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19Y1 -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 Google Patents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19Y1
KR200463419Y1 KR2020090014577U KR20090014577U KR200463419Y1 KR 200463419 Y1 KR200463419 Y1 KR 200463419Y1 KR 2020090014577 U KR2020090014577 U KR 2020090014577U KR 20090014577 U KR20090014577 U KR 20090014577U KR 200463419 Y1 KR200463419 Y1 KR 200463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main body
trilog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5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4859U (en
Inventor
구신오
Original Assignee
구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신오 filed Critical 구신오
Priority to KR2020090014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19Y1/en
Publication of KR20110004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85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화(菊花)나 화목(花木)의 뿌리를 붙여 키우는 부작(附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묘하고 빛깔이 특이한 자연석이나 나무를 사용하는 석부작이나 목부작 대신 자연석이나 나무와 근접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점토를 빚어 구워서 형성되는 옹기를 재질로 사용하게 되는 옹부작(甕附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logy that grows roots of chrysanthemums or flower trees, and more specifically, close to natural stones or trees instead of natural stone or wood carvings that use bizarre and unusual natural stones or trees. It relates to the ong trilogy which uses clay pots which are formed by baking clay to make an effec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옹부작은 점토를 구워서 제작하기 때문에 구하기가 쉽고 취양에 알맞은 모양과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물주기가 편리하고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ongjok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obtain because it is produced by baking clay, can be produced in a shape and size suitable for the adoption, it is convenient to move water because it is light and small volume.

부작, 석부작, 목부작, 점토, 옹기 Trilogy, Stone Trilogy, Woodwork, Clay, Onggi

Description

옹부작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Ong tribe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본 고안은 국화(菊花)나 화목(花木)의 뿌리를 붙여 키우는 부작(附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묘하고 빛깔이 특이한 자연석이나 나무를 사용하는 석부작이나 목부작 대신 자연석이나 나무와 근접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점토를 빚어 구워서 형성되는 옹기를 재질로 사용하게 되는 옹부작(甕附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logy that grows roots of chrysanthemums or flower trees, and more specifically, close to natural stones or trees instead of natural stone or wood carvings that use bizarre and unusual natural stones or trees. It relates to the ong trilogy which uses clay pots which are formed by baking clay to make an effect.

일반적으로 석부작은 형상이 기묘하고 국화나 화목(이하 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함몰된 부분이 있는 자연석을 선택하여 함몰부분이나 요입부 등에 식물을 놓고 주로 상한 뿌리를 골라 접착제로서 돌에 고정하고 불필요한 상한 뿌리를 보기 좋게 정리한 후 습도 유지를 위해 뿌리 사이에 이끼, 부엽토, 황토와 같은 식재를 채워 수반에 안착시키고 이끼에 물을 흠뻑 주어 생명력을 불어넣는 방법으로 만들게 된다.Generally, stone masonry is a natural stone with a strange shape and a recessed part that can attach chrysanthemum or flower (hereafter plant). After arranging the sprinkled roots in order to maintain the humidity, the plant is filled with moss, leaflets, and loess between the roots to settle on the head, and the moss is soaked with water to create vitality.

그러나 이러한 석부작은 자연석에 인공적으로 접착시킨 식물이 살아 있기 위해서 대개 하루에 2~3회 정도 지속적으로 물을 스프레이 하여 주어야 되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어야 하고 물의 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구미에 맞는 자연석을 구하기기 힘들며 자연석의 선택이 매우 어려워 좋은 작품을 만들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keep the plants artificially bonded to natural stone, these stone crops usually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spraying water two or three times a day continuous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natural stone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 good work because the selection of the natural stone is very difficult.

또한 자연석을 대신해 나무를 이용하는 목부작이 사용되기도 하나, 석부작과 마찬가지로 구하기 힘들며 삼림을 훼손시키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 썩거나 벌레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ood wood work is used instead of natural stone, but like stone work, it is difficult to obtain and damages the forest, and as time passes, problems arise such as rotting or insects.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지와 숯가루 등을 혼합하여 함몰부와 단입부가 형성되도록 얇게 성형하는 인조석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고 이의 내부에 물을 장시간 함수하는 함수체를 삽입하는 인조석부작이 개시된 바 있으나, 부작이 안착되기 위한 수반이 구비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 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ynthetic stone trilogy is disclosed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in a thin artificial stone formed by mixing resin and charcoal powder and the like to form a depression and a single indentation and inserting a water-containing water function therein for a long time. However, the composition is complicated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the mounting of the trilogy, there was still a problem inconvenient to mov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작의 재질을 옹기로 모양이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고, 급수홀, 유입홀 및 일체형 받침다리를 구비하여 급수가 용이하여 물받침이나 수반이 필요 없게 되는 옹부작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of the side of the trilogy, and the water supply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hole, an inlet hole and an integral support leg. It is to provide an on-the-job work which is easy and does not need drip tray or accompanying.

