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796B1 -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796B1
KR100969796B1 KR1020080032363A KR20080032363A KR100969796B1 KR 100969796 B1 KR100969796 B1 KR 100969796B1 KR 1020080032363 A KR1020080032363 A KR 1020080032363A KR 20080032363 A KR20080032363 A KR 20080032363A KR 100969796 B1 KR100969796 B1 KR 10096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button
unit
tak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6943A (en
Inventor
박주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796B1/en
Publication of KR2009010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Abstract

개시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는, 냉각실과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디스펜서 수납부;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취출부; 상기 취출부 일 측에 고정되어 물의 취출을 가이드하는 물가이드부; 상기 취출부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취출버튼부; 및 상기 취출부와 상기 취출버튼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구동부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는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냉각실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므로 디스펜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실의 부피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물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물의 취출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물가이드부의 설치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으로 상기 물가이드부가 피로파손되는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dispenser includes a cooling chamber and a doo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refrigerator; A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recessed in a thickness direction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 take-out part which rotates about an upper end to selectively shield the dispenser housing; A water guide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outlet part to guide the extraction of water; A take-out button part horizontally mov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of the doo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ake-out part;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takeout unit and the takeout button unit, so that the takeout unit and the takeout button unit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to take out ice from the cooling chamber,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dispens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volume reduction of the cooling chamber, and the water guide portion allows the extraction of water through the dispenser, an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ter guide portion, the water guide by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fatigue failure.

냉장고, 디스펜서, 취출부, 취출버튼부, 물가이드부, 구동부 Refrigerator, dispenser, ejector, ejector button, water guide, drive

Description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DISPENSER}Refrigerator with dispenser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 외부에서 냉장고의 내부에서 제빙되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도록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provided in a door of the refrigerator so as to extract ice ic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without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를 작동유체로 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식품이나 음료와 같은 저장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로 개발된 이래 오랫동안 생활필수품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In general, a refrigerator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essential items for a long time since it was developed as a device for storing fresh foods and beverages for a long time using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using a refrigerant as a working fluid.

또한, 최근 들어 냉장고에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인 기능 추가가 예상된다.In addition, recent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newly added to the refrigerato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it is expected to continue to add functions in the future.

일 예로, 냉장고 내부에서 제조되는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해 매번 도어를 개방해야하는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냉장고의 외부에서 그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출시를 들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n the door every time for the extraction of ice and the like produced inside the refrigerator, there is a release of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ispenser for taking out the ice and the like produced therein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have.

상기 디스펜서는, 냉장고 도어 일부가 그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의 일 측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얼음 등을 인출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함몰부에 용기를 집어넣어 인출되는 얼음 등을 받게 된다.The dispenser has a structure that draws out ice and the like through a withdrawal port formed at one side of a depression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inward, and receives the ice and the like drawn out by inserting a container into the depression.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에 의하면, 냉장고의 외부로 상기 함몰부 및 인출구가 노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외부로부터 상기 함몰부 또는 인출구가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First, according to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depression and the outlet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ess or the outlet is contaminated by dust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둘째,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에 의하면, 얼음 등의 인출을 위해 상기 함몰부의 내측 즉, 도어의 내측으로 용기를 집어넣어야 하므로, 상기 함몰부는 용기의 크기만큼 크게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스펜서가 형성되는 공간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이 과도하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according to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ontainer must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epression, that is, the inside of the door in order to withdraw ice, etc., the depression should be provided as large as the size of the container. Therefore, the space in which the dispenser is formed is increased, which causes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to be excessively reduced.

셋째,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펜서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 미사용시에도 상기 함몰부와 상기 인출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 구매시 가전제품의 외관을 하나의 인테리어로 여기는 최근 소비자의 추세에 비추어 외관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 when the dispenser is not in use, the recess and the outlet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lead to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in view of the recent consumer trend of considering the appearance of home appliances as an interior when purchasing a product.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펜서의 미 사용시 도어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차폐되며, 디스펜서의 사용시 냉장고의 도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얼음을 인출하게 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that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in a state stored inside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not in use,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ispenser is used to withdraw ic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과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디스펜서 수납부;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취출부; 상기 취출부 일 측에 고정되어 물의 취출을 가이드하는 물가이드부; 상기 취출부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취출버튼부; 및 상기 취출부와 상기 취출버튼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chamber and the door to selectively shield it; A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recessed in a thickness direction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 take-out part which rotates about an upper end to selectively shield the dispenser housing; A water guide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outlet part to guide the extraction of water; A take-out button part horizontally mov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of the doo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ake-out part;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takeout unit and the takeout button unit.

상기 취출부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를 차폐하는 수납위치와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회전 돌출되어 물을 취출하는 취출위치 사이를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ke-out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to shield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and the take-off position to eject the water by rotating protruding forward of the door.

또한, 상기 취출부는, 상기 수납위치에서 디스펜서 수납부를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냉각실로부터 이송되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얼음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ke-out part may include a cover part that shields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at the storage position, and an ice guide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to guide the ice conveyed from the cooling chamber at the take-out position. do.

상기 물가이드부는, 그 출구가 상기 얼음가이드부의 출구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guid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provided to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outlet of the ice guide portion.

