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158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58Y1
KR200464158Y1 KR2020080009825U KR20080009825U KR200464158Y1 KR 200464158 Y1 KR200464158 Y1 KR 200464158Y1 KR 2020080009825 U KR2020080009825 U KR 2020080009825U KR 20080009825 U KR20080009825 U KR 20080009825U KR 200464158 Y1 KR200464158 Y1 KR 200464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astic
connector
elastic deformati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112U (ko
Inventor
허경선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5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05K3/308Adaptations of l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3Electrical connectors including provision for pressing contact into pcb 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는 내부에 결합공(2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2)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경사면(28)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22)을 관통하여 터미널(3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0)에는 상기 경사면(28)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경사면(28)을 타고 넘은 후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일측에 걸어지는 탄성변형부(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커넥터하우징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넥터, 터미널,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터미널이 내부에 삽입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 결합하여 각각의 커넥터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의 외관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성형시 인서트 몰드되어 설치되거나,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성형된 후 별도의 작업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1)에는 터미널(10)이 설치되는 결합공(1')이 상기 터미널(10)의 삽입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에 설치되는 터미널(10)의 골격은 몸체부(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일단에는 삽입 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는 인쇄회로기판(PCB,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상기 PCB에 형성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11)의 타단에는 단자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5)는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터미널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11)의 양측단에는 걸이부(1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7)는 상기 결합공(1')에 걸어져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결합공(1')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1)에서 상기 걸이부(17)와 소정의 거리 이격된 양측단에는 걸이턱(19)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9)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걸이부(17)와 함께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턱(19) 사이의 폭은 상기 결합공(1')에서 상기 삽입부(13)가 관통하는 부분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결합공(1')에 압입될 때, 상기 커넥터하우징(1)과 마찰을 일으켜 버어(burr)를 발생시키는 등 커넥터하우징(1)을 손상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턱(19)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이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경사면을 타고 넘은 후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걸어지는 탄성변형부가 구비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대터미널의 터미널과 결합되는 단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와 삽입부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탄성변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단자부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에 걸어지는 걸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측에는 탄성암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 라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상기 탄성암과 연결된 부분에 인접하게 변형공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탄성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상기 탄성돌기와 인접한 부분에 변형공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측에는 양단부가 상기 탄성변형부와 연결되는 탄성브릿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부와 탄성브릿지의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변형공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브릿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부가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어 탄성변형되었다가 경사면을 넘어서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커넥터하우징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제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제 1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커넥터하우징(20)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2)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삽입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2)은 터미널(3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22)의 양측면, 즉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내면 일측에는 단차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4)는 상기 결합공(22)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부를 요입하여 형성한 부분이다. 상기 단차부(24)는 상기 결합공(22)으로 삽입되는 터미널(30)의 입구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터미널(30)의 걸이부(36)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22)의 양측면에는 걸림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6)은 실질적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26)은 상기 결합공(22)의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어 터미널(30)의 탄성암(42)이 걸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26)의 일면에는 경사면(28)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8)은 터미널(30)의 삽입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터미널(3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면(28)은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8)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변형부(40)의 탄성암(42)이 접하여 타고 넘어가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결합공(22)에는 터미널(3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30)은 일단부가 커넥터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의 회로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커넥터와 결합되는 상대커넥터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30)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30)의 골격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몸체부(3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2)의 일단에는 단자부(34)가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34)는 상대터미널의 터미널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2)와 단자부(34)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걸이부(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36)는 상기 결합공(22)의 단차부(24)에 걸어져 탄성암(42)과 협력하여 상기 터미널(30)이 결합공(22)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32)의 타단에는 삽입부(38)가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8)는 인쇄회로기판의 회로와 연결되어 솔더링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32)와 삽입부(38)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탄성변형부(4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0)는 상기 터미널(30)의 삽입시에 상기 경사면(28)을 타고 넘으면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변형부(40)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커넥터하우징(20)의 내면과의 마찰이 최소화되고 커넥터하우징(2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0)의 양측에는 탄성암(4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암(42)은 상기 탄성변형부(40)의 양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탄성암(42)은 상기 터미널(30)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커넥터하우징(20)의 결합공(22)에 터미널(30)의 삽입부(38)가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30)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28)에 상기 탄성암(42)이 각각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30)을 계속하여 삽입하면, 상기 탄성암(42)은 상기 경사면(28)을 타고 넘어가면서 삽입되고 상기 탄성암(42)은 탄성변형부(40)를 향하여 탄성변형된다.
상기 탄성암(42)이 상기 경사면(28)을 타고 넘어 상기 걸림턱(26)을 지나게 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암(42)은 상기 걸림턱(26)의 일측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이부(36) 또한 상기 단차부(24)에 걸어져 터미널(30)이 결합공(2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6)와 탄성암(42)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터미널(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30)이 커넥터하우징(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변형부(40)의 탄성암(42)이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걸림턱(26)에 걸어지므로 커넥터하우징(20)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제 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본 실시예의 구성 중에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백번 대의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커넥터하우징(120)의 결합공(122)에는 터미널(13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130)의 몸체부(132)와 삽입부(138)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탄성변형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140)의 양측에는 탄성돌기(1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돌기(142)는 상기 경사면(128)에 접촉하여 경사면(128)을 타고 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돌기(142)의 외면에는 가이드면(143)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143)은 상기 경사면(128)과 접촉하는 면으로서, 상기 경사면(128)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변형부(140)에는 상기 탄성돌기(142)의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변형공(144)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144)은 상기 탄성돌기(142)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탄성돌기(142)의 탄성변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변형공(144)은 상기 탄성돌기(142)와 인접한 부분에 각각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터미널(130)의 삽입시에 탄성돌기(142)가 경사면(128)을 타고 넘어가면서 탄성변형이 되고, 상기 탄성돌기(142)는 상기 변형공(144)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탄성변형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30)의 삽입시에 상기 커넥터하우징(120)의 내면에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제 3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본 실시예의 구성 중에 제 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백번 대의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커넥터하우징(220)의 결합공(222)에는 터미널(23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230)의 몸체부(232)와 삽입부(238)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탄성변형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240)의 양측에는 탄성브릿지(2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브릿지(242)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탄성변형부(240)의 양측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양단부는 상기 탄성변형부(2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변형부(240)에는 상기 탄성브릿지(242)의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변형공(244)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244)은 상기 탄성돌기(242)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탄성브릿지(242)의 탄성변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변형공(244)은 상기 탄성브릿지(242)와 탄성변형부(240)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암(42)이 탄성변형부(4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 2실시예의 변형공(144)과 같은 구성을 형성하여 탄성변형이 보 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제 1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제 2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제 3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커넥터하우징 22 : 결합공
24 : 단차부 26 : 걸림턱
28 : 경사면 30 : 터미널
32 : 몸체부 34 : 단자부
36 : 걸이부 38 : 삽입부
40 : 탄성변형부 42 : 탄성암
142 : 탄성돌기 143 : 가이드면
144 : 변형공 242 : 탄성브릿지
244 : 변형공

