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72Y1 -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 Google Patents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72Y1
KR200461972Y1 KR2020100003394U KR20100003394U KR200461972Y1 KR 200461972 Y1 KR200461972 Y1 KR 200461972Y1 KR 2020100003394 U KR2020100003394 U KR 2020100003394U KR 20100003394 U KR20100003394 U KR 20100003394U KR 200461972 Y1 KR200461972 Y1 KR 200461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oklet
spring wire
front cov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556U (ko
Inventor
김애현
Original Assignee
김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애현 filed Critical 김애현
Priority to KR2020100003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7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5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1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tools for inserting sheets, e.g. labels into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8Perforations or slots that can cooperate with filing means as claws, ring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 와이어로 철해진 책자류에 있어서, 뒷표지와 스프링 와이어 그리고 앞표지를 함께 감싸도록 커버지를 씌우되, 상기 커버지의 일단은 뒷표지에 연결 고정하고 타단은 앞표지를 자유단 상태로 감싸는 한편, 상기 스프링 와이어를 감싸는 뒷표지 쪽의 커버지 기단부에는 접힘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관상은 물론,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시나 보관시의 기능성과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킨 책자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Books that cover spring-wire}
본 고안은 트윈링(Twin ring) 등과 같은 스프링 와이어(Spring wire)에 의해 철해지는 필기노트나 수첩, 서적류를 커버지로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책자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윈링 등과 같은 스프링 와이어에 의해 철해진 종래의 필기노트, 수첩 또는 서적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면이나 책자면등으로 기능하는 내지면(10)들을 앞표지(20)와 뒷표지(30)로 덮어 이들의 일측단부를 함께 관통하는 일련의 스프링 와이어(40)로 끼워 철하는 방식의 구조로 되어 있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보기 싫은 단점이 있다.
즉, 이런 류의 제품은 일측변이 완전히 바인딩된 책자류와는 달리 앞표지(20)와 뒷표지(30)를 관통하는 구멍에 스프링 와이어(40)가 끼워진 상태로 철해진 것이어서 기본적으로 책자류의 앞면, 뒷면 및 책등부분에서 스프링 와이어(40)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책자류를 책꽂이에 꽂아 놓았을 때 스프링 와이어(40)로 철해진 책등부분은 앞표지(20)와 뒷표지(30), 내지면(10)들이 구멍을 관통하는 스프링 와이어(40)에 의해 철해진 모습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게 되어 책자류 자체의 외관은 물론 서재의 외관까지 흉하게 보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책자류는 가방에 넣고 다닐 때나 책꽂이에 인접하여 꽂혀 있을 때 스프링 와이어끼리 서로 뒤엉키기도 할 뿐만 아니라 기존 책자류에서와 같이 책등부분에 제목을 인쇄할 수가 없어 일일이 꺼내어 책자류를 확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앞표지(20)와 뒷표지(30)를 일체가 되게 하여 책등부분에 제목을 인쇄하고 스프링 와이어(40)를 뒷표지(30)에만 관통시켜 철한 책자류도 있으나 스프링 와이어(40)가 후면으로 일부 노출됨은 물론 앞표지 부분이 들뜨고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스프링 와이어(40)의 노출부분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앞표지(20)와 뒷표지(30)가 일체로 된 상태에서 책등부분에만 스프링 와이어(40)를 관통시켜 철한 다이어리와 같은 책자류도 있으나, 책등부분에 제목을 인쇄할 수가 없고 스프링 와이어가 책등부분에 일부 노출되어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않은 단점이 남아 있었다.