또한, 상기 물가이드부는, 물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의 배면에서 전면 쪽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부의 배면을 따라 가이드되게 절곡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ront surface from the back of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is bent and fixed to be guided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상기 취출버튼부는, 상기 물가이드부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버튼프레임부; 및 상기 버튼프레임부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jection button unit may include a button frame unit positioned below the water guide unit and mov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oor by the driving unit; And a button part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tton frame part and selectively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상기 구동부는, 모터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취출부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취출버튼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unit, a drive gear coupled to the motor is driven; A first driven gear meshed with the drive gear to rotate the take-out part; And a second driven gear meshed with the drive gear and horizontally moving the take-out button par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물가이드부는, 물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을 따라 가이드되게 절곡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guide portion, water is introduced from one side of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to the other side direction to be guided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and fix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dispens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구동부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는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냉각 실로부터 얼음을 취출하므로 디스펜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실의 부피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ejection part and the ejection button part are protruded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to extract the ice from the cooling chamber,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dispens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volume reduction of the cooling chamber.

둘째, 디스펜서의 미 사용시 구동부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가 도어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구비되며, 커버부에 의해 차폐되므로 외부로부터 먼지 등에 의해 취출부와 취출버튼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 when the dispenser is not in use, the takeout part and the takeout button part are housed inside the door by the driving part, and are shielded by the cover part, so that the takeout part and the takeout button part ar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dust from the outside. have.

셋째, 디스펜서의 미 사용시 커버부가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며 그 내측이 차폐되어 냉장고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므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when the dispenser is not in use, the cover part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side of the dispenser is shield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is beautiful.

넷째, 상기 물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물의 취출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물가이드부의 설치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으로 상기 물가이드부가 피로파손되는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take out water through the dispenser by the water guide portion, an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water guide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water guide portion fatigue damage by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I-I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spenser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in Figure 1 It is a cross sec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저장물이 저장되는 냉각실(12)과 상기 냉각실(12)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1 to 3,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oling chamber 12 in which a storage is stored and a door 13 shielding the cooling chamber 12 from the outside.

상기 냉각실(12)은 냉장고(10)의 와관을 형성하는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되 며, 상기 냉각실(12)의 내면과 상기 본체(11)의 외면은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된다.The cooling chamber 12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 forming the tube of the refrigerator 10, the inner surface of the cooling chamber 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is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Insulation is inserted in between.

상기 단열재에 의해 상기 냉각실(12)의 내부는 상기 본체(11)의 외부와 단열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The interior of the cooling chamber 12 is maintained insu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냉각실(12)은 저장물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일 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일 면은 상기 본체(11)에 힌지결합된 도어(13)에 의해 개방 또는 차폐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oling chamber 12 is formed so that one surface is opened for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storage, the open one surface is opened or shielded by the door 13 hinged to the main body (11).

한편, 상기 도어(13)의 내부에도 단열재가 삽입되게 되므로 상기 도어(13)를 통해 상기 냉각실(12)의 내부로 열전달이 방지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13, the heat transfer to the interior of the cooling chamber 12 through the door 13 is prevented.

또한, 상기 도어(13)의 전면 한쪽에는 소비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어손잡이(1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도어(13)의 개폐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 door handle 14 provided to be gripped by a consumer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3, thereby making it easi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13.

한편, 상기 본체(11)의 한쪽에는 상기 냉각실(12)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사이클(미도시)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is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cycle (not shown) for generating cold air for cooling the cooling chamber (12).

상기 냉동사이클의 구성 및 작용은 다수의 매체에 의해 공지되었는 바 여기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is known by a number of media,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냉기공급덕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냉각실(12)로 공급되어 그 내부를 냉각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refrigeration cycle is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12 through a cold air supply duct (not shown) formed in the main body 11 to cool the inside.

더불어, 상기 냉기공급덕트로 냉기의 공급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송풍장치(미 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blow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smoothly supply the cold air through the cold air supply duct.

한편, 상기 냉각실(12)은, 저장물을 얼리지 않고 신선하게 유지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12a)과 저장물은 얼린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12b)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chamber 12 may be formed to be divided into a refrigerating chamber (12a) for keeping the storage fresh without freezing and the freezer (12b) for long-term storage in the frozen state.

또한, 상기 냉장실(12a)과 상기 냉동실(12b)은, 소비자가 사용 패턴 및 저장물의 종류 또는 양에 맞추어 선택가능하도록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hamber 12a and the freezing chamber 12b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consumer can select the typ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the type or amount of the stock.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2a)이 상측에, 냉동실(12b)이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냉동실(12b)에 비해 냉장실(12a)의 사용 빈도가 많은 소비자에게 냉장실(12a)의 개폐 및 저장시 편리함을 안겨 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냉동실(12b)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3b)는 힌지결합이 아닌 서랍식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소비자가 냉동실(12b)에 저장된 저장물을 상측으로 인출하게 함으로써, 하측에 위치되는 냉동실(12b)로부터 저장물의 인출시 자세를 낮춰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ing chamber 12a is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freezing chamber 12b is formed at the lower side, so that the refrigerating chamber 12a is more frequently used by consumers than the freezing chamber 12a. ) Can be convenient for opening and closing. In this case, the freezer door 13b that opens and closes the freezer compartment 12b is formed to be pulled out by a drawer type rather than a hinged combination so that the consumer pulls out the storage stor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12b to the upper side, where the freezer compartment 13 is located below. 12b)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lower the posture when the storage is withdrawn.

