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37Y1 - 가변식 접시 안치대 - Google Patents

가변식 접시 안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837Y1
KR200461837Y1 KR2020100013255U KR20100013255U KR200461837Y1 KR 200461837 Y1 KR200461837 Y1 KR 200461837Y1 KR 2020100013255 U KR2020100013255 U KR 2020100013255U KR 20100013255 U KR20100013255 U KR 20100013255U KR 200461837 Y1 KR200461837 Y1 KR 200461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frame
cross frame
center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747U (ko
Inventor
현 우 박
Original Assignee
현 우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 우 박 filed Critical 현 우 박
Priority to KR2020100013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3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8Food-conveying devices for tables; Movable or rotary food-ser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A47G19/10Devices for securing plates to the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6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staurant service systems
    • A47F2010/065Food shields; sneeze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식 접시 안치대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모서리부분에 바퀴(113)를 결합하고 내부에 중심부가 상호 교차하는 크로스프레임(111)을 형성하되 각각의 크로스프레임(111) 좌우에 세팅핀(112)을 상향으로 돌출시킨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 중앙 교차부분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중앙지주(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에 대향하게 하되 중앙 교차부분에 센터공(131)을 형성하여 중앙지주(120)를 삽입하고 좌우 각각에 세팅핀(132)을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하로 도출되게 하는 크로스프레임(130)과, 상기 크로스프레임(130,111)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안치지주(140), 및 상기 안치지주(130)의 상하에 순차적으로 수평되게 결합하되 좌우가 안치지주(140)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시킨 안치바(150)로 구성하므로, 음식물을 담은 접시를 상호 간섭 없이 순차적으로 대량으로 안치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편리하게 접시를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으며, 특히 접시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켜 안전하게 음식물이 담은 접시를 안치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식 접시 안치대 {Variable plate placement}
본 고안은 가변식 접시 안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접시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하여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의 접시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 접시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연회 등에서 단시간 내에 모든 테이블에 음식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시에 먼저 음식물을 담아 코스에 따라 신속하게 공급하여 제공하였다.
이러한 코스요리는 음식물이 담긴 접시를 보관하기 용이하지 못하고 적절하게 보관하거나 이동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더 넓은 공간이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음식물을 담은 접시를 적절하게 적층하여 사용하도록 접시 안치대나 보관대 등이 개발되고 이러한 물품을 사용함으로써, 대다수의 접시들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예를 들어 그 접시들에 동일 형태의 1코스 요리 또는 디저트 등을 담아 단시간 내에 내놓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접시의 다양한 크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음시물이 담긴 접시의 안치 및 보관 매우 불편하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음식물을 담은 접시를 상호 간섭 없이 순차적으로 안치하여 대량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 접시 안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담은 접시를 다량의 접시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접시를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 접시 안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접시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켜 음식물을 담은 접시를 안전하게 안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 접시 안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변식 접시 안치대는 저면에 모서리부분에 바퀴를 결합하고 내부에 중심부가 상호 교차하는 크로스프레임을 형성하되 각각의 크로스프레임좌우에 세팅핀을 상향으로 돌출시킨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크로스프레임 중앙 교차부분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중앙지주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크로스프레임에 대향하게 하되 중앙 교차부분에 센터공을 형성하여 중앙지주를 삽입하고 좌우 각각에 세팅핀을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하로 도출되게 하는 크로스프레임과, 상기 크로스프레임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안치지주, 및 상기 안치지주의 상하에 순차적으로 수평되게 결합하되 좌우가 안치지주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시킨 안치바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가변식 접시 안치대는 안치지주의 지지편에 각각 형성된 세팅홀 중 선택한 세팅홀을 크로스프레임의 