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86Y1 - 설비용 조립식 판넬 - Google Patents

설비용 조립식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886Y1
KR200461886Y1 KR2020100010712U KR20100010712U KR200461886Y1 KR 200461886 Y1 KR200461886 Y1 KR 200461886Y1 KR 2020100010712 U KR2020100010712 U KR 2020100010712U KR 20100010712 U KR20100010712 U KR 20100010712U KR 200461886 Y1 KR200461886 Y1 KR 200461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acility
panel body
prefabric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907U (ko
Inventor
이병화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이병화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2020100010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8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판넬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단열재(1)가 내설된 판넬본체(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 또는 양단부가 판넬본체(2)의 단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설비배관(10); 상기 설비배관(10)의 단부와 대응하는 판넬본체(2)의 단부가 국부적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판넬본체의 단부에 기초바닥 또는 천장판넬과 이격되도록 작업홈이 함몰형성됨에 따라 벽체구조물을 시공후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의 구축이 용이하고, 사용중 벽체구조물을 분리 및 절개하지 않고도 설비라인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설비용 조립식 판넬{Entrance packing adapter for equipment}
본 고안은 설비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프레임상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조립식 건물의 벽체ㆍ천장구조물을 형성하는 설비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립식 건물은 규격화된 사이즈로 제작된 판넬(예컨대, 단열, 방음, 방풍 등의 기능을 가진 판넬)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건물로서, 먼저 기초바닥공사후 골조를 시공하고, 이어서 판넬을 조립하여 벽과 지붕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벽과 지붕 구조물 시공이 완료되면 수도관, 전기배선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을 판넬 벽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바, 이때 설비라인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관상 지저분하고, 특히 수도관의 경우 유체의 이송소음이 심각하고, 특히 결로현상으로 인해 곰팡이등으로 오염되는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는 판넬을 국부적으로 절개하여 수도관, 전기배선 등을 내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판넬의 내구성 저하 및 절개부 마감처리에 따른 후공정이 수반되므로 작업성이 크게 지연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190399호에서 조립식 판넬 내부에 전기배관을 설치하고, 전기배관을 통하여 전선을 삽입시공하는 구성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기배선(예컨대, 수도배관)이 천장판넬 또는 바닥판넬을 통하여 벽체판넬의 단부로 진입되는바, 이러한 전기배선작업이 벽체판넬을 시공한 후에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배선을 벽체판넬의 전기배관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초기배선공사 및 사용중 간단한 유지보수를 요할 경우 해당 벽체판넬 또는 벽체판넬과 맞물려 연결된 천장판넬 및 바닥판넬을 분리/절개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벽체구조물을 시공후에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의 구축이 용이하고, 사용중 벽체구조물을 분리 및 절개하지 않고도 설비라인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설비용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조립식 건물의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이 시공될 위치에 미리 배치되고, 내부에 단열재(1)가 구비되는 판넬본체(2); 상기 판넬본체(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 또는 양단부가 판넬본체(2)의 단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설비배관(10); 및 상기 설비배관(10)의 단부와 대응하는 판넬본체(2)의 단부가 국부적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홈(20)은 덮개판(22)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본체(2)의 단부는 작업홈(20)이 형성된 판넬본체(2) 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프레임(30)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의 설비용 조립식 판넬은 그 폭이 통상의 건물 벽체용 조립식 판넬에 비하여 크지는 않고 설비라인이 투입될 수 있는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공장에서 단열재, 설비배관 등이 투입된 상태로 모듈화되어 생산되므로, 실제 조립식 건물의 건축 현장에서는 설비라인이 투입될 위치에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듈화되어 생산된 설비용 조립식 판넬을 배치한 후 다른 벽면용 판넬을 여기에 결합하면 되므로, 설비라인을 확립하기 위한 현장 시공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아서 시공성이 대폭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넬본체의 단부에 기초바닥 또는 천장판넬과 이격되도록 작업홈이 함몰형성됨에 따라 벽체구조물을 시공후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의 구축이 용이하고, 사용중 벽체구조물을 분리 및 절개하지 않고도 설비라인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설비패널에 의하면 수도관의 경우 수도관이 설비배관내부에설치되고 상기 설비배관은 또 단열재와 판넬본체에 의하여 커버되므로 소음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을 벽체구조물용으로 적용하여 수도관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을 벽체구조물용으로 적용하여 전기배선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판넬을 천장구조물용으로 적용하여 전기배선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설비용 조립식 판넬에 관련되며, 이때 설비용 조립식 판넬은 조립식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의 초기구축 및 사용중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단열재(1), 판넬본체(2), 설비배관(10), 작업홈(2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판넬본체(2)는 그 폭이 통상의 건물 벽체용 조립식 판넬에 비하여 크지는 않고 설비라인이 투입될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는 강재 사각형 프레임이 설치되고 그 전/후면에는 마감재가 부착될 수 있는 합판 등이 설치된 것으로, 상기 강재 사각형 프레임과 합판 내부에는 단열재(1)와, 설비배관(10) 및 작업홈(20)이 모두 구비된 상태로 공장에서 모듈화 생산된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미리 모듈화되어 생산된 설비용 조립식 판넬은 건축현장으로 옮겨져 조립식 건물의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이 시공될 위치에 미리 배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프레임을 시공 후 설비라인이 배치될 위치에 본 고안의 설비용 조립식 판넬을 먼저 시공하고 상기 설비용 조립식 판넬의 판넬본체(2)와 통상의 벽면 형성용 조립식 판넬(P)이 서로 연결되게 시공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설비배관(10)은 판넬본체(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 또는 양단부가 판넬본체(2)의 단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설비배관(10)은 휨에 따른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판넬본체(2)를 제작시 단열재(1)와 함께 내설된다.
그리고 설비배관(10)은 판넬본체(2)상에 내설된 상태로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이 투입되도록 일단 또는 양단이 판넬본체 단부로 노출되되,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설비배관(10)의 일단부가 판넬본체(2) 단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설비배관(10)은 조립식 건물의 구조 즉,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의 배치도를 고려하여 설치개수 및 설치위치, 바닥 또는 천장으로부터 연장길이가 결정되되, 도 3은 기초바닥으로 부터 투입된 수도배관이 수용되도록 설비배관(10)의 단부가 판넬본체(2)의 하단부로 노출되고, 도 4는 설비배관(10)의 단부가 판넬본체(2)의 상단부로 노출되어 천장판넬로 부터 투입되는 전기배선이 수용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4에서 수도꼭지 또는 콘센트가 설치된 위치는 커팅기에 의해 판넬본체(2)가 일부 절개되어 설치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판넬본체(10)가 벽체구조물용으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구조물용으로 적용가능하다.
또한, 작업홈(20)은 설비배관(10)의 단부와 대응하는 판넬본체(2)의 단부가 국부적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작업홈(20)은 판넬본체(2)의 단부가 국부적으로 기초바닥 또는 천장판넬과 이격되도록 함몰형성되고, 도 3 내지 도 4에서 작업홈(20)의 종단면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함몰된 형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아치형, 유선형으로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작업홈(20)에 의해 설비배관(10)의 단부와 대응하는 판넬본체(2)의 단부가 기초바닥 또는 천장판넬과 이격되어 작업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판넬본체(2)를 시공후에 기초바닥 또는 천장판넬을 통하여 설비배관(10)으로 투입되는 설비라인 구축작업이 용이하고, 또 사용중 설비라인의 점검 및 교체시 판넬본체(2)를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홈(20)을 통하여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작업홈(2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라인 구축작업이 실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판넬본체(2)의 실내측 벽면으로 개방되고, 작업홈(20)의 실내측 개방부는 덮개판(22)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감된다. 그리고 덮개판(22)은 개폐가 간편하도록 나사못, 후크와 후크홈을 포함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처럼 작업홈(20)이 덮개판(22)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설비라인을 구축후에 판넬본체(2)의 실내측 벽면이 깔끔하게 유지되고, 사용중 설비라인의 점검 및 교체시 덮개판(22)을 개방하여 작업홈(20)을 통한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된다.
또한, 상기 판넬본체(2)의 단부는 작업홈(20)이 형성된 판넬본체(2) 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프레임(30)에 의해 마감된다. 보강프레임(30)은 판넬본체(2)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연결되어 판넬본체(2)의 단부를 마감하고, 도 2처럼 작업홈(20)과 대응하는 위치가 "ㄱ"자형상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보강프레임(30)은 설비배관(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관통되고, 홀을 통하여 판넬본체(2)에 내설된 설비배관(1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처럼 "ㄱ"자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된 보강프레임(30)에 의해 판넬본체(2)의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작업홈(20)을 통하여 설비라인 구축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판넬본체(2)에 내설된 단열재의 손상이 방지된다.
10: 설비배관 20: 작업홈 30: 보강프레임

