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155Y1 -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155Y1
KR200462155Y1 KR2020120002112U KR20120002112U KR200462155Y1 KR 200462155 Y1 KR200462155 Y1 KR 200462155Y1 KR 2020120002112 U KR2020120002112 U KR 2020120002112U KR 20120002112 U KR20120002112 U KR 20120002112U KR 200462155 Y1 KR200462155 Y1 KR 200462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ank
treatment tank
screw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환
Original Assignee
주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환 filed Critical 주정환
Priority to KR2020120002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1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3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having means for adding powder, e.g.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using drying or composting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 형태의 화장실 박스(B)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몸체(10)와; 변기몸체(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변기몸체(10)에서 공급되는 용변 및 외부에서 투입되는 톱밥이 저장되는 처리탱크(20)와; 처리탱크(20)의 일부가 잠겨지는 것으로서 유체(F)가 채워지는 저수탱크(30)와; 저수탱크(30)에 설치되어 유체(F)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40)와; 구동부(M)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처리탱크(2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60)와; 회전축부(6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대(7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띠 형태의 플레이트가 스크류를 형성하는 외측이송스크류(70)와; 외측이송스크류(70)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부(60)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이송스크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A commode system for toilet}
본 고안은 이동이 가능하며 공원이나 산에 설치되는 이동식 화장실용 위생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등에는 여러개의 이동식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식 화장실에는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변기의 하부측에는 용변이 저장되는 용변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변기와 용변저장탱크 사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용변은 구멍을 통하여 떨어져 용변저장탱크로 저장된다.
그런데 상기한 이동식 화장실의 경우, 용변저장탱크에 저장된 용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구멍을 통하여 빠져나오므로 용변을 보는 사람은 심한 악취에 고통을 받게 되었으며, 특히 여름과 같이 더운 계절에는 악취가 더욱 심해져 용변을 보기가 어려웠다.
또한 구멍을 통하여 분뇨가 보이고, 구멍 주위로 용변이 묻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매우 비위생적이고 비위가 약한 사람은 더더욱 용변을 보기가 어려웠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물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서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변을 톱밥과 교반시키고 미생물 분해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퇴비로 재활용할 수 있는 유기비료를 생산하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은, 박스 형태의 화장실 박스(B)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몸체(10); 상기 변기몸체(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기몸체(10)에서 공급되는 용변 및 외부에서 투입되는 톱밥이 저장되는 처리탱크(20); 상기 처리탱크(20)의 일부가 잠겨지는 것으로서 유체(F)가 채워지는 저수탱크(30); 상기 저수탱크(3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F)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40); 구동부(M)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처리탱크(2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60); 상기 회전축부(6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대(7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띠 형태의 플레이트가 스크류를 형성하는 외측이송스크류(70); 및 상기 외측이송스크류(70)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부(60)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이송스크류(80);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탱크(20)는, 상기 처리탱크(2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처리탱크(20)에서 상기 용변 및 톱밥이 교반되어 비료화된 유기비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21)는 상기 회전축부(60)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20) 및 저수탱크(30)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층(50)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변기몸체(10)와 처리탱크(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91)를 가지는 롤러컨베이어(9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롤러컨베이어(90)는, 상기 변기몸체(10)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91)의 양단 축부(9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92)과, 상기 각각의 롤러(91)의 축부(9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스프라킷(93)과, 상기 브라켓(92)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스프라킷(94)이 설치된 모터(95)와, 상기 제1스프라킷(93)과 제2스프라킷(94)을 연결하는 체인(96)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히터(40)는, 상기 유체(F) 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상기 처리탱크(2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삭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5)는 상기 외측이송스크류(70)에서 인가되는 교반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이송스크류(80)에 연결된다.