본 고안의 옹부작은 외면에 국화(菊花)나 화목(花木) 등의 뿌리를 붙여 키우기 위한 부작(附作)에 있어서, 내부공간부(11)와, 외면에 화목의 뿌리를 붙이기 위해 상기 내부공간부(11)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재배홀(12)과, 상기 내부공간부(11)에 물을 장시간 함수하기 위해 삽입되는 함수체(13)를 포함하는 본체(10); 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점토를 구워 형성되는 옹기(甕器)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ng tri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ilogy for growing roots of chrysanthemums or flower trees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pace 11 and the inner surface for attaching the roots of flower trees to the outer surface. A main body 10 including a cultivation hole 12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11 and a water body 13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1 to function for a long time with water; Consisting of, the main body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ggi (甕 器) material is formed by baking clay.

또한, 상기 본체(10)는 외면에 상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급수홀(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hole 20 is formed to be opened upward on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본체(10)는 하면에 형성되는 바닥면(1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10a)에는 본체(10)의 내부로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홀(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ncludes a bottom surface 1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10a has an inlet hole 30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body 10. It features.

또한, 상기 본체(10)는 바닥면(10a)에 상기 유입홀(30)로 물의 유입을 위해 바닥면(10a) 외주연에서 유입홀(30)까지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입홈(3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has an inflow groove 30a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0a to the inflow hole 30 for inflow of water into the inflow hole 30 on the bottom surface 10a.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본체(10)는 바닥면(10a)의 둘레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다리(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leg 4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round the bottom surface (10a).

또한, 상기 본체(10)는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고정홀(51)과,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국화(菊花)나 화목(花木) 등의 줄기를 맞닿게 하여 구계(拘繫)시키도록 상기 고정홀(51)에 끼워지는 고정끈(52)을 포함하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has a fixed hole 5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tems of chrysanthemum, flower, etc.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make the bal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50 including a fixing strap 52 that is fitted to the fixing hole 51 to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옹부작은 점토를 구워서 제작하기 때문에 구하기가 쉽고 취양에 알맞은 모양과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물주기가 편리하고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 ongjok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obtain because it is produced by baking clay, can be produced in a shape and size suitable for the adoption, it is convenient to move water because it is light and small volume.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옹부작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옹부작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옹부작 저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급수홀 급수 시 옹부작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의 유입홀 급수 시 옹부작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옹부작 활용예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hole wat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et hole wat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옹부작은 본체(10), 내부공간부(11), 재배홀(12), 함수체(13), 급수홀(20) 및 유입홀(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etaining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 inner space 11, a cultivation hole 12, a water-containing body 13, a water supply hole 20, and an inlet hole 30. Can be.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점토를 구워 형성되는 옹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면에는 바닥면(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0a)은 진열되는 위치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옹부작은 별도의 받침대 없이 진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는 점토를 빚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10)상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부(11), 재배홀(12), 급수홀(20) 및 유입홀(30) 형성을 위한 별도의 관통작업(드릴작업)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점토를 빚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수시로 그 형상이나 구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10)의 외면 형상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자연석, 또는 나무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본체(10)가 점토를 빚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10)를 통해 내부와 외부로 통풍(通風)이 가능하여 건조할 때는 습기를 빨아들이고, 습할 때는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여 적당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1 to 3 and 6, the main body 10 may be made of an onggi material formed by baking clay. A bottom surface 10a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bottom surface 10a may be formed flat so that it can be safely seated in the display position. Therefore, the retaining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displayed without a separate pedestal. Since the main body 10 is formed by forming clay, separate for forming the internal space 11, the cultivation hole 12, the water supply hole 20, and the inflow hole 30 formed on the main body 10. There is no need to penetrate the work (drilling work).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cl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hange the shape or composition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worker.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main body 1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1, and it is apparent that the main body 1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natural stone or woo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10 is formed by forming clay, it is possible to ventil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oisture is absorbed when it is dry, and when the humidity is discharged, the internal moisture is discharged to moderate humid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intained.

