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85Y1 -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85Y1
KR200462285Y1 KR2020110001234U KR20110001234U KR200462285Y1 KR 200462285 Y1 KR200462285 Y1 KR 200462285Y1 KR 2020110001234 U KR2020110001234 U KR 2020110001234U KR 20110001234 U KR20110001234 U KR 20110001234U KR 200462285 Y1 KR200462285 Y1 KR 200462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heel
management device
measurement
automatic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910U (ko
Inventor
김근영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Priority to KR2020110001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8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일단이 의료장비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측정케이블; 및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1 휠; 상기 측정센서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2 휠; 상기 제 1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제 1 인출구 및 상기 제 2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제 2 인출구; 상기 제 1 휠 및 상기 제 2 휠의 회전을 각각 제한하는 제 1 홀딩부 및 제 2 홀딩부;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상기 고정 핀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STACKED TYPE AUTOMATIC WINDING MANAGEMENT APPARATUS OF CABLE FOR MEASURING BIO-SIGNAL}
본 고안은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측정케이블의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장비에 연결된 각각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케이블에 대해 태엽스프링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당기면 당긴 만큼 풀려나오고 반대로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감기고, 또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병렬 또는 직렬로 적층함으로써 측정케이블끼리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심전도, 혈압, 혈당, 체지방, 산소포화도, 체온, 초음파도플러, 영상 등의 각각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합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의료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장비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측이 커넥터(11)를 통해 의료장비(20)에 연결되고 다른 측에 측정센서(12)가 구비된 측정케이블(10)을 사용한다.
그러나,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의 종류가 많고, 특히 하나의 의료장비(20)를 사용하여 각각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경우, 각각의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서로 다른 측정케이블(10-1, 10-2, 10-3, …, 10-n)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이 길게 늘어져서 정돈되지 못하거나 특히 케이블끼리 서로 엉키거나 꼬임 현상이 발생하고, 서로 엉킨 케이블을 푸는 과정에서 측정케이블에 손상이 발생하면 미세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데 오류가 발생하여 생체신호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의료장비에 연결된 측정케이블을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자동으로 인출된 측정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의료장비에 연결된 각각의 측정케이블이 서로 엉키거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에 고정 홈을 형성하고 다른측에 고정 핀을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두개 이상의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적층하여 결합 고정할 수 있는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에 측정센서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의료장비에 장착되는 커넥터와 연결된 측정케이블만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의 의료기기에 전송할 수 있는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일단이 의료장비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측정케이블; 및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1 휠; 상기 측정센서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2 휠; 상기 제 1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제 1 인출구 및 상기 제 2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제 2 인출구; 및 상기 제 1 휠 및 상기 제 2 휠의 회전을 각각 제한하는 제 1 홀딩부 및 제 2 홀딩부;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상기 고정 핀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제 1 휠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제 1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제 2 휠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제 1 홀딩부에 의한 상기 제 1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제 1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제 1 휠은 상기 제 1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제 2 홀딩부에 의한 상기 제 2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제 2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제 2 휠은 상기 제 2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일단이 의료장비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측정케이블; 및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휠;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인출구; 및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홀딩부;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상기 고정 핀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결합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일측에는 측정센서가 장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휠에 구비되어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홀딩부에 의한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휠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측정케이블의 일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측정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생체신호처리모듈; 상기 생체신호처리모듈에 수신된 생체신호를 전송받아 외부의 의료장비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생체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측정센서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휠;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홀딩부;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상기 고정 핀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휠에 구비되어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홀딩부에 의한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휠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따르면, 의료장비에 연결된 측정케이블을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자동으로 인출된 측정케이블을 감을 수 있어 의료장비에 연결된 각각의 측정케이블이 서로 엉키거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따르면,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에 고정 홈을 형성하고 다른 측에 고정 핀을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적층하여 결합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따르면,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한 측에 측정센서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보관시 의료장비에 장착되는 커넥터와 연결된 측정케이블 쪽만 감아서 간편하게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커넥터쪽 측정케이블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따르면,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외부의 의료기기에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료장비에 연결된 측정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적층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측에 측정센서가 장착 고정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적층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는 일단이 의료장비(20)에 접속되는 커넥터(1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센서(120)가 구비된 측정케이블(130)을 포함한다.
측정케이블(130)에는 예를 들면, 맥파, EEG(Electroencephalogram), EMG(Electromyography), ECG(Electrocardiograph), SpO2, NIBP(Non-Invasive Blood Pressure), IBP(Invasive Blood Pressure), EtCo2(End-tidal Co2), TENS(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CO, MultiGas, Doppler 등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120)가 구비되고, 또한 측정케이블(130)은 내시경용 케이블 또는 청진기용 등 다양한 의료용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는, 커넥터(110)에 연결된 측정케이블(130')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1 휠(140)과, 측정센서(120)에 연결된 측정케이블(130")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2 휠(1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측정케이블(130' 및 130")은 하나의 측정케이블(130)로 제 1 휠(140)에 감겨 커넥터(110)에 연결되는 부분은 측정케이블(130')이고, 제 2 휠(140')에 감겨 측정센서(120)에 연결되는 부분이 측정케이블(130")이다.