세팅핀에 세팅하고 여기서 중앙지주에 상단에 나사캡을 결합하여 크로스프레임을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필요에 따라 안치지주의 위치를 접시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프레임과 크로스프레임 사이마다 안치바가 결합된 안치지주를 결합하여 다단으로 형성할 수 도 있고, 나아가 상측과 하측의 크로스프레임을 위치를 가변시켜 다양한 크기를 접시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이로 인하여 음식물을 담은 접시를 상호 간섭 없이 순차적으로 대량으로 안치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편리하게 접시를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으며, 특히 접시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켜 음식물이 담은 접시를 안전하게 안치 보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의 베이스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의 크로스프레임과 안치지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의 크로스프레임과 안치지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의 안치바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접시 안치대의 안치바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변식 접시 안치대(100)는 저면에 모서리부분에 바퀴(113)를 결합하고 내부에 중심부가 상호 교차하는 크로스프레임(111)을 형성하되 각각의 크로스프레임(111) 좌우에 세팅핀(112)을 상향으로 돌출시킨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 중앙 교차부분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중앙지주(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에 대향하게 하되 중앙 교차부분에 센터공(131)을 형성하여 중앙지주(120)를 삽입하는 크로스프레임(130)과, 상기 크로스프레임(130,111)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안치지주(140), 및 상기 안치지주(130)에 수평으로 일정하게 결합하는 안치바(150)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되 테두리의 내부 측에 중앙부분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크로스프레임(111)을 하향으로 롤러(113)를 결합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지주(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 중앙 교차부분에 수직으로 결합하되, 내부에는 결합봉(121)을 삽입하여 결합봉(121)의 하단을 고정하고, 상단에는 나사캡(122)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크로스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과 수직으로 대향되게 하되 중앙 교차부분에 센터공(131)을 형성하여 중앙지주(120)를 삽입하고 크로스프레임(130)의 좌우 각각에 세팅핀(132)을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하로 도출되도록 한다.
상기 안치지주(140)는 크로스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 사이 전후좌우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하단에 가이드플레이트(141)를 형성하고 가이드플레이트(141)에 좌우에 지지편(142)을 형성하여 크로스프레임(111,130)이 지지편(142)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안치지주(140)의 가이드플레이트(141)는 세팅핀(112,132)과 대응되는 복수의 세팅홀(143)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되 세팅핀(112,132)에 선택적으로 세팅홀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안치지주(140)의 위치를 방사선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치바(150)는 안치지주(140)에 다단으로 다수개 부착하되 좌우가 안치지주(140)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부착하여 인접하는 안치바(150)가 상호 평행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안치바(150)의 외주연에는 안전튜브(151)를 끼워 접시 등이 부딪침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접지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함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가변식 접시안치대(100)는 크로스프레임(130)을 중앙지주(120)에 결합한 다음 다수개의 안치바(150)가 일체로 결합된 안치지주(140)의 세워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과 크로스프레임(130) 사이에 위치시키되, 안치지주(140)의 지지편(142)에 각각 형성된 세팅홀(143) 중 원하는 세팅홀(143)을 크로스프레임(111,130)의 세팅핀(112,132)에 세팅하고, 여기서 중앙지주(120)에 상단에 나사캡(122)을 결합하여 크로스프레임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더욱이, 안치지주(140)의 지지편(142)에 각각 형성된 세팅홀(143) 중 원하는 세팅홀(143)을 크로스프레임(111,130)의 세팅핀(112,132)에 세팅하므로 안치지주(140)의 위치를 접시의 크기에 따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중앙지주(120)에 상단에 나사캡(122)을 결합하면 크로스프레임(130)을 가압되면서 전체가 고정되는 것이다.
나아가, 크로스프레임(130)을 다단을 구성하여 크로스프레임(130)과 크로스프레임(130) 사이마다 안치바(150)가 결합된 안치지주(140)를 결합하여 다단으로 형성할 수 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과 하측의 크로스프레임(130)을 위치를 가변시켜 다양한 크기를 접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특히 안치지주(140)에 수평으로 부착한 안치바(150)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하므로 인접하는 안치바(150)가 상호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안치지주(140)의 위치를 가변시키더라도 인접하는 안치바(150)가 상호 평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다만 상호 간격만이 가변되는 것으로, 안치바(150)가 접시의 사이즈에 따라 가장 이상적인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100 : 안치대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크로스프레임 112 : 세팅핀
113 : 롤러 120 : 중앙지주
121 : 결합봉 122 : 나사캡
130 : 크로스프레임 131 : 센터공
132 : 세팅핀 140 : 안치지주
141 : 가이드플레이트 142 : 지지편
143 : 세팅홀 150 : 안치바
151 : 안전튜브

