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87Y1 -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87Y1
KR200463487Y1 KR2020070012853U KR20070012853U KR200463487Y1 KR 200463487 Y1 KR200463487 Y1 KR 200463487Y1 KR 2020070012853 U KR2020070012853 U KR 2020070012853U KR 20070012853 U KR20070012853 U KR 20070012853U KR 200463487 Y1 KR200463487 Y1 KR 200463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cock
push lever
refrigerato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8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1226U (en
Inventor
심용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2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87Y1/en
Publication of KR20090001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22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부피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디스펜서는 음료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콕 밸브와, 콕 밸브를 작동시키는 콕 어셈블리와, 콕 어셈블리와 연동하여 음료가 인출되도록 하는 푸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dispenser, to provide a dispenser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hich is small in volume and simple in construction to reduce production costs and improves operability, and includes a dispenser for withdrawing beverages.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nser includes a cock valv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withdrawal portion through which the beverage is drawn out, a cock assembly for operating the cock valve, and a push lever for interlocking with the cock assembly.

또한,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디스펜서는 음료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개폐하기 위한 콕 밸브와, 콕 밸브를 작동시키는 푸쉬 레버와, 푸쉬 레버를 구속하여 콕 밸브의 작동을 로킹하는 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efrigerator including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beverage, the dispenser comprising a cock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thdrawal portion from which the beverage is withdrawn, a push lever for operating the cock valve, and restricting the push lever to operate the cock val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 switch to lock the.

Description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Dispenser and refrigerator with same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이 간단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enser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to improve operability.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식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데, 근래에는 냉장고 도어에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물이나 얼음같은 대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어를 자주 열고 닫아 손실되는 냉기를 방지하고 있다.In general, the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upplying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freezing cycle to the storage compartment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various foods for a long time.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and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Recently, a dispenser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to allow a user to open an object such as water or ice without opening the door. The doors are frequently opened and closed to prevent cold air from being lost.

이러한, 물이나 얼음같은 대상물을 인출하기 위한 냉장고 디스펜서 구조의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8-023829에는 냉장고의 워터 디스펜서 밸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refrigerator dispenser for extracting an object such as water or ice,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23829 discloses a water dispenser valve device of a refrigerator.

또한, 사용자가 음료를 취수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레버 조작을 방지하여 물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안전 장치가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173217호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a safety device of a refrigerator dispenser for preventing waste of water by preventing a user's inadvertent lever operation when a user takes a drink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173217.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 디스펜서 구조는 사용자가 취수시 음료가 배출되는 장소에 컵을 놓고 버튼을 눌러 사용하는 등 조작성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This conventional refrigerator dispenser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operability is not efficient, such as using the user to place the cup in the place where the beverage is discharged when the user withdraw the water and press a button.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레버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생산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safety device that prevents the lever from operating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음료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콕 밸브와, 상기 콕 밸브를 작동시키는 콕 어셈블리와, 상기 콕 어셈블리와 연동하여 음료가 인출되도록 하는 푸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beverage, the dispenser operates a cock valve and the cock valv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withdrawal portion from which the beverage is withdrawn And a push lever for interlocking with the cock assembly and a beverage to be withdrawn from the cock assembly.

상기 콕 어셈블리는 상기 콕 밸브를 개폐하도록 그 상부에 힌지 결합된 지랫대와, 상기 지랫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콕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ck assembly may include a cradle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ck assembly to open and close the cock valve, and a cock lever coupled to and rotated on the cradle.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콕 어셈블리가 고정되도록 디스펜서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는 상측에 마련된 콕 어셈블리 조립부와, 상기 푸쉬 레버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푸쉬 레버의 회전 기준이 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enser further includes a dispenser case to fix the cock assembly, wherein the dispenser case includes a cock assembly assembly provided at an upper side, a rotation guide part configured to rotate the push lever, and a lower base provided to rotate the push le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 coupling portion.