Claims (9)

  1. 내부에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경사면을 타고 넘은 후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일측에 걸어지는 탄성변형부가 구비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대터미널의 터미널과 결합되는 단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와 삽입부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탄성변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단자부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에 걸어지는 걸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측에는 탄성암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상기 탄성암과 연결된 부분에 인접하게 변형공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탄성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상기 탄성돌기와 인접한 부분에 변형공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측에는 양단부가 상기 탄성변형부와 연결되는 탄성브릿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와 탄성브릿지의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변형공이 관통되 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브릿지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080009825U 2008-07-23 2008-07-23 커넥터 KR200464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25U KR200464158Y1 (ko) 2008-07-23 2008-07-23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25U KR200464158Y1 (ko) 2008-07-23 2008-07-23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12U KR20100001112U (ko) 2010-02-02
KR200464158Y1 true KR200464158Y1 (ko) 2012-12-13

Family

ID=4419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825U KR200464158Y1 (ko) 2008-07-23 2008-07-23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5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626A (ja) 2004-04-23 2005-11-04 Yazaki Corp 基板接続用板端子
JP2007103088A (ja) 2005-09-30 2007-04-19 Yazaki Corp オンボードコネクタ
JP2007311092A (ja) 2006-05-17 2007-11-29 Yazaki Corp 印刷配線板組立体及び該印刷配線板組立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626A (ja) 2004-04-23 2005-11-04 Yazaki Corp 基板接続用板端子
JP2007103088A (ja) 2005-09-30 2007-04-19 Yazaki Corp オンボードコネクタ
JP2007311092A (ja) 2006-05-17 2007-11-29 Yazaki Corp 印刷配線板組立体及び該印刷配線板組立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12U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764B2 (en) Connector
KR100754100B1 (ko)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TWI384691B (zh) Electrical connector
US6811411B1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70002678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US7540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05022699A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4038822A (ja) コネクタ
JP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US9960533B2 (en)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JP2012099276A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2006510169A (ja) 端子位置維持(assurance)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5134943B2 (ja) コネクタ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0464158Y1 (ko) 커넥터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KR200465415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0465414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0838784B1 (ko) 커넥터
JP2007109453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