Claims (2)

  1. 저면에 모서리부분에 바퀴(113)를 결합하고 내부에 중심부가 상호 교차하는 크로스프레임(111)을 형성하되 각각의 크로스프레임(111) 좌우에 세팅핀(112)을 상향으로 돌출시킨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 중앙 교차부분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중앙지주(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크로스프레임(111)에 대향하게 하되 중앙 교차부분에 센터공(131)을 형성하여 중앙지주(120)를 삽입하고 좌우 각각에 세팅핀(132)을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하로 도출되게 하는 크로스프레임(130)과,
    상기 크로스프레임(130,111)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되 상하단에 가이드플레이트(141)를 형성하고 가이드플레이트(141)에 좌우에 지지편(142)을 형성하여 크로스프레임(111,130)이 지지편(142)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며 가이드플레이트(141)에 세팅핀(112,132)과 대응되는 복수의 세팅홀(143)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한 안치지주(140), 및
    상기 안치지주(130)의 상하에 순차적으로 수평되게 결합하되 좌우가 안치지주(140)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절곡시킨 안치바(1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접시 안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주(120)는 내부에 결합봉(121)을 삽입하여 결합봉(121)의 하단을 고정하고, 상단에는 나사캡(122)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접시 안치대.
KR2020100013255U 2010-12-22 2010-12-22 가변식 접시 안치대 KR200461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55U KR200461837Y1 (ko) 2010-12-22 2010-12-22 가변식 접시 안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55U KR200461837Y1 (ko) 2010-12-22 2010-12-22 가변식 접시 안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47U KR20120004747U (ko) 2012-07-02
KR200461837Y1 true KR200461837Y1 (ko) 2012-08-08

Family

ID=4685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255U KR200461837Y1 (ko) 2010-12-22 2010-12-22 가변식 접시 안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3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11A (ja) 1999-12-26 2001-07-03 Shigiko Yukioka 衣類用ハンガー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11A (ja) 1999-12-26 2001-07-03 Shigiko Yukioka 衣類用ハンガー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47U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2048B (zh) 可调节架和使用方法
US20180295790A1 (en) Fence panel
US10094407B2 (en) Modular frame for making seats and furnishing elements in general provided with a supporting surface
CN208740292U (zh) 储物层板高度可调节的简易货架
KR200461837Y1 (ko) 가변식 접시 안치대
KR101343378B1 (ko) 테이블 조립체
KR200472629Y1 (ko) 수납장
KR101463937B1 (ko) 화분 받침대
CN208725318U (zh) 一种可旋转且重复拆装的展架
CN207870584U (zh) 一种拼装结构的置物架
TWM501168U (zh) 組合架
CN203685803U (zh) 一种组合式货架的支架连接器
JP5898809B1 (ja) ハンガーラック
KR20140132926A (ko) 보강대 일체형 선반
KR200482454Y1 (ko) 전면 책꽂이 선반
CN214803844U (zh) 一种农业种植用化肥摆放架
CN218513140U (zh) 可翻转展示牌
JP2017038675A (ja) 組み立て家具
CN206729706U (zh) 组合收纳架
KR101562797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JP3084463U (ja) ディスプレイ用棚具
CN1915434B (zh) 餐具架
US20140045601A1 (en) Game Table Assembly Structure
JP3184902U (ja) U.vアンド穴あき園芸用支柱
CZ35693U1 (cs) Stohovatelný a do řady spojitelný stů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