 즉 송곳(50)이 은폐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축(30)의 단부는 손잡이대(20)의 상부에 마련된 삽입관체(80)에 삽입된 자석(90)에 자력으로 부착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인위적이지 않고서는 쉽게 레버(40)가 슬라이드부(22a)를 통해 밀려나가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금긋기 공구(100)를 작업복 등에 휴대시에 송곳(50)이 돌출되는 사례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관체(80)의 삽입부(81)가 관통된 클립(70)의 걸이부(71)로부터 장착부(72)와 함께 연장 형성된 링 결합부(73)는 항상 삽입관체(80)의 내경에 압입 고정된 자석(90)으로부터 전달받는 자력에 의해 금긋기 작업 도중 금긋기 공구(100)를 금속측(작업대 및 기타 기계)에 부착하여 둘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금긋기 공구(100)의 유동을 방지하고 낙하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선단캡(10)으로부터 노출된 송곳(50)의 부러짐을 방지하여 송곳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상기 클립(70)의 일 실시예로서 자석(90)으로부터 전달되는 자력을 이용하여 금긋기 공구(100)를 유용하게 금속측에 부착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선단캡 20: 손잡이대
22: 작동홈 22a: 슬라이드부
22b: 고정부 30: 슬라이드축
40: 레버 50: 송곳
60: 압축스프링 70: 클립
71: 걸이부 72: 장착부
73: 링 결합부 80: 삽입관체
81: 삽입부 82: 플랜지부
90: 자석

Claims (2)

  1. 일측에 수나사부(11)가 형성된 선단캡(10)과, 선단캡을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단부측 내경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외측둘레에 작동홈(22)이 천공된 중공의 손잡이대(20)와, 손잡이대 내에 안내되며, 금속소재로서 단부에 암나사체결부(31)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홈(32)이 형성된 슬라이드축(3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작동홈(22)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드축(30)의 고정홈(32)에 단부가 압입되어 작동홈의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레버(40)와, 상기 슬라이드축(30)의 암나사체결부(31)에 단부가 체결되는 송곳(50)과, 상기 선단캡(10) 내부로부터 송곳(50)이 통과되게 설치되어 송곳에 탄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60)과, 상기 손잡이대(20)의 외측둘레에 탈착 가능한 장착부(71)와 포켓에 꽂기 위한 걸이부(72)를 갖는 클립(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금긋기 공구(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20)의 상단부 내경에 안내되는 중공의 삽입부(81) 및 삽입부(81)의 단부에 플랜지부(82)를 갖는 금속소재의 삽입관체(80)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관체(80)의 내경에는 슬라이드축(30)의 단부를 자력으로 부착하는 위한 자석(90)이 압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70)의 상단은 삽입관체(80)의 삽입부(81)가 관통되는 링 결합부(73)가 형성되어 자석(90)을 통한 삽입관체(80)로부터의 자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금긋기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70)의 걸이부(72)는 장착부(71)의 상부로부터 삽입관체(80)의 상단부와 접촉되는 형태가 되면서 손잡이대(20)측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금긋기 공구.
KR2020110006113U 2011-07-04 2011-07-04 휴대용 금긋기 공구 KR200464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13U KR200464190Y1 (ko) 2011-07-04 2011-07-04 휴대용 금긋기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13U KR200464190Y1 (ko) 2011-07-04 2011-07-04 휴대용 금긋기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95U KR20110008495U (ko) 2011-08-31
KR200464190Y1 true KR200464190Y1 (ko) 2012-12-14

Family

ID=4559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113U KR200464190Y1 (ko) 2011-07-04 2011-07-04 휴대용 금긋기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78B1 (ko) * 2015-05-22 2015-11-16 (주)밴엔지니어링 휴대용 가스레인지 가스통 단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29B1 (ko) * 2011-11-22 2013-07-08 김석용 건축현장용 직선 및 먹선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084B1 (ko) 2006-08-03 2007-05-14 최도수 휴대용 금긋기 공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084B1 (ko) 2006-08-03 2007-05-14 최도수 휴대용 금긋기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78B1 (ko) * 2015-05-22 2015-11-16 (주)밴엔지니어링 휴대용 가스레인지 가스통 단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95U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317B2 (en) Pipe cutter
EP1809982A4 (en) RIBBON METER WITH AUTOMATIC BLADE EXTENSION MECHANISM
EP1849552A3 (de) Vorrichtung zum Fügen von mindestens zwei Bauteilen aus artverschiedenen Werkstoffen mit einem mit mindestens ein als Schneide augegebildetes Formelement aufweisenden Stift
ZA200909031B (en) Shank chisel
KR200464190Y1 (ko) 휴대용 금긋기 공구
TW200607597A (en) Soldering iron
ATE479522T1 (de) Handwerkzeugmaschine
CN207890784U (zh) 一种防止割伤的胶带切割盒
CN203625647U (zh) 一种弹簧锁针机构
US2357045A (en) Toolholder
KR20120004651U (ko) 금긋기 공구
CN207548650U (zh) 一种销钉敲击机构
CN2880516Y (zh) 一种可调式护手粉笔套
CN203875992U (zh) 护罩快速取出装置
CN201067422Y (zh) 伸缩式手术拆线刀
JP2015098760A (ja) 鉱物単結晶捕集用鉱物採取キット
KR200274047Y1 (ko) 필기구 겸용 스크레이퍼
CN201380442Y (zh) 烟草切丝机铜排链销轴打出钎具夹持器
CN202922670U (zh) 空心钻头连接装置
CN203830785U (zh) 安全换头电钻
CN201587011U (zh) 带分离装置的开孔器
CN212602637U (zh) 一种便于携带的气动手持式钻机
KR200359613Y1 (ko) 금긋기 공구
CN214870530U (zh) 一种侧向紧固式针头可替换的划针
CN211028192U (zh) 一种具有缓冲结构的钻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