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31Y1 -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 Google Patents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31Y1
KR200462931Y1 KR2020120001054U KR20120001054U KR200462931Y1 KR 200462931 Y1 KR200462931 Y1 KR 200462931Y1 KR 2020120001054 U KR2020120001054 U KR 2020120001054U KR 20120001054 U KR20120001054 U KR 20120001054U KR 200462931 Y1 KR200462931 Y1 KR 200462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couple
hole
screw
fixing pa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2020120001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8Sensor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열전대 고정부에 코일스프링 멈춤부를 가지는 열전대부 및 코일스프링이 수용된 구조를 가지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가 개시된다. 상기 열전대 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는 그 외표면에, 상기 측온대상의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벽에 접촉하는 벽 접촉부 그리고 상기 벽 접촉부에 연이어 상기 벽 접촉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서 그 표면의 높이가 상기 벽 접촉부보다 낮고 그 표면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 접촉부의 표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링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링 장착 홈에는 탄성재질로 된 오링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부의 전방부 내표면에는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는 구조가 간단하고, 측온대상이 수용된 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열전대를 그 관통공을 관통하여 끼우기만 하면 열전대가 고정되므로,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열전대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Spring Rod Type Thermocouple}
본 고안은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측온대상이 수용된 벽에 형성된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벽에 결합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에 관한 것이다.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고 양 접점에 온도를 달리 해주면 온도차에 비례하여 열기전력이 생기는데, 이러한 현상을 제베크(Seebeck) 효과라고 한다. 열전대는 이러한 제베크 효과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만든 장치이다. 열전대는 한쪽 접촉점을 기준점으로 삼고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다른 접촉점을 위치하면 기전력의 크기로 온도차를 알 수 있으므로 기준점의 온도와 비교하여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열전대는 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내구성이 좋아 극한상황에서 많이 이용된다.
열전대는 측온대상이 수용된 벽에 형성된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벽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특허공개 제2000-0025326호(2000.05.06. 공개)는 열전대고정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열전대고정구에서 히터 벽면에 열전대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블록과 근접하여 히터 벽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고정판이 설치되고 고정판에 설치된 탄성부재에는 고정핀이 연결되어 있고 고정블록에는 고정핀이 관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열전대에 접촉하도록 탄성부재에 연결된 고정핀을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열전대를 고정시킬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열전대를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작업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실용신안등록 제0439208호(2008.03.20. 등록)는 진공챔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진공챔버의 진공이 누설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시즈 열전대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측온 대상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온하도록 함으로써 측정온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스프링로드 타입 진공용 시즈 열전대 기기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열전대 기기는 진공챔버의 결합공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특허공개 제2008-0109747호(2008.12.17. 공개)는 시스 열전대, 압축 코일 스프링 및 완충부를 수용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밀폐부재는 챔버의 저벽에 플랜지에 의하여 결합되며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열전대의 선단부가 진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특허공개 2010-0087452호(2010.08.05. 공개)는 조립형 열전대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용 주형의 온도 측정장치를 개시한다. 이 특허의 조립형 열전대는 동판에 형성된 장착홈에 열전대를 삽입하여 설치하는데, 스프링을 사용하여 열전대의 선단부가 동판에 밀착되도록 하고 너트부재에 의하여 열전대를 동판에 고정시킨다.