이와 다르게, 냉동실(12b)을 상측에, 냉장실(12a)을 하측에 형성하거나, 냉장실(12a)과 냉동실(12b)을 좌우측으로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the refrigerating chamber 12b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2a on the lower side,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12a and the freezing chamber 12b may be formed side by sid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도어(13)의 개방 없이도 외부에서 냉각실(12)에서 제조된 얼음 등을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00 to take out the ice produced in the cooling chamber 12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door 13.

도 1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00)가 냉장실도어(13a)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냉동실도어(13b)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1, the dispenser 100 is illustra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However, the dispenser 100 may be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13b.

또한, 상기 냉각실(12)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펜서(100)를 통해 인출되는 얼 음 등의 제조를 위한 제빙장치(15)가 마련되며, 이들은 서로 연통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n ice making device 15 for manufacturing ice, drawn out through the dispenser 100, is provided in the cooling chamber 12, and these ar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제빙장치(15)와 상기 디스펜서(100)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빙장치(15)로부터 제조된 얼음 등을 이송하는 이송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transfer unit 140 may be provided which communicates the ice maker 15 and the dispenser 100 and transfers the ice produced from the ice maker 15.

상기 제빙장치(15)는, 상기 냉각실(12)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13)의 배면 즉, 상기 냉각실(12)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ice maker 15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oling chamber 12 or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3,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cooling chamber 12.

상기 제빙장치(15)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공지된 구성을 가진 제빙장치 중 어느 것으로 구비되어도 무난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ce making device 15 may be provided with any of the ice making devices having a known configuration.

한편,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의 전면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수납부(101), 그에 결합되어 수납 또는 돌출되는 취출부(110)과 취출버튼부(120) 그리고 상기 취출부(110)과 취출버튼부(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3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enser 100,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101 formed on the front of the door 13, coupled to the take-out portion 110 and the take-out button portion 120 and the take-out portion ( 110 and a drive unit 130 for driving the take-out button portion 120, and also includes a water guide portion 15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ke-out portion (110).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는, 상기 도어(13)의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며 전면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is formed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3 and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is opened.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부에는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 그리고 상기 구동부(130) 등이 결합된다.The takeout unit 110, the takeout button unit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a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unit 101.

여기서, 상기 취출부(110)과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면으로 돌출가능하게 결합된다.Here, the takeout unit 110 and the takeout button unit 120 is coupled to protrud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101.

이와 다르게,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전면 일측이 개구된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13)에 설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may have a recessed shape and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having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pened and installed in the door 13.

상기 취출부(110)는, 그 상측 양단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면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ejection part 110 has both upper ends thereof hing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취출부(11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도어(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취출위치로 이동되며,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로 수납되는 수납위치로 이동되게 된다.As a result, the take-out part 110 is rotated upward and moved to the take-out posi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door 13, and rotated downward to move to the storage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실(12)을 통해 취출되는 물을 가이드하는 물가이드부(15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water guide unit 150 for guiding water taken out through the cooling chamber 12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let 110.

한편,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취출부(110)의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상기 취출부(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take-out button unit 120 is located below the take-out unit 110, the drive unit 130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ake-out unit 110 in and out of the dispenser housing 101 Is moved horizontally to the side.

이에 의해, 소비자가 용기를 이용해 상기 취출버튼부(120)를 누르면, 그와 동시에 상기 취출부(110)의 말단부와 상기 용기의 입구가 대향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consumer presses the take-out button part 120 using the container, at the same time, the distal end of the take-out part 110 and the inlet of the container face each other.

상기 구동부(130)는, 각각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gear)가 서로 맞물린 기어부(131)와 상기 기어부(1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3)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 unit 130 may include a motor 133 which transmits power to the gear unit 131 and the gear unit 131, in which a plurality of gears connected to the takeout unit 110 and the takeout button uni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as).

이에 의해 상기 모터(133)의 회전으로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이동을 연동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take-out part 110 and the take-out button part 120 is link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133.

한편,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상측에는 그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이송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dispenser housing 101 may be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140 penetrating through the outside and the inside.

상기 이송부(140)의 내측에는 상기 이송부(140)를 통한 얼음 등의 이송이 필 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부(140)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1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141)는 일 측이 상기 이송부(140) 또는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되며 별도로 구비된 솔레노이드(142) 등과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Inside the transfer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1 to selectively open the transfer unit 140 when the transfer of ice, such as through the transfer unit 140 is requir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1 ) Is one side is hinged to the transfer unit 140 or dispenser housing 101 and may be rotated by a driving device such as a solenoid 142 provided separately.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의 각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dispenser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 취출부(11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First, the extraction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도 2에서 취출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part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110)는,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된 얼음 등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가이드부(113)가 그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취출부(110)를 통해 취출되는 물을 가이드하는 물가이드부(15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keout unit 110 may include a guide unit 113 for guiding the ice and the like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140 to the outside, and the number of dispensers. The open front side of the paid part 101 is shielded, and the guide part 113 includes a cover part 111 coupled to the rear surface thereof. In addition, one side of the outlet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water guide portion 150 for guiding the water taken out through the outlet portion 110.