Claims (3)

  1. 조립식 건물의 전기배선, 수도관을 포함하는 설비라인이 시공될 위치에 미리 배치되고, 내부에 단열재(1)가 구비되는 판넬본체(2);
    상기 판넬본체(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 또는 양단부가 판넬본체(2)의 단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설비배관(10); 및
    상기 설비배관(10)의 단부와 대응하는 판넬본체(2)의 단부가 국부적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판넬본체(2)의 단부는 작업홈(20)이 형성된 판넬본체(2) 단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프레임(30)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용 조립식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홈(20)은 덮개판(22)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용 조립식 판넬.
  3. 삭제
KR2020100010712U 2010-10-19 2010-10-19 설비용 조립식 판넬 KR200461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12U KR200461886Y1 (ko) 2010-10-19 2010-10-19 설비용 조립식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12U KR200461886Y1 (ko) 2010-10-19 2010-10-19 설비용 조립식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07U KR20120002907U (ko) 2012-04-27
KR200461886Y1 true KR200461886Y1 (ko) 2012-08-10

Family

ID=4660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12U KR200461886Y1 (ko) 2010-10-19 2010-10-19 설비용 조립식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07U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7018A1 (zh) 一种装配式整体卫生间及其建造方法
CN204782075U (zh) 一种由标准周转房构成的卫生间
RU2677504C2 (ru) Концептуальное здание, вертикальный каналь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адаптивной компоновки пространств внутри здания
US20140000192A1 (en) Wall assembly for a building structure
US20070130841A1 (en) Construction module system and method
KR200461886Y1 (ko) 설비용 조립식 판넬
KR20120002908U (ko) 조립식 타일마감재
EP2792803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EP2792802A1 (en) Modular unit
US20230332396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Modular Building
KR200385873Y1 (ko) 길이가변식 매립트랩의 개선구조
JP2012193608A (ja)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JP6097066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及び非耐力壁構造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CN104631858A (zh) 一种预制装配式住宅的安装方法
CN219491389U (zh) 一种集成设备带构造的装配式墙体
WO2016006207A1 (ja) 建物及び建物ユニット
CN217782450U (zh) 给水管预制墙体
KR102591576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갖는 확장형 모듈러하우스
RU215352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инженер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здания
CN220620511U (zh) 一种竖向封堵装置和模块化建筑
KR20120076981A (ko) 건축물의 일체형 벽체
CN210336361U (zh) 用于预制配电箱的模具
CN204663036U (zh) 一种由标准周转房构成的小浴室
KR100722164B1 (ko)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