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119Y1 - 로봇 변신형 필통 - Google Patents

로봇 변신형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19Y1
KR200464119Y1 KR2020110000604U KR20110000604U KR200464119Y1 KR 200464119 Y1 KR200464119 Y1 KR 200464119Y1 KR 2020110000604 U KR2020110000604 U KR 2020110000604U KR 20110000604 U KR20110000604 U KR 20110000604U KR 200464119 Y1 KR200464119 Y1 KR 200464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s
opening
robot
draw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501U (ko
Inventor
고명기
고승현
Original Assignee
고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기 filed Critical 고명기
Priority to KR2020110000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1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A45C5/06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with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수의 수납함을 가지면서 로봇으로 변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봇 변신형 필통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상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를 적어도 4등분한 부분에 각기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4 수납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입하거나 그 내부로부터 인출 가능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 중 제1 및 제 2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제3 및 제4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3 및 제4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거나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5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함은 일측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모서리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3 및 제4 수납함은 상기 제3 및 제4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경우 일측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양측면 하단에 위치한 제3 및 제4 모서리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봇 변신형 필통{Writing Case transforming into robot}
본 고안은 연필,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나 이와 관련된 학용품이나 사무용품을 넣어 보관하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수납함을 가지면서 로봇 형태로 변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봇 변신형 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나 이와 관련된 사무용품 예컨대, 지우개, 컴퍼스, 칼, 눈금자 등을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해 필통을 사용하는데, 기존의 필통은 대게 하나의 수납실만을 가진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필통은 그 수납실에 사무용품 중 필기구와 관련된 한 종류만을 수용하게 되면 큰 문제가 없었으나, 여러 가지의 사무용품 예컨대, 필기구, 지우개, 칼, 눈금자 등을 같이 수용하면 서로 섞이게 되어 쉽게 찾아서 쓰기에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고, 특히 고무지우개 등은 플라스틱 재질의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같이 수용하면 재질 특성상 서로 녹아서 눌러 붙게 되어 지우개 혹은 필기구 자체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통에 수납된 여러 가지의 필기구들이 서로 부딪히게 되어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필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기존의 필통 구조는 뚜껑을 여닫는 단순한 사각 형태의 여닫이형 필통이 대부분인데, 단순한 형태의 물품에 쉽게 식상하는 어린 학생들의 경우에는 빈번히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 교체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수납함을 가지면서 로봇으로 변신이 가능하도록 된 로봇 변신형 필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로봇 변신형 필통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상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를 적어도 4등분한 부분에 각기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4 수납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입하거나 그 내부로부터 인출 가능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 중 제1 및 제 2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제3 및 제4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3 및 제4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거나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5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함은 일측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모서리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3 및 제4 수납함은 상기 제3 및 제4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경우 일측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양측면 하단에 위치한 제3 및 제4 모서리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은 각각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그 외부함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는 로봇 머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하면상에는 그 몸체의 하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제5 수납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5 수납함은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그 외부함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제6 개구부와 상기 제6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제6 수납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6 수납함은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그 외부함의 개구부를 막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로봇으로 변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를 줄 수 있으며, 로봇으로의 변신 시 로봇 몸체, 팔, 다리 등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수납함을 구비하므로 필기구, 지우개, 칼, 눈금자 등을 필요에 따라 구분하여 각기 독립적인 공간에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변신형 필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하측면도,
도 5는 도 1의 상측면도,
도 6은 도 1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저면도,
도 8은 도 1의 전개도,
