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02Y1 - 우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02Y1
KR200463202Y1 KR2020100011934U KR20100011934U KR200463202Y1 KR 200463202 Y1 KR200463202 Y1 KR 200463202Y1 KR 2020100011934 U KR2020100011934 U KR 2020100011934U KR 20100011934 U KR20100011934 U KR 20100011934U KR 200463202 Y1 KR200463202 Y1 KR 200463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eat generating
funnel
pole plate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724U (ko
Inventor
차수빈
서호찬
Original Assignee
서호찬
차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찬, 차수빈 filed Critical 서호찬
Priority to KR2020100011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0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0/00Dry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F53/00 - D06F5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53Resistance heating, e.g. us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s an electrical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4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for drying materials in a batch operation in an enclosure having a plurality of shelves which may be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은 우산의 물기를 신속히 제거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열 가능한 우산과 상기 우산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우산의 첨단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극판이 형성된 꼭지부와, 우산의 여러 살대에 내장되고 상기 극판에 연결되어 통전시 열을 발생하는 전열선과, 상기 극판과 전열선 사이에 마련되는 바이메탈부가 구성되는 발열우산과; 발열우산의 꼭지부를 바닥 향으로 수용토록 구성되고 상기 꼭지부의 극판에 접촉하여 전류를 전달하는 접촉단자가 마련된 깔대기부와, 상기 깔대기부의 일측으로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거치된 발열우산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접촉단자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가 구성된 제어부를 가지는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 탈수장치{UMBRELLA EVAPORATION DEVICE}
본 고안은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은 우산의 물기를 신속히 제거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열 가능한 우산과 상기 우산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우산은 우천시 비를 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우산은 그 사용목적이 비를 피하기 위한 것이므로, 미사용에 따른 보관시에는 항상 젖은 상태에서 보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젖은 상태의 우산을 휴대한 상태에서 실내로 이동할 때에는 현관부터 이동하는 목적지까지 빗물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관공서나 은행 등에서는 별도로 제작된 우산 보관봉투 공급기를 통하여 빗물에 적셔진 우산을 봉투에 담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가 빗물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우산 보관봉투 공급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사용 후 다시 수거되는 우산 보관봉투는 비닐로 제작되어 또 다른 산업 폐기물이 양산되는 문제점과, 공급자 측에서는 비닐 봉투를 계속적으로 구입 및 공급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감이 있었다.
이에 우산 탈수장치인 등록특허 10-0828410가 제안되었다. 도 1을 참고하여 간단히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관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에 배수로가 형성되되 받침부(12)가 구비된 본체(10)가 구비되며, 다음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측은 개방되며 큰 내경을 갖고 하측은 배수구(21)가 형성되며 작은 내경을 갖고 개방되되 내부에 젖은 우산이 장착되는 내체(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체(20)의 내주면에 배열된 다수의 에어 분사노즐(22) 및 상기 에어 분사노즐(22)과 호스(23)에 의해 연결되며 에어 분사노즐(22)에 대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24)가 구성된다.
이에 상기 본체(10)의 적소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 공급기(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본체(10)와 상기 받침부(12)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 공급기(24)와 발열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이컴(40)과 전기,전자부품이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기계실(15) 및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내체(20)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에어 공급기(24)와 상기 발열장치(30)의 동작 완료시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삽입된 우산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진퇴부(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종래 제안된 우산 탈수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소형화하기가 어려원, 보다 개선되고 소형화가 가능한 간단한 구성의 우산 탈수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 가능한 우산과 상기 우산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하여, 우산의 물기를 신속히 제거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우산의 첨단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극판이 형성된 꼭지부와, 우산의 여러 살대에 내장되고 상기 극판에 연결되어 통전시 열을 발생하는 전열선과, 상기 극판과 전열선 사이에 마련되는 바이메탈부가 구성되는 발열우산과; 발열우산의 꼭지부를 바닥 방향으로 수용토록 구성되고 상기 꼭지부의 극판에 접촉하여 전류를 전달하는 접촉단자가 마련된 깔대기부와, 상기 깔대기부의 일측으로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거치된 발열우산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접촉단자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가 구성된 제어부를 가지는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열우산의 꼭지부에 마련된 극판은, 2극 플러그 타입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2 개의 극판 사이에 고무재의 절연띠가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깔대기부에 마련되는 접촉단자는, 상기 꼭지부의 2 개의 극판 각각에 밀접하도록 탄성수단이 구비된 2 개의 접촉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의 깔대기부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 구성된 위치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한 접촉단자로의 통전시 발열우산(10)의 유무를 확인하여 공급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깔대기부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상향으로 깔대기부 내측 둘레에 구성되며 발열우산을 밀착시킬 수 있는 고무재의 O링과; 상기 O링의 상향 및 하향 각각으로 깔대기부 내측 일면에 구성되며 발열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수공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 의하면 젖은 우산의 물기를 신속히 제거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은 젖은 우산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비닐 사용을 억제토록 함으로써 산업폐기물의 양산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산 탈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 있어서 거치대의 단면 구성도.
