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315Y1 -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315Y1
KR200463315Y1 KR2020100003870U KR20100003870U KR200463315Y1 KR 200463315 Y1 KR200463315 Y1 KR 200463315Y1 KR 2020100003870 U KR2020100003870 U KR 2020100003870U KR 20100003870 U KR20100003870 U KR 20100003870U KR 200463315 Y1 KR200463315 Y1 KR 200463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fe jacket
control means
vibration generato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921U (ko
Inventor
최재수
Original Assignee
최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수 filed Critical 최재수
Priority to KR2020100003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31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발전기(Vibration Generator)가 구비된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동발전기(1)와 제어수단 및 축전수단(B)과 조난신호 송출수단(O)을 구명조끼에 설치하여 파도, 바람, 소음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력(振動力)으로 전기에너지를 얻어 조난신호가 점멸광 및 무선전파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LIFE JACKET HAVING THE VIBRATION GENERATOR}
본 고안은 진동발전기(Vibration Generator)가 구비된 구명조끼(Life-saving Tube)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동발전기와 제어수단 및 축전수단과 조난신호 송출수단을 구명조끼에 설치하여 파도, 바람, 소음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력(振動力)으로 무한 청정의 전기에너지를 얻어 조난신호가 점멸광 및 무선전파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이 미숙한 사람이나 부상자 등을 물에서 안전하게 띄우거나 수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재난에 대비할 수 있도록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 등에는 구명조끼(Life Jacket)를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구명조끼는 주/야간에 식별할 수 있도록 깃발이나 등화를 준비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식별력이 떨어져 신속한 구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신속히 구조되지 못하여 저체온증이나 탈진으로 귀중한 생명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구명조끼에 건전지나 태양전지 등을 이용한 전원으로 등화를 점멸시키거나 조난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되게 구성한 구명조끼가 사용되고 있으나, 소모성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수시로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된 태양전지 등을 사용하고 있어서 사용시간에 제약이 있어서 제때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파손이나 고장, 및 침수의 빈도가 높아 수명이 짧고 효율이 낮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진동발전기에 의해 항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조난신호(SOS)가 점멸광 및 무선전파로 송출되는 구명조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GPS 위치신호가 조난신호에 포함되어 조난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구조될 수 있는 구명조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 구명조끼는 진동발전기(Vibration Generator)와 제어수단 및 축전수단과 조난신호 송출수단을 설치하되 파도, 바람, 소음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력(振動力)으로 전기에너지를 얻어 조난신호가 점멸광과 무선전파로 송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진동발전기와, 상기 구명조끼의 가슴부에 수밀(水密)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진동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되어 조난신호를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상기 구명조끼의 어깨부에 설치되고 제어수단에 접속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제어수단에 접속되는 스위치와, 상기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투명 보호캡과, 상기 스위치를 보호하는 보호캡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축전수단에 축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발광소자를 점멸시키는 점멸회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조난신호를 발생시키는 조난신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출수단은, 제어수단의 점멸회로부에 접속되어 점멸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제어수단의 조난신호부에 접속되어 무선전파로 조난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어수단에 GPS 수신부를 접속하여 구명조끼의 위치신호가 조난신호에 포함되어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위치 파악과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서 예시되는 진동발전기는,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중앙에 형성되고 축부재 양측에 고정되는 진동부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에 결합되어 축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복수 개의 자석과, 상기 복수 개의 자석에 대응하여 케이스 내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과, 상기 코일에 연결되는 전기에너지 출력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조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진동발전기가 설치되어 조난신호가 점멸광과 무선전파로 송출하므로 조난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신속히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 진동발전기는, 구명조끼로 작용되는 파도(波力)와 바람과 해상의 각종 소음에 의해 발전(發電)되는 무한(無限) 청정(Green)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전원(건전지 등)이 불필요하며, 또한 구명조끼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되어 고장 등이 방지되므로 수명이 반영구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GPS 위치신호가 조난신호에 포함되어 조난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서 보다 신속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진동발전기는 태양전지와 달리 해상에서 항상 발생되는 파도와 바람 및 해상의 각종 소음에 의해 진동 발전하는 방식이므로 종래 태양광이 있을 때에만 발전되는 태양전지 방식과는 달리, 일광(日光)의 유무나 주/야간 구분없이 상시 발전되며, 또한 축전수단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구명조끼의 전체 중량이 줄어들고 취급이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일반적인 구명조끼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구명조끼의 정면도.