상기 푸쉬 레버는 힌지 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회전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lever may include a hinge coupled to a hinge and a rotation operation unit provided to rotate based on the hinge.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는 그 상측에 마련된 상기 콕 어셈블리와 상기 인출부를 가리기 위한 디스펜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enser case further comprises a dispenser cover for covering the cock assembly and the lead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side thereof.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푸쉬 레버를 로킹하여 음료가 인출되지 않도록 락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 스위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부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 레버를 구속하는 로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enser further includes a lock switch to lock the push lever to prevent a beverage from being drawn out, wherein the lock switch is formed with a switch part and a locking part connected to the switch part to restrain the push lever.

또한,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상기 디스펜서는 음료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개폐하기 위한 콕 밸브와, 상기 콕 밸브를 작동시키는 푸쉬 레버와, 상기 푸쉬 레버를 구속하여 상기 콕 밸브의 작동을 로킹하는 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efrigerator including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drink, the dispenser comprising: a cock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withdrawal portion from which the drink is withdrawn; a push lever for operating the cock valve; And a lock switch for locking the operation of the cock val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부피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 원가를 절약하는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while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due to the small volume and simple configuration.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인한 푸쉬 레버 작동을 막아 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waste of the water by preventing the push lever operation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and ens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콕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ck assembly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고의 식품 보관을 위한 저장실을 갖는 본체(2)와, 본체(2)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in the refrigerator, and a door 3 rotat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 Is provided.

도어(3)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를 열지 않고 음료나 얼음 등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10)가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3)의 내부에는 수원(水源)에서 공급되는 물을 디스펜서(10)로 안내하기 위한 급수관이 설치된다.The front of the door (3)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0) for allowing a user to withdraw beverages or ice, etc. without opening the door (3).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3 to guide the dispenser 10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디스펜서(10)는 각각의 작동부가 고정되도록 도어(3)에 설치되는 디스펜서 케이스(20)와, 음료 등이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콕 어셈블리(30), 그리고 콕 어셈블리(3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푸쉬 동작을 음료의 인출로 연결하는 푸쉬 레버(40)를 포함한다.The dispenser 10 is connected to the dispenser case 20 installed in the door 3 so that each operation part is fixed, the cock assembly 30 provided to withdraw beverages, and the cock assembly 30 to push the user. And a push lever 40 to connect the action to the withdrawal of the beverage.

디스펜서 케이스(20)는 상측의 콕 어셈블리 조립부(21)와, 하측의 힌지 결합부(23), 그리고 회전 가이드부(22)가 형성되며, 도어(3)에 부착하고 단열재를 발포하여 완전한 결정체를 형성한다.The dispenser case 20 has an upper cock assembly assembly 21, a lower hinge coupler 23, and a rotation guide 22 formed thereon, which are attached to the door 3 and foam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form a complete crystal. To form.

디스펜서 케이스(20) 상측에 형성된 콕 어셈블리 조립부(21)는 음료의 인출을 위해 마련된 콕 어셈블리(30)가 결합 고정되도록 관통된 관통홀(21a)이 형성되 고, 푸쉬 레버(40)가 조립되는 힌지 결합부(23)는 푸쉬 레버(40)의 하부를 지지 및 고정하여 푸쉬 레버(40)가 힌지 결합부(2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푸쉬 레버(40) 하측 힌지부(43) 배면에 형성된 돌기(44)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The cock assembly assembly 21 formed above the dispenser case 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1a through which the cock assembly 30 provided for withdrawal of the beverage is coupled and fixed, and the push lever 40 is assembled. The hinge coupler 23 supports and fixes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lever 40 so that the push lever 40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hinge coupler 23 and the lower hinge portion of the push lever 40. 4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jection 44 formed on the back.

그리고, 디스펜서 케이스(20)의 회전 가이드부(22)는 푸쉬 레버(40)가 사용자에 눌러져 힘을 받으면, 푸쉬 레버(40)가 안정된 상태로 콕 에셈블리(30)를 구동하도록 가이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guide part 22 of the dispenser case 20 guides the push lever 40 to drive the cock assembly 30 in a stable state when the push lever 40 is pressed by the user.

