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99Y1 -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 Google Patents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99Y1
KR200462999Y1 KR2020110010698U KR20110010698U KR200462999Y1 KR 200462999 Y1 KR200462999 Y1 KR 200462999Y1 KR 2020110010698 U KR2020110010698 U KR 2020110010698U KR 20110010698 U KR20110010698 U KR 20110010698U KR 200462999 Y1 KR200462999 Y1 KR 200462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knee joint
handle
coupled
joint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원
Original Assignee
이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원 filed Critical 이용원
Priority to KR2020110010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토크렌치(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2결합단(11a)(12a)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이격되게 배치된 제1,2토크렌치결합부(11)(12)가 설치되는 몸체(10)와; 제1,2결합단(11a)(12a)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몸체(10)로부터 승강되는 제1,2승강봉(20)(30)과; 몸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경골(a)의 상단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0)(50)와; 제1,2승강봉(20)(3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대퇴골(b)의 외측하단(b1) 및 내측하단(b2)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와; 제1,2결합단(11a)(12a)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2래치(111)(121)가 각각 형성된 제1,2래치기어(110)(120)와;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제1,2래치(111)(1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그 제1,2래치기어(110)(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115)(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GUIDE APPARATUS FOR KNEE ARTHROPLASTY}
본 고안은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관절 수술을 정확히 수행하기 위하여 대퇴골의 단부와 경골의 단부 사이의 손상된 정도 및 인대에 의하여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인가되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무릎관절 외과수술용 가이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공관절 전치환술이란, 무릎관절이 각종 질환이나 외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서 더 이상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지 못할 정도로 손상될 경우, 다른 수술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특수 합금과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여 고통을 경감해주고, 무릎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술이다.
현재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무릎관절이 닳아 일상생활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는데, 수술시 무릎관절을 형성하는 무릎 윗부분을 구성하는 대퇴골과 무릎 아랫부분을 구성하는 경골 사이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이후 제거된 부분에 인공관절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무릎관절을 움직여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고통 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골은 외측상단(a1) 및 내측상단(a2)으로 이루어지고, 대퇴골(b)은 외측하단(b1) 및 내측하단(b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측상단(a1)과 외측하단(b1) 사이와, 내측상단(a2)과 내측하단(b2) 사이의 손상된 정도에 따라, 주위 인대에 의하여 경골과 대퇴골 사이에 인가되는 힘이 다르다. 따라서 인골관절 수술을 정확히 수행하기 위하여, 손상된 외측상단(a1)과 외측하단(b1) 사이에서 주위 인대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과, 내측상단(a2)과 내측하단(b2) 사이에서 주위 인대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렌치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2결합단(1a)(1b)이 형성된 몸체(1)와, 제1,2결합단(1a)(1b)의 회전에 의하여 몸체(1)로부터 승강되는 제1,2승강봉(2)(3)과, 몸체(1)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경골(a)의 상단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5)와, 제1,2승강봉(2)(3)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대퇴골(b)의 외측하단(b1) 및 내측하단(b2)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7)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개발하고,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다(특허등록 제10-1066356호).
이러한 기구에 의하여, 경골(a)과 대퇴골(b) 사이로,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5)와,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7)를 끼어넣은 후 토크렌치를 이용하여 제1,2결합단(1a)(1b)을 각각 회전시키면 제1,2승강봉(2)(3)이 승강되면서 외측 하부날개(4)와 외측 상부날개(6)는 상호 벌어지게 되고, 내측 하부날개(5)와 내측 상부날개(7)는 상호 벌어지게 된다. 이때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7)가 대퇴골(b)의 외측 및 내측 하단(b1)(b2)에 완전히 밀착되면 토크렌치에 큰 부하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외측 및 내측 하단(b1)(b2)과 외측 및 내측 상단(a1)(a2) 사이에 인가되는 힘을 알 수 있다.