도 3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구명조끼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구명조끼의 단면도.
도 5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회로 블럭도.
도 6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진동발전기의 단면도.
도 7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진동발전기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명조끼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조난자(또는 사용자)가 상체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양측 가슴부(Ja)와 등판부(Jb) 및 양측 어깨부(A)와, 상기 가슴부(Ja)와 등판부(Jb)를 상체에 밀착시키는 조임밴드(D) 및 결합구(Q1)와, 구명조끼가 부력(浮力)에 상승하지 않도록 조난자의 사타구니에 결합시키는 하부밴드(E) 및 결합구(Q2)로 구성되며, 가슴부(Ja)와 등판부(Jb) 및 양측 어깨부(A)는 부력재 및 외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구명조끼(J)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구명조끼(J)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구명조끼(J)의 단면도로, 조난신호를 발생시켜 송출하는 조난신호 발생수단이 구명조끼(J)에 설치되고, 구명조끼(J)의 어깨부(A)에는 점멸광이 표출되는 발광소자(L)가 설치된다.
상기 조난신호 발생수단은, 도 4와 같이 구명조끼(J)의 일측 가슴부(Ja) 표면에 설치되어 수밀(水密) 유지되는 케이스(C)와, 상기 케이스(C)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진동발전기(1)와, 상기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수단(B)과, 조난신호발생수단을 총괄 제어하는 제어수단(M)과, 상기 케이스(C) 일측, 예컨대 케이스(C) 상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M)에 접속되어 조난신호 발생수단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S)와, 제어수단(M)에 접속되고 양측 어깨부(A)에 노출되거나 돌출되게 설치되어 점멸되는 발광소자(L)(La)와, 제어수단(M)으로부터 출력되는 조난신호(SOS)를 무선전파로 송출하는 송출수단(O)과, 발광소자(L)(La)를 보호하고 침수를 방지(방수 또는 水密狀態)하는 반구형의 투명 보호캡(N)과, 스위치(S)를 보호하고 침수를 방지하는 보호캡(T)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L)와 제어수단(M)은 전원선(P)으로 연결되고, 양측 발광소자(L)(La)는 점퍼선(Pa)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며, 반구형 투명 보호캡(N)에 의해 수밀(水密)이 유지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케이스(C)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전기(1)는, 구명조끼(J) 및 케이스(C)로 전달되는 무한(無限)의 그린에너지(Green Energy)인 파도(波力), 바람, 소음 등에 의해 진동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진동발전기(1)에 의해 항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난신호를 송출(발신)할 수 있어서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조난신호(SOS)를 언제든지 송출(발신)할 수 있게 된다. 즉, 구조될 때까지 조난신호(SOS)가 점멸광 및 무선전파로 송출된다.
상기 스위치(S)는 보호캡(T), 또는 반구형의 투명 보호캡(T)으로 감싸 구성함으로서 수밀(水密)이 유지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스위치(S)는 설치 깊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온(ON) 상태는 조작이 쉽도록 하고, 오프(OFF) 상태는 조작이 어렵도록 구성하여 비의도적인 조작에 의해 조난신호 발생수단이 오프(OFF)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S)의 온(ON)/오프(OFF)는 플립플롭회로(Flip-Flop Circuit)를 이용하여 1회의 조작으로 온(ON) 상태를 달성하고, 수회의 조작으로 오프(OFF) 상태를 달성할 수 있게 구성하여 비의도적인 조작에 의한 조난신호 발생수단의 오프(OFF)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캡(N)(T)은 강화 합성수지나 FRP 등으로 구성되며, 조끼(Ja)에 접착되거나 융착되며, 발광소자(L) 및 스위치(S)에 밀착되어 구성되거나, 발광소자(L)와 보호캡(N)을 일정 거리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발광소자(L)와 보호캡(N)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경우 보호캡(N)의 내부면에 프리즘 컷을 형성하여 발광소자(L)로부터 방출되는 점멸광이 프리즘 컷을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방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C)는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수단(M)과 진동발전기(1) 및 축전수단(B)등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웃하여 설치되며, 이들이 진동과 물(水)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방수 및 수밀(水密) 되면서 질긴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C) 및, 케이스(C)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일측 가슴부(Ja) 또는 양측 가슴부(Ja)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양측 가슴부(Ja)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양측 어깨부(A)에 각각 설치되는 발광소자(L)(La)가 각각 점멸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일측 가슴부(Ja)에 설치하더라도 구명조끼(J)의 무게중심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5는 구명조끼(J)에 설치되는 조난신호 발생수단의 회로 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 무한 청정에너지(Green Energy)인 파도(波力), 바람, 소음 등에 의해 진동하면서 무한의 전기에너지를 발전(發電)하는 진동발전기(1)와, 상기 진동발전기(1)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축전수단(B)으로 축전하고 조난신호를 발생시켜 점멸광 및 무선전파로 송출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M)과, 제어수단(M)에 의해 점멸광과 무선전파로 조난신호를 송출하는 송출수단(O)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M)은 중앙처리장치(CPU)나 PLC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와, 진동발전기(1)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게 축전수단(B)에 축전하는 충전부와, 동작상태를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S)와, 발광소자(L)를 점멸시키는 점멸회로부와, 조난신호가 무선전파로 송출될 수 있게 조난신호(SOS)를 발생시키는 조난신호부로 구성된다.