스프링 와이어(40)의 노출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하여 책등 안쪽부분에 스프링 와이어를 잡아주기 위한 바인딩 기구를 설치한 책자류도 있으나 (실용신안 제 0386025호, 의장등록 제 0394786호) 이러한 기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책자류가 가죽이나 두꺼운 판지와 같은 견고한 구조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스프링 와이어(40) 부분만을 커버로 둘러싸고 그 양끝을 앞표지(20)와 뒷표지(30)에 일체로 부착시킨 구조도 있으나 책자류를 펼 때 스프링 와이어(40)를 둘러싼 커버부분이 들뜨거나 우그러져 사용시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단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 외에도 스프링 책자류의 가장 큰 장점이 360°펼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여러 경우에는 360°펼칠 수가 없어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이런 류의 제품들은 상대적으로 크게 뚫린 구멍에 가느다란 스프링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로 철해진 것이어서 각 내지면(10)들이 지면의 전후좌우 및 상하 모든 방향으로 쉽게 움직이게 되어 제품으로서의 안정감이 결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프링 책자류를 커버지로 감싸서 기능적으로 보다 안정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외관상은 물론,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시나 보관시의 기능성과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킨 책자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의 책자류는, 뒷표지와 스프링 와이어 그리고 앞표지를 함께 감싸도록 커버지를 씌우되, 상기 커버지의 일측을 뒷표지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하고, 상기 커버지의 타단 앞표지를 자유단 상태로 감싸는 한편, 상기 스프링 와이어를 감싸는 뒷표지 쪽의 커버지 기단부에는 책등 접힘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표지의 내면에 포켓을 설치하고, 상기 커버지의 타단을 상기 포켓 내에 삽입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뒷표지를 감싸는 커버지의 외단부에 날개면을 일체로 연장시켜 내지면의 자유단까지 감싸도록 구성하고 날개면에는 날개면 접힘선이 형성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의 책자류는 커버지가 스프링 와이어를 포함해서 책자류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으므로 책자류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책꽂이에 꽂을 때 스프링 책자류간에 뒤엉킴이 없어지고 책등에 책의 제목을 인쇄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디자인도 가능하여 더욱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책자류는 커버지가 뒷표지의 일단부에만 부착, 고정되어 있고 앞표지 부위는 자유단 상태로 되어 있어 책자류를 펼치거나 덮을 때 커버지가 앞표지에서 자유롭게 진퇴하므로 종래의 제품에서와 같이 들뜨거나 우그러들지 않게되며 특히 뒷표지 쪽의 커버지 기단부에는 책등 접힘선(Notch)이 형성되어 있어 360°까지도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커버지의 자유단이 앞표지의 포켓 내에 삽입되어 있어 책자를 여닫을 시에 안정성이 더욱 강화된다.
또한, 날개면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내지면의 자유단 까지도 감싸지게 되므로 스프링 책자류의 기본적 약점인 내지면의 전후좌우 및 상하 모든 방향으로의 헐거운 상태를 잡아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스프링 와이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책등 안쪽에 설치되는 바인딩 기구도 필요가 없어 결과적으로 책자류의 견고한 구조도 요구되지 않아 저렴한 책자류의 제공이 가능해 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책자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책자류가 덮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책자류의 앞표지가 펼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책자류의 앞표지가 펼쳐있는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책자류가 갖고 있는 뒷표지와 커버지의 결합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책자류가 갖고 있는 뒷표지와 날개면이 있는 커버지의 결합 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책자류가 270°펼쳐 있는 상태의 정면도 및 일부 절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책자류가 덮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책자류의 앞표지가 펼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책자류는 종래의 스프링 책자류와 같이 앞표지(20)와 뒷표지(30), 내지면(10)들의 일측 변이 하나의 스프링 와이어(40)에 의해 각각 철해져 있으며 뒷표지(30)와 스프링와이어(40), 그리고 앞표지(20)를 함께 감싸도록 커버지(50)가 씌워져 있다. 앞표지(20)는 상부와 하부가 막혀 있으며 좌측면과 우측면이 열려있는 포켓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커버지(50)의 일단은 뒷표지(30)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앞표지(20)를 자유단 상태로 감싸며 끝부분이 포켓(21) 내에 끼워져 있게 된다(도 7 참조).
도 4는 상기 커버지(50)의 타단이 앞표지(20)를 자유단 상태로 감싸며 끝부분이 앞표지(20)의 내면에 놓여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커버지(50)의 자유단 끝부분은 앞표지(20)의 내면이나 포켓(21) 내에 끼워져 있게 된다.
도 4에서 보인 응용예는 앞표지(20)의 내면과 외면을 감싸고 있는 커버지(50)를 책자의 상부와 하부 부분에서 서로 일체화시키고 그 내부를 앞표지(20)가 자유롭게 진퇴되도록 변경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책자류는 커버지(50)가 뒷표지(3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고, 이어서 스프링 와이어(40)와 앞표지(20)를 둘러싸 스프링 와이어(4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책자류는 이와 같이 외관상으로는 종래의 일측변이 완전히 바인딩된 책자류와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와이어(40)를 감싼 책등부분(A)에는 커버지(50)에 제목 등을 인쇄할 수도 있고 책자 외부 전체를 일체로 디자인을 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B는 책자의 배면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51은 커버지(50)의 책등 접힘선을 나타낸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앞표지(20)를 감싸고 있는 커버지(50)는 그 끝부분이 앞표지(20)의 어느 부위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책자가 펼쳐있을 때나 덮여있을 때나 항상 앞표지(20)의 포켓 내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자가 덮여 있는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표지(20)를 펼칠 때에는 커버지(50)의 끝부분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커버지(50)와 이를 감싸고 있는 앞표지(20)가 서로 자유롭게 미끌어지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에도 커버지(50)의 끝부분은 포켓 내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앞표지(20)와 분리되는 일이 없으며 책자의 안정된 여닫힘이 가능하게 된다.따라서 본 고안의 책자류를 펼칠 때에 종래의 제품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와이어(40)를 감싼 책등부분(A)이 들뜨거나 우그러지는 불편이 없게 된다.
