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85Y1 - 기능성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기능성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85Y1
KR200462985Y1 KR2020090014807U KR20090014807U KR200462985Y1 KR 200462985 Y1 KR200462985 Y1 KR 200462985Y1 KR 2020090014807 U KR2020090014807 U KR 2020090014807U KR 20090014807 U KR20090014807 U KR 20090014807U KR 200462985 Y1 KR200462985 Y1 KR 200462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
cup
wing
functional
w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039U (ko
Inventor
종 하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Priority to KR2020090014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11)과 연결되는 날개부분(12)에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15)을 하나 이상 구성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운동 시 가슴의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날개부분의 힘의 불균형을 균형 상태로 조정하여 주고, 힘이 가해질 때 옆구리와 등 부분의 굴곡 현상을 해소하여서 옆구리와 몸통 부위의 살들을 정리하는 보정기능과 함께 보강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능성 브래지어, 컵 부분, 날개부분, 바이어스테이프, 보강편, 호형, 만곡면

Description

기능성 브래지어{Functional brassiere}
본 고안은 기능성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과 연결되는 날개부분에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을 구성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자의 옆구리 부분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옆구리 부분의 보정기능을 향상시키며, 보강편의 굴곡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기능성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아름답게 받쳐주고 감싸주며, 가슴의 결점을 보완하여 겉옷의 라인을 아름답게 해주는 등 가슴의 모양을 보기 좋게 하는 것으로서 현대 여성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일 뿐만 아니라, 올바른 브래지어를 선택해야 가슴의 군살을 없애고 풍만한 가슴을 가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가슴을 과장하기보다 활동적이고 자연스럽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브래지어의 기본 형태는 돌출된 가슴 부분을 감싸는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지며, 감싸는 부분의 패드 유무, 컵 패드 부분의 재질 제조방법에 의해 구분되기도 한다.
사람의 둥근 몸에 맞춰 입체적으로 디자인된 브래지어는 언더와 컵의 밑부분에서 들어올리는 정도로서 꽉 조일 필요는 없으며, 브래지어의 중앙부가 들뜨지 않 고 손을 들어올려도 삐뚤어지지 않고 어깨결림도 없으며, 착용하고 있는 것을 느끼지 못할 정도이면 적당하다. 또 어깨끈과 컵 부분이 단단하게 연결되고, 수직으로 떨어지는 것이 가슴을 가장 효과적으로 고정시켜 준다.
종래 기술에 의한 브래지어는, 섬유원단이나 패드 또는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어깨끈과, 상기 컵 부분의 하부를 따라 봉제하여서 형성된 바이어스테이프와, 상기 바이어스테이프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 및 상기 날개부분의 중단부와 상, 하단에 재봉되는 바이어스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지어에 있어 컵 부분의 하단 바이어스테이프의 측면에 해당하는 날개부분 상에는 수직 바이어스테이프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바이어스테이프의 측면과 수직 바이어스테이프의 사이 날개부분 상에는 유동하는 가슴을 잡아주는 별도의 기술적 구성이 전혀 없으므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운동 시 가슴의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잡아주지 못하여서 브래지어가 상하, 좌우로 움직이므로 브래지어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유동하는 가슴을 중앙으로 모아주는 볼륨업 기능을 살릴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운동 시에는 가슴의 유동성 때문에 가슴이 출렁거리면서 유동성을 갖게 되고, 가슴의 유동성에 따라 브래지어가 가슴선에서 벗어나 들뜨거나 상하, 좌우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최초 위치를 벗어난 브래지어는 착용자의 가슴을 누르게 되고, 가슴살이 옆구리 쪽으로 퍼지게 되어서 착용자는 가끔씩 손으로 브래지어를 중앙의 제 위치에 바로잡아 주어야만 하는 등 브래지어 착용 후 여러모로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브래지어는 컵 부분을 받쳐주는 날개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 바이어스테이프와 겉감 및 안감에 의해 서로 재봉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날개부분의 구성은 연질의 고형물로 본래 형상을 유지시키는 컵 부분에 비해 쉽게 접혀지고 구겨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슴 측면을 살짝 눌러주는 보정기능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세탁시나 세탁 후에 쉽게 변형되고, 착용 시 편안함과 더불어 유동하는 가슴을 잡아주는 안정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334373호와 같은 기능성 브래지어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원단이나 패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2)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제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3)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어깨끈(4) 및
상기 컵 부분의 하부를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5)로 구성하여서 된 기능성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브래지어 컵 부분(2)의 하단과 양측단에 형성된 날개부분(3) 상에 하나 이상의 보강시트(7)를 삽입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브래지어는, 기존 제품에 비해 브래지어 착용감과 보정기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날개부분의 상,하에 바이어스테이프가 없는 원단으로만 만들어진 경우 이를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바이어스테이프가 있는 원단으로 만들어진 경우 날개부분에 구성된 보강시트가 딱딱한 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날개부분에 대한 착용감이 불편하였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상기 브래지어 컵 부분(2)의 양측단에 형성된 날개부분(3) 상에 일자형의 플라스틱 보강편을 원단으로 감싸 봉제하여 장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 착용시 날개부분에 힘이 작용할 때 원단에 가해지는 피복압에 의한 신체의 굴곡 현상을 막기 위한 것이지만,
일자형의 플라스틱 보강편이 변형되어서 이 부분에 대한 굴곡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고, 날개부분 상,하의 바이어스테이프와 원단 부분에 가해지는 힘의 불균형 또는 바이어스테이프가 없는 원단으로만 만들어진 경우 양쪽 변 부분과 중간 부분의 압력 차이(힘의 불균형)로 인해서 바이어스테이프 부분에 굴곡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연령에 따라 피하지방의 량 또는 피부 탄력성에 따라 브래지어 착용감에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과 연결되는 날개부분에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을 삽입 고정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시 보강편 부위와 날개부분의 힘의 균형 상태를 유지하여서 보강편 부위와 날개부분의 굴곡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브래지어의 보정기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편안한 착용감과 착용자의 옆구리에 정돈된 실루엣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섬유원단이나 패드 또는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끈과;