상기 점멸회로부는 발광소자(L)가 소정주기로 점멸할 수 있게 주기적인 점멸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조난신호에 대응되는 등화신호, 예컨대 1분간 6회 10초 간격으로 신호를 보내고 1분간 쉰 다음 반복하는 조난 등화신호를 출력하여 발광소자(L)가 점멸 및 발광(燈火點滅)하게 된다.
상기 조난신호 송출수단(O)은 점멸회로부에 접속되어 점멸되는 발광소자(L)와, 조난신호부에 접속되어 출력되는 조난신호를 증폭 및 변조시켜 소정 주파수(조난 주파수)의 무선전파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송신부는 정재파비 등을 고려하여 조난신호를 효율적으로 전파(電波)시킬 수 있게 송신안테나가 구비되며, 상기 송신안테나는 구명조끼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수단(M)의 제어부 입력에는 GPS 수신부(G)가 접속되어 조난된 구명조끼(J)의 위치신호가 무선전파로 송출되는 조난신호에 포함되게 함으로써 조난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상기 GPS 수신부(G)는 수신감도를 고려하여 GPS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수신안테나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 진동발전기(1)에 의해 생산되는 그린 전기에너지는 발광소자(L)의 점멸과 조난신호(SOS)의 무선송출에 사용되고, 여분의 전기에너지는 충전부와 제어부에 의해 축전수단(B)에 축전되어 보조 사용된다.
상기 축전수단(B)은 충전부와 제어수단(M)에 의해 진동발전기(1)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게 되며, 진동발전기(1)를 이용하여 일광(日光)이나 주/야 구분없이 발전되므로 축전수단(B)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설치부피와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축전수단(B)은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유지보수나 교환이 불필요한 무보수 배터리 등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항시 발생되는 파도, 바람, 소음 등에 의해 진동발전기(1)의 계속적인 진동 발전이 달성되어 발광소자(L)의 점멸이 중단 달성되므로 축전수단(B)이 생략될 수 있으나, 파도와 바람 및 소음 등의 세기가 균일하지 않아 평균 이하의 진동이나 과도한 진동이 전달되므로, 평균 이하의 진동 발전이 이루어질 때에는 축전수단(B)의 축전 전원을 이용하여 균일한 점멸과 무선으로 송출되는 조난신호의 양호한 송출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파도나 바람 및 소음은 해상에서 항상 발생되는 무한 청정에너지로, 이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무한정으로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무한 청정에너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난(구난)상황이 발생 된 경우, 조난자는 구명조끼(J)를 신속히 착용한 다음 케이스(C)의 외부로 돌출 또는 노출되는 스위치(S)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온(ON)시키면 진동발전기(1) 및 축전수단(B)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제어수단(M)이 동작하게 되며, 점멸(點滅)회로부에 의해 소정 주기의 점멸신호, 또는 1분간 6회 10초 간격으로 신호를 보내고 1분간 쉰 다음 반복하는 조난 등화신호가 출력되어 발광소자(L)가 점멸 및 등화발광(燈火點滅)하게 되고, 조난신호부(또는 구난신호부)에 의해 발생된 SOS 조난신호는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증폭 및 변조된 다음 무선전파(無線電波)로 송출된다.
