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002Y1 - 조립형 도장 - Google Patents

조립형 도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002Y1
KR200463002Y1 KR2020120002091U KR20120002091U KR200463002Y1 KR 200463002 Y1 KR200463002 Y1 KR 200463002Y1 KR 2020120002091 U KR2020120002091 U KR 2020120002091U KR 20120002091 U KR20120002091 U KR 20120002091U KR 200463002 Y1 KR200463002 Y1 KR 200463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sertion space
letter
hub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박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우 filed Critical 박재우
Priority to KR2020120002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002Y1/ko
Priority to PCT/KR2013/002174 priority patent/WO20131376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B41K1/06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with means for locating the image to be ob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B41K1/04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with multiple stamping surfaces; with stamping surfaces replaceabl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활자의 교체가 가능한 조립형 도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삽입공간(21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200)과, 상기 하우징(100,200)의 삽입공간(210) 중심에 구비되는 허브블록(250)과, 상기 허브블록(250)을 중심으로 상기 삽입공간(210)을 둘러 배치되고 외면에는 활자가 각인되는 활자블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형 도장은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도장 하우징(100,200) 내부에 허브블록(250)을 둘러 다수개의 활자블록(300)이 결합되어 다양한 활자의 도장을 구성하게 되므로, 문자 조합의 변형이 가능한 원형의 도장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도장{An assembly type seal}
본 고안은 조립형 도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자블록 교체를 통해 다양한 문자조합이 가능한 조립형 도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이라 함은 사람이나 단체의 이름을 문서 등에 날인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음각이나 양각의 문자가 도장의 외면에 새겨지고, 이러한 문자에 인주를 묻혀 종이에 문자를 새기게 된다. 이러한 도장의 재질로는 나무, 동물의 뼈나 뿔, 수정, 돌 등과 같이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이 도장은 문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미리 새겨진 상태로 사용되고, 한 번 새겨진 문자는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각종 법률대리사무소 등과 같은 전문직 사무소나 다수인을 고용한 사업장 등에서는 권리의무에 관한 서류가 아닌 각종 일반 서류에 날인을 행할 경우에도 각각 별개의 도장을 구비해야 하므로 낭비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활자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도장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0834호 및 제029378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개기술은 활자판을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활자로 도장을 구성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활자를 단순히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는 구성만을 개시하고 있어, 단순히 특정인의 성명을 조합하는 도장에 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주식회사', '대표이사' 등을 표시하는 중앙의 활자부를 중심으로, 원형의 단면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의 다양한 활자가 배치되는 원형 도장은 종래기술로 구현할 수가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원형의 도장면을 갖는 도장의 활자블록을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형의 도장면을 구성하는 활자블록과 함께 중앙의 허브블록 역시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활자블록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활자의 교체가 가능한 조립형 도장에 있어서, 내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중심에 구비되는 허브블록과, 상기 허브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 배치되고 외면에는 활자가 각인되는 활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내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활자블록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부와 제1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면을 둘러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활자블록의 외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체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연속적인 톱니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활자블록의 상면 및 저면에는 각각 서로 동일한 활자 또는 서로 다른 활자가 각인된다.
상기 허브블록의 저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2결합부 및 제2체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공간 외측을 향하는 상기 허브블록의 외면에는 활자가 각인된다.
상기 허브블록은 상기 삽입공간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허브블록의 저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공간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 및 상기 허브블록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활자블록은 상기 삽입공간 내주면 및 허브블록 외주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일단에 연결되고 일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블록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수납부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탈거공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형 도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형 도장은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도장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허브블록을 둘러 다수개의 활자블록이 결합되어 다양한 문자나 도형의 도장을 구성하게 되므로, 문자 조합의 변형이 가능한 원형의 도장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 내부의 삽입공간 내에서, 활자블록이 다양한 개수와 다양한 위치를 가지면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조립형 도장의 변형자유도가 커져 보다 다양한 조합의 도장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 삽입공간의 중앙에 배치되는 허브블록에도 활자가 각인되고 이 역시 교체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도장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활자블록 및 삽입공간 내면을 서로 대응되는 톱니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활자블록이 삽입공간의 특정 위치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활자블록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서로 다른 활자가 각인되어 이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활자블록으로 많은 활자를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형 도장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각각 보인 저면도와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및 활자블록의 구성을 각각 보인 저면도와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및 활자블록의 구성을 각각 보인 저면도와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및 활자블록의 구성을 각각 보인 저면도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활자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허브블록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형 도장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형 도장의 구성이 저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에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이 각각 저면도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활자의 교체가 가능한 조립형 도장으로, 그 구성은 크게 하우징(100,200)과 허브블록(250), 그리고 활자블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200)은 상기 조립형 도장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00,200)은 다시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 일단에 연결되는 블록수납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부분으로,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또는 도 1과 같은 곡면을 갖는 입체형상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수납부(200)는 아래에서 설명될 허브블록(250) 및 활자블록(300)이 수납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일측이 개구된 삽입공간(2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수납부(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수납부(200)의 삽입공간(210)에는 제1결합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215)는 상기 삽입공간(210)의 내면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a)에서 보듯이 상기 삽입공간(210)의 내면을 둘러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215)는 아래에서 설명할 활자블록(300)의 제1체결부(350)와 대응되는 것으로 서로 걸어짐으로써 활자블록(300)이 삽입공간(210)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1결합부(215)는 제1체결부(350)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활자블록(300)이 삽입공간(210) 내부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215)는 그 내부에 활자블록(300)의 제1체결부(350)가 압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활자블록(300)이 삽입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1결합부(215) 사이의 간격은 활자블록(3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설계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215)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a)는 그 일실시예이다.