본원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에 따르면, 용변 및 톱밥이 저장된 처리탱크를 저수탱크 내의 유체에 일부 담겨지게 하고, 유체를 히터가 가열하여 히터의 열을 유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처리탱크로 전달하므로, 결국 유체와 접촉된 처리탱크 면이 고르게 가온되어 최적의 미생물 분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에 지지되는 외측이송스크류와, 외측이송스크류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용변 및 톱밥은 처리탱크 내에서 효과적으로 교반된다. 이에 따라 용변의 미생물 분해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용변을 톱밥과 교반된 후 미생물 분해과정을 거쳐 고품질의 유기비료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롤러로 구성되는 롤러컨베이어에 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변을 처리탱크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면서도 분뇨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배출구에 의하여 용변 또는 분뇨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기되므로 용변자가 악취에 의하여 고통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물을 사용하여 롤러의 표면에 용변이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정면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처리탱크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평면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1의 롤러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롤러에 의하여 용변이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변기시스템에 있어서 간헐물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처리탱크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은, 박스 형태의 화장실 박스(B)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몸체(10)와; 변기몸체(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변기몸체(10)에서 공급되는 용변 및 외부에서 투입되는 톱밥이 저장되는 처리탱크(20)와; 처리탱크(20)의 일부가 잠겨지는 것으로서 유체(F), 바람직하게는 물이 채워지는 저수탱크(30)와; 저수탱크(30)에 설치되어 유체(F)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40)와; 처리탱크(20) 및 저수탱크(30)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층(50)과; 구동부(M)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처리탱크(2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60)와; 회전축부(6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대(7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띠 형태의 플레이트가 스크류를 형성하는 외측이송스크류(70)와; 외측이송스크류(70)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부(60)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이송스크류(80)와; 변기몸체(10)와 처리탱크(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91)를 가지는 롤러컨베이어(90)와; 화장실 박스(B) 내부로 용변자가 들어왔을 때 그 용변자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100)와; 감지신호에 연동되어 히터(40), 구동부(M) 및 롤러베이어(9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10)와; 변기몸체(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악취를 화장실 박스(B)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부(120)와; 변기몸체(10) 내부로 간헐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간헐물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부(M)는 모터와 감속기어로 구성된다.
변기몸체(10)는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서양식 변기(좌변식 변기)의 몸체나, 쪼그려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동양식 변기의 몸체로 구현된다.
처리탱크(20)는 롤러컨베이어(90)로부터 이송된 용변이 저장되는 곳으로서, 스테인레스등의 내부식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은 곡면 형태를 이룬다.
처리탱크(20)의 전방측에는 그 처리탱크(20)에서 용변 및 톱밥이 교반되어 비료화된 유기비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1)가 설치된다. 배출부(21)는 회전축부(60)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처리탱크(20)에서 교반되는 용변 및 톱밥은 3~4개월이 경과하면 미생불 분해에 의하여 유기비료가 되는데, 이러한 유기비료는 회전축부(60)와 대향된 배출부(21)를 열었을 때 외측이송스크류(70) 및 내측이송스크류(80)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처리탱크(20)에서 유기비료를 퍼내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처리탱크(20)의 상부측에는 톱밥을 투입하기 위한 톱밥투입구(22)가 설치된다. 이때 톱밥투입구(22)에는 투명한 유리나 수지계열의 윈도우(23)가 설치되며, 윈도우(23)를 통하여 처리탱크(20) 내부를 관찰할 수 있어 용변과 톱밥이 유기 비료화된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수탱크(30)는, 처리탱크(20)를 고른 온도로 가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처리탱크(20)가 잠겨지는 유체(F), 바람직하게는 물이 채워져 있다.
히터(40)는 저수탱크(30) 내부의 물을 가온시킴으로써 처리탱크(20) 내에서의 미생물 분해환경을 최적화하고 용변 내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때 히터(40)는 유체(F) 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처리탱크(2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따라서 히터(40)의 열은 처리탱크(20)로 곧바로 전달되지 않고 유체(F)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처리탱크(20)로 전달된다. 이때 유체(F)는 고르게 가온된 상태이므로, 유체(F)와 접한 처리탱크(20)의 면을 통하여 열이 고르게 전달되고, 따라서 처리탱크(20) 내에서 고른 미생물 분해환경을 조성한다.