상기에서 무선전파로 송출되는 조난신호는 가까운 곳의 선박이나 전파신호국이나 위치추적 시스템으로 수신되어 구조될 수 있게 되며, 발광소자(L)의 점멸광을 보고 보다 정확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서 쉽게 구조될 수 있게된다. 상기 점멸광은 어둡거나 야간인 경우 조난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있게된다.
조난자의 구조에 의해 조난상황이 종료되어 상기 스위치(S)를 오프(OFF) 시키면 제어수단(M)이 정지하면서 점멸광과 조난신호의 무선송출이 중단된다.
상기 조난신호에는 구명조끼(J)의 식별부호와, GPS 위성신호를 이용한 위치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GPS 위치신호에 의해 조난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신속한 구조가 달성된다.
상기 진동발전기(1)는 구명조끼(J)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명조끼(J)로 전달되는 파도(波力)와 바람 및 각종 소음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주로 파도와 바람 등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운동에너지, 또는 상기 운동에너지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 예컨대, 파도치는 소리, 비바람 소리, 천둥소리, 조류나 어류의 소리, 비행기나 선박의 소리 등 자연의 소리와 인공의 소리를 포함한다.)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무한정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항시 발생되는 파도, 바람, 소음 등에 의해 진동발전기(1)의 계속적인 진동 발전이 달성되어 발광소자(L)가 중단없이 점멸되므로 축전수단(B)이 생략될 수 있으나, 파도와 바람 및 소음 등의 세기가 균일하지 않아 평균 이하의 진동이나 과도한 진동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평균 이하의 진동 발전이 이루어질 때에는 축전수단(B)의 축전 전원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점멸과 무선으로 송출되는 조난신호의 안정적인 송출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진동발전기(1)는 파도, 바람 등에 의해 구명조끼(J)로부터 전달되는 운동에너지와 소음 등에 의해 영구자석 또는 코일이 동작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얻는 발전기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테면 본 고안자에 의해 발명되어 2009. 6. 8. 등록된 특허 제10-0902920호(진동발전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진동발전기(1)는, 도 6, 도 7과 같이 상ㆍ하 또는 좌ㆍ우 또는 전ㆍ후로 개방되고 비자성 및/또는 절연체로 구성되는 케이스(2)와, 케이스(2) 개방부 양측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진동판(3)(4)과, 진동판(3)(4) 중앙에 형성되는 진동부(6)(7)와, 케이스(2)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축부재(5)와, 축부재(5) 양측에 고정되는 진동부(6)(7)와, 축부재(5)의 외주에 결합공(8a)이 끼워져 고정되며 진동에 의해 축부재(5)를 따라 자유로이 왕복 이동하는 복수 개의 자석(8)과, 각각의 자석(8)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 내면에 설치되며 쇄교(鎖交)하는 자석(8)의 자속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되는 복수 개의 코일(9)과, 상기 코일에 접속되어 전기에너지(기전력)를 출력하는 출력선(10)(11)으로 크게 구성되며, 상기 출력선(10)(11)은 구멍(2a)(2c)을 통하여 케이스(2)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코일(9)은 케이스(2)에 몰딩되거나, 또는 별도의 지지부(2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쇄교(鎖交)하는 자속과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되는 전기자(電機子)이다. 상기 쇄교는 자력선이 코일(9)과 교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진동판(3)(4)의 가장자리 부분은 케이스(2)를 성형할 때 케이스(2)에 몰딩하거나 또는 케이스(2)의 단턱부(26)에 접합 또는 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고정부(12)(13)와,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진동(떨림)이 발생되는 진동부(6)(7)와, 고정부(12)(13)와 진동부(6)(7)를 연결시켜 주는 복수의 연결부(14)(15)와, 효율적인 진동을 위하여 고정부(12)(13)와 진동부(6)(7) 사이, 또는 연결부(14)(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6)(17)로 구성되며, 축부재(5) 양측단부에는 진동부(6)(7)의 내측 중앙부가 용접이나 접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진동ㆍ소음ㆍ풍압 등의 직ㆍ간접 작용에 의해 진동부(6)(7)가 진동하면 축부재(5)와, 축부재(5) 외주에 고정된 자석(8)이 상하로 빠르게 왕복 운동하게되고, 자석(8)의 자기장이 코일(9)에 쇄교하면서 코일(9)로 전기에너지(기전력)가 발생되며,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출력선(10)(11)에 연결되는 제어수단(M) 및/또는 축전수단(B)으로 전달된다.