상기 삽입공간(210)의 중심에는 허브블록(250)이 구비된다. 상기 허브블록(250)은 상기 삽입공간(21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삽입공간(210) 내면 및 허브블록(250)의 외주면 사이에 활자블록(300)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허브블록(25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허브블록(250)의 상면(255)에는 활자부(260)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허브블록(250)의 상면(255)에도 도장 날인 시에 활자를 구성하게 되는 활자부(260)가 각인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블록(250)은 도장면의 중심부를 구성하여, '주식회사'나 '대표이사'와 같은 도장의 종류 또는 용도를 표시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2(a)에서 보듯이, 상기 블록수납부(200)의 바닥면(230)에는 탈거공(235)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거공(235)은 블록수납부(200)의 반대측에서 그 선단이 날카로운 기구를 삽입하여 활자블록(300)을 탈거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a)에서 보듯이 다수개가 블록수납부(200)의 바닥면(230)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수납부(200)의 삽입공간(210)에는 활자블록(300)이 삽입된다. 상기 활자블록(300)은 그 상면에 활자부(330)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도장의 날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삽입공간(210)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문자나 도형의 조합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활자블록(300)은 상기 허브블록(250)을 중심으로 상기 삽입공간(210)을 둘러 배치되고 상면에는 활자부(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활자부(330)는 양각이나 음각 모두 가능하다.
이때,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활자블록(300)의 몸체(310)는 그 외면 중에서 상기 삽입공간(210) 내주면과 접하는 제1접촉면(311)과 상기 허브블록(25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2접촉면(312)이 각각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210) 내주면과 허브블록(250) 외주면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활자블록(300)의 제1접촉면(311)에는 제1체결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350)는 상기 삽입공간(210) 내면의 제1결합부(215)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부(215)에 삽입되어 상기 활자블록(300)이 삽입공간(210) 내부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100,200)의 삽입공간(210)의 내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활자블록(300)의 제1접촉면(311)에는 서로 대응되는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부(350)와 제1결합부(215)가 형성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제1체결부(350)가 상기 삽입공간(210) 내면에 구비되고 제1결합부(215)는 상기 활자블록(300)의 제1접촉면(3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350)는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활자블록(300)의 외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단순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활자블록(300)의 활자부(330)는 상기 활자블록(300)의 상면 뿐 아니라 저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활자블록(300)의 상하방향성을 없애, 삽입공간(210) 내부에 양방향으로 모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상기 활자블록(300)의 상면 및 저면에 서로 다른 활자부(330)를 각인하여 보다 적은 수의 활자블록(300)으로 다양한 문자 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0)의 가장자리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도장의 방향성을 표시할 수 있는 방향표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향표지부는 상기 삽입공간(210) 가장자리 외면에 각도표시 등으로 표현되고, 그 기준점은 별도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표지부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삽입공간(210) 주변을 360°로 나눈 각도로 표현되는 것인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낙인될 형상을 예상하면서 상기 활자부(330)를 삽입공간(210) 내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점은 조립형 도장의 정방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수납부(200)의 외면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일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100,200) 및 활자블록(300)의 구성이 각각 저면도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에서 보듯이, 하우징(100,200)의 삽입공간(210) 내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215)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b)에서 보듯이, 상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는 활자블록(300)의 제1접촉면(311)에는 이와 대응되는 제1체결부(350) 역시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활자블록(300)은 삽입공간(210) 내부의 정확한 위치(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체결부(350)가 제1결합부(215)에 삽입되도록 하면서)에 삽입될 필요 없이, 톱니형상으로 인하여 결합방향이 보다 다양해 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활자블록(300)은 보다 다양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삽입공간(2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100,200) 및 활자블록(300)의 구성이 각각 저면도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에서 보듯이, 하우징(100,200)의 블록수납부(200)에 형성된 삽입공간(210) 저면에는 제1결합부(240,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결합부(215)와의 구별을 위해 제2결합부라 칭하기로 함)가 형성되고,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활자블록(300)의 저면(370)에는 상기 제2결합부(240)에 대응되는 제1체결부(375,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체결부(350)와의 구별을 위해 제2체결부라 칭하기로 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활자블록(300)의 삽입공간(21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2결합부(240)와 제2체결부(375)가 서로 맞물려 상기 활자블록(30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부(240) 및 제2체결부(375)는 각각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2결합부(240) 및 제2체결부(375)는 앞선 두 실시예에서도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삽입공간(210) 및 활자블록(300)에 제1결합부(215) 및 제1체결부(350)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240) 및 제2체결부(375) 역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100,200) 및 활자블록(300)의 구성이 각각 저면도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에서 보듯이, 하우징(100,200)의 블록수납부(200)에 형성된 삽입공간(210) 저면(바닥면)에는 제1결합부(238)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238)는 다수개의 요입된 홈이 하나의 열을 이루고, 이들 제1결합부(238)의 열이 삽입공간(210) 바닥면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제1결합부(238)가 하나의 열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5(b)에서 보듯이, 상기 활자블록(300)의 저면(370)에는 상기 제1결합부(238)에 대응되는 제1체결부(377)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377)는 총 3개가 나란히 구비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238)와 달리 하나의 열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활자블록(300)은 상기 삽입공간(210) 내의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활자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듯이, 