상기 본체(10)에는 내부공간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부(11) 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함수체(13)를 충진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An inner space 11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 The inner space part 11 may be formed to fill the water-containing body 13 into a spac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배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홀(12)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서 상기 내부공간부(11)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홀(12)은 상기 내부공간부(11)에 충진된 함수체(13)에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2개의 재배홀(1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되어 있으나, 한 개 이상 다수개의 재배홀(12)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cultivation hole 12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cultivation hole 1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space 11 communicat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cultivation hole 12 may be formed to allow the plant to take root in the water-containing body 13 filled in the inner space portion 11. Although two cultivation holes 12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 one or more cultivation holes 12 may be form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부(11)에는 함수체(13)가 삽입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함수체(13)는 점토를 통해 빚은 본체(10)가 구워져 옹기화 된 후 상기 급수홀(20)을 통해 삽입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함수체(13)는 수분을 장시간 포함할 수 있고, 식물의 뿌리가 잘 내릴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함수체(13)를 통해 물이 지속적으로 식물에 공급되므로 식물에 생동감이 부여되고 식물의 성장이 촉진되며 특히 종래와 같이 하루에 몇 번씩 물을 스프레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함수체(13)는 물을 장시간 함수하면서 뿌리가 잘 꽂힐 수 있는 소재 예를 들면 동종업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일명 오아시스나, 스펀지, 수지 발포체, 수태 등 적용될 수 있다.The inner body 11 of the main body 10 may be filled with a water-containing body 13 is inserted. The water-containing body 13 may be inserted and fill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20 after the body 10 formed through the clay is baked and turned on. The water-containing body 13 may include moisture for a long time, a material that can take down the root of the plant can be used. Since th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lant through the water-containing body 13, the plant is brought to life, the growth of the plant is promoted,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need to spray water several times a day as in the prior art. The water-containing body 13 may be applied to a material that can be well rooted while functioning for a long time, for example, a so-called oasis, sponge, resin foam, impregnation, etc.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same industry.

도 1 내지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급수홀(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홀(20)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서 상기 내부공간 부(11)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홀(20)은 상기 함수체(13)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수체(1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홀(20)은 둘레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급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재배홀(12)을 통해 상기 함수체(13)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지만, 돌출되는 식물의 줄기나 잎 등으로 인해 급수되는 물이 다른 곳에 튀거나 흐를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홀(20)을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급수되는 물이 다른 곳으로 튀거나 흐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to 3 and 5A, a water supply hole 20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water supply hole 2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1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water supply hole 20 may be formed to insert the water-containing body 13, and may be form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containing body 13. The water supply hole 2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This is to facilitate the water supply. Although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water-containing body 13 through the cultivation hole 12,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water supplied by the stem or leaves of the protruding plant may splash or flow elsewhere. 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20 as shown in FIG. 5A, water may be prevented from splashing or flowing to other places.

도 1 내지 도 3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10a)에는 유입홀(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30)은 바닥면(10a)에서 상기 내부공간부(11)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30)은 상기 함수체(1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30)은 원형으로 한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그 수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입홀(30)은 상기 급수홀(20)을 통해 급수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일 때, 고여 있는 물에 상기 본체를 담가 두기만 해도 상기 함수체(13)로 급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입홀(30)을 통해 물을 급수하는 방법은 물이 저장된 곳이면 어떠한 곳에서도 급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유입홀(30)을 통해 급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입홈(3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홈(30a)은 상기 바닥면(10a)의 외주연에서부터 상기 유입홀(30)가지 내측으로 돌 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닥면(10a)이 고인 물의 바닥에 밀착될 경우 물의 유입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입홈(30a)을 통해 물을 상기 유입홀(30)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상에는 2개의 유입홈(30a)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유입홀(30)의 크기나 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1 to 3 and 5B, an inflow hole 30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a of the main body 10. The inflow hole 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space 11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urface 10a. The inflow hole 30 may be form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containing body 13. The inlet hole 30 is shown as on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the number or shap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When the water supply hole 30 is not easy to supply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20, the water inlet 30 has an effect of supplying water to the water-containing body 13 only by soaking the main body in standing water. . The method of watering the water through the inflow hole 30 has an advantage in that water can be supplied in any place where water is stored. In this case, an inlet groove 30a may be formed to facilitate water supply through the inlet hole 30. The inflow groove 30a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0a into the inflow hole 30. This serves to transfer water to the inflow hole 30 through the inflow groove 30a because the inflow of water becomes difficult when the bottom surface 1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tanding water. Although two inflow grooves 30a are shown in the drawing, they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r number of the inflow holes 30.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옹부작 사시도이고, 도 5c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유입홀 급수 시 옹부작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ork during the inlet hole water supply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옹부작은 본체(10), 내부공간부(11), 재배홀(12), 함수체(13), 급수홀(20), 유입홀(30) 및 받침다리(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받침다리(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and 5c, the retaining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10, the inner space portion 11, the cultivation hole 12, the water-containing body 13, the water supply hole 20, inflow It may be formed including a hole 30 and the support leg 40.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upport leg 4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받침다리(40)는 본체(10)의 바닥면(10a)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다리(40)는 바닥면(10a)의 둘레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다리(40)는 바닥면(10a)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다리(40)는 3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의 용도에 따라 그 수가 가감 될 수 있다. 상기 받침다리(40)가 형성됨으로써, 진열면이 평평하지 않아도 진열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유입홀(30)을 통해 급수 시 바닥면(10a)과 물을 급수하는 바닥을 이격시켜 물의 급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옹부작에서는 제 1실시예에 기재되었던 유입홈(30a)에 관한 구성이 삭제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support legs 4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a of the main body 10. The support leg 40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0a. The support leg 40 may be form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0a). Although three support legs 40 are shown to be formed, the number may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ince the support leg 40 is 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play can be displayed even if the display surface is not flat,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o supply the bottom surface 10a and water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flow hole 3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It can be done easily. Therefore, in the retaining work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regarding the inflow groove 30a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deleted.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옹부작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옹부작 활용예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옹부작은 본체(10), 고정부재(50) 및 화분(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7 and 8, the retaining work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a fixing member 50, and a flower pot 60.