위 고안들은 스프링에 의하여 열전대의 선단부가 측온대상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측온대상을 수용하는 벽에 열전대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음을 본 고안자는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측온대상이 수용된 벽에 형성된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벽에 결합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는 금속 시스(sheath) 내에 열전대 소선(素線)이 고정된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전대 소선을 피복하여 보호하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열전대부,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 또는 피복부 상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멈춤부,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피복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에 의하여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로는 이동하지 못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열전대의 상기 선단부를 통과시키고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 상기 코일스프링 및 상기 피복부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측온대상이 수용된 벽에 형성된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벽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열전대가 상기 측온대상에 접촉하게 상기 열전대를 고정시키는 열전대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대 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그것의 전방부에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구, 및 내부에 상기 관통구에 연이어 상기 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중공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관통구와 상기 중공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가 걸리고, 상기 제1고정부는 또한 그 외표면에, 상기 측온대상의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벽에 접촉하는 벽 접촉부 그리고 상기 벽 접촉부에 연이어 상기 벽 접촉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서 그 표면의 높이가 상기 벽 접촉부보다 낮고 그 표면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 접촉부의 표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링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링 장착 홈에는 탄성재질로 된 오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는 그것의 후방부에 상기 열전대의 상기 피복부가 관통하는 관통구, 상기 관통구에 연이어 상기 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중공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관통구와 상기 중공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코일스프링이 걸리고, 상기 제2고정부의 전방부 내표면에는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벽 접촉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에는 와셔가 위치하여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할 때 상기 와셔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는 몸체부와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그것의 전방부에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구, 및 상기 관통구에 연이어 상기 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중공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관통구와 상기 중공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가 걸리고, 상기 몸체부에는 또한 그 외표면에, 상기 벽 접촉부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영역 그리고 상기 비나사영역과 동일한 두께를 가져서 그 표면의 높이가 상기 비나사영역과 동일하게 상기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나사영역의 전방에는 상기 오링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에 끼워져서 상기 벽 접촉부를 형성하는 원통형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몸체부는 그것의 전방부에 상기 열전대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하는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 외표면은 테이퍼진 형태로서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오링 장착 홈 및 상기 비나사영역 사이에는 상기 오링 장착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는 일체로 형성된 환형 돌기 덮음부, 본체부 및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표면은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의 두께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작아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와 상기 본체부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이러한 단턱은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에 끼워질 때 상기 환형 돌기의 측면부에 걸리고,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는 상기 환형 돌기를 덮으며,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에 연이어 테이퍼진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고정부는 그것의 상기 나사부 전방에 비나사영역이 형성되고, 이러한 비나사영역은 상기 제2고정부의 상기 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있어 그것의 내표면은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몸체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의 외표면과는 접촉하지 않으면서 그것의 말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의 상기 테이퍼부의 테이퍼진 영역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이 상기 벽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열전대가 상기 벽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부의 외표면에 환형으로 돌출된 벽걸림용 환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는 구조가 간단하고, 측온대상이 수용된 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열전대를 그 관통공을 관통하여 끼우기만 하면 열전대가 고정되므로,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열전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를 구성하는 부품의 절단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를 절단한 절단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예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10)는 열전대부(100), 코일스프링(300), 열전대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열전대부(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금속 시스(sheath) 내에 열전대 소선(素線)이 고정된 선단부(110) 및 선단부(110)에 연결되어 열전대 소선을 피복하여 보호하는 피복부(1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열전대부(100)에는, 열전대부의 선단부(110) 또는 피복부(120) 상에 코일스프링 멈춤부(200)가 결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 멈춤부(200)는 전방부(210)와 후방부(220) 사이에 융기부(2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전방부(210)와 열전대부의 선단부(110)의 경계에 형성되는 턱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전대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500)의 걸림턱(525)에 걸린다. 또한 후방부(220)와 융기부(230)의 형성되는 코일스프링 걸림 단턱(250)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00)이 걸린다. 이러한 코일스프링 멈춤부는 상기와 같은 금속 구조물을 선단부(110) 또는 피복부(120) 상에 위치시키고, 그 금속 구조물의 일부를 압착시켜서 열전대부(100)에 결합시켜 형성된다.
코일스프링(300)은 열전대부(100) 상에, 특히 열전대부(100)의 피복부(120) 상에 끼워져서 열전대 고정부(400) 내에 수용되고 코일스프링 멈춤부(200)에 의하여 열전대부의 선단부(110)로 이동하지 못한다. 코일스프링(300)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대 고정부(400)는 열전대부의 피복부(120)의 일부와 코일스프링(300)을 내부에 수용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측온대상(700)이 수용된 벽(800)에 형성된 벽 관통공(810)을 관통하여 벽(800)에 결합함으로써 열전대(10)가 측온대상(700)에 접촉하게 열전대(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전대 고정부(400)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대 고정부(400)는 제1 고정부(500)와 제2 고정부(600)로 구성된다. 제1 고정부는 그것의 전방부에 열전대부(100)의 선단부(110)가 관통하는 관통구(510)를 가진다. 제1 고정부(500) 내부에서 관통구(510)는 원통형 중공부(520)와 연결된다. 원통형 중공부(520)는 관통구(51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관통구(510)와 중공부(520)의 경계에 걸림턱(525)이 형성된다. 열전대 고정부(400) 내부에 열전대부(100) 및 코일스프링(300)을 수용하면 코일스프링(300)에 의하여 열전대부(100)의 선단부(120)는 관통구(5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만, 코일스프링 멈춤부(200)의 전방부(21)가 걸림턱(525)에 걸려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열전대 고정부(400) 내에서 열전대부(100)는 고정된다.