만약 히터(40)를 처리탱크(20)에 직접 부착되도록 설치할 경우, 히터(40)와 접촉된 부분은 과도하게 가열되고, 반대로 히터(40)에서 멀어지는 부분은 가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처리탱크(20) 내에서 히터(40)와 근접된 위치는 너무 과열되어 미생물 분해환경이 열악해지고, 또한 히터(40)와 멀어진 위치 역시 온도가 낮기 때문에 미생물 분해환경이 열악해진다.
이와 같이 히터(40)는 저수탱크(30)의 유체(F) 내에 담겨져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과열되지 않고 화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이동식 화장실은 공원이나 산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재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기술은 산불 예방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단열층(50)은 처리탱크(20) 내에서 용변 및 톱밥이 교반되는 환경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하고, 저수탱크(30) 내에서 유체(F)가 일정한 온도로 가온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외부의 온도조건에 상관없이 미생물 분해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히터(40)를 가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외측이송스크류(70)는 용변과 톱밥을 교반하면서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내측이송스크류(70)는 외측이송스크류(70)의 내측에서 용변과 톱밥을 교반하면서 반대측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즉, 외측이송스크류(70)는 회전축부(6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대(75)에 설치되는 띠 플레이트가 스크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처리탱크(20) 내의 가장자리 측에서 용변 및 톱밥을 일측 방향으로 교반 이송시키고, 내측이송스크류(80)는 외측이송스크류(70) 내측에서 회전축부(60)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변 및 톱밥을 외측이송스크류(70)의 내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교반 이송시킨다. 따라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 및 톱밥은 회전축부(60)를 기준으로 근접된 부분과 멀어지는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순환하고, 이 과정에서 용변 및 톱밥은 더욱 효과적으로 교반된다.
한편 지지대(75)는 내측이송스크류(8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외측이송스크류(70)는 회전축부(60)를 기준으로 큰 반경을 이루며 위치되기 때문에, 용변과 톱밥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큰 교반력이 인가되고, 교반력은 지지대(75)에 직접 전달되어 그 지지대(75)를 변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지지대(75)는 내측이송스크류(70)에 연결되기 때문에, 외측이송스크류(70)에 의하여 인가되는 교반력에도 불구하고 변형되지 않고 외측이송스크류(70)를 지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롤러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롤러에 의하여 용변이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롤러컨베이어(90)는 변기몸체(10)와 처리탱크(20) 사이에 설치되어 용변자로부터 배설된 용변(C)을 처리탱크(20)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롤러컨베이어(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몸체(10)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롤러(91)의 양단 축부(9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92)과, 각각의 롤러(91)의 축부(9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스프라킷(93)과, 브라켓(92)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스프라킷(94)이 설치된 모터(95)와, 제1스프라킷(93)과 제2스프라킷(94)을 연결하는 체인(9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95)의 회전력은 체인(96) 및 제1,2스프라킷(93)(94)을 통하여 롤러(91)로 전달되고, 다수의 롤러(91)는 용변을 변기몸체(10) 후방측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일방향 회전된다. 이러한 롤러(91)는 처리탱크(20)와 연결되는 투입구(미도시)를 막게 되므로, 용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액상의 소변과 겔 또는 졸상의 대변으로 이루어진 용변이 다수의 롤러(91)에 의하여 이송되기 위하여, 용변은 다수의 롤러(91) 사이로 새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롤러(91)는 0.005~0.1mm 내외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은 용변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롤러컨베이어(90)의 구조에 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91) 상부로 떨어진 용변에 함유된 수분은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91)의 표면에는 얇은 막을 형성하고, 얇은 막은 롤러(91)와 다른 롤러 사이의 틈새를 막게 되어 결과적으로 용변이 롤러(91)들 사이로 새지 않는다. 또한 얇은 막은 용변이 롤러(91)에 거의 묻지 않게 함으로써, 용변(C)을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센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박스(B) 내부에 설치되어 용변을 보기 위하여 들어온 사람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감지신호는 콘트롤러(110)로 전송되어 롤러컨베이어(90)를 작동시키는 신호가 된다.