본 실시예의 상기 본체(10)는 제 1실시예의 본체(1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use the main body 10 of the first embodiment as it 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본체(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분(60)의 상단에 하면이 얹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국화나 화초 또는 나무의 줄기가 맞닿아 상기 고정부재(50)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고정홀(51) 및 고정끈(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홀(51)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51)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51)은 상기 고정끈(52)이 끼워질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51)은 상기 고정끈(52)이 삽입되어 상기 국화나 화초 또는 나무의 줄기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끈(52)을 상기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끈(52)은 철사나 수지재의 케이블타이 등이 쓰일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be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of the pot 60 commonly used. The stem of the chrysanthemum, the flower or the tree abuts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may be fixed and formed by the fixing member 50. The fixing member 50 may include a fixing hole 51 and a fixing string 52. A plurality of fixing holes 5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fixing hole 51 may be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The fixing hole 51 may be formed to a size such that the fixing strap 52 is fitted. The fixing hole 51 has the fixing string 52 inserted into the fixing string 52 so that the stem of the chrysanthemum, the flower or the tree abuts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It plays a role of fixing. The fixing strap 52 may be used wire or resin cable tie.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 3실시예의 옹부작은 국화나 화초 또는 나무를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상기 식물의 뿌리(R)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노출되는 뿌리(R)가 하단의 화분(60)에 뿌리(R)를 내려 형성시킬 수 있다.In the onse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oot R of the plant is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y the chrysanthemum, the flower or the tree, so that the exposed root R is lowered. Root (R) can be formed to form the pollen (60).

이는 국화나 화초의 뿌리(R)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때문에 상품성이나 예술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재배홀을 통해 식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외부면에 국화나 화초 또는 나무를 동시에 키울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This exposes the roots of chrysanthemums and flowers to the outside, which can increase commerciality and artistry, and grows plants through cultivation halls while simultaneously growing chrysanthemums, flowers, or trees on the outside. Has the effect of.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satisfy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고안의 옹부작 사시도1 is an oblique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옹부작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옹부작 저면도3 is an under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옹부작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고안의 급수홀 급수 시 옹부작 사시도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eding hole water supply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고안의 유입홀 급수 시 옹부작 단면도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inlet hole wat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c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유입홀 급수 시 옹부작 단면도5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et hole water suppl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옹부작 활용예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옹부작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옹부작 활용예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retaining work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10a : 바닥면10: body 10a: bottom surface