제 1 휠(140)에는 측정케이블(130')이 풀리는 정방향 즉, 제 1 인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제 1 탄성부(160)가 중앙에 장착된다. 제 1 탄성부(160)는 제 1 휠(1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태엽스프링 혹은 판 스프링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는 제 1 휠(1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 1 홀딩부(170)와 제 1 휠(140)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제 1 해정부(1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홀딩부(170)의 동작에 의해 제 1 휠(140)의 회전이 제한되어 제 1 인출구(150)를 통해 인출된 측정케이블(130')이 고정되고, 제 1 해정부(180)의 동작에 의해 제 1 휠(140)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제 1 휠(140)은 제 1 탄성부(160)의 복원력 의해 측정케이블(130')이 풀리는 반대 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측정케이블(130')이 제 1 휠(140)에 자동으로 감겨진다.
제 1 홀딩부(170) 및 제 1 해정부(180)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의 외측에 버튼 형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 2 휠(140')에는 동일하게, 측정케이블(130")이 풀리는 정방향 즉, 제 2 인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제 2 탄성부(160')가 중앙에 장착된다. 제 2 탄성부(160')도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는 제 2 휠(1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 2 홀딩부(170')와 제 2 휠(140')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제 2 해정부(180')가 구비된다. 또한, 제 2 휠(140')은 제 1 휠(140)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여 동작 또한 동일하게 구동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는 제 1 인출구(150) 및 제 2 인출구(150')를 통해 측정케이블(130', 130")이 각각 인출되기 때문에, 측정케이블(130)을 의료장비(20)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나 혹은 보관시에도 측정케이블(130)의 인출 길이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의 한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210)이 형성되고, 고정 홈(210)이 형성된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는 고정 홈(210)의 수와 동일하게 고정 핀(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의 고정 핀(210)을 다른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 핀을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의 고정 홈(210)에 끼움으로써 여러 개의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고정한다. 이 고정 핀(2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 핀(220)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의 내부에 보관하고, 사용시에만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있어서, 인출된 측정케이블을 되감는 경우, 탄성부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도록 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수동으로 감는 방식을 채용하여도 괜찮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핀(220)을 고정 홈(210)에 끼워 고정결합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100-1 내지 100-n)를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장비(20)에 측에 연결된 다수의 측정케이블이 적층 결합된 각각의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의해 유지되고,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측의 측정케이블만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내부로 감겨진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측정케이블이 서로 엉키거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측에 측정센서가 일체로 장착 고정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측정케이블(301)의 일단은 의료장비에 접속되는 커넥터(302)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303)가 장착되어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300)의 일측에 이 측정센서(303)가 고정된다.
이러한 측정케이블(301)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300)는, 인출구(304)를 통해 커넥터(302) 측에 연결된 측정케이블(301)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가능한 휠(305)이 구비된다.
휠(305)에는 이 휠(305)에 감겨진 측정케이블(301)이 풀리는 방향(정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306)가 장착된다. 탄성부(306)는 휠(305)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태엽스프링 혹은 판 스프링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300)는 휠(305)의 회전을 제한하는 홀딩부(307)와 휠(305)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해정부(308)가 구비된다. 따라서, 홀딩부(307)와 해정부(308)의 동작에 의한 휠(305)의 구동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300)의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309)이 형성되고, 고정 홈(309)이 형성된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는 고정 핀(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300)의 고정 핀(310)을 다른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 핀을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300)의 고정 홈(309)에 끼움으로써 여러 개의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고정하여 보관하고, 사용 시 필요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측정케이블만 인출하여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구비된 측정센서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사용 후 다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내부로 감겨진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기기(20)에 연결된 각각의 측정케이블이 서로 엉키거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케이블(401)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402)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측정센서(402)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를 생체신호정보로서 수신하는 생체신호처리모듈(403)이 구비된다.
생체신호처리모듈(403)은 수신한 생체신호정보를 무선통신모듈(404)로 전송하고, 무선통신모듈(404)은 전송받은 생체신호정보를 외부의 의료기기에 도시하지 않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이러한 생체신호처리모듈(403) 및 무선통신모듈(404)은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의 내부에 장착된다.
측정센서(402)와 연결되는 측정케이블(401)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는, 인출구(405)를 통해 측정케이블(401)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가능한 휠(406)이 구비된다.