한편, 제1 고정부(500)는 또한 그 외표면에, 측온대상(700)의 벽 관통공(810)을 관통하여 벽(800)에 접촉하는 벽 접촉부(590) 및 나사부(570)를 포함한다. 나사부(570)는 벽 접촉부(590)에 연이어 벽 접촉부(590)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서 그 표면의 높이가 벽 접촉부(590)보다 낮고 그 표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다. 벽 접촉부(590)의 표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링 장착홈(540)이 형성되어 있고, 오링 장착홈(540)에는 탄성재질, 특히 고무 재질로 된 오링(545)이 장착되어 있다.
제1 고정부(500)는 벽 접촉부(590)와 나사부(570)가 일체로 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분리가능한 몸체부(505)와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58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505)는 그것의 전방부에 열전대부(100)의 선단부(110)가 관통하는 관통구(510)를 가진다. 관통구(510)가 형성된 몸체부(505)의 외표면에는 테이퍼진 형태로서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태의 경사부(530)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505) 내부에서 관통구(510)는 원통형 중공부(520)와 연결된다. 원통형 중공부(520)는 관통구(51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관통구(510)와 중공부(520)의 경계에 걸림턱(525)이 형성된다. 열전대 고정부(400) 내부에 열전대부(100) 및 코일스프링(300)을 수용하면 코일스프링(300)에 의하여 열전대부(100)의 선단부(120)는 관통구(5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만, 코일스프링 멈춤부(200)의 걸림턱 걸림 단턱(240)이 걸림턱(525)에 걸려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열전대 고정부(400) 내에서 열전대부(100)는 고정된다.
몸체부(505)에는 또한 그 외표면에, 벽 접촉부 영역(590)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영역(560)이 형성되어 있고, 비나사영역(560)에 연이어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570)가 형성되어 있다. 비나사영역(560)과 나사부(570)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 그 표면의 높이가 동일하다. 비나사영역(560)의 전방에는, 즉 경사부(530)와 비나사영역(560) 사이에는 오링 장착 홈(540)이 형성되어 있다. 오링 장착홈(540)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링 장착홈(540)과 비나사영역(560) 사이에는 환형돌기(550)가 형성되어 있다.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580)는 몸체부(505)의 비나사영역(560)에 끼워져서 벽 접촉부(590)를 형성하는 원통형 튜브로서, 환형 돌기 덮음부(582), 본체부(584) 및 테이퍼부(58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환형돌기 덮음부(582)와 본체부(584)는 그 외표면(589)이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환형돌기 덮음부(582)의 두께가 본체부(584)의 두께보다 작아 환형돌기 덮음부(582)와 본체부(584)의 경계에는 단턱(586)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586)은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580)가 몸체부(505)의 비나사영역(560)에 끼워질 때 환형돌기(550)의 측면부에 결리고, 환형돌기 덮음부(582)는 환형돌기(550)를 덮는다. 테이퍼부(588)는 본체부(584)의 후방쪽에 연이어 연결되고 테이퍼진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제2고정부(600)는 그것의 후방부에 열전대부(100)의 피복부(120)가 관통하는 관통구(610)를 가진다. 제2 고정부(600) 내부에서 관통구(610)는 원통형 중공부(620)와 연결된다. 원통형 중공부(620)는 관통구(61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관통구(610)와 중공부(620)의 경계에 걸림턱(625)이 형성된다. 열전대 고정부(400) 내부에 열전대부(100) 및 코일스프링(300)을 수용할 때 열전대부(100)의 피복부(120)는 관통구(6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지만, 코일스프링(300)은 걸림턱(625)에 걸려 관통구(610)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제2고정부(600)의 전방부 내표면에는 제1고정부(500)의 나사부(570)와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650)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600)는 그것의 나사부(650) 전방에 비나사영역(630)을 가진다. 이러한 비나사영역(630)은 제2 고정부(600)의 나사부(65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그것의 내표면은 제1 고정부(500)의 몸체부(505)의 비나사영역(560)의 외표면과는 접촉하지 않으면서 그것의 말단부는 제1고정부(500)의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580)의 테이퍼부(588)의 테이퍼진 영역과 접촉한다.