따라서, 단열재에 의해 완전한 결정체로 도어(3)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펜서 케이스(20)의 각 위치에 콕 어셈블리(30)와, 푸쉬 레버(40)를 설치한다.Therefore, the cock assembly 30 and the push lever 40 are provided in each position of the dispenser case 20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 by a complete crystal by a heat insulating material.

도 2와 도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10)는 디스펜서 케이스(20)에 고정되는 콕 어셈블리(30)와 푸쉬 레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and 3, the dispenser 10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ck assembly 30 and a push lever 40 fixed to the dispenser case 20.

디스펜서 케이스(20) 상측에 마련되는 콕 어셈블리(30)는 음료가 인출되는 인출부(31)와, 음료를 공급하는 공급부(32)와, 인출부(31)를 개폐하는 콕 밸브(33)와, 콕 밸브(33)에 힌지 결합된 지랫대(34)와, 지랫대(34)가 고정되며 푸쉬 레버(40)의 힘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콕 레버(35)를 포함한다.The cock assembly 30 provided above the dispenser case 20 includes a withdrawal unit 31 through which beverage is drawn out, a supply unit 32 for supplying a beverage, and a cock valve 33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unit 31; , The lever 34 is hinged to the cock valve 33, and the lever 34 is fixed and includes a cock lever 35 that is rotated by the force of the push lever 40 is transmitted.

공급부(32)를 통해 공급되는 음료가 인출부(31)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콕 밸브(33)는 그 상측이 지랫대(34)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Cock valve 33 is provided so that the beverag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32 is drawn out to the withdrawal unit 31, the upper side is hinged by the lanyard 34.

지랫대(34)는 콕 레버(35)의 상측 내면에 고정되어 콕 레버(35)가 푸시 레 버(40)에 의해 힘을 받아 회전하면 그 힘을 콕 밸브(33)에 전달하여 인출부(31)로 음료가 인출되도록 한다.The lever 34 is fix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ck lever 35 so that when the cock lever 35 is rotated under the force of the push lever 40,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ck valve 33 and the lead portion ( 31) allow the beverage to be withdrawn.

푸쉬 레버(40)는 디스펜서 케이스(20)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타측의 회전 동작부(41)는 콕 어셈블리(30) 콕 레버(35)의 하부에 지지되어 회전한다.The push lever 4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dispenser case 20, and the other rotation operation part 41 is supported by the cock assembly 30 and the lower part of the cock lever 35 to rotate.

푸쉬 레버(40)의 하측에 마련된 힌지부(43)는 푸쉬 레버(40)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44)와 디스펜서 케이스(20)의 힌지 결합부(23)가 결합되어 형성된다.The hinge portion 43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ush lever 40 is formed by combining the protrusion 4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ush lever 40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23 of the dispenser case 20.

힌지부(43)는 푸쉬 레버(40)의 회전 동작의 기준이 되며 사용자에 의해 푸쉬 레버(40)가 눌러져 힘이 전해지면, 힌지부(43)를 중심으로 그 상부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hinge part 43 serves as a reference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push lever 40, and when the push lever 40 is pressed by the user to transmit force, the upper part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hinge part 43. .

이때, 푸쉬 레버(40)는 사용자로부터 받은 힘을 균일하게 콕 레버(35)에 전달하고,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디스펜서 케이스(20)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부(22)를 따라 움직이도록 레버 가이드(42)가 푸쉬 레버(40)의 양 측면에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push lever 40 transmits the force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cock lever 35 uniformly, and moves along the rotation guide portion 22 formed in the dispenser case 20 so as to rotate stably.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ush lever 40.

푸쉬 레버(4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 동작부(41)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며, 콕 레버(35)의 하단 지지부(35a)는 회전 동작부(41)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푸쉬 레버(40)로부터 받은 힘이 전달되도록 회전 동작부(41)에 접촉된다.The rotary operation part 4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sh lever 40 is bent upwards to form a substantially "" "shape, and the lower support part 35a of the cock lever 35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rotary operation part 41. It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otary operation portion 41 so that the force received from the push lever 40 is transmitted.