상기 컵 부분의 하단을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로 구성하여서 된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브래지어의 컵 부분과 연결되는 날개부분에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을 하나 이상 삽입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은 호형의 만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하로 신축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는, 브래지어의 컵 부분과 연결되는 날개부분에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을 하나 이상 구성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시 날개부분의 힘의 불균형을 균형 상태로 조정하여 주고, 힘이 가해질 때 옆구리와 등 부분의 굴곡 현상을 해소하여서 옆구리와 몸통 부위의 살들을 정리하는 보정기능과 함께 날개부분에 구성된 보강편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3에서, 부호 10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브래지어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로서, 이러한 기능성 브래지어(10)는,
섬유원단이나 패드 또는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11)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12)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끈(13)과;
상기 컵 부분의 하단을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14)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브래지어의 기술 구성은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기술 내용으로서,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의 특징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래지어의 컵 부분(11)과 연결되는 날개부분(12)에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15)을 하나 이상 삽입 고정하므로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운동 시 가슴의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날개부분의 힘의 불균형을 균형 상태로 조정하여 주고, 힘이 가해질 때 옆구리와 등 부분의 굴곡 현상을 해소하여서 옆구리와 몸통 부위의 살들을 정리하는 보정기능을 개선하며, 보강편의 변형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15)은,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편의 호형의 만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하 신축성을 갖도록 하므로서 날개부분의 힘의 불균형을 균형 상태로 조정하여 주고, 힘이 가해질 때 옆구리와 등 부분의 굴곡 현상을 해소하고, 보정기능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상기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15)은,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부 분(12) 상의 겉감과 안감의 사이에 미세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거나 테이프(16)에 감겨진 보강편(15)을 날개부분(12)에 함께 봉제하여서 브래지어(10)를 착용할 경우 도 3과 같이 브래지어의 외부에서는 상기 보강편(15)이 보이지 않게 되어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아주 양호하다.
상기 보강편(15)의 재질은, 바람직하기로는 합성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합성섬유로는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폴리플루오르에틸렌계, 폴리비닐,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크릴로, 알루미늄, 고무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편(15)의 두께는 0.5~3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보강편은 브래지어의 컵 부분과 연결되는 날개부분 상에 구성된 상태에서 브래지어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운동 시 가슴의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상,하로 신축성을 갖게 되어 날개부분의 힘의 불균형을 균형 상태로 조정하여 주고, 힘이 가해질 때 옆구리와 등 부분의 굴곡 현상 해소와, 보정기능을 개선시켜 준다.
아울러, 착용 후 브래지어의 잦은 세탁 후에도 보강편(15)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므로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이 변형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분 상에 삽입 고정된 보강편(15)의 내측에는 착용자의 몸통에 와닿는 보강편의 이질감을 줄이거나 맞닿는 부위를 좀더 부드럽게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날개부분의 안감을 2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컵 부분(11)은 2개의 둥근 컵 모양의 섬유원단이나 패드, 몰드 등으로 구성되며, 컵 부분의 상단에는 어깨끈(13)의 고리와 결속되는 결속구가 부착되어 있고, 모양이 잘 변형되지 않도록 컵 부분의 안쪽에 안감이나 별도의 패드를 삽입하고 컵의 각도가 위를 향하도록 형성하며, 착용자의 가슴을 단단히 붙들어 주기 위해 컵 부분의 표면에 봉제선이 일자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컵 부분은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을 뒤로 젖혀도 컵 부분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형성하여서 가슴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분(12)은 겉감 및 안감 등 두 겹의 합포된 직물로 형성하거나 한 겹의 직물로 형성하며, 내측의 안감은 가슴이나 피부에 접촉 시 부드러움을 줄 수 있도록 소프트하고 부드러운 재질의 레이스 또는 망사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컵 부분(11)은 신축성이 뛰어난 섬유원단으로 구성하며, 착용자의 가슴을 아래에서 확실하게 받쳐주는 것으로, 착용자의 가슴살이 항상 중앙으로 몰려 모양이 흩어지지 않게 잘 고정할 수 있어야 하고 착용자가 브래지어를 착용한 후, 날개부분(12)의 양끝에 부착된 후크를 끼워서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어깨끈(13)은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고리의 일측은 상기 컵 부분(11)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날개부분(12)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어깨끈과 컵 부분을 수직으로 단단히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바이어스테이프(14)는 통상(筒狀)의 직포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바이어스테이프는 상기 컵 부분의 하단을 따라 ∪자형으로 봉제하여 형성되고, 그 내부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감싸고 있는 형태로서, 이로 인해 착용자의 가슴을 확실하게 리프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브래지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브래지어의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의 착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능성 브래지어의 펼친 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펼친 상태 배면도
도 5는 도 4의 기능성 브래지어에 있어서 보강편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브래지어 11 : 컵 부분
12 : 날개부분 13 : 어깨끈
14 : 바이어스테이프 15 : 보강편
16 : 테이프