도 4과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 있어서 거치대와 발열우산 결합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 있어서 발열우산의 단면 구성도.
본 고안은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은 우산의 물기를 신속히 제거토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열 가능한 우산과 상기 우산의 발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우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여 더욱 상세한 고안의 구성을 알아본다.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 있어서 거치대의 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과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 있어서 거치대와 발열우산 결합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탈수장치에 있어서 발열우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은 크게 통상의 우산을 개선한 발열이 가능한 발열우산(10)과 상기 발열우산(1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거치대(20)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우산(10)은 내장된 전열선(200)에 의해 통전시 열을 발생하게 되도록 하여, 발열로 인해 젖은 물을 제거하도록 구성하다. 본 고안에 따른 발열우산은 사용자가 손에 들고다녀야 하기 때문에 추가로 구성되는 구성요소를 최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우산에 내장된 전열선(200)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우산과 별도로 구성하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원 공급을 위한 거치대(20)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2와 도 5 그리고 도 6 각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열우산(10)은 일반적인 우산을 개량한 것으로서, 우산의 첨단에 위치하는 꼭지부(11)에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극판(100)을 형성한다.
도 2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극판(100)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2 개의 극판(110,120) 사이에 고무재의 절연띠(130)를 구성하되 통상 이어폰이나 헤드폰 플러그에 마련된 2극 플러그 타입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우산의 여러 살대(12)에는 전열선(200)이 내장된다. 상기 전열선(200)은 상술한 극판(100)에 연결되어 거치대(20)를 통한 전기에너지의 공급시 열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전열선(200)에서 발생하는 열의 한계치를 정하여 우산포가 과도한 발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극판(100)과 전열선(200) 사이에 바이메탈부(300)를 구성한다. 바이메탈부(30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일정치에 이르면 이를 단속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발열우산(10)을 세워 거치하는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거치대(2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발열우산(10)의 꼭지부(11)를 바닥 방향으로 수용토록 단면이 경사진 역삼각형의 깔대기 형상의 깔대기부(400)가 구성된다. 특히 발열우산(10)의 꼭지부(11)에 구성된 극판(100)에 접촉하여 전류를 전달하는 접촉단자(410)가 구성된다.
도 4와 도 5 각각에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접촉단자(410)는 상기 꼭지부(11)의 2 개의 극판(110,120) 각각에 대응하여 밀접하도록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a)이 구비된 2 개의 접촉단자(415, 41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깔대기부(400)에는, 접촉단자(410)의 상향으로 깔대기부(400) 내측 둘레에 구성되며 발열우산을 밀착시킬 수 있는 고무재의 O링(430)이 마련되다. 또한, 상기 O링(430)의 상향 및 하향 각각으로 깔대기부(400) 내측 일면에 구성되며 발열우산(1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수공(440)이 마련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통수공(440)은 발열우산(10)이 거치대(20)의 깔대기부(400)에 삽입된 상태에 발열우산(10)을 따고 흘러 내려오는 물을 외부로 방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통수공(440)이 연장되어 거치대(20)에 수납 가능한 물통받이(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거치대(20)에는 상기 깔대기부(400)의 일측으로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거치된 발열우산(10)을 지지하는 지지부(500)가 구성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거치대(20)에는 상기 접촉단자(410)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610)가 구성된 제어부(600)가 구성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대(20)의 깔대기부(400)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600)와 연결 구성된 위치 감지센서(420)를 더 구성하여 상기 스위치(610)의 동작에 의한 접촉단자(410)로의 통전시 발열우산(10)의 유무를 확인하여 공급 전원을 단속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열우산(10)이 거치대(2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전원이 공급되지않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0 : 발열우산 20 : 거치대