도 9는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변신형 필통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고,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변신형 필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하측면도, 도 5는 도 1의 상측면도, 도 6은 도 1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저면도, 도 8은 도 1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변신형 필통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상자로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그 빈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100,120,130)가 형성된 몸체(100)가 있고, 그 몸체(100)를 4등분한 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4 수납함(210~240)이 그 몸체(100)의 좌측과 우측 및 하측부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그 몸체(100)의 상측부면 상에는 로봇 머리부(300)가 구비되어 있고, 그 몸체(100)의 하면(또는 '저면'이라 칭함)상에는 그 몸체(100)의 저면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태의 일면을 갖는 직육면체 상자 형태의 제5 수납함(400)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110~130)는 몸체(100)의 좌측면 상부, 우측면 상부, 및 하측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수납함(210)은 몸체(100)의 좌측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0)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며, 제2 수납함(220)은 몸체(100)의 우측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20)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제3,4 수납함(230,240)은 몸체(100)의 하측면부에 형성된 개구부(130)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몸체(100)의 개구부(130)를 덮는 뚜껑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수납함(210,220)은 일측 모서리(210a,220a)가 몸체(100)의 양측면 상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모서리(101,102)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납함(210)은 일측면(즉, 길이방향의 일단면으로서 모서리(210a)를 갖는 면의 대향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211)과 그 개구부를 통해 외부함(211)내로 인입 및 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212)을 포함하고, 제2 수납함(220)은 일측면(즉, 길이방향의 일단면으로서 모서리(220a)를 갖는 면의 대향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221)과 그 개구부를 통해 외부함(221)내로 인입 및 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222)을 포함하며, 제3 수납함(230)은 일측면(즉, 길이방향의 일단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231)과 그 개구부를 통해 외부함(231)내로 인입 및 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232)을 포함하고, 제4 수납함(240)은 일측면(즉, 길이방향의 일단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241)과 그 개구부를 통해 외부함(241)내로 인입 및 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242)을 포함하며, 제5 수납함(400)은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고 상면이 몸체(100)의 저면에 부착되거나 몸체(100)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된 외부함(410)과 그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4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봇 머리부(300)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되 3등분으로 분리될 수 있고, 분리 시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중앙부(310)는 로봇의 머리/얼굴 형태를 하고 양측으로 분리되는 좌측부(320)와 우측부(330)는 로봇의 견장 형태를 하도록 한다. 또한, 결합 시 서로 맞닿는 중앙부(310) 및 좌,우측부(320,330)의 해당면에 자석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결합이 견고히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부(320)의 일측 모서리(320a)와 대응하는 몸체(100)의 모서리(101)는 절곡가능한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우측부(330)의 일측 모서리(330a)와 대응하는 몸체(100)의 모서리(102)는 절곡가능한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로봇 머리부(300)의 좌측부(320)와 우측부(330)를 양측으로 분리하고 제1 수납함(210)과 제2 수납함(220)을 인출했을 때 좌측부(320)와 제1 수납함(210)이 서로 맞닿는 해당면 및 우측부(330)와 제2 수납함(220)이 서로 맞닿는 해당면에 자석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보면, 몸체(100)의 개구부(110,120)를 통해 제1,2 수납함(210,220)을 인출하여 좌측 모서리(101,210a)와 우측 모서리(102,220a)를 축으로 양측으로 벌리면, 몸체(100)는 로봇의 몸체 형상을 하고 제1 수납함(210)은 로봇의 좌측 팔 형상을 하며 제2 수납함(220)은 로봇의 우측 팔 형상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2 수납함(210,220)의 외부함(211,221)으로부터 서랍함(212,222)을 인출하여 그 서랍함(212,222)의 수납공간에 학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몸체(100)의 개구부(130)를 통해 제3,4 수납함(230,240)을 인출하여 아래로 내리면, 몸체(100)는 로봇의 몸체 형상을 하고 제3 수납함(230)은 로봇의 좌측 다리 형상을 하며 제4 수납함(240)은 로봇의 우측 다리 형상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3,4 수납함(230,240)의 외부함(231,241)으로부터 서랍함(232,242)을 인출하여 그 서랍함(232,242)의 수납공간에 학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사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몸체(100)로부터 제3,4 수납함(230,240)의 외부함(231,241)을 인출하지 않고 서랍함(232,242)만을 인출하여 그 서랍함(232,242)의 수납공간에 지우개와 같은 작은 학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고, 또한 연필이나 눈금자와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학용품의 경우에는 제5 수납함(400)이 로봇의 몸체(100)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므로 로봇의 팔과 다리에 해당하는 다른 수납함(210~240)보다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그 제5 수납함(400)의 외부함(410)으로부터 서랍함(420)을 인출하고 그 서랍함(420)의 수납공간에 연필이나 눈금자와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큰 학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변신형 필통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전개도로,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 요소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 구성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변신형 필통은, 도 10-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과 제1 내지 제4 수납함(210~240)이 구비되어 있고, 도 1의 머리부(300)를 제거하고 그 머리부(300) 대신 제6 수납함(600)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통(100)은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측면의 개구부(130)가 밀폐되어 있고, 좌측면의 하부 및 이에 대응하는 우측면의 하부에 각각 개구부(110,120)와 연통되는 개구부(140,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면 중앙부에 제6 수납함(600)의 인입 및 인출 통로가 되는 개구부(160)가 더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수납함(230)은 몸체(100)의 좌측면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40)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제4 수납함(240)은 몸체(100)의 우측면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50)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 수납함(230,240)은 일측 모서리(230a,240a)가 몸체(100)의 양측면 하단에 위치한 제3 및 제4 모서리(103,104)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6 수납함(600)은 일측면(즉, 길이방향의 일단면)이 개방된 개구부(610a)를 갖는 외부함(610)과 그 개구부(610a)를 덮는 뚜껑부(6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함(610)에 뚜껑부(620)가 씌워진 상태의 제6 수납함(600)을 몸체(100)의 개구부(160)를 통해 인입하면 뚜껑부(620)는 몸체(100)의 상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로봇의 머리/얼굴 형상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1의 머리부(300)의 좌,우측부(320,330)를 제거하고 그 좌,우측부(320,330)대신 플렉시블한 좌우측 견장지(161,162)가 구비되어 있고, 뚜껑부(620)의 좌우측면과 좌우측 견장지(161,162)의 각 단부면은 서로 접하도록 하되, 그 접하는 해당면에 자석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10,120,130,140,150,160: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
210,220,230,240,400,600: 수납함
211,221,231,241,410,610: 수납함의 외부함
212,222,232,242,420: 수납함의 서랍함
300: 로봇 머리부