이에 의해,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의 말단과 연결되어 이송부(140)를 통해 이송된 얼음 등이 외부로 취출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As a result, the guide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transfer unit 140 at the take-out position to guide the ice and the like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140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와 상기 도어(1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된다(도 3 참조). 따라서, 수납위치에서 상기 취출부(110)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ceiving position the guide portion 113 is positioned to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40 and the door 13 (see Fig. 3). Therefore, the space occupied by the take-out part 110 in the storage position is reduced.

또한, 수납위치에서 상기 커버부(111)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111 is provided to shield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101 in the storage position.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개구된 전면은, 위쪽으로 상기 취출부(110)의 상단부터 아래쪽으로는 상기 취출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취출버튼부(120)가 전방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위치까지의 높이(h2)가 개구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ened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101 is upward from the top of the discharge portion 110 from the upper side to the discharge button portion 120 is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portion 110 to the fron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h2 to the horizontally movable position is provided to be opened.

따라서, 상기 이송부(140)가 위치되는 부분, 즉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상면에서 상기 취출부(110)의 상측까지(h1)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차폐되게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may be shielded by a separate memb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that i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to h1. It is preferable to form

또한, 상기 취출부(11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115)는 상기 취출부(110)의 상단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5 to which the outlet 110 is hinged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110.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111)의 높이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반경을 늘리게 되어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113)의 말단이 돌출되는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As a result, the rotation radius of the takeout part 110 is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over part 111, there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end of the guide part 113 protruding from the takeout position.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얼음 등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각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과도하게 회전되어 취출동작시 외관미를 저해시킬 수 있는 염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enabling to take out ice and the like more safely.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take-out unit 110 can be reduc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rotated, which may hinder appearance appearance during take-out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취출위치에서 외관미의 손상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부(111)와 상기 도어(13)의 전면이 이루는 각(α)는 45도에서 60도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appearance beauty at the take-out position, the angle α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art 111 and the door 13 is preferably maintained within a range of 45 to 60 degrees.

또한, 수납위치에서 상기 커버부(111)는 상기 도어 전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ortion 111 is provided at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t the storage position.

한편, 상기 물가이드부(150)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후면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부(111)와 상기 가이드부(113)의 사이에 물가이드고정부(15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113)의 말단부에 그 출구가 위치되도록 구비된다.Meanwhile, the water guide part 150 is introduc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and is fixed by the water guide fixing part 151 between the cover part 111 and the guide part 113. It is provided such that the outlet is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portion 113.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물가이드부(150)는 상기 취출부(110)의 상단 중앙부에서 측부로 치우쳐진 위치로 유입되며, 상기 물가이드부(150)의 출구는 상기 취출부(110)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부(113)의 일측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물가이드고정부(151)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guide portion 150 is introduced into the position biased to the side from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outlet portion 110, the outlet of the water guide portion 150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let portion 110 Since it should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113, the water guide fixing portion 151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취출부(110)가 취출 및 수납위치를 이동할 때, 상기 물가이드부(150)는 절곡과 펴짐을 반복하게 되며,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피로현상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when the take-out part 110 moves the take-out and storage positions, the water guide part 150 repeats bending and unfolding, and the portion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is twis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to prevent breakage due to fatigue.

한편, 상기 취출부(110)는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버튼부(118)는, 소비자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PCB(118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커버 부(111)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PCB(118b)에 누름력을 전달하는 버튼수용부(118a) 및 상기 버튼PCB(118b)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PCB수용부(118c)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takeout unit 110 may include a control button unit 118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100, and the control button unit 118 generates a control signal by being pressed by a consumer. PCB formed on a button PCB (118b) and the cover portion 111 and the PCB receiving portion 118a and the button PCB (118b) for transmitting a pressing force to the button PCB (118b) is accommodated and fixed I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18c.

이 경우, 상기 제어버튼부(118)는 상기 커버부(111)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배면에 결합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 button 118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cover 111, the guide portion 113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control button 118.

또한, 상기 물가이드부(150)는 상기 버튼PCB(118b)의 배면 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guide portion 15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button PCB (118b).

한편, 상기 가이드부(113)는 취출되는 얼음 등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배면과 결합에 의해 하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113a)와 상기 가이드(113a)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버튼부(118)와의 체결부(113c)가 구비된 가이드고정부(113b)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portion 113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113a and the guide 113a which form a moving passage by combining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button portion 118 to guide the extracted ice and the like. It is formed and includes a guide fixing part 113b having a fastening part 113c with the control button part 118.

또한, 상기 취출부(110)의 측면, 즉 커버부(111)의 배면 양단 또는 상기 제어버튼부(118)의 양 측면 또는 상기 가이드고정부(113b)의 측면에는 상기 취출부(110)를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재(116)의 일단이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된다.In addition, the take-out part 11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take-out part 110, that is,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1,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button part 118, or on the side of the guide fixing part 113b. One end of the hinge coupling member 116 hinged to the dispenser housing 101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dispenser housing 101.

상기 힌지결합부재(116)는, 상기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취출부(11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hinge coupling member 116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30 to rotate the takeout unit 110.

상기 힌지결합부재(11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hinge coupling member 116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버튼부(12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keout butt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은 도 2에서 취출버튼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ejection button part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구동부(130)에 의해 상기 취출부(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는 버튼프레임부(123)와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에 탄성지지되어 취출동작을 개시시키는 버튼부(12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jection button unit 120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ejection unit 110 by the driving unit 130 and horizontally inward and outward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unit 101. It includes a button frame portion 123 to be moved and the button portion 12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to start the take-out operation.