뒷표지(30)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상기 커버지(50)의 일단은 뒷표지(30)의 외면상에 위치에 관계없이 연결 고정시켜도 기능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으며 연결 고정시키는 위치에 따라 커버지(50)가 뒷표지(3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커버지(50)의 일단을 뒷표지(30)의 우측 끝부분에 연결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이경우 뒷표지(30)의 외면과 커버지(50)의 내면을 스프링 와이어(40)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만을 제외한 전체면을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책자류가 갖고 있는 뒷표지(30)와 커버지(50)를 일체화시킨 결합체의 응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책자류의 뒷표지(30)는 일측 변에 세로방향으로 스프링 와이어(40)가 관통하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그 외면에 커버지(50)가 일체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커버지(50)는 책자류를 감싸도록 가로 길이가 앞표지(20)나 뒷표지(30)의 가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와이어(40)를 감싸는 커버지(50)의 기단부에는 상기 책자류가 360°자유롭게 펼쳐질 수 있도록 세로방향의 책등 접힘선(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책자류가 갖고 있는 뒷표지(30) 결합체의 또 다른 응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책자의 배면(B)을 감싸기 위한 날개면(52)을 커버지(50)의 외단부에 일체로 연장시킨 것이다. 추가된 날개면(52)은 책자류의 배면폭과 같은 위치에 세로방향으로 날개면 접힘선(53)이 형성되어 있어 책자의 배면(B)을 감싸고자 할 때 날개면 접힘선(53)을 접어 책자류의 배면(B)을 감싸게 되며 날개면(52)의 끝부분은 앞표지(20)의 내면과 내지면(10)의 첫째쪽(11)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책자의 배면(B)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미관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뒷표지(30)와 커버지(50)의 결합체를 갖는 본 고안의 책자류의 경우 앞표지(20)에 자석편을 설치하고 자석편이 위치한 부위와 접촉하는 날개면(52)의 부위에 철편(60)을 부착하면 본 고안의 책자류는 덮어 졌을 때 그 외부 전체가 완전히 감싸지고 앞표지(20)와 뒷표지(30), 내지면(10)들과 커버지(50)를 일체로 고정시키게 되므로 지면의 흐트러짐이 없이 완벽한 안정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와이어(40)를 장착함으로써 원천적으로 발생되는 헐거운 구조가 안정감 있게 되고 스프링 와이어(40)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스프링 와이어를 장착한 책자류는 미관이 좋지 않고 헐거운 구조를 갖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책자가 360°자유롭게 펼쳐지는 장점을 갖고 있다. 스프링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종래의 책자류는 360°펼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펼치더라도 책자류가 심하게 왜곡되어 스프링 책자류의 장점을 그만큼 훼손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책자류는 미려한 외관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 360°용이하게 펼쳐지게 되어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뒷표지 결합체를 가진 본 고안의 책자류가 덮인 상태에서 270°펼쳐 있는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책자류를 360°펼치기 위하여 앞표지(20)를 포함하여 필요한 분량의 내지면(10)들을 펼치게 되면 스프링 와이어(40)를 감싸는 뒷표지(30) 쪽의 커버지(50)의 기단부에 형성한 책등 접힘선(51)이 접히면서 360°까지 자유롭게 펼쳐지게 된다. 커버지(50)의 끝부분은 앞표지(20)의 포켓(21) 내부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부드럽게 진퇴하게 되며 360°까지 책자를 펼치더라도 포켓(21) 내부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포켓(21) 내에 끼워져 있는 커버지(50)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되어 있다.
앞표지(20)나 뒷표지(30) 그리고 커버지(50)에 사용되는 재질은 종래의 바인딩된 책자나 스프링 노트의 재질과 동일하며 두껍고 딱딱한 종이나 얇은 플라스틱 필름이 도포된 종이 등과 같은 기존에 사용되는 재질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책자류는 가격이 저렴하며 외관이 미려하고 특히 사용시나 휴대시에 탁월한 기능성과 안정성을 보여주게 된다.