11 : 우산의 꼭지부 12 : 우산의 살대
100 : 극판 200 : 전열선
300 : 바이메탈부 400 : 깔대기부
500 : 지지부 600 : 제어부

Claims (4)

  1. 우산의 첨단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극판(100)이 형성된 꼭지부(11)와, 우산의 여러 살대(12)에 내장되고 상기 극판(100)에 연결되어 통전시 열을 발생하는 전열선(200)과, 상기 극판(100)과 전열선(200) 사이에 마련되는 바이메탈부(300)가 구성되는 발열우산(10)과;
    발열우산(10)의 꼭지부(11)를 바닥 방향으로 수용토록 구성되고 상기 꼭지부(11)의 극판(100)에 접촉하여 전류를 전달하는 접촉단자(410)가 마련된 깔대기부(400)와, 상기 깔대기부(400)의 일측으로 상향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어 거치된 발열우산(10)을 지지하는 지지부(500)와, 상기 접촉단자(410)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610)가 구성된 제어부(600)를 가지는 거치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우산(10)의 꼭지부(11)에 마련된 극판(100)은, 2극 플러그 타입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2 개의 극판(110,120) 사이에 고무재의 절연띠(130)가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20)의 깔대기부(400)에 마련되는 접촉단자(410)는, 상기 꼭지부(11)의 2 개의 극판(110,120) 각각에 밀접하도록 탄성수단(a)이 구비된 2 개의 접촉단자(415, 4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의 깔대기부(400)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600)와 연결 구성된 위치 감지센서(4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610)의 동작에 의한 접촉단자(410)로의 통전시 발열우산(10)의 유무를 확인하여 공급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부(400)에는,
    상기 접촉단자(410)의 상향으로 깔대기부(400) 내측 둘레에 구성되며 발열우산을 밀착시킬 수 있는 고무재의 O링(430)과;
    상기 O링(430)의 상향 및 하향 각각으로 깔대기부(400) 내측 일면에 구성되며 발열우산(1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수공(440)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장치.
KR2020100011934U 2010-11-19 2010-11-19 우산 탈수장치 KR200463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34U KR200463202Y1 (ko) 2010-11-19 2010-11-19 우산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34U KR200463202Y1 (ko) 2010-11-19 2010-11-19 우산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24U KR20120003724U (ko) 2012-05-30
KR200463202Y1 true KR200463202Y1 (ko) 2012-10-22

Family

ID=4661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34U KR200463202Y1 (ko) 2010-11-19 2010-11-19 우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6178A (zh) * 2017-11-21 2018-03-13 安徽省宿州市第二中学 一种快速干伞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87Y1 (ko) 2005-05-11 2005-10-05 최원회 건조수단을 구비한 우산
KR100886771B1 (ko) 2007-04-02 2009-03-04 (주)버팔로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절첩식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87Y1 (ko) 2005-05-11 2005-10-05 최원회 건조수단을 구비한 우산
KR100886771B1 (ko) 2007-04-02 2009-03-04 (주)버팔로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절첩식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6178A (zh) * 2017-11-21 2018-03-13 安徽省宿州市第二中学 一种快速干伞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24U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7429B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JP2006230033A (ja) 電源システム
KR200463202Y1 (ko) 우산 탈수장치
KR101672132B1 (ko) 자가발전 빗물제거 진동우산
CN104805639A (zh) 洗衣设备
US20080292947A1 (en) Device for energy supply
GB2434802A (en) An iron convenient for winding up a power cord and a method for takeup of the power cord
CN105671925A (zh) 衣物护理机
CN106654636B (zh) 连接结构、连接线组件和蓄电池组
KR20150043665A (ko) 우산건조장치
CN207004779U (zh) 一种多端子低功耗组合装置
CN107061247A (zh) 一种多端子低功耗组合装置
RU2018126772A (ru) Электропо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батарейный блок с переключателем питания
CN207742240U (zh) 一种电流互感取电器
CN207704405U (zh) 具备无线充电功能的鼠标
CN207410049U (zh) 一种usb充电电池
US2159769A (en) Lighter
CN108054598A (zh) 一种具有电线收纳功能的排插
CN108783835A (zh) 一种多功能化妆品瓶
CN210977824U (zh) 一种智能液体泵的电流控制电路
CN206272259U (zh) 一种移动背夹电源
CN204234930U (zh) 一种半自动电烙铁
CN209783165U (zh) 干燥剂回烘装置
CN213903666U (zh) 一种用于qc快充的测试仪
CN209219256U (zh) 一体式节能式雾化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