한편,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프레임이동안내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ke-out butt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portion (125)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and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

상기 버튼부(121)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지지된다.The button portion 12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so that a restoring force acts toward the front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따라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버튼부(121)의 제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버튼부(121)의 측면 후단에는 걸림단(121b)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단(121b)에 대응되게 버튼부걸림홈(123a)이 형성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limitation of the button portion 121 that is moved forward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by a restoring force, a locking end 121b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utton portion 121, and the button The button portion locking groove 123a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23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end 121b.

여기서, 상기 걸림단(121b)과 버튼부걸림홈(123a)은 그 위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함.)에 의해 측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 또는 하면 어디에라도 설치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end 121b and the button engaging groove 123a is not limited to the si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you can change the installation on the top or bottom.

한편, 버튼부(121)의 측면 후단이 지나는 이동경로 상에는 상기 버튼부(121)의 이동에 의해 눌려져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부재(126)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witching member 126 is installed on the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rear end of the button portion 121 passes and is 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portion 121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of the dispenser 100.

이 경우, 상기 스위칭부재(126)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 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switching member 126 is fixed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이와 다르게, 상기 스위칭부재(126)는 상기 프레임이동안내부(12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이동안내부(125)에 의해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좌우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버튼부(121)와 상기 스위칭부재(126)의 접촉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Alternatively, the switching member 126 is preferably fixed to the inner 125 during the frame. This is because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is prevented by the inner portion 125 during the frame period,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button portion 121 and the switching member 126.

상기 프레임이동안내부(125)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하면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측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둘이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이동방향으로 버튼안내돌기(123c)와 버튼안내홈(125a)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inner portion 125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and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In addition, the button guide protrusion 123c and the button guide groove 125a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tton frame unit 123 on the surface where the two contact each other.

또한, 상기 버튼프레임부(123)는 내측에 상기 버튼부(121)가 삽입되어 탄성지지되며, 외측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130)에 결합되어 미끄럼운동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구동하는 미끄럼돌기(123b)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tton portion 12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the outer side surface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130, the sliding movemen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A sliding protrusion 123b is formed to drive the same.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버튼부(121)는, 상기 버튼부(121)의 상면에서 하면쪽으로 함몰 형성되며 분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잔빙받이부(121a)와 상기 잔빙받이부(121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몸체부(121c)를 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portion 12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21 is recessed toward the lower surface and the removable receiving portion 121a and the remaining receiving portion 121a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movable movement is provided. It further comprises a button body portion (121c).

아울러,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그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취출부(110)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113)로부터 비정상으로 취출되는 얼음 등을 상기 잔빙받이부(121a)로 안내하는 잔빙가이드부(127)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take-out button unit 120 is a residual guide for guiding the ice or the like, which is abnormally taken out of the guide unit 113 between the take-out unit 110 located above the remaining receiving unit 121a. The section 127 is further provided.

상기 잔빙가이드부(127)는, 내측에 얼음 등이 이송될 수 있도록 개구 부(127a)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7a)의 둘레는 그 쪽으로 떨어지는 얼음 등을 상기 개구부(127a)로 안내하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27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maining guide portion 127 is formed with an opening portion 127a so that ice and the like can be transported therein, and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127a is inclined downward to guide the ice or the like falling toward the opening 127a.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formed inclination part 127b.

또한, 상기 잔빙가이드부(127)의 개구부(127a)는, 상기 버튼부(121)가 눌려졌을 때 상기 잔빙받이부(121a)와 대응되도록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상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127a of the remaining guide portion 127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take-out button portion 1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maining receiving portion 121a when the button portion 121 is pressed. It is preferable to be.

이에 의해, 상기 잔빙받이부(121a)에 잔빙이 많이 쌓인 경우 소비자는 상기 잔빙받이부(121a)를 탈거하여 그 내부의 잔빙을 제거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a large amount of residual ice is accumulated in the residual part 121a, the consumer may remove the residual part 121a to remove the residual ice therein.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빙받이부(121a)의 전면, 즉 얼음 등을 수용하는 용기 등이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버튼부(121)를 누를 때 상기 버튼부(121)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용기접촉부(121d)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of the remaining receiving portion 121a,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container or the like for holding the ice contacts the restoring force acting on the button portion 121 when the button portion 121 is presse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contact portion 121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impact amount delivered to the container can be alleviated.

또한, 상기 버튼부(121)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버튼부(121)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되는 버튼이동제한부(128)에 의해 최대 눌림 위치가 결정된다.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121, the maximum pushed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button movement limiting portion 128 which is located to face the back of the button portion 121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이에 의해, 소비자가 얼음 등의 취출을 위해 상기 버튼부(121)를 누를 때, 상기 버튼부(121)가 최대로 눌렸음을 소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when the consum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121 to take out ice or the like, the consumer can sense that the button portion 121 is pressed to the maximum.

또한, 상기 버튼부(121)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부(113)를 통해 취출되는 얼음 등이 용기에 담겨지게 되는데, 상기 버튼부(121)를 최대 눌림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면, 취출되는 얼음 등이 용기 밖으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Further, by being that the button part 121 is pressed there is like ice is taken out through the guide portion 113 becomes immersed in the container, having no limit on the maximum depression position the button 121, which is taken out of ice, etc. Problems may arise out of this container.