삭제
그런데 무릎관절의 손상정도를 더욱 정확히 알기 위하여, 외측 하부날개(4)와 외측 상부날개(6) 사이의 간격과, 내측 하부날개(5)와 내측 상부날개(7)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게이지기구를 이용하여 간격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게이지기구를 이용하여 간격을 측정하고자 할 때 오차가 발생하여, 무릎관절의 손상정도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경골(a)과 대퇴골(b)은 인대에 의하여 힘을 받으므로, 경골(a)과 대퇴골(b) 사이에 끼어진 외측 하부날개(4) 및 외측 상부날개(6)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고, 내측 하부날개(5)와 내측 상부날개(7)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어, 결국 외측 하부날개(4)와 외측 상부날개(6) 사이, 그리고 내측 하부날개(5)와 내측 상부날개(7)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 정확한 간격을 측정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경골(a)과 대퇴골(b) 사이에 끼어넣기 위하여 양손을 사용하므로, 외측 하부날개(4)와 외측 상부날개(6) 사이에 인가되는 힘이나 간격, 그리고 내측 하부날개(5)와 내측 상부날개(7) 사이에 인가되는 힘이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등 사용이 매우 어려웠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공관절 수술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대퇴골의 단부와 경골의 단부 사이의 손상된 정도 및 인대에 의하여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인가되는 힘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골과 대퇴골의 손상정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인공관절 수술을 보다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수술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사용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는, 토크렌치(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2결합단(11a)(12a)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이격되게 배치된 제1,2토크렌치결합부(11)(12)가 설치되는 몸체(10); 상기 제1,2결합단(11a)(12a)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몸체(10)로부터 승강되는 제1,2승강봉(20)(30); 상기 몸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경골(a)의 상단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0)(50); 상기 제1,2승강봉(20)(3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대퇴골(b)의 외측하단(b1) 및 내측하단(b2)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 상기 제1,2결합단(11a)(12a)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2래치(111)(121)가 각각 형성된 제1,2래치기어(110)(120); 및 상기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래치(111)(1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그 제1,2래치기어(110)(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115)(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눈금(80a)이 표시된 리니어게이지(80); 및 상기 제1,2승강봉(20)(3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눈금(80a)을 지시하는 제1,2지시부(90)(100);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잡혀지는 손잡이(1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130)를 상기 제1토크렌치결합부(11) 방향 또는 제2토크렌치결합부(12)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위치변환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위치변환부(140)는, 상기 몸체(10)의 하방에 위치한 프레임(10a)의 중앙에 상기 손잡이(130)의 일측단을 축결합시키는 축부(141)와, 상기 축부(14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1,2결합공(142)(143)과, 상기 손잡이(130)의 일측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결합공(142)(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손잡이관통공(144)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봉(20)의 단부에 결합된 제1브라켓(25)과, 상기 제1브라켓(25)의 전방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상부날개(60)는 상기 제1힌지(26)에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봉(30)의 단부에 결합된 제2브라켓(35)과, 상기 제2브라켓(35)의 전방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상부날개(70)는 상기 제2힌지(36)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2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측 하부날개(40)를 기준으로 상기 외측 상부날개(60)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제1게이지부(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3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하부날개(50)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상부날개(70)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제2게이지부(37)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2승강봉의 승강위치에 따라 연동되는 제1,2지시부에 의하여 제1,2승강봉의 위치를 표시하므로, 외측 하부날개와 외측 상부날개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 그리고 내측 하부날개와 내측 상부날개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와,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을 알기 위하여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별도의 게이지지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외주면에 제1,2래치가 각각 형성된 제1,2래치기어와,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래치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를 채용함으로써, 인대에 의하여 경골과 대퇴골에 힘이 인가되더라도 외측 하부날개와 외측 상부날개 사이, 그리고 내측 하부날개와 내측 상부날개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항상 정확한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잡혀지는 손잡이 및 그 손잡이를 제1토크렌치결합부 방향 또는 제2토크렌치결합부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위치변환부를 채용함으로써, 한손으로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조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시술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사용하는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골의 외측상단과 대퇴골의 외측하단 사이의 힘과, 경골의 내측상단과 대퇴골의 내측하단 사이의 힘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손상된 대퇴골의 외측 및 내측하단의 손상정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인공관절 수술을 보다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 1은 경골의 외측상단 및 내측상단과, 대퇴골의 외측하단 및 내측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무릎관절 외과수수용 가이드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의 평면도이다.