콘트롤러(110)는, 감지신호에 연동되어 히터(40), 구동부(M) 및 롤러베이어(90)를 제어한다. 또한 콘트롤러(110)는 후술할 악취배출부(120)의 공기배출용팬(122) 및/또는 후술할 간헐물공급부의 밸브(133)의 작동을 제어하며,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용변자가 화장실 박스(B)로 들어올 때, 센서(100)는 용변자를 감지하여 발생하는 감지신호를 콘트롤러(110)로 전송하고, 이 경우 콘트롤러(110)는 롤러컨베이어(90)의 롤러(9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외측이송스크류(70) 및 내측이송스크류(80)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용변자가 용변을 보면 용변은 롤러컨베이어(90)에 이송된후 처리탱크(20)로 투입되고, 투입된 용변은 회전되는 외측이송스크류(70) 및 내측이송스크류(80)에 의하여 교반된다.
또는 콘트롤러(110)를 수동모드로 설정할 경우, 관리자는 콘트롤러(110)를 조작하여 롤러컨베이어(90) 및/또는 구동부(M) 및/또는 공기배출용팬(122) 및/또는 후술할 간헐물공급부의 밸브(133)를 수동으로 제어한다.
악취배출부(120)는 용변 도중 발생되는 악취나, 처리탱크(20)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화장실 박스(B)의 배출시킴으로써, 화장실 박스(B)의 내부에 악취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악취배출부(120)는 변기몸체(10) 내부와 연결되어 화장실 박스(B)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관(121)과, 배관(121)에 연결되는 공기배출용팬(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배출용팬(122)의 동작은 콘트롤러(110)에 의하여 제어되지만, 공기배출용팬(122)을 항상 작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악취배출부(120)의 구조에 의하여, 공기배출용팬(122)이 작동되면 배관(121)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변기몸체(10) 및 처리탱크(20)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강제로 외부로 배기시키고, 이에 따라 화장실 박스(B) 내에서 악취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변기시스템에 있어서 간헐물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간헐물공급부(130)는, 롤러컨베이어(90)를 좀 더 청결하게 유지하가 위하여 간헐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간헐물공급부(130)는, 화장실 박스(B)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131)와, 물탱크(131)와 변기몸체(10)의 내부를 연결하는 급수라인(132)과, 급수라인(132)에 설치되는 밸브(133)를 포함한다. 이때 밸브(133)는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헐물공급부(130)의 구조에 의하여, 콘트롤러(110)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밸브(133)를 개방하거나, 센서(100)에서 감지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콘트롤러(110)가 밸브(133)를 개방하여 물탱크(131)에 저장된 물이 롤러(91)의 상부로 공급되게 한다. 그러면 물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롤러(91)의 표면에 묻어 있는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변기몸체 20 ... 처리탱크
21 ... 배출부 22 ... 톱밥투입구
23 ... 윈도우 30 ... 저수탱크
40 ... 히터 50 ... 단열층
60 ... 회전축부 70 ... 외측이송스크류
75 ... 지지대 80 ... 내측이송스크류
90 ... 롤러컨베이어 91 ... 롤러
92 ... 브라켓 93 ... 제1스프라킷
94 ... 제2스프라킷 95 ... 모터
96 ... 체인 100 ... 센서
110 ... 콘트롤러 120 ... 악취배출부
121 ... 배관 122 ... 공기배출용팬
130 ... 간헐물공급부 131 ... 물탱크
132 ... 급수라인 133 ... 밸브

Claims (7)

  1. 박스 형태의 화장실 박스(B)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용변을 보기 위한 변기몸체(10);
    상기 변기몸체(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기몸체(10)에서 공급되는 용변 및 외부에서 투입되는 톱밥이 저장되는 처리탱크(20);
    상기 처리탱크(20)의 일부가 잠겨지는 것으로서 유체(F)가 채워지는 저수탱크(30);
    상기 저수탱크(3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F)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40);
    구동부(M)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처리탱크(2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부(60);
    상기 회전축부(6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대(7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띠 형태의 플레이트가 스크류를 형성하는 외측이송스크류(70); 및
    상기 외측이송스크류(70)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부(60)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이송스크류(80);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탱크(20)는, 상기 처리탱크(2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처리탱크(20)에서 상기 용변 및 톱밥이 교반되어 비료화된 유기비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21)는 상기 회전축부(60)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20) 및 저수탱크(30)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층(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몸체(10)와 처리탱크(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91)를 가지는 롤러컨베이어(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컨베이어(90)는,