따라서, 상기 버튼이동제한부(128)는 상기 문제점을 방지하여 안정된 취출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Thus, the button movement limiting unit 128 prevents the above problem and makes a stable takeout operation.

상기 버튼이동제한부(128)는,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29), 상기 힌지부(129)로부터 수평면에 대해 상향되게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128a)와 제2연장부(128b)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128b)의 말단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버튼부(121)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3연장부(128c)를 포함한다.The button movement limiting unit 128 is a hinge portion 129 which is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take-out button portion 1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ake-out button portion 120 to be upward from the hinge portion 129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 Is extended at the front and rear of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8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8b) and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8b) is bent and extended to the back of the button portion 121 in the take out position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128c positioned opposite to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28c.

한편, 이와 대응되게 상기 버튼프레임가이드부(113)에는 상기 버튼이동제한부(128)가 설치되는 설치홈(125c)이 구비되며, 그 내측에 수평하게 결합힌지부(125b)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correspondingly, the button frame guide 113 has an installation groove 125c in which the button movement limiting portion 128 is installed, and the hinge portion 125b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inside thereof. .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도 2에서 구동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구동부의 조립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riving part in FIG. 2,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driving part in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각각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에 연결된 복수의 기어(gear)가 서로 맞물린 기어부(131)와 상기 기어부(1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3)로 구비될 수 있다.6 and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30 may include a gear unit 131 in which a plurality of gears connected to the takeout unit 110 and the takeout button uni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as a motor 133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unit 131.

이에 의해 상기 모터(133)의 회전으로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이동을 연동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take-out part 110 and the take-out button part 120 is link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133.

상기 기어부(131)는, 상기 모터(133)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131b)와, 상기 구동기어(131b)와 치합되어 상기 취출부(110)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131a)와, 상기 구동기어(131b)와 치합되며 상기 취출버튼부(120)를 이동시키는 제2종동기어(131c)를 포함한다.The gear part 131 is coupled to the motor 133 to drive the drive gear 131b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meshing with the drive gear 131b to rotate the take-out part 110. And a second driven gear 131c meshed with the driving gear 131b to move the take-out button part 120.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131b)와 제1종동기어(131a) 및 제2종동기어(131c)는 그 회전면이 상기 커버부(111)와 직교하도록 설치된다.Here, the drive gear 131b, the first driven gear 131a, and the second driven gear 131c are installed such that the rotation surface thereof is perpendicular to the cover portion 111.

또한, 상기 제1종동기어(131a)의 직경(D1)은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driven gear 131c.

이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3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종동기어(131a)의 각속도가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각속도가 더 크게 되므로 상기 취출부(110)와 취출버튼부(120)의 돌출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돌출시 상기 취출버튼부(120)가 상기 커버부(111)에 의해 이동이 간섭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angular velocity of 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increas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131b, so that the ejection unit 110 and the ejection button unit 120 are larger. The protrusion speed difference is generated so that the ejection button unit 120 can prevent the movement of the cover part 111 from interfering with the protrusion.

한편, 상기 구동기어(131b)의 직경(D3)은 상기 제1종동기어(131a) 및 제2종동기어(131c)의 직경(D1,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D3) of the drive gear (131b) is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D2) of the first driven gear (131a) and the second driven gear (131c).

상기 구동기어(131b)는 모터(133)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취출부(110)와 상기 취출버튼부(120)의 소음이 덜한 부드러운 돌출을 위해서는 저속으로 돌출되는 것을 요하는데 상기 모터(133)를 회전속도가 저속인 것을 구비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상당한 부담이다. The drive gear 131b is rotated by the motor 133, and it is required to protrude at a low speed in order to smoothly lower the noise of the ejection unit 110 and the ejection button unit 120. It is a considerable burden in terms of cost to have a low rotation speed.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31b)의 직경을 작게 구비함으로써 회전속도비를 이용하여 상기 취출부(110) 및 취출버튼부(120)의 돌출속도를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drive gear 131b is to reduce the protrusion speed of the take-out portion 110 and the take-out button portion 120 by using the rotational speed ratio.

한편, 상기 구동기어(131b), 상기 제2종동기어(131c), 모터(133)는 서로 형합되는 제1커버부(134a)와 제2커버부(134b)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131b)의 일부분이 상기 제1커버부(134a)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곳에 상기 제1종동기어(131a)가 치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gear 131b, the second driven gear 131c, and the motor 133 are installed in the first cover part 134a and the second cover part 134b which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drive gear A portion of 131b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art 134a,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engaged therewith.

상기 제1종동기어(131a)는 힌지결합부(115)와 고정부(114)와 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부재(116)를 구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圓弧)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힌지결합부(115)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취출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14)와 결합된다.The first driven gear 131a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115 and the fixing part 114 to constitute the hinge coupling member 116,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er 115 which is hinged to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14 fixed to the takeout portion 110.

상기 소정의 중심각은, 상기 커버부(111)가 이동하는 각(α)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predetermined center angle should be larger than the angle α at which the cover part 111 moves.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115)와 상기 제1종동기어(131a)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채꼴 모양의 내부 공간은, 상기 취출부(110)의 회전 돌출시 상기 커버부(111)의 상단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면부(101a) 하단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fan-shaped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5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111 when the ejection portion 110 is protruding rotationally;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by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101a of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101.