활자블록(300)은 양측면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면인 제1접촉면(311) 및 후면인 제2접촉면(312)만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활자블록(300)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350)는 반드시 제1접촉면(311)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촉면(312)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100,200)의 블록수납부(200)에서 허브블록(250)이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허브블록(250)은 상기 블록수납부(200)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고정돌기(270)와 고정홈(280)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필요한 경우 상기 허브블록(250)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허브블록(250)의 활자부(260) 역시 가변될 수 있고, 조립형 도장의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허브블록(250)과 상기 블록수납부(200)의 외면에는 각각 상기 허브블록(250)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표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70)와 고정홈(280)에는 상기 허브블록(25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형 도장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조립형 도장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도장에 사용할 문자나 도형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A,B,C,D 라는 문자의 조합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A,B,C,D가 각각 각인된 활자블록(300)을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4개의 활자블록(300)을 상기 하우징(100,200) 블록수납부(200)에 형성된 삽입공간(210)에 각각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활자블록(300)의 제1체결부(350)가 상기 삽입공간(210) 내주면의 제1결합부(215)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활자블록(300)을 삽입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결합부(215)와 제1체결부(350)는 서로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활자블록(300)이 삽입공간(210) 내부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활자블록(300)은 상기 삽입공간(210) 내부에 약간의 압입을 통해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활자부(330)를 갖는 활자블록(300)을 각각 삽입공간(210) 내부에 모두 삽입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직인하게 되고, 사용을 마친 조립형 도장으로부터 활자블록(300)을 분해하게 된다.
활자블록(300)의 분해는 사용자가 직접 활자블록(300)을 파지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별도의 기구를 상기 탈거공(235)에 삽입하여 활자블록(30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자블록(300) 및 삽입공간(210)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체결부(350) 및 제1결합부(215)의 형상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톱니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활자블록(300)과 삽입공간(210) 사이의 상대결합각도가 보다 다양해질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도장의 다양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활자블록(300)을 삽입공간(210)에 삽입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활자블록(300)을 삽입공간(210) 내부에 삽입하여 하나의 조립형 도장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허브블록(250) 역시 교체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도 7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상기 허브블록(250)을 상기 삽입공간(210) 바닥면(230)으로부터 당겨 분리시킨 후에, 원하는 문자나 도형이 각인된 다른 허브블록(250)을 상기 삽입공간(210) 내부에 삽입하여 교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수납부(200)의 삽입공간(210) 내부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100: 손잡이부 200: 블록수납부
210: 삽입공간 215: 제1결합부
230: 바닥면 235: 탈거공
250: 허브블록 260: 활자부
300: 활자블록 311: 제1접촉면
312: 제2접촉면 330: 활자부
350: 제1체결부

Claims (15)

  1. 삭제
  2. 활자의 교체가 가능한 조립형 도장에 있어서,
    내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중심에 구비되는 허브블록과,
    상기 허브블록을 중심으로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 탈착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면에는 활자가 각인되는 활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내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활자블록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부와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서로 걸어져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허브블록의 외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활자블록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부와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서로 걸어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바닥면을 둘러 다수개가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활자블록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1체결부는 다수개가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측면에 요입되어 다수개가 상기 삽입공간 내면을 둘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삽입공간 내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활자블록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활자블록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체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연속적인 톱니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자블록의 상면 및 저면에는 각각 서로 동일한 활자 또는 서로 다른 활자가 각인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자블록의 저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결합부 및 제1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 및 제1체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 외측을 향하는 상기 허브블록의 외면에는 활자가 각인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블록은 상기 삽입공간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블록의 저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공간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 및 상기 허브블록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활자블록은 상기 삽입공간 내주면 및 허브블록 외주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일단에 연결되고 일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블록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수납부의 바닥면 또는 상기 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탈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활자블록 또는 허브블록을 탈거하기 위한 도구가 삽입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블록과 상기 블록수납부의 외면에는 상기 허브블록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표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홈에는 상기 허브블록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수납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간 가장자리에는 상기 표시부를 기준으로 하여 삽입공간의 방향표시를 위한 방향표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도장.