Claims (5)

  1.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상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를 적어도 4등분한 부분에 각기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4 수납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입하거나 그 내부로부터 인출 가능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 중 제1 및 제 2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제3 및 제4 수납함은 상기 몸체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3 및 제4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거나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5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함은 일측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양측면 상단에 위치한 제1 및 제2 모서리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3 및 제4 수납함은 상기 제3 및 제4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경우 일측 모서리가 상기 몸체의 양측면 하단에 위치한 제3 및 제4 모서리와 절곡가능한 접착부재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변신형 필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수납함은 각각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상기 외부함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변신형 필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는 로봇 머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변신형 필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상에는 그 몸체의 하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제5 수납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5 수납함은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그 외부함의 개구부를 통해 인입/인출되고 상면이 개방된 서랍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변신형 필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제6 개구부와 상기 제6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제6 수납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6 수납함은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그 외부함의 개구부를 막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변신형 필통.
KR2020110000604U 2011-01-21 2011-01-21 로봇 변신형 필통 KR200464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04U KR200464119Y1 (ko) 2011-01-21 2011-01-21 로봇 변신형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04U KR200464119Y1 (ko) 2011-01-21 2011-01-21 로봇 변신형 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01U KR20120005501U (ko) 2012-07-31
KR200464119Y1 true KR200464119Y1 (ko) 2012-12-11

Family

ID=4687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04U KR200464119Y1 (ko) 2011-01-21 2011-01-21 로봇 변신형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01U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14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vable Eraseable Writing Surface
US20050098703A1 (en) Portable easel
US5350061A (en) Container systems for school supplies
US20110180544A1 (en) Homework and classroom survival kit
KR200464119Y1 (ko) 로봇 변신형 필통
US20050092648A1 (en) Container forming a presenter in open position
CN208318561U (zh) 一种方便储放儿童绘画工具的文具盒
CN208515262U (zh) 一种多功能镇尺
KR200440391Y1 (ko) 판지 필통
KR100942734B1 (ko) 삼각기둥 필통
KR200481005Y1 (ko) 문구용품 케이스
CN211065365U (zh) 一种文具盒
KR200423730Y1 (ko) 판지 필통
KR200375429Y1 (ko) 필통
CN212814917U (zh) 一种便于收纳和写字的文具盒
KR200493921Y1 (ko) 문구용 투명 케이스
KR20230063550A (ko) 샤프케이스가 내장된 필통
KR200270532Y1 (ko) 거울이 장착된 필통
KR200384650Y1 (ko)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된 필통
JPWO2018020968A1 (ja) 筆記具ケース
KR200460616Y1 (ko) 필통
KR101416554B1 (ko) 조립식 필기구 케이스 겸용 필기구 꽂이
CN206371639U (zh) 一种新型铅笔盒
KR20230108685A (ko) 스프레이 지우개 홀더
KR20090003495U (ko) 판지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