본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는, 경골(a)과 대퇴골(b)에 인공관절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골(a)과 대퇴골(b) 사이에서 인대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과, 경골(a)의 외측상단(a1) 및 내측상단(a2)과, 대퇴골(b)의 외측하단(b1) 및 내측하단(b2)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는, 토크렌치(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2결합단(11a)(12a)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이격되게 배치된 제1,2토크렌치결합부(11)(12)가 설치되는 몸체(10)와; 제1,2결합단(11a)(12a)의 회전에 의하여 몸체(10)로부터 승강되는 제1,2승강봉(20)(30)과; 몸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경골(a)의 상단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0)(50)와; 제1,2승강봉(20)(3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대퇴골(b)의 외측하단(b1) 및 내측하단(b2)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와; 몸체(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눈금(80a)이 표시된 리니어게이지(80)와; 제1,2승강봉(20)(30)에 각각 설치되어 눈금(80a)을 지시하는 제1,2지시부(90)(100)와; 제1,2결합단(11a)(12a)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2래치(111)(121)가 각각 형성된 제1,2래치기어(110)(120)와;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제1,2래치(111)(1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그 제1,2래치기어(110)(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115)(125)와; 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잡혀지는 손잡이(130)와; 손잡이(130)를 제1토크렌치결합부(11) 방향 또는 제2토크렌치결합부(12)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위치변환부(140);를 포함한다.
제1,2승강봉(20)(30)은 제1,2토크랜치결합부(11)(12)에 각각 설치된 제1,2결합단(11a)(12a)에 토크렌치(미도시)를 결합시킨 후 회전시킬 때 몸체(10)로부터 승강된다. 이를 위하여 제1,2승강봉(20)(30)의 표면에는 그 제1,2승강봉을 따라 랙기어(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제1,2토크렌치결합부(11)(12) 내부에는 제1,2결합단(11a)(12a)과 연결된 피니언기어(미도시)가 랙기어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2결합단(11a)(12a)에 토크렌치를 결합시킨 후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가 회전되면서 랙기어를 움직이고 이에 따라 제1,2승강봉(20)(30)이 승강되는 것이다.
제1승강봉(20)의 상단 단부에는 제1브라켓(25)이 결합되고, 제1브라켓(25)의 전방측으로 제1힌지(2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힌지(26)에는 외측 상부날개(60)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외측 상부날개(60)는 제1힌지(26)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다.
제2승강봉(30)의 단부에는 제2브라켓(35)이 결합되고, 제2브라켓(35)의 전방측으로 제2힌지(3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힌지(36)에는 내측 상부날개(70)가 결합되며, 이에 따라 내측 상부날개(70)는 제2힌지(36)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다.
제1브라켓(25)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부날개(40)를 기준으로 외측 상부날개(60)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제1게이지부(27)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게이지부(27)는, 제1브라켓(25)에 측부에 설치되는 제1게이지몸체(27a)와, 제1게이지몸체(27a)에 형성되는 제1게이지홈(27b)과, 제1게이지홈(27b)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1눈금(27c)과, 외측 상부날개(60)에 설치되어 제1게이지홈(27b) 내측으로 진입됨으로써 제1눈금(27c)을 가리키는 제1게이지바늘(27d)을 포함한다.