KR2020120002091U 2012-03-16 2012-03-16 조립형 도장 KR200463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91U KR200463002Y1 (ko) 2012-03-16 2012-03-16 조립형 도장
PCT/KR2013/002174 WO2013137696A1 (ko) 2012-03-16 2013-03-18 조립형 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91U KR200463002Y1 (ko) 2012-03-16 2012-03-16 조립형 도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002Y1 true KR200463002Y1 (ko) 2012-10-12

Family

ID=4756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91U KR200463002Y1 (ko) 2012-03-16 2012-03-16 조립형 도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3002Y1 (ko)
WO (1) WO20131376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3920A (zh) * 2020-09-16 2021-01-15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管棒体端部的自动标识装置和打标设备
US20230001722A1 (en) * 2021-07-01 2023-01-05 Jian Liang Auxiliary tool for Stamping Sta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0207U (ko) * 1974-12-20 1976-06-25
KR200275276Y1 (ko) 2002-02-05 2002-05-11 조태인 회전부싱을 갖는 위조판별용 도장
KR200335934Y1 (ko) 2003-09-18 2003-12-11 김은철 조립식 도장
JP3102990U (ja) 2004-01-23 2004-07-22 元三 諏訪 スタ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0207U (ko) * 1974-12-20 1976-06-25
KR200275276Y1 (ko) 2002-02-05 2002-05-11 조태인 회전부싱을 갖는 위조판별용 도장
KR200335934Y1 (ko) 2003-09-18 2003-12-11 김은철 조립식 도장
JP3102990U (ja) 2004-01-23 2004-07-22 元三 諏訪 スタン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3920A (zh) * 2020-09-16 2021-01-15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管棒体端部的自动标识装置和打标设备
CN112223920B (zh) * 2020-09-16 2021-12-28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管棒体端部的自动标识装置和打标设备
US20230001722A1 (en) * 2021-07-01 2023-01-05 Jian Liang Auxiliary tool for Stamping St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7696A1 (ko)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29954S1 (en) Ink cartridge for printer
CA121608S (en) Cap for marker
USD542835S1 (en) Printer stamp
KR200463002Y1 (ko) 조립형 도장
USD540848S1 (en) Printer stamp
WO2004030915A1 (de) Handstempel mit auswechselbaren stempelplatten und stempelplatte für einen handstempel
CA121609S (en) Marker with cap
USD584340S1 (en) Self-inking stamp
USD489756S1 (en) Ink cartridge for printer
CA102428S (en) Color stick for solid ink printer
US6915554B2 (en) Process of molding and assembling three-dimensional ornaments
USD481758S1 (en) Color ink stick for solid ink printer
USD483062S1 (en) Color ink stick for solid ink printer
USD478347S1 (en) Color ink stick for solid ink printer
IE49983B1 (en) Cold-marking dating and numbering machine for a cartridge striking tool
USD548779S1 (en) Printer ink cartridge
CA102416S (en) Color stick for solid ink printer
CA102426S (en) Color stick for solid ink printer
CA102421S (en) Color stick for solid ink printer
CA102433S (en) Color stick for solid ink printer
CA102415S (en) Color stick for solid ink printer
CA102419S (en) Color stick for solid ink printer
USD541341S1 (en) Ballpoint pen
USD998742S1 (en) Ruger American 7.62×39 magazine well
USD534311S1 (en) Epilator case and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