상기 케이스(2)는 설치가 쉽도록 사각 통체형이 바람직하며, 물론, 원형이나, 타원형, 다각형, 기하학적 형상이나 이들의 혼합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케이스(2)의 상ㆍ하부에 형성되는 단턱부(26)에는 진동판(3)(4) 및 판막(18)(19)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합 및 고정된다.
따라서, 무한의 청정에너지인 파력(波力)에 의해 구명조끼(J)로 작용되는 진동에너지 및 소음 등에 의해 진동부(6)(7)가 진동하면 축부재(5)와, 축부재(5) 외주에 고정된 자석(8)이 상하로 빠르게 왕복 운동하게 되고, 상기 자석(8)의 자기장이 코일(9)에 쇄교하면서 코일(9)로 전기에너지(기전력)가 발생되며,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출력선(10)(11)에 연결되는 제어수단(M) 및/또는 축전수단(B)으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14)(15)는 폭이 좁게 구성하여 진동부(6)(7)가 진동할 때 판스프링 역할을 하게되며, 따라서 진동부(6)(7)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한다. 물론, 상기 연결부(14)(15)의 폭은, 강한 진동이나 풍압에도 진동부(6)(7)가 연결되어 있는 정도의 지지력이 요구된다.
상기 진동판(3)(4)은 각종 진동(주로 파도와 바람 등에 의한 운동에너지)이나 소음(파도치는 소리, 비바람 소리, 천둥, 조류나 어류의 소리, 비행기나 선박의 소리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떨림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얇은 두께의 내산화성(또는 비산화성) 비철 금속판이다.
물론, 상기 진동판(3)(4)은 진동이나 외압, 이를테면, 주변의 각종 소음과 진동, 풍압, 기류의 흐름에 의한 외압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떨림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나 기타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3)(4)은 원형이 바람직하며, 물론 사각형이나 타원형, 다각형, 기하학적 형상 및 이들의 혼합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진동에 가장 잘 반응(동조반응을 포함한다.)할 뿐 아니라, 그 진동에 오랫동안 반응할 수 있는 형상 및 재질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동판(3)(4)이 진동할 수 있으면서 그 설치위치를 고수할 수 있는 정도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두께이면 대체로 만족한다.
상기 진동판(3)(4)의 바깥측에는 진동판(3)(4)과 같은 크기의 판막(18)(19)이 설치되어 공간부(16)(17)로의 이물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판막(18)(19)은 질긴 성질의 합성수지판, 또는 진동판(3)(4)의 진동에 도움이 되는 금속박판이며, 고정부(12)(13)에만 고정시켜 진동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케이스(2)는 내부에 자석(8)과 코일(9)이 설치될 수 있게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체형 구조이며, 케이스(2)의 양측부에 진동판(3)(4)의 가장자리 부분인 고정부(12)(13)가 체결되거나 사출 금형 등의 방법으로 견고히 고정되며, 물론 다른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케이스(2)의 상ㆍ하부에는 상기 진동판(3)(4) 및 판막(18)(19)이 결합되는 단턱부(2b)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는 설치가 쉽도록 사각 통체형이 바람직하며, 물론, 원형이나, 타원형, 다각형, 기하학적 형상이나 이들의 혼합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8)은 자력(磁力)이 강하고, 잔류 자속밀도, 보자력, 최대 에너지적이 크고, 특성이 안정되며, 가공성이 뛰어나며, 소형ㆍ경량ㆍ저가의 자석, 이를테면 패라이트 자석ㆍ네오디뮴 자석ㆍ희토류자석(네오디뮴:Nd계 자석, 사마디움:Sm계 자석, 세륨: Ce계 자석)등이 사용되고, 축부재(5)에 결합되는 도너츠형이며, 자석(8)의 두께를 얇게 구성함으로써 대응 설치되는 각각의 코일(9)과의 작용으로 발전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진동발전기 (A)--어깨부
(B)--축전수단 (C)--케이스
(D)--조임밴드 (E)--하부밴드
(J)--구명조끼 (Ja)--가슴부
(Jb)--등판부 (L)(La)--발광소자
(M)--제어수단 (N)(T)--보호캡
(O)--송출수단 (P)--전원선
(Pa)--점퍼선 (Q1)(Q2)--결합구
(S)--스위치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구명조끼(J)에 설치되는 발전기;
    상기 구명조끼(J)의 가슴부에 수밀 설치되는 케이스(C);
    상기 케이스(C) 내부에 설치되고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수단(B);
    상기 케이스(C)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수단(M);
    상기 제어수단(M)에 접속되어 조난신호를 송출하는 송출수단(O);
    상기 구명조끼(J)의 어깨부에 설치되고 제어수단(M)에 접속되는 발광소자(L)(La);
