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889Y1 - 반함 의식용 입마개 - Google Patents

반함 의식용 입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889Y1
KR200460889Y1 KR2020120000527U KR20120000527U KR200460889Y1 KR 200460889 Y1 KR200460889 Y1 KR 200460889Y1 KR 2020120000527 U KR2020120000527 U KR 2020120000527U KR 20120000527 U KR20120000527 U KR 20120000527U KR 200460889 Y1 KR200460889 Y1 KR 200460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
muzzle
mouth stopper
stopper body
ri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향민
Original Assignee
나향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향민 filed Critical 나향민
Priority to KR2020120000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8Devices related to praying, e.g. counters, reminders, study aids, compasses, rugs, cushi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반함 의식용 입마개는 입마개 본체; 및 상기 입마개 본체의 일면에 서로 이격 결합된 홀수개의 구슬;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반함 의식 시 구슬을 망자의 입 안에 넣고, 입마개로 입 주위를 가리는 과정을 한번에 할 수 있어 반함 의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구슬의 분실에 따른 반함 의식절차의 중지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입마개 본체의 구조가 망자의 얼굴 형태에 알맞게 형성됨으로써 입관 시 등에 있어서, 망자의 얼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반함 의식용 입마개{MASK FOR FUNERAL}
본 고안은 반함 의식용 입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죽은 사람에게 행하는 절차상의 행사로 염습(殮襲)시 시신의 입에 구슬과 쌀을 물리는 반함(飯含) 행사에 이용되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죽은 사람에게 행하는 반함의 행사는 초상 시 시신을 목욕시켜 수의를 입히는 소렴 후에 행하는 가장 중요한 행사로서 죽은 사람의 혼이 극락세계를 찾아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신에게 쌀 세 숟갈과 여의주를 입에 담게 하고 불탑다라니 즉 금강경탑다라니와 묘법연화경다보탑다라니로 시신을 덮는 행사이다.
이러한 반함 행사 시에 사용되는 반함기구에는 금 또는 은과 동으로 된 구슬에다 용을 새김한 반함여의주와, 향나무 등을 재료로 하여 시신의 위 아래 이빨 사이를 벌려 놓는 설치(楔齒)와, 시신의 입속에 쌀을 떠 넣는 버드나무 숟가락인 유시(柳匙)와, 시신의 입을 막는 입마개와, 사각형으로 재단된 천에다 불화를 입힌 묘법연화경다보탑다라니와 금강경탑다라니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행사로서 죽은 사람의 혼이 영계로 접어 들면 부처님과 불보살의 안내로 극락세계에 안정되고 유족은 영계와 불보살님의 가피묘력으로 불가사의 한 복을 받게 된다는 염원이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으로 행하는 종래의 반함 행사는 반함 기구가 어느 한 곳에 일괄적으로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반함 기구가 분실되는 경우, 특히 구 형태인 구슬의 분실 사고가 종종 발생되어 진행에 상당히 차질을 빚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1593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함기구 중 구슬의 분실 방지 및 반함 의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반함 의식용 입마개는 입마개 본체; 및 상기 입마개 본체의 일면에 서로 이격 결합된 홀수개의 구슬;을 포함한다.
상기 구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고정편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편은 상기 결합홈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일단에 링 형태로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입마개 본체 사이에는 실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슬에는 한 쌍의 삽입홀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입마개 본체에 상기 구슬의 결합은 상기 입마개 본체에 관통된 실이 상기 한 쌍의 삽입홀 중 어느 한 삽입홀에 하방으로 삽입된 후에 나머지 삽입홀에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입마개 본체를 관통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마개 본체 내에는 횡방향으로 가압에 의해 구부리고 펼 수 있는 지지바가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마개 본체의 양단에는 결합띠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마개 본체의 일면 중심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망자의 입 주위에 안착 시 입술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반함 의식용 입마개에 의하면, 반함 의식 시 구슬을 망자의 입 안에 넣고, 입마개로 입 주위를 가리는 과정을 한번에 할 수 있어 반함 의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구슬의 분실에 따른 반함 의식절차의 중지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입마개 본체의 구조가 망자의 얼굴 형태에 알맞게 형성됨으로써 입관 시 등에 있어서, 망자의 얼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함 의식용 입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입마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5는 도 1의 구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반함 의식용 입마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함 의식용 입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입마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5는 도 1의 구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반함 의식용 입마개는 입마개 본체(10) 및 구슬(20)을 포함한다.
상기 입마개 본체(10)는 삼베, 명주, 광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략 타원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입마개 본체(10)의 일면 중심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망자의 입 주위에 안착 시 입술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오목하게 형성된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입마개 본체(10) 내에는 횡방향으로 가압에 의해 구부리고 펼 수 있는 지지바(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입마개 본체(10)를 망자의 입 주위에 안착 시 망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입마개 형태를 조절하여 망자의 입 주위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입마개 본체(10)의 양단 각각에는 결합띠(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결합띠는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망자의 이동 시 등에 있어 입 주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띠 간의 결합은 매듭에 의할 수도 있고, 각 결합띠에 벨크로테입이 결합되어 암수 결합에 의할 수도 있다.
상기 구슬(20)은 입마개 본체(10)의 일면 중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1개나 3개 등 홀수개가 결합된다.
입마개 본체(10)에 구슬(20)의 결합은 실에 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슬(20)에는 결합홈(21)이나 삽입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슬에 결합홈(21)이 형성된 경우, 도 3과 같이 구슬의 중심 방향으로 결합홈(21)이 형성된 형태이거나, 도 4와 같이 외주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형성되어 결합홈(21)이 형성된 부분은 움푹 패이고, 그 위에는 외주면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바(22)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구슬(20)의 중심 방향으로 결합홈(21)이 형성된 형태의 경우, 이 결합홈(21)에는 고정편(3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편(30)은 직선부(31) 및 결합부(3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직선부(31)는 구슬(20)의 결합홈(21)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되고, 결합부(32)는 직선부(31)의 타측에 링 형태나 후크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 형태인 경우에는 구슬(20)에 고정편(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 형태의 결합부(32)가 입마개 본체(1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링 형태의 결합부(32)나 결합홈(21)이 움푹 패이고, 그 위에 연결바(22)가 형성된 형태인 경우, 실에 의해 입마개 본체(10)에 결합된다.
즉, 입마개 본체(10)에 구슬(20)의 인접시킨 후 입마개 본체(10)와 결합부(32) 또는 입마개 본체(10)와 결합홈(21)을 실을 이용하여 체결하면 입마개 본체(10)의 일면 상에 구슬(20)이 고정 결합된다.
구슬(20)에 삽입홀(23)이 형성된 경우, 삽입홀(23)은 구슬(20) 중심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입마개 본체(10)에의 결합 시 입마개 본체(10)에 구슬(20)을 인접시킨 후 입마개 본체(10)에 관통된 실로 어느 한 삽입홀(23)에 하방으로 삽입하고, 다시 나머지 삽입홀(23)에 상방으로 삽입한 후 입마개 본체(10)를 관통하여 타측 부분과 매듭 짓게 되면 입마개 본체(10)에 구슬(20)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반함 의식용 입마개에 의하면, 반함 의식 시 구슬(20)을 망자의 입 안에 넣고, 입마개 본체(10)로 입 주위를 가리는 과정을 한번에 할 수 있어 반함 의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구슬(20)의 분실에 따른 반함 의식절차의 중지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입마개 본체(10)의 구조가 망자의 얼굴 형태에 알맞게 형성됨으로써 입관 시 등에 있어서, 망자의 얼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 입마개 본체
20... 구슬
21... 결합홈
22... 연결바
23... 삽입홀
30... 고정편
31... 직선부
32... 결합부