11 : 내부공간부 12 : 재배홀11: interior space 12: cultivation hall

13 : 함수체13: function

20 : 급수홀20: water supply hole

30 : 유입홀 30a : 유입홈30: inflow hole 30a: inflow groove

40 : 받침다리40: support leg

50 : 고정부재 51 : 고정홀50: fixing member 51: fixing hole

52 : 고정끈52: fixing strap

60 : 화분 R : 뿌리60: pollen R: root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외면에 국화(菊花)나 화목(花木) 등의 뿌리를 붙여 키우기 위한 부작(附作)에 있어서,In the trilogy to grow roots of chrysanthemums and flower trees on the outside, 내부공간부(11)와, 외면에 화목의 뿌리를 붙이기 위해 상기 내부공간부(11)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재배홀(12)과, 상기 내부공간부(11)에 물을 장시간 함수하기 위해 삽입되는 함수체(13) 및 외면에 상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급수홀(20)을 포함하는 본체(10); 로 이루어지되,The inner space 11, the cultivation hole 12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11 to attach the root of the firewood to the out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to function for a long time A main body 10 including a water supply hole 20 formed to be upwardly formed on the water-containing body 13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Consisting of, 상기 본체(10)는,The main body 10, 점토를 구워 형성되는 옹기(甕器) 재질이며, 하면에 형성되는 바닥면(1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10a)에는 본체(10)의 내부로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홀(30)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10a)에는 상기 유입홀(30)로 물의 유입을 위해 바닥면(10a) 외주연에서 유입홀(30)까지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입홈(3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부작.The clay is baked clay (甕 器) material is formed, including a bottom surface (10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10a) is an inlet hole (30) for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body (10) ) Is formed, the bottom surface (10a) that the inlet groove (30a) protruding inward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10a) to the inlet hole (30) for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let hole (30) is formed Ong trilogy characterized. 삭제delete 외면에 국화(菊花)나 화목(花木) 등의 뿌리를 붙여 키우기 위한 부작(附作)에 있어서,In the trilogy to grow roots of chrysanthemums and flower trees on the outside, 내부공간부(11)와, 외면에 화목의 뿌리를 붙이기 위해 상기 내부공간부(11)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재배홀(12)과, 상기 내부공간부(11)에 물을 장시간 함수하기 위해 삽입되는 함수체(13) 및 외면에 상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급수홀(20)을 포함하는 본체(10); 로 이루어지되,The inner space 11, the cultivation hole 12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11 to attach the root of the firewood to the out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to function for a long time A main body 10 including a water supply hole 20 formed to be upwardly formed on the water-containing body 13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Consisting of, 상기 본체(10)는,The main body 10, 점토를 구워 형성되는 옹기(甕器) 재질이며,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고정홀(51)과,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국화(菊花)나 화목(花木) 등의 줄기를 맞닿게 하여 구계(拘繫)시키도록 상기 고정홀(51)에 끼워지는 고정끈(52)을 포함하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부작.It is an onggi material formed by baking clay, and the fixing hole 5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tems of chrysanthemums or flower tre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Retaining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50 is provided with a fixing strap (52) fitted in the fixing hole (51).
KR2020090014577U 2009-11-10 2009-11-10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KR2004634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77U KR200463419Y1 (en) 2009-11-10 2009-11-10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77U KR200463419Y1 (en) 2009-11-10 2009-11-10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59U KR20110004859U (en) 2011-05-18
KR200463419Y1 true KR200463419Y1 (en) 2012-11-05

Family

ID=4756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577U KR200463419Y1 (en) 2009-11-10 2009-11-10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19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01Y1 (en) * 2001-04-16 2001-10-11 강석열 Artificial stone for solipflower
KR100893083B1 (en) * 2008-10-30 2009-04-10 정인석 Rooting vase for growing orchid by capillary phenomenon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01Y1 (en) * 2001-04-16 2001-10-11 강석열 Artificial stone for solipflower
KR100893083B1 (en) * 2008-10-30 2009-04-10 정인석 Rooting vase for growing orchid by capillary phenomenon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59U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816Y1 (en) Functional flowerpot
KR200463419Y1 (en) Pot-Planting which makes Pottery
JP2012223177A (en) Method for raising ornamental foliage plant, and member and flowerpot to be used for the same
CN101946647A (en) Moisturizing flowerpot for liana
JP3079482U (en) Moss plant growing equipment
KR200339586Y1 (en) The flowerpot for orchid
JPH0965766A (en) W pot
KR200313531Y1 (en) The vase growing orchid
KR200365120Y1 (en) A flowerpot provide with waterpot
KR100293160B1 (en) Charcoal flowerpot for cultivation of foliage plant using charcoal and production thereof
KR200214427Y1 (en) Granular action egg powder for easy water supply
KR20230001276U (en) Structure of ornamental stone for cultivating noefinetia falcata
KR200339556Y1 (en) Functional ceramic flowerpot for cultivation an orchid
KR200395445Y1 (en) Flowerport with a fishbowl
KR200260731Y1 (en) A flowerpot for having a support
KR20040075677A (en) The vase growing orchid and the method thereof
KR200360370Y1 (en) a flower pot support
KR200213753Y1 (en) flower pot
CN2122476U (en) Self-adjusting water supply flowerpot
KR200288837Y1 (en) the chaff az pot
KR970000767Y1 (en) Implement for arranging flowers
JPS6332618Y2 (en)
KR200275726Y1 (en) flowerpot formed water tank
KR200281211Y1 (en) Flowerpot exclusive use multi-function St. Aksesari
KR970002359Y1 (en) Flow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