    상기 케이스(C)에 설치되고 제어수단(M)에 접속되는 스위치(S);
    상기 발광소자(L)(La)를 보호하는 투명 보호캡(N);
    상기 스위치(S)를 보호하는 보호캡(T);
    을 포함하되, 상기 발전기는 진동발전기(1)이고,

    상기 진동발전기(1)는,
    상ㆍ하로 개방되는 비자성 절연체 케이스(2);
    상기 케이스(2)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축부재(5);
    상기 케이스(2)의 개방부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진동판(3)(4);
    상기 진동판(3)(4) 중앙에 형성되고 축부재(5) 양측에 고정되는 진동부(6)(7);
    상기 축부재(5)의 외주에 결합되어 축부재(5)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복수 개의 자석(8);
    상기 복수 개의 자석(8)에 대응하여 케이스(2) 내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9);
    상기 코일(9)에 연결되는 전기에너지 출력선(10)(11);
    상기 전기에너지 출력선(10)(11)에 연결되는 제어수단(M)과 축전수단(C);
    을 포함하는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5. 삭제
KR2020100003870U 2010-04-14 2010-04-14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KR200463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870U KR200463315Y1 (ko) 2010-04-14 2010-04-14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870U KR200463315Y1 (ko) 2010-04-14 2010-04-14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21U KR20110009921U (ko) 2011-10-20
KR200463315Y1 true KR200463315Y1 (ko) 2012-10-29

Family

ID=4756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870U KR200463315Y1 (ko) 2010-04-14 2010-04-14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31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917A (ja) * 2003-07-14 2005-02-03 Mn Engineering Kk 振動発電機
JP2008535722A (ja) * 2005-04-11 2008-09-04 サン キム,ジュング 救命胴衣用海上位置追跡による緊急救助システム
JP2009213194A (ja) 2008-02-29 2009-09-17 Sumida Corporation 振動型電磁発電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917A (ja) * 2003-07-14 2005-02-03 Mn Engineering Kk 振動発電機
JP2008535722A (ja) * 2005-04-11 2008-09-04 サン キム,ジュング 救命胴衣用海上位置追跡による緊急救助システム
JP2009213194A (ja) 2008-02-29 2009-09-17 Sumida Corporation 振動型電磁発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21U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6271B1 (ja) 釣り用マルチ電子浮子
US9817139B2 (en) Underwater observation apparatus
KR20110009834U (ko) 진동발전기를 이용한 부표 자동 점멸장치
US20070076527A1 (en)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for marine signaling and survival
CN106781258A (zh) 一种基于北斗卫星短信报文信息的自主定位呼救报警器
CN203353490U (zh) 微功耗微重量编码脉冲射频可听电子鱼漂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KR200463315Y1 (ko)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조끼
KR200463316Y1 (ko) 진동발전기가 구비된 구명튜브
KR101867879B1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조난 신호 송출기가 구비된 구명부환
KR102483180B1 (ko) 태양광 조난 방지용 부표
KR20170122974A (ko) 진동발전기 및 태양전지 기반 자가발전 구명조끼
CN201804411U (zh) 洪水报警器
KR200399150Y1 (ko)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CN202244034U (zh) 多功能紧急救生衣
CN101950466B (zh) 洪水报警器
CN203351050U (zh) 一种小型船舶用自动识别避碰及呼救设备
JP2003231494A (ja) 水難救助用信号器及び水難救助システム
CN103295425A (zh) 小型船舶用自动识别避碰及呼救设备
KR20190083744A (ko) 해상 조난시 위치 표시하고 조난자가 사용할 수 있는 조난 구명구
CN205239866U (zh) 一种便携式水上救生装置
CN204740682U (zh) 一种遥控门铃
CN203740108U (zh) 潜水逃生报警装置
RU2706882C1 (ru) Радиобуй
JP7475073B2 (ja) 水難救助信号発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