푸쉬 레버(40)가 힘을 받아 상측의 회전 동작부(41)가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회전 동작부(41)에 접촉 지지된 콕 레버(3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된다.When the push lever 40 is pushed and the upper rotary operating part 41 moves counterclockwise, the cock lever 35 in contact with the rotary operating part 41 is rotated clockwise.

또한, 상기와 같이 냉장고 도어(3) 전면에 마련된 디스펜서(10)의 콕 어셈블리(30) 동작을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한 디스펜서 커버(50)가 디스펜서(10)의 상측에 장착된다.In addition, a dispenser cover 50 for disabling the cock assembly 30 of the dispenser 1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3 is mounted above the dispenser 10.

여기서, 디스펜서 커버(50)는 콕 어셈블리(30)의 동작 부위를 가려 미관상 좋게 할 뿐 아니라, 콕 어셈블리(30)의 인출부(3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한 구조가 되도록 한다.Here, the dispenser cover 50 not only looks aesthetically good by covering the operation part of the cock assembly 30, but also prevents the lead portion 31 of the cock assembly 3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have a sanitary and safe structur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냉장고(1) 도어(3) 전면에 마련된 디스펜서(10)의 푸쉬 레버(40)를 사용자가 누르면, 힌지 고정된 힌지부(43)를 중심으로 푸쉬 레버(4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lever 40 of the dispenser 1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 door 3, the push lever 40 is mov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hinged hinge 43.

그러면, 푸쉬 레버(40) 상측에 절곡형성된 회전 동작부(4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회전 동작부(41)에 지지된 콕 어셈블리(30)의 콕 레버(3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콕 레버(35)에 고정된 지랫대(34)에 의해 콕 밸브(33)가 상측으로 올라가고, 공급부(32)를 통해 콕 어셈블리(30)로 공급되는 음료는 콕 밸브(33)의 개방으로 의해 인출부(31)로 인출된다.Then, the rotary operation part 41 bent over the push lever 40 moves counterclockwise, and the cock lever 35 of the cock assembly 30 supported by the rotary operation part 41 rotates clockwise. , The cock valve 33 is raised upward by the lever 34 fixed to the cock lever 35, and the beverage supplied to the cock assembly 30 through the supply part 32 is opened by the opening of the cock valve 33. By the drawing part 31 by this.

따라서, 사용자는 푸쉬 레버(40)을 누르는 단 한번의 동작으로 음료를 인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withdraw the beverage in a single operation of pushing the push lever 40.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락 스위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switch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 커버(50)에 장착된 락 스위 치(60)는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좌우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디스펜서 커버(50)의 소정 위치에는 락 스위치(60)가 장착되도록 좌우로 소정의 슬롯(미도시)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lock switch 60 mounted on the dispenser cover 50 is formed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nd the lock switch 6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enser cover 50. A predetermined slot (not shown) is formed left and right to be mounted.

락 스위치(60)는 디스펜서 커버(50)의 외측에서 슬롯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스위치부(61)와, 디스펜서 커버(50) 내측에서 푸쉬 레버(40)의 동작을 구속하는 로킹부(62), 그리고 스위치부(61)와 로킹부(62)를 연결하는 가이드부(63)를 포함한다.The lock switch 60 includes a switch unit 61 that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slot outside the dispenser cover 50, a locking unit 62 that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push lever 40 inside the dispenser cover 50, And a guide portion 63 connecting the switch portion 61 and the locking portion 62.

락 스위치(60)의 로킹부(62)는 가이드부(63)를 통해 로킹부(62)와 연동되며, 푸쉬 레버(40) 상측의 회전 동작부(41)의 일측에 접하여 사용자가 푸쉬 레버(40)를 눌러도 푸쉬 레버(40)가 회동하지 못하게 구속한다.The locking part 62 of the lock switch 60 is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part 62 through the guide part 63, and the user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tary operation part 41 above the push lever 40 to allow the user to push the push lever ( Even if 40 is pressed, the push lever 40 is restrained from rotating.