휠(406)에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407)가 장착되고,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의 외측에는 휠(40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홀딩부(408) 및 휠(406)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해정부(409)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부(407), 홀딩부(408) 및 해정부(409)의 동작에 의한 휠(406)의 구동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의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410)이 형성되고 고정 홈(410)이 형성된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는 고정 핀(411)이 형성되어,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의 고정 핀(411)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의 고정 홈(410)에 끼움으로써 적층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400)에 장착된 무선통신모듈(405)은 의료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만, 원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고, 또 별도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의료기기에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110 : 커넥터
120 : 측정센서 130 : 측정케이블
140(140') : 제 1 휠(제 2 휠) 150(150') : 제 1 인출구(제 2 인출구)
160(160') : 제 1 탄성부(제 2 탄성부)
170(170') : 제 1 홀딩부(제 2 홀딩부)
180(180') : 제 1 해정부(제 2 해정부)
210 : 고정 홈 220 : 고정 핀

Claims (13)

  1. 일단이 의료장비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측정케이블; 및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1 휠;
    상기 측정센서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제 2 휠;
    상기 제 1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제 1 인출구 및 상기 제 2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제 2 인출구; 및
    상기 제 1 휠 및 상기 제 2 휠의 회전을 각각 제한하는 제 1 홀딩부 및 제 2 홀딩부;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핀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휠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제 1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휠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딩부에 의한 상기 제 1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제 1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제 1 휠은 상기 제 1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딩부에 의한 상기 제 2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제 2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제 2 휠은 상기 제 2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7. 일단이 의료장비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된 측정케이블; 및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휠;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홀딩부;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상기 고정 핀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결합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일측에는 측정센서가 장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휠에 구비되어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에 의한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휠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11. 측정케이블의 일단에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측정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생체신호처리모듈;
    상기 생체신호처리모듈에 수신된 생체신호를 전송받아 외부의 의료장비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생체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서 보관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는,
    상기 측정센서에 연결된 상기 측정케이블을 감는 회전가능한 휠;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홀딩부;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한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상기 고정 핀을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우거나, 다른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에 형성된 고정 핀을 상기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의 고정 홈에 끼움으로써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에 구비되어 상기 휠에 감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에 의한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을 해정하는 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의 회전 제한이 해정되면, 상기 휠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측정케이블이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된 상기 측정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KR2020110001234U 2011-02-14 2011-02-14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KR200462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34U KR200462285Y1 (ko) 2011-02-14 2011-02-14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34U KR200462285Y1 (ko) 2011-02-14 2011-02-14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10U KR20120005910U (ko) 2012-08-22
KR200462285Y1 true KR200462285Y1 (ko) 2012-09-04

Family

ID=4707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234U KR200462285Y1 (ko) 2011-02-14 2011-02-14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6864A1 (en) * 2015-09-03 2017-03-09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and/or power
KR102310255B1 (ko) * 2020-03-05 2021-10-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감김 장치를 이용한 선 꼬임 방지 기능이 있는 심전도 측정 장치 및 심전도 측정 시스템
WO2021177770A1 (ko) * 2020-03-05 2021-09-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전도 측정 장치 및 심전도 측정 방법
KR102310256B1 (ko) * 2020-03-05 2021-10-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선 꼬임이 없는 심전도 측정 장치 및 심전도 측정 시스템
KR200494651Y1 (ko) * 2021-05-21 2021-11-22 라이트하우스(주) 뇌파 분석기 수납이 용이한 헤드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664Y1 (ko) 1999-12-01 2000-12-15 주식회사옌트 전기 및 에어겸용 자동 릴
KR200263900Y1 (ko) 2001-07-27 2002-02-19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코드릴 자동스톱 감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664Y1 (ko) 1999-12-01 2000-12-15 주식회사옌트 전기 및 에어겸용 자동 릴
KR200263900Y1 (ko) 2001-07-27 2002-02-19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코드릴 자동스톱 감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10U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2564A1 (en) Head Harness & Wireless EEG Monitoring System
KR200462285Y1 (ko)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적층형 케이블 자동감김 관리장치
US11043302B2 (en) Common display unit for a plurality of cableless medical sensors
US7387607B2 (en) Wireless medical sensor system
CA2886858C (en) Wearable cardiac monitor
US20130116520A1 (en) Single and multi node, semi-disposable wearable medical electronic patches for bio-signal monitoring and robust feature extraction
US8731632B1 (en) Electrocardiogram device
JP6125019B2 (ja) 電極パッドセット
US20110270100A1 (en) Ecg leads system for newborn ecg screening
US8626261B2 (en) Electrode for a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a bio-signal
WO2010129026A3 (en) Eeg kit
JP2019048035A (ja) 携帯用心電計
CN110074777A (zh) 一种便携式心电监测装置
Naima et al. The berkeley tricorder: Ambulatory health monitoring
US10357171B2 (en) Adjustable ECG sensor and related method
US20190159731A1 (en) Tattoo biosensor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CN209285510U (zh) 一种微型生理状况监测装置
CN102151133B (zh) 便携呼吸肌电采集装置
WO2007018419A2 (en) Device f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ignals of an object
CN203424929U (zh) 一种改进的心电图机
CN112089441A (zh) 一种无线胎心监护设备
US11730412B2 (en) EKG monitor and cable management system
CN111683715A (zh) 穿戴式生理数据监测装置及生理数据监测系统
US20220354409A1 (en) EKG Monitor and Cable Management System
CN214342627U (zh) 一种监护仪导线轻便收纳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