제1 고정부(500)의 벽 접촉부(590)와 나사부(570) 사이에는 와셔(900)가 위치한다. 즉 와셔(900)는 제1 고정부(500)의 몸체부(505)의 비나사영역(560)과 나사부(570) 사이에, 특히 비나사영역(560) 상에 위치한다. 그러면 제1 고정부(500)와 제2 고정부(600)를 결합할 때 와셔(900)는 제2 고정부(600)에 의하여 밀려서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580)의 테이퍼부(588) 상에 위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와셔(900)는 제1 고정부(500)와 제2 고정부(600)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와셔(900)로는 스프링와셔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2 고정부(600)는 제1고정부(500) 및 제2고정부(600)의 비나사영역(560 및 630)이 벽 관통공(810)을 관통한 후 열전대(10)가 벽(800)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나사부(650)의 외표면에 환형으로 돌출된 벽걸림용 환형 돌기(6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걸림용 환형돌기(660)에 의하여 제2 고정부(600)의 외표면은 제1 외표면(670)과 제2 외표면(680)으로 구분된다. 제2 고정부(600)에서 나사부(650)의 후방부에는 나사가 없는 비나사영역(640)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는 이러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전체 조립체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온대상(700)이 수용된 벽(800)에 관통공(810)을 형성하고 열전대(10)를 그 관통공(810)을 관통하여 끼우기만 하면 열전대가 고정되므로,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열전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열전대(10)를 벽(8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벽에 플랜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너트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벽 관통홀(810)에 나사를 형성할 필요도 없다. 본 고안은 단순히 열전대를 벽 관통홀(810)에 끼우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제1 고정부(500)의 벽 접촉부(580) 그리고 제2 고정부(600)의 비나사영역(630) 및 벽걸림용 환형돌기(660)의 작용에 의하여 열전대(10)는 벽(800)과 밀착되어 고정되고 또한 제1 고정부(500)에 설치된 오링(545)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된다. 이때, 열전대 고정부(400) 내에 수용된 코일스프링(300)의 작용에 의하여 열전대부(100)는 진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열전대 고정부(4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측온대상(700)에 항상 접촉할 수 있어 온도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측온대상(700)의 진동 또는 열팽창에 의하여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그러한 움직임은 열전대부(100)만을 진퇴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뿐이고 열전대 고정부(40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열전대 고정부(400)는 안정적으로 벽(800)에 고정될 수 있다.
10: 열전대 100: 열전대부 110: 선단부 120: 피복부 200: 코일스프링 멈춤부 210: 전방부 220: 후방부 230: 융기부 250: 스프링 걸림 단턱 300: 코일스프링 400: 열전대 고정부 500: 제1고정부 505: 몸체부 510: 관통구 520: 원통형 중공부 525: 걸림턱 530: 경사부 540 오링 장착 홈 545: 오링 550: 환형돌기 560: 비나사영역 570: 나사부 580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 582 환형돌기 덮음부 584: 본체부 586: 단턱 588: 테이퍼부 589: 외표면 590: 벽 접촉부 600: 제2고정부 610: 관통구 620: 원통형 중공부 625: 걸림턱 630, 640: 비나사영역 650: 나사부 660: 벽걸림용 환형돌기 670: 제1 외표면 680: 제2 외표면 700: 측온대상 800: 벽 810: 벽 관통공 900: 와셔

Claims (5)

  1. 금속 시스(sheath) 내에 열전대 소선(素線)이 고정된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전대 소선을 피복하여 보호하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열전대부,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 또는 피복부 상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멈춤부,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피복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에 의하여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로는 이동하지 못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열전대의 상기 선단부는 통과시키고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 상기 코일스프링 및 상기 피복부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측온대상이 수용된 벽에 형성된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벽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열전대가 상기 측온대상에 접촉하게 상기 열전대를 고정시키는 열전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이고,
    상기 열전대 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그것의 전방부에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구, 및 내부에 상기 관통구에 연이어 상기 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중공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관통구와 상기 중공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가 걸리고, 상기 제1고정부는 또한 그 외표면에, 상기 측온대상의 벽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벽에 접촉하는 벽 접촉부 그리고 상기 벽 접촉부에 연이어 상기 벽 접촉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서 그 표면의 높이가 상기 벽 접촉부보다 낮고 그 표면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 접촉부의 표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링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링 장착 홈에는 탄성재질로 된 오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는 그것의 후방부에 상기 열전대의 상기 피복부가 관통하는 관통구, 상기 관통구에 연이어 상기 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중공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관통구와 상기 중공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코일스프링이 걸리고, 상기 제2고정부의 전방부 내표면에는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벽 접촉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에는 와셔가 위치하여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할 때 상기 와셔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몸체부와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그것의 전방부에 상기 열전대부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구, 및 상기 관통구에 연이어 상기 