본 고안 책자류의 앞표지(20)나 뒷표지(30)의 두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커버지(50)의 두께와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앞표지(20)나 뒷표지(30)에 두껍고 딱딱한 종이를 사용할 경우 커버지(50)는 이보다 얇은 플라스틱 필름이 도포된 종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날개면(52)을 커버지(50)의 외단부에 일체로 연장시킬 경우 추가된 날개면(52)은 책자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커버지(50)와 동일하게 얇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뒷표지(30)와 동일하게 두껍고 딱딱한 종이와 같은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뒷표지의 날개면(52)은 그 두께가 얇고 두꺼운 것에 관계없이 책자의 배면(B)을 둘러쌀 수 있는 위치에 세로방향으로 날개면 접힘선(53)이 새겨져 있다. 또 다른 예로 얇고 유연한 앞표지(20)를 사용할 경우 뒷표지(30)와 커버지(50)는 동일한 두께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지(50)에 날개면(52)을 부착한다면 날개면도 동일한 두께의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좌측에 스프링 와이어가 장착된 경우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책자류 상단에 스프링 와이어가 장착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책자류는 종래의 스프링 책자류가 갖고 있는 단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된 일반 서적류에 적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특히 책을 읽으려 할 때 바인딩 탄성으로 인하여 책이 덮히려는 성질 때문에 항상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뿐만아니라 책장을 360°까지 완전히 젖혀서 편안하게 읽을 수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지면 11: 내지면 첫째쪽
20: 앞표지 21: 포켓
30: 뒷표지 40: 스프링 와이어
50: 커버지 51: 책등 접힘선
52: 날개면 53: 날개면 접힘선
60: 철편
A: 책등 부분 B: 내지면의 자유단

Claims (3)

  1. 내지면(10)과 앞표지(20) 및 뒷표지(30)의 일변이 스프링 와이어(40)로 철해진 책자류에 있어서,
    상기 앞표지(20)와 뒷표지(30) 및 스프링 와이어(40)를 함께 감싸도록 커버지(50)를 씌우되, 상기 커버지(50)의 일측은 상기 뒷표지(30)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하여 책등 접힘선(51)을 형성하고, 상기 앞표지(20)의 내면에는 포켓(21)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지(50)의 자유단을 상기 포켓(21) 속으로 삽입하며, 상기 뒷표지(30)에 접착된 커버지(50)의 외단부에는 날개면(52)을 일체로 연장하고 날개면 접힘선(53)을 형성하여 상기 내지면(10)의 자유단(B)을 감싸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3394U 2010-04-01 2010-04-01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KR200461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394U KR200461972Y1 (ko) 2010-04-01 2010-04-01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394U KR200461972Y1 (ko) 2010-04-01 2010-04-01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56U KR20110009556U (ko) 2011-10-07
KR200461972Y1 true KR200461972Y1 (ko) 2012-08-17

Family

ID=4559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394U KR200461972Y1 (ko) 2010-04-01 2010-04-01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01Y1 (ko) * 2012-11-07 2013-04-03 하형규 다기능 메모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602Y1 (ko) * 2005-02-17 2005-05-06 조호현 출석부
KR200400341Y1 (ko) 2005-08-08 2005-11-04 장종술 노트 및 책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602Y1 (ko) * 2005-02-17 2005-05-06 조호현 출석부
KR200400341Y1 (ko) 2005-08-08 2005-11-04 장종술 노트 및 책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56U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37295S1 (en) File folder
US8991082B2 (en) Memorabilia storage device
USD588634S1 (en) File folder with secured front cover
USD536375S1 (en) Disc mailer
KR200461972Y1 (ko) 커버구조의 스프링 책자류
RU2507077C2 (ru) Папка с переменными размерами
USD586389S1 (en) Book bag
KR100850291B1 (ko) 노트
KR20120004779U (ko) 접착식 메모지를 구비한 수첩
JP3153043U (ja) 書見台固定機能付二枚重ねファイル
WO2007069842A1 (en) Binding goods having covers for standing
JP5461067B2 (ja) ファイル
KR200318576Y1 (ko) 책표지 구조
KR200408513Y1 (ko) 앨범첩이 부착된 노트
KR200425834Y1 (ko) 다기능 책커버
KR100960132B1 (ko) 트윈링 노트의 링커버
KR200416435Y1 (ko) 달력
KR20230168861A (ko) 지퍼에 의한 커버 개폐가 용이한 책
KR20080049183A (ko) 지철구 보호덮개
KR200368456Y1 (ko) 인댁스용 스판밴드를 구비한 다이어리케이스
KR200430882Y1 (ko)
JP2022096568A (ja) 差込表紙
JP2010115915A (ja) ファイルノート
KR200396931Y1 (ko) 바인더형 방명록
KR200405864Y1 (ko) 책갈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