Claims (2)

  1. 섬유원단이나 패드 또는 몰드로 구성된 2개의 둥근 컵 부분(11)과;
    상기 컵 부분의 아래를 받쳐주고 양끝에 후크가 부착되며 전체적으로 몸통을 감싸는 둥근 형태의 날개부분(12)과;
    양끝에 고리가 부착되어서 한쪽 고리는 상기 컵 부분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쪽 고리는 상기 날개부분의 뒷면 상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끈(13)과;
    상기 컵 부분의 하단을 따라 봉제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와이어를 구비하는 바이어스테이프(14) 및;
    상기 컵 부분과 연결되는 날개부분(12)에 호형으로 만곡된 보강편(15)을 구성하여서 된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15)은, 호형의 만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서 상,하로 신축성을 갖도록 한 것이 특징인 기능성 브래지어.
  2. 삭제
KR2020090014807U 2009-11-16 2009-11-16 기능성 브래지어 KR200462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807U KR200462985Y1 (ko) 2009-11-16 2009-11-16 기능성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807U KR200462985Y1 (ko) 2009-11-16 2009-11-16 기능성 브래지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39U KR20110005039U (ko) 2011-05-24
KR200462985Y1 true KR200462985Y1 (ko) 2012-10-16

Family

ID=4756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807U KR200462985Y1 (ko) 2009-11-16 2009-11-16 기능성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70Y1 (ko) * 2015-02-16 2015-06-09 코웰패션 주식회사 브래지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999Y1 (ko) 2002-04-20 2002-07-31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기능성 브래지어
KR200357329Y1 (ko) 2004-04-30 2004-07-23 이종덕 기능성 브레지어
US20060057935A1 (en) 2004-09-16 2006-03-16 Shin-Hsien Hung Structure of a band of a b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999Y1 (ko) 2002-04-20 2002-07-31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기능성 브래지어
KR200357329Y1 (ko) 2004-04-30 2004-07-23 이종덕 기능성 브레지어
US20060057935A1 (en) 2004-09-16 2006-03-16 Shin-Hsien Hung Structure of a band of a b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39U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8461B1 (en) Athletic bra
CA2872752C (en) Pants, in particular for shaping the female buttocks and hips
US8075368B2 (en) Brassiere for practicing sports
KR20150115814A (ko) 지지 뷔스티에 의복
US20130189900A1 (en) Piece of clothing
CA2860817A1 (en) Wireless bra
US3078852A (en) Brassiere
TW201637581A (zh) 具有罩杯部之衣物
KR200462424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3039383U (ja) 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類
KR20170000262U (ko) 기능성 보정속옷
KR200462985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100770252B1 (ko)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US2616083A (en) Bust support
US2454151A (en) Brassiere
CN215649324U (zh) 一种新型束腹提臀长裤
TW201628515A (zh) 具有罩杯部之衣服
JP4117409B2 (ja) ブラジャ
CN209609882U (zh) 无钢圈无胶骨零压力文胸
KR200438139Y1 (ko) 분할 패드가 구비된 기능성 브래지어
WO2019053846A1 (ja) 婦人下着
JP5887795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416249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334373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2001200403A (ja) バスト部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