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중공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관통구와 상기 중공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코일스프링 멈춤부가 걸리고, 상기 몸체부에는 또한 그 외표면에, 상기 벽 접촉부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영역 그리고 상기 비나사영역과 동일한 두께를 가져서 그 표면의 높이가 상기 비나사영역과 동일하게 상기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나사영역의 전방에는 상기 오링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에 끼워져서 상기 벽 접촉부를 형성하는 원통형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몸체부는 그것의 전방부에 상기 열전대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하는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 외표면은 테이퍼진 형태로서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오링 장착 홈 및 상기 비나사영역 사이에는 상기 오링 장착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는 일체로 형성된 환형 돌기 덮음부, 본체부 및 테이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표면은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의 두께가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작아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와 상기 본체부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이러한 단턱은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에 끼워질 때 상기 환형 돌기의 측면부에 걸리고, 상기 환형 돌기 덮음부는 상기 환형 돌기를 덮으며,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에 연이어 테이퍼진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고정부는 그것의 상기 나사부 전방에 비나사영역이 형성되고, 이러한 비나사영역은 상기 제2고정부의 상기 나사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있어 그것의 내표면은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몸체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의 외표면과는 접촉하지 않으면서 그것의 말단부는 상기 제1고정부의 상기 벽 접촉부 형성 끼움체의 상기 테이퍼부의 테이퍼진 영역과 접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상기 비나사영역이 상기 벽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열전대가 상기 벽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부의 외표면에 환형으로 돌출된 벽걸림용 환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KR2020120001054U 2012-02-10 2012-02-10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KR200462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54U KR200462931Y1 (ko) 2012-02-10 2012-02-10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54U KR200462931Y1 (ko) 2012-02-10 2012-02-10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931Y1 true KR200462931Y1 (ko) 2012-10-16

Family

ID=4756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054U KR200462931Y1 (ko) 2012-02-10 2012-02-10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09U (ko) * 2015-11-16 2017-05-24 김용국 금형용 열전대 센서
KR20220021652A (ko) * 2020-08-14 2022-02-2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분리형 열전대 조립체
KR102400351B1 (ko) * 2021-12-01 2022-05-20 (주)센테크이엔지 진동 완충기능을 구비한 온도센서용 센서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849B1 (ko) 1998-04-27 2002-01-17 김덕중 열감지장치
KR100428842B1 (ko) 1999-04-27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속주행 평판의 폭방향 온도 측정장치
KR100534046B1 (ko) 2003-12-29 2005-12-0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내부의 수직방향 온도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849B1 (ko) 1998-04-27 2002-01-17 김덕중 열감지장치
KR100428842B1 (ko) 1999-04-27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속주행 평판의 폭방향 온도 측정장치
KR100534046B1 (ko) 2003-12-29 2005-12-0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내부의 수직방향 온도측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09U (ko) * 2015-11-16 2017-05-24 김용국 금형용 열전대 센서
KR200484878Y1 (ko) * 2015-11-16 2017-11-02 김용국 금형용 열전대 센서
KR20220021652A (ko) * 2020-08-14 2022-02-2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분리형 열전대 조립체
KR102496857B1 (ko) 2020-08-14 2023-02-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분리형 열전대 조립체
KR102400351B1 (ko) * 2021-12-01 2022-05-20 (주)센테크이엔지 진동 완충기능을 구비한 온도센서용 센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3417B2 (ja) ばね付勢型温度センサ
KR200462931Y1 (ko) 스프링로드 타입 열전대
JP2014160023A (ja) センサ取付構造
US9557225B2 (en) Quick connect temperature sensing assembly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a surface of a structure
US9885615B2 (en) Movable contact sensor assembly having sealed construction
RU2016145920A (ru) Штекерный узел
RU2009132969A (ru) Позицио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форме стержня
CN105716732B (zh) 一种表面温度测量装置及其安装方法
JP7021229B2 (ja) 調節可能なばねが装備された温度センサ用アダプタ
MX2017008648A (es) Sensor de inmersion para temperatura y carbono de llenado inverso.
CN204373798U (zh) 卡箍式表面温度传感器
KR20190004778A (ko) 플러그-인 커넥터로 액상 또는 기상 매체용 호스의 연결 섹션을 연결하는 방법
WO2014027194A1 (en) Gauge
KR101825281B1 (ko) 체결 표시부를 갖는 신속 커플링
JP6408597B2 (ja) グロー・プラグ・アダプタ
CN209961344U (zh) 一种热电偶安装紧固装置
KR20160037564A (ko) 자석을 이용한 센서고정장치
CN211291812U (zh) 一种应用于冷却器上的测温座
KR101584976B1 (ko) 센서 장착 어태치먼트
CN202836786U (zh) 一种绝缘式漏钢预报热电偶
KR200484878Y1 (ko) 금형용 열전대 센서
US9829365B2 (en) Tactile feedback techniques to limit temperature runaway in boiler systems
KR20120011478A (ko) 내압 방폭 온도 센서
RU153782U1 (ru) Термоконтактная гильза
CN218156547U (zh) 弹性接触式温度检测装置和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