또한, 회전 동작부(41)에 접하여 회동되는 콕 레버(35)의 지지부(35a) 역시 락 스위치(60)의 로킹부(62)에 의해 구속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5a of the cock lever 35 which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operation part 41 is also restrained by the locking part 62 of the lock switch 60 to prevent rotation.

락 스위치(60)의 스위치부(61)는 사용자가 쉽게 이동 시킬 수 있도록 디스펜서 커버(5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며, 스위치부(6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63)는 소정 길이의 견고한 판 형상이다.The switch portion 61 of the lock switch 6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spenser cover 5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and the guide portion 63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 portion 61 is of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plate-shaped.

가이드부(63)로부터 일단이 절곡된 면 형상의 로킹부(62)는 푸쉬 레버(40)의 회전 동작부(41)가 구속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로 형성된다.The surface-shaped locking part 62 whose one end is bent from the guide part 63 is formed to a sufficient width so that the rotation operation part 41 of the push lever 40 can be restrained.

그리고, 락 스위치(60)는 슬롯을 따라 이동하며, 슬롯의 우측에 위치 시 푸쉬 레버(40)의 회전 동작부(41)를 구속하게 되고, 슬롯의 좌측에 위치 시에는 푸쉬 레버(40)의 회전 동작부(41)와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푸쉬 레버(40)의 동 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lock switch 60 moves along the slot, and restrains the rotation operation part 41 of the push lever 40 when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of the slot, and when the lock switch 60 is positioned at the left side of the slot. It is locat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operation portion 41, it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push lever (40).

이때, 디스펜서 커버(50)에 형성된 슬롯의 길이는 락 스위치(60)의 로킹부(62)보다 좌측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lot formed in the dispenser cover 50 may be longer than the locking part 62 of the lock switch 60.

냉장고(1) 디스펜서(10)의 락 스위치(60)는 사용자가 스위치 부(61)를 좌측의 언로킹 상태에서 푸쉬 레버(40)를 눌러 음료를 인출하고, 인출이 완료된 후 스위치 부(6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락 스위치(60)의 로킹부(62)가 푸쉬 레버(40) 상단의 회전 동작부(41)를 구속하여, 푸쉬 레버(40)를 눌러도 동작하지 않고, 그에 따라 콕 레버(35)가 회전하지 않아 음료가 인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lock switch 60 of the dispenser 10 of the refrigerator 1 dispenses a beverage by pushing the push lever 40 while the user unlocks the switch 61 on the left side, and after the withdrawal is completed, the switch unit 61. Is moved to the right, the locking part 62 of the lock switch 60 restrains the rotary operation part 41 of the upper part of the push lever 40, and it does not operate even if the push lever 40 is pressed, and accordingly, the cock lever ( 35) does not rotate so beverages are not withdrawn.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순한 구조의 락 스위치(6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한 디스펜서(10)의 동작을 방지하여 음료의 비산을 막아 안정되고 신뢰성 있는 디스펜서(10)의 사용을 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lock switch 60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10 due to misoperation of the user,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eing scattered, thereby enabling the use of the stable and reliable dispenser 10.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콕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ck assembly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락 스위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switch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냉장고 2 : 본체1: refrigerator 2: body