제2브라켓(35)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부날개(50)를 기준으로 내측 상부날개(70)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제2게이지부(37)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게이지부(37)는, 제2브라켓(35)에 측부에 설치되는 제2게이지몸체(37a)와, 제2게이지몸체(37a)에 형성되는 제2게이지홈(37b)과, 제2게이지홈(37b)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2눈금(37c)과, 내측 상부날개(70)에 설치되어 제2게이지홈(37b) 내측으로 진입됨으로서 제2눈금(37C)을 가리키는 제2게이지바늘(37d)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토크렌치를 제1토크렌치결합부(11)의 제1결합단(11a)에 결합시킨 후 회전시키면 제1승강봉(20)이 승강되고, 외측 하부날개(40)와 외측 상부날개(60)는 상호 벌어지게 된다. 또 토크렌치를 제2토크렌치결합부(12)의 제2결합단(12a)에 결합시킨 후 회전시키면 제2승강봉(30)이 승강되고, 내측 하부날개(50)와 내측 상부날개(70)는 상호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결합단(11a)(12a)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승강봉(20)과 제2승강봉(30)의 승강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와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0)(5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진다.
또한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가 외측 및 내측 하단(b1)(b2)에 완전히 밀착되면 토크렌치에 큰 부하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외측 및 내측 하단(b1)(b2)과 외측 및 내측 상단(a1)(a2) 사이에 인가되는 힘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퇴골 외측 및 내측 하단(b1)(b2)의 손상 여부에 따라, 외측 및 내측 하단(b1)(b2)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가 제1,2힌지(26)(36)를 축으로 회전된다. 이때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의 회전 정도는 제1,2게이지바늘(27d)(37d)이 가리키는 위치의 제1,2눈금(27c)(37c)을 확인하여 알 수 있다. 즉, 제1,2게이지바늘(27d)(37d)이 가리키는 제1,2눈금(27c)(37c)을 확인함으로써 대퇴골(b)의 외측 및 내측 하단(b1)(b2)의 손상면을 확인하여 손상정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릎관절 외과수술용 가이드기구는 경골의 외측상단과 대퇴골의 외측하단 사이에서 인가되는 힘과, 경골의 내측상단과 대퇴골의 내측하단 사이에서 인가되는 힘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손상된 대퇴골의 외측 및 내측하단의 손상면을 측정함으로써 손상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리니어게이지(80)는, 제1,2승강봉(20)(30)의 승강위치에 따라 연동되는 제1,2지시부(90)(100)에 의하여 제,2승강봉(20)(30)의 위치를 표시한다. 즉, 외측 하부날개(40)와 외측 상부날개(60)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은 제1승강봉(20)의 승강위치와 연동되므로, 제1승강봉(20)의 승강위치를 제1지시부(90)가 측정함으로써 외측 하부날개(40)와 외측 상부날개(60) 사이의 간격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측 하부날개(50)와 내측 상부날개(70)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은 제2승강봉(30)의 승강위치와 연동되므로, 제2승강봉(30)의 승강위치를 제2지시부(100)가 측정함으로써 내측 하부날개(50)와 내측 상부날개(70) 사이의 간격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0)(50)와,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을 알기 위하여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별도의 게이지지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간격을 더욱 정확하고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제1,2래치기어(110)(120)는, 제1,2결합단(11a)(12a)에 각각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회전되고, 각각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래치(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2래치(111)(121)는, 제1,2래치기어(110)(12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한쪽면에만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1,2스토퍼(115)(125)는, 몸체(10)에 힌지(h)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래치(111)(1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이 경우 제1,2래치기어(110)(1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2스토퍼(115)(125)의 단부는 제1,2래치(111)(121)에 끼어질 수 있도록 뾰족하게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제1,2래치기어(110)(120) 및 제1,2스토퍼(115)(125)에 의하여, 무릎 인대에 의하여 경골(a)과 대퇴골(b)에 힘이 인가되더라도 외측 하부날개(40)와 외측 상부날개(60) 사이, 그리고 내측 하부날개(50)와 내측 상부날개(70)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항상 정확한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몸체(10)의 하방측에 형성된 프레임(10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잡혀진다.