한편, 상기 취출부(110)의 양 측부 중 상기 구동기어(131b)와 결합되지 않는 측부에 구비된 상기 제1종동기어(131a)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131a)와 맞물려 회전되는 아이들기어(135)에 의해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jection part 110 that is not coupled to the drive gear 131b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and the first part. It is supported by the idle gear 135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driven gear (131a).

한편, 상기 제2종동기어(131c)는,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수평이동을 구동하는 미끄럼레버부(132)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riven gear 131c is form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liding lever portion 132 for driv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is formed.

상기 미끄럼레버부(132)는 그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슬롯(132a)이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슬롯(132a)에는 상기 버튼프레임부(123)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미끄럼돌기(123b)가 끼워진다.The sliding lever part 132 has a sliding slot 132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sliding slot 132b is fitted with a sliding protrusion 123b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utton frame part 123.

이에 의해, 상기 제2종동기어(131c)의 회전에 의해 상기 미끄럼레버부(132)가 상기 미끄럼돌기(123b)를 밀게 되며 상기 미끄럼돌기(123b)는 미끄럼슬롯(132a)을 미끄러지면서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As a result, the sliding lever part 132 pushes the sliding protrusion 123b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en gear 131c, and the sliding protrusion 123b slides the sliding slot 132a to perform horizontal movement. Done.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과정을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in the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ispens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수납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취출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바라본 측면도이다. 8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in a storage positi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in a discharge positi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의 내측으로 수납된 수납위치에서 커버부(111)에 의해 냉장고(10)의 외측에서 볼 때 완전히 차폐된 상태로 유지된다.8 to 9,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nser 100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10 by the cover part 111 at a storage position accommodated inside the door 13. It remains completely shielded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이송부(140)와 상기 도어(13)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취출버튼부(120)는, 상기 미끄럼레버부(132)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113 is positioned to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40 and the door 13, the take-out button unit 120, the number of the dispenser by the sliding lever unit 132 It is stored inside the payment portion 101.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111)에 구비된 제어버튼부(118)를 통해 소비자의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모터(133)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31b)가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구동기어(131b)에 치합된 제1종동기어(131a) 및 제2종동기어(131c)는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 consumer's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button unit 118 provided in the cover 111, the drive gear 131b is counterclockwise based on FIG. 8 by the motor 133. Direction and the first driven gear 131a and the second driven gear 131c meshed with the driving gear 131b are respectively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111)와 가이드부(113)는 상기 힌지결합부(115)를 중심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돌출된다.As a result, the cover part 111 and the guide part 113 are rotated about the hinge coupler 115 about a central axis to protrude forward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101.

또한, 상기 버튼프레임부(123)는 그에 형성된 미끄럼돌기(123b)가 상기 미끄럼레버부(132)에 형성된 미끄럼슬롯(132a)을 타고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101)의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utton frame portion 123 is a sliding protrusion 123b formed thereon is horizontally moved forward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101 on the sliding slot 132a formed in the sliding lever 132.

이후, 소비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121)가 눌려지면 상기 버튼부(121)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 스위칭부재(126)가 상기 버튼부(121)에 의해 눌려지며 얼음 등의 취출신호가 발생된다.Then, when the button 121 is pressed by the consumer, the switching member 126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utton 121 is pressed by the button 121 and an ejection signal such as ice is generated. do.

이에 의해,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얼음 등이 이송되고 상기 가이드부(113)를 통해 외부로 취출되게 된다.As a result, ice or the like i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140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unit 113.

이때, 소비자는 상기 취출량확인부(160)를 통해 상기 용기에 담겨지는 얼음 등의 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하는 양이 채워졌을 때 상기 용기를 상기 버튼부(121)에서 뗌으로서 얼음 등의 취출을 정지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sumer can check the amount of ice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rough the take-out amount checking unit 160 and when the desired amount is filled,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button unit 121 to take out the ice or the like. Stopped.

한편, 상기 제어버튼부(118)에 의해 물 또는 얼음 등의 선택이 가능하며, 물의 취출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물가이드부(150)를 통해 물이 취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water or ice by the control button unit 118, and when the withdrawal of water is selected, the water is withdrawn through the water guide unit 150.

한편, 상기 취출위치에서 수납위치로의 이동은 상술한 취출동작의 반대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from the take-out position to the storage position is the opposite of the above-described take-out operation will be omitted her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Next, a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However, in the description thereof, a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will be omitted below.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2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나, 상기 물가이드부(250)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In the refrigera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enser 200 is the same in other configurations, bu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water guide part 250.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가이드부(250)는,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201)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부(211)와 상기 가이드부(213)의 사이에 물가이드고정부(25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213)의 말단부에 그 출구가 위치되도록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guide part 250 flows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art 201 and water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part 211 and the guide part 213. It is fixed by the guide fixing portion 251, it is provided so that the outlet is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portion 213.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물가이드부(250)는 상기 취출부(210)의 상단 중앙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취출부(210)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guide part 250 is bent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outlet 210 is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let 210.

따라서, 상기 취출부(110)가 취출 및 수납위치를 이동할 때, 상기 물가이드부(150)는 절곡과 펴짐만을 반복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takeout part 110 moves the takeout and storage positions, the water guide part 150 repeats only bending and unfolding.