3 : 도어 10 : 디스펜서3: door 10: dispenser

20 : 디스펜서 케이스 30 : 콕 어셈블리20 dispenser case 30 cock assembly

31 : 인출부 32 : 공급부31: withdrawal part 32: supply part

33 : 콕 밸브 34 : 지랫대33: cock valve 34: crowbar

35 : 콕 레버 40 : 푸쉬 레버35: cock lever 40: push lever

50 : 디스펜서 커버50: dispenser cover

Claims (7)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In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enser to withdraw beverages, 상기 디스펜서는 음료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콕 밸브와, 상기 콕 밸브를 작동시키는 콕 어셈블리와, 상기 콕 어셈블리와 연동하여 음료가 인출되도록 하는 푸쉬 레버를 포함하며,The dispenser includes a cock valv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withdrawal portion through which the beverage is drawn out, a cock assembly for operating the cock valve, and a push lever for dispensing the beverage in association with the cock assembly; 상기 콕 어셈블리는 상기 콕 밸브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지랫대와, 상기 지랫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콕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The cock assembly includes a cradle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ck valve, and a cock lever coupled to the cradle to ro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콕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디스펜서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The dispenser further comprises a dispenser case to which the cock assembly is fixed,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는 상측에 마련된 콕 어셈블리 조립부와, 상기 푸쉬 레버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푸쉬 레버의 회전 기준이 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The dispenser case includes a cock assembly assembly provided at an upper side, a rotation guide unit for rotating the push lever, and a hinge coupl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ush lever to serve as a reference for rotation of the push lever.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푸쉬 레버는 힌지 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회전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The push lever is a dispenser comprising a hinge coupled to the hinge, and a rotation operation portion provided to rotate based on the hinge portion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는 그 상측에 마련된 상기 콕 어셈블리와 상기 인출부를 가리기 위한 디스펜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The dispenser case further comprises a dispenser cover for covering the cock assembly and the lead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dispenser case,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푸쉬 레버를 로킹하여 음료가 인출되지 않도록 락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The dispenser further includes a lock switch to lock the push lever to prevent a beverage from being drawn out. 상기 락 스위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부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 레버를 구속하는 로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The lock switch is a dispenser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witch unit and a locking unit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to restrain the push lever is formed.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In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enser to withdraw beverages, 상기 디스펜서는 음료가 인출되는 인출부를 개폐하기 위한 콕 밸브와, 상기 콕 밸브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지랫대와, 상기 지랫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콕 레버와, 상측에 마련되는 회전 동작부를 통해 상기 콕 레버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콕 밸브를 작동시키는 푸쉬 레버와, 상기 회전 동작부의 일측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로킹부를 통해 상기 푸쉬 레버를 구속하여 상기 콕 밸브의 작동을 로킹하는 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The dispenser is provided through a cock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drawer through which a beverage is drawn out, a cradle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ck valve, a cock lever coupled to the cradle and rotating, and a rotation operation unit provided at an upper side thereof. A push lever for supporting a lower part of the cock lever to operate the cock valve, and a lock switch for locking the operation of the cock valve by restraining the push lever through a locking part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tation operation part. Dispens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2020070012853U 2007-07-31 2007-07-31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4634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853U KR200463487Y1 (en) 2007-07-31 2007-07-31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853U KR200463487Y1 (en) 2007-07-31 2007-07-31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26U KR20090001226U (en) 2009-02-04
KR200463487Y1 true KR200463487Y1 (en) 2012-11-07

Family

ID=4150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853U KR200463487Y1 (en) 2007-07-31 2007-07-31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87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30Y1 (en) 1999-10-26 2000-04-15 제인공업주식회사 Safety equiment of water supply valve
KR100582283B1 (en) 2004-12-21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30Y1 (en) 1999-10-26 2000-04-15 제인공업주식회사 Safety equiment of water supply valve
KR100582283B1 (en) 2004-12-21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26U (en)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568B1 (en) Automatic Homebar
US9759477B2 (en) Refrigerator
US9297572B2 (en) Appliance with an articulating handle
US8627678B2 (en) Refrigerator
US9335088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ispenser
US10533790B2 (en)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er for an appliance
KR101085295B1 (en) Refrigerater
US20100066226A1 (en) Built-In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Water and Drinks Dispenser
US8336331B2 (en) Refrigerator
EP2024697B1 (en) Refrigerator
KR100951288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110088937A (en) Refrigerator
KR200463487Y1 (en)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30118203A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KR101153582B1 (en) Device for protecting tap pollution of dispenser device for protecting tap pollution of dispenser
KR100830464B1 (en) Dispensor in refrigerator
KR100981821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150074233A (en) Refirgerator
KR100969796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57424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030061893A (en) Refrigerator
KR100957441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06889B1 (en) Water supply switch device for dispenser in refrigerator
KR200241491Y1 (en) Kimchi storage
KR20100079661A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