한편 시술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사용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130)를 제1토크렌치결합부(11) 방향 또는 제2토크렌치결합부(12)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위치변환부(140)를 채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위치변환부(140)는, 몸체(10)의 하방에 위치한 프레임(10a)의 중앙에 손잡이(130)의 일측단을 축결합시키는 축부(141)와, 축부(14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1,2결합공(142)(143)과, 손잡이(130)의 일측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2결합공(142)(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손잡이관통공(144)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만약 손잡이(130)를 중앙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손잡이관통공(144)을 제1결합공(142)에 위치시킨 후 핀이나 볼트를 손잡이관통공(144)을 관통하여 제1결합공(142)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손잡이(130)를 좌측에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손잡이관통공(144)을 제2결합공(143)에 위치시킨 후 핀이나 볼트를 손잡이관통공(144)을 관통하여 제2결합공(143)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는, 제1,2승강봉(20)((30)의 승강위치에 따라 연동되는 제1,2지시부(90)(100)에 의하여 제,2승강봉(20)(30)의 위치를 표시하므로, 외측 하부날개(40)와 외측 상부날개(60)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 그리고 내측 하부날개(50)와 내측 상부날개(70)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와,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 사이의 벌어지는 간격을 알기 위하여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별도의 게이지지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외주면에 제1,2래치(111)(121)가 각각 형성된 제1,2래치기어(110)(120)와,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래치기어(110)(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115)(125)를 채용함으로써, 인대에 의하여 경골과 대퇴골에 힘이 인가되더라도 외측 하부날개(40)와 외측 상부날개(60) 사이, 그리고 내측 하부날개(50)와 내측 상부날개(70)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항상 정확한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잡혀지는 손잡이(140) 및 그 손잡이를 제1토크렌치결합부(11) 방향 또는 제2토크렌치결합부(12)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위치변환부(140)를 채용함으로써, 한손으로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조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시술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사용하는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골(a)의 외측상단과 대퇴골(b)의 외측하단 사이의 힘과, 경골(a)의 내측상단과 대퇴골(b)의 내측하단 사이의 힘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손상된 대퇴골(b)의 외측 및 내측하단의 손상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 ... 경골 a1 ... 외측상단
a2 ... 내측상단 b ... 대퇴골
b1 ... 외측하단 b2 ... 내측하단
10 ... 몸체 11, 12 ... 제1,2토크렌치결합부
11a, 12a ... 제1,2결합단 20, 30 ... 제1,2승강봉
25, 35 ... 제1,2브라켓 26, 36 ... 제1,2힌지
27, 37 ... 제1,2게이지부 27a, 37a ... 제1,2게이지몸체
27b, 37b ... 제1,2게이지홈 27c, 37c ... 제1,2눈금
27d, 37d ... 제1,2게이지바늘 40, 50 ...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
60, 70 ...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 80 ... 리니어게이지
80a ... 눈금 90, 100 ... 제1,2지시부
110, 120 ... 제1,2래치기어 111, 121 ... 제1,2래치
115, 125 ... 제1,2스토퍼 130 ... 손잡이
140 ... 손잡이위치변환부 141 ... 축부
142, 143 ... 제1,2결합공 144 ... 손잡이관통공

Claims (7)

  1. 토크렌치(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2결합단(11a)(12a)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이격되게 배치된 제1,2토크렌치결합부(11)(12)가 설치되는 몸체(10);
    상기 제1,2결합단(11a)(12a)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몸체(10)로부터 승강되는 제1,2승강봉(20)(30);
    상기 몸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경골(a)의 상단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하부날개(40)(50);
    상기 제1,2승강봉(20)(3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대퇴골(b)의 외측하단(b1) 및 내측하단(b2)에 밀착되는 외측 및 내측 상부날개(60)(70);
    상기 제1,2결합단(11a)(12a)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2래치(111)(121)가 각각 형성된 제1,2래치기어(110)(120); 및
    상기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래치(111)(1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그 제1,2래치기어(110)(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115)(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눈금(80a)이 표시된 리니어게이지(80); 및