    상기 변기몸체(10)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91)의 양단 축부(9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92)과, 상기 각각의 롤러(91)의 축부(9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스프라킷(93)과, 상기 브라켓(92)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스프라킷(94)이 설치된 모터(95)와, 상기 제1스프라킷(93)과 제2스프라킷(94)을 연결하는 체인(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40)는,
    상기 유체(F) 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상기 처리탱크(2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5)는 상기 외측이송스크류(70)에서 인가되는 교반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이송스크류(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KR2020120002112U 2012-03-16 2012-03-16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KR200462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12U KR200462155Y1 (ko) 2012-03-16 2012-03-16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12U KR200462155Y1 (ko) 2012-03-16 2012-03-16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155Y1 true KR200462155Y1 (ko) 2012-08-28

Family

ID=4707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12U KR200462155Y1 (ko) 2012-03-16 2012-03-16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1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99Y1 (ko) 2014-08-18 2014-11-05 정동훈 재래식 화장실
CN104803715A (zh) * 2015-04-30 2015-07-29 张顺成 粪便制肥还田系统
CN110801171A (zh) * 2019-11-29 2020-02-18 中国农业大学 一种无动力下沉式微生物生态厕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877A (ja) 1998-07-10 2000-01-25 Michiyoshi Suzuki 糞尿処理装置
JP2000246211A (ja) 1999-02-25 2000-09-12 Seiwa Denko Kk 廃棄有機物の分解処理装置
JP2001346716A (ja) 2000-06-09 2001-12-18 Toujiyou Gas Kk 簡易トイレ
JP2005143718A (ja) 2003-11-13 2005-06-09 Inax Corp 屎尿分離便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877A (ja) 1998-07-10 2000-01-25 Michiyoshi Suzuki 糞尿処理装置
JP2000246211A (ja) 1999-02-25 2000-09-12 Seiwa Denko Kk 廃棄有機物の分解処理装置
JP2001346716A (ja) 2000-06-09 2001-12-18 Toujiyou Gas Kk 簡易トイレ
JP2005143718A (ja) 2003-11-13 2005-06-09 Inax Corp 屎尿分離便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99Y1 (ko) 2014-08-18 2014-11-05 정동훈 재래식 화장실
CN104803715A (zh) * 2015-04-30 2015-07-29 张顺成 粪便制肥还田系统
CN110801171A (zh) * 2019-11-29 2020-02-18 中国农业大学 一种无动力下沉式微生物生态厕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KR100966309B1 (ko) 분뇨 처리 시스템을 갖춘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200462155Y1 (ko)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US20140137318A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and method of use
EP1784372A1 (en) A device for manufacturing organic compost from excrement
WO2012169280A1 (ja) トイレ設備
KR100970233B1 (ko) 유기물 소멸처리기
KR20110067879A (ko) 정제코팅기의 오염 방지 장치
KR20170053182A (ko) 스크류를 이용한 자원순환형 화장실
KR200420931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KR100736321B1 (ko) 보온물탱크 및 위생급수기를 갖는 축사 설치용 자동급수시설
KR970073760A (ko) 음식물 스레기의 소멸화 장치
KR101189992B1 (ko)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시스템
CN210961743U (zh) 一种环保无水厕所
KR200461942Y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KR100632428B1 (ko) 소독약 투입기용 수조 회동장치
KR101471908B1 (ko) 배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49798B1 (ko) 음식물의 별도처리가 가능한 공동주택의 배수설비구조
JP3798097B2 (ja) 微生物分解形水洗便所
JP2001121122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ES2768898T3 (es) Dispositivo, procedimiento y sistema de trituración y desecho de residuos
JP2009254991A (ja) 糞尿処理残渣の乾燥処理装置
JP3728229B2 (ja) 微生物循環式生ゴミ処理機
WO2004014576A1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2346337A (ja) 脱臭装置及び生ごみ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