Claims (6)

  1. 입마개 본체; 및
    상기 입마개 본체의 일면에 서로 이격 결합된 홀수개의 구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고정편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편은 상기 결합홈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일단에 링 형태로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입마개 본체 사이에는 실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슬에는 한 쌍의 삽입홀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입마개 본체에 상기 구슬의 결합은 상기 입마개 본체에 관통된 실이 상기 한 쌍의 삽입홀 중 어느 한 삽입홀에 하방으로 삽입된 후에 나머지 삽입홀에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입마개 본체를 관통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마개 본체 내에는 횡방향으로 가압에 의해 구부리고 펼 수 있는 지지바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마개 본체의 양단에는 결합띠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마개 본체의 일면 중심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망자의 입 주위에 안착 시 입술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함 의식용 입마개.
KR2020120000527U 2012-01-20 2012-01-20 반함 의식용 입마개 KR200460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527U KR200460889Y1 (ko) 2012-01-20 2012-01-20 반함 의식용 입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527U KR200460889Y1 (ko) 2012-01-20 2012-01-20 반함 의식용 입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889Y1 true KR200460889Y1 (ko) 2012-06-11

Family

ID=4660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527U KR200460889Y1 (ko) 2012-01-20 2012-01-20 반함 의식용 입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8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871Y1 (ko) 2005-11-11 2006-03-10 안광현 위생마스크
KR20060083536A (ko) * 2005-01-17 2006-07-21 박경수 프레임 마스크
KR101041415B1 (ko) 2011-01-06 2011-06-15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유연성이 개선된 화학방호복용 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536A (ko) * 2005-01-17 2006-07-21 박경수 프레임 마스크
KR200410871Y1 (ko) 2005-11-11 2006-03-10 안광현 위생마스크
KR101041415B1 (ko) 2011-01-06 2011-06-15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유연성이 개선된 화학방호복용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0750S1 (en) Pair of display screens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37790S1 (en) Short sleeve upper torso garment
USD643159S1 (en) Pet collar
CA146531S (en) Electrical connector
USD595531S1 (en) Pillow with cross straps
US20130254990A1 (en) Fitted Sheet
USD1008303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A138781S (en) Funeral urn
MA34307B1 (fr) Accessoire vestimentaire et pour soutien-gorge.
USD872752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ulti-player card game
KR200460889Y1 (ko) 반함 의식용 입마개
USD699067S1 (en) Cookware vessel with decorative rim and exterior
USD611837S1 (en) Tie and collar stays arranged in a box
USD806408S1 (en) Clothing display
CA137092S (en) Ear hook for respiratory mask
USD814138S1 (en) Pet burial or cremation bag
CN205624805U (zh) 一种磁性固定式环状首饰
CN104287553B (zh) 多方位保暖复合型被枕
USD793030S1 (en) Diagonally zippered sleeping bag
CN104367066A (zh) 一种睡袋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20100136166A (ko) 구명조끼
KR200444854Y1 (ko) 곡선으로 미려함을 배가한 한복 옷 고름
JP3126912U (ja) ポンチョ型雨具やポンチョの本体と一体型多機能ポケット
CA137093S (en) Mask for respi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