즉,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물가이드부(250)가 비틀리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으며, 비틀림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취출부(250)의 동작시 상기 비틀림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230)에 미치는 부담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at i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guide part 250 is twisted may be prevented, and the twisting may be prevented so that the restoring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orsion when the takeout part 250 is operated. As a result, the burden on the driving unit 230 can be elimina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further described above. Even if embodiments are not listed one by one in the description, they should be construed broadly within the spirit and scope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spenser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서 I-I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I-I in FIG.

도 4는 도 2에서 취출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FIG.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ischarge part in FIG. 2;

도 5은 도 2에서 취출버튼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ejection button part in FIG. 2;

도 6은 도 2에서 구동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FIG.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riving part in FIG. 2;

도 7은 도 6에서 구동부의 조립상태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driving unit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수납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바라본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in a storage positi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취출위치 상태에서 구동부를 바라본 측면도,9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in the ejecting position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냉각실과 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A cooling chamber and a door selectively shielding it;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디스펜서 수납부;A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recessed in a thickness direction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oor;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취출부;A take-out part which rotates about an upper end to selectively shield the dispenser housing; 상기 취출부 일 측에 고정되어 물의 취출을 가이드하는 물가이드부;A water guide part fixed to one side of the outlet part to guide the extraction of water;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얼음을 취출시키며, 상기 취출부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전면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취출버튼부; 및A take-out button unit which takes out ice by a user's operation and moves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ont of the doo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ake-out unit; And 상기 취출부와 상기 취출버튼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nd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takeout unit and the takeout butt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unit,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를 차폐하는 수납위치와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회전 돌출되어 물을 취출하는 취출위치 사이를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dispenser, wherein the dispenser rotates between a storage position for shielding the dispenser housing and a discharge position for protruding water from the front of the do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raction unit, 상기 수납위치에서 디스펜서 수납부를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취출위치에서 상기 냉각실로부터 이송되는 얼음이 취출되도 록 가이드하는 얼음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nd a cover portion for shielding the dispenser accommodating portion at the storing position, and an ic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ice conveyed from the cooling chamber at the take-out posi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Refrigera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가이드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ter guide portion 그 출구가 상기 얼음가이드부의 출구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the outlet of which is provided to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outlet of the ice guide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가이드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ter guide portion, 물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의 배면에서 전면 쪽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부의 배면을 따라 가이드되게 절곡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ront surface from the back of the dispenser housing portion is bent and fixed to be guided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가이드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ter guide portion, 물이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커버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을 따라 가이드되게 절곡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flows from one side of the dispenser housing to the other side direction and is bent and fixed to be guide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at the center of the c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ver portion, 상기 디스펜서 수납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formed in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위치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orage position, 상기 커버부가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of the do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위치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jecting position is, 상기 커버부가 상기 도어 전면과 45도 내지 60도의 각을 이루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is positioned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to 60 degrees with the front of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버튼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ject button unit, 상기 물가이드부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버튼프레임부; 및A button frame part positioned below the water guide part and moved into and out of the door by the driving part; And 상기 버튼프레임부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nd a button portion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utton frame portion and selectively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iving unit, 모터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구동기어;A drive gear coupled to the motor and driven;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취출부를 회전시키는 제1종동기어; 및A first driven gear meshed with the drive gear to rotate the take-out part; And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취출버튼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nd a second driven gear meshed with the drive gear and horizontally moving the take-out button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동기어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driven gear,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圓弧)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이 회전중심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which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ver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기어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driven gear, 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취출버튼부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미끄럼돌기가 끼워지는 미끄럼슬롯이 형성된 미끄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A sliding part having a sliding slot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sliding slot into which the sli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ejection button part is fitt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커버부는 상기 취출부가 수납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취출버튼부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The cover unit is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entire front of the take-out button portion when the take-out portion is in the storage position
KR1020080032363A 2008-04-07 2008-04-07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69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63A KR100969796B1 (en) 2008-04-07 2008-04-07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63A KR100969796B1 (en) 2008-04-07 2008-04-07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43A KR20090106943A (en) 2009-10-12
KR100969796B1 true KR100969796B1 (en) 2010-07-13

Family

ID=4153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63A KR100969796B1 (en) 2008-04-07 2008-04-07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7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73A (en) * 2010-10-06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932A (en) * 2003-04-02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20040085744A (en)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100510698B1 (en)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for ice-making apparatus in the refrigerator
US20050268638A1 (en) 2004-06-04 2005-12-08 Voglewede Ronald 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744A (en)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20040085932A (en) * 2003-04-02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100510698B1 (en)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for ice-making apparatus in the refrigerator
US20050268638A1 (en) 2004-06-04 2005-12-08 Voglewede Ronald 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73A (en) * 2010-10-06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KR101698095B1 (en) * 2010-10-06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43A (en)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88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090106938A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8161767B2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KR101513628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1621578B1 (en) Refrigerator
US8443620B2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US8881951B2 (en) Refrigerator
WO2009104864A1 (en) Refrigerator
KR20110112377A (en) Refrigerator
US8141747B2 (en)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20110103523A (en) Refrigerator
US20100175416A1 (en) Refrigerator
KR100981821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69796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AU2007285171B2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00957424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57441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0978364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070034330A (en) Sliding home bar of refrigerator
KR101000687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20170211865A1 (en) Refrigerator
KR20120035773A (en) Refrigerator with hidden type dispenser
KR101611609B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20090005789U (en) Ice 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