    상기 제1,2승강봉(20)(3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눈금(80a)을 지시하는 제1,2지시부(90)(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잡혀지는 손잡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30)를 상기 제1토크렌치결합부(11) 방향 또는 제2토크렌치결합부(12) 방향으로 위치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위치변환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위치변환부(140)는,
    상기 몸체(10)의 하방에 위치한 프레임(10a)의 중앙에 상기 손잡이(130)의 일측단을 축결합시키는 축부(141)와, 상기 축부(14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1,2결합공(142)(143)과, 상기 손잡이(130)의 일측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결합공(142)(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손잡이관통공(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봉(20)의 단부에 결합된 제1브라켓(25)과, 상기 제1브라켓(25)의 전방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상부날개(60)는 상기 제1힌지(26)에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봉(30)의 단부에 결합된 제2브라켓(35)과, 상기 제2브라켓(35)의 전방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상부날개(70)는 상기 제2힌지(3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2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측 하부날개(40)를 기준으로 상기 외측 상부날개(60)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제1게이지부(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3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하부날개(50)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상부날개(70)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제2게이지부(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KR2020110010698U 2011-12-01 2011-12-01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KR200462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98U KR200462999Y1 (ko) 2011-12-01 2011-12-01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98U KR200462999Y1 (ko) 2011-12-01 2011-12-01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999Y1 true KR200462999Y1 (ko) 2012-10-12

Family

ID=4756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98U KR200462999Y1 (ko) 2011-12-01 2011-12-01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295A (ko) * 2016-10-13 2018-04-24 주식회사 코렌텍 슬관절 치환술 가이드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438A (en) 1995-10-23 1998-09-01 Finsbury (Instruments) Limited Surgical tool
US5911723A (en) 1996-05-28 1999-06-15 Howmedice International Inc. Surgical apparatus
JP2001026482A (ja) 1999-07-14 2001-01-30 Bridgestone Corp 電極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解イオン水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438A (en) 1995-10-23 1998-09-01 Finsbury (Instruments) Limited Surgical tool
US5911723A (en) 1996-05-28 1999-06-15 Howmedice International Inc. Surgical apparatus
JP2001026482A (ja) 1999-07-14 2001-01-30 Bridgestone Corp 電極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解イオン水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295A (ko) * 2016-10-13 2018-04-24 주식회사 코렌텍 슬관절 치환술 가이드 기구
KR101863733B1 (ko) * 2016-10-13 2018-07-16 주식회사 코렌텍 슬관절 치환술 가이드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ter et al.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ree different techniques for manual goniometry for wrist motion: a cadaveric study
US87952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extramedullary location of the mechanical axis of a femur
CN105769119B (zh) 膝关节软组织平衡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EP3895631A1 (en) Surgical instrument
CN204797805U (zh) 膝关节软组织平衡测量装置
CN107106307B (zh) 确定适合患者的膝关节假体的股骨植入物尺寸的量具
KR200462999Y1 (ko) 무릎관절 수술용 가이드기구
McEwan et al. The validity of clinical measures of patella position
US202301810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laxity of a joint
KR101066356B1 (ko) 무릎관절 외과수술용 가이드기구
CN203591260U (zh) 肩关节镜间隙测量仪
CN109330603A (zh) 一种临床用下胫腓测量装置
CN211749620U (zh) 一种能够更加精准测量不同关节的活动度量角器
CN201591596U (zh) 一种髋臼骨折角度导向器
CN213372576U (zh) 关节软组织平衡测量组件
CN111759288A (zh) 关节软组织平衡测量装置
CN106667589A (zh) 膝关节间距测量装置
CN111568449A (zh) 关节软组织平衡测量装置
US9033902B2 (en) Femoral condylar radius gage
CN208799374U (zh) 一种用于膝关节置换的辅助间隙平衡工具
CN103976783B (zh) 一次性骨折牵引复位器
CN100486522C (zh) 腹高测量仪
CN220404001U (zh) 一种肢体定位测量装置
CN104161523A (zh) 一种用于测量人体关节内结构尺寸的医疗测量器械
US20200015710A1 (en) Knee goniometer to measure knee extension difference and extensor l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