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876Y1 -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 Google Patents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876Y1
KR200460876Y1 KR2020110004737U KR20110004737U KR200460876Y1 KR 200460876 Y1 KR200460876 Y1 KR 200460876Y1 KR 2020110004737 U KR2020110004737 U KR 2020110004737U KR 20110004737 U KR20110004737 U KR 20110004737U KR 200460876 Y1 KR200460876 Y1 KR 200460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chain
cap
hoo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풍
정영미
안혜연
안수연
Original Assignee
안기풍
안수연
안혜연
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풍, 안수연, 안혜연, 정영미 filed Critical 안기풍
Priority to KR2020110004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01F15/065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the barrier members being made of essentially non-metallic materials, e.g. natural or synthetic fibres or web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2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 F21S4/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of rope form, e.g. LED lighting ropes, or of tubular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슬인출형 도로용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형, 원기둥형, ㄷ자형, A자형으로 설치되는 도로용 볼라드의 내부에 고리가 끝부분에 결합된 사슬을 내장시키고, 볼라드의 상부에 걸고리와 개폐용 도어가 형성된 캡을 끼워 결합하므로서, 도로상에 차량, 자전거, 사람의 진입 통제를 위해 소정간격으로 볼라드가 설치될때 캡의 도어를 개방시켜 사슬을 인출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의 걸고리에 걸어서 진입통제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유롭게 사슬을 볼라드에 넣었다 뺄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회전이 가능한 캡의 결합으로 사슬 인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사슬인출형 도로용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Bollard}
본 고안은 통제수단인출형 도로용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형, 원기둥형, ㄷ자형, A자형으로 설치되는 도로용 볼라드의 내부에 고리가 끝부분에 결합된 사슬을 내장시키고, 볼라드의 상부에 걸고리와 개폐용 도어가 형성된 캡을 끼워 결합하므로서, 도로상에 차량, 자전거, 사람의 진입 통제를 위해 소정간격으로 볼라드가 설치될때 캡의 도어를 개방시켜 사슬을 인출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의 걸고리에 걸어서 진입통제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유롭게 사슬을 볼라드에 넣었다 뺄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회전이 가능한 캡의 결합으로 사슬 인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제수단인출형 도로용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라 함은 도로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아니면 자전거 또는 사람의 진입을 제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볼라드는 봉형태로 입설되는 것으로 베이스를 도면 지면상에 매립시켜 볼라드를 세워 설치하거나 아니면 볼라드의 하측에 앵커볼트를 도로에 박아서 설치하고 있으며, 볼라드는 금속,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라드는 단순히 도로상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것이어서 볼라드를 차량 및 자전거, 사람의 출입 통제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복수의 볼라드 사이를 자전거 또는 사람이 지나갈 수 있게되어 안전하게 자전거 및 사람을 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볼라드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끈으로 볼라드를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또한 끈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끈으로 연결된 볼라드를 제거할 때에는 일일이 끈을 풀어주거나 절단해야만 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형, 원기둥형, ㄷ자형, A자형으로 설치되는 도로용 볼라드의 내부에 고리가 끝부분에 결합된 사슬을 내장시키고, 볼라드의 상부에 걸고리와 개폐용 도어가 형성된 캡을 끼워 결합하므로서, 도로상에 차량, 자전거, 사람의 진입 통제를 위해 소정간격으로 볼라드가 설치될때 캡의 도어를 개방시켜 사슬을 인출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의 걸고리에 걸어서 진입통제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유롭게 사슬을 볼라드에 넣었다 뺄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회전이 가능한 캡의 결합으로 사슬 인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통제수단인출형 도로용 볼라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콘형, 원기둥형, ㄷ자형, A자형으로 설치되는 도로용 볼라드를 이루는 볼라드 몸체의 내부에 볼라드몸체로 부터 인출되어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몸체에 연결되는 통제수단을 내장시키고, 볼라드몸체의 상부에 걸고리와 개폐용 도어가 형성된 캡을 끼워 결합하여 도어를 통해 통제수단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상에 차량, 자전거, 사람의 진입 통제를 위해 소정간격으로 볼라드가 설치될때 캡의 도어를 개방시켜 사슬을 인출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의 걸고리에 걸어서 진입통제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유롭게 사슬을 볼라드에 넣었다 뺄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회전이 가능한 캡의 결합으로 사슬 인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과 도 2 는 콘형 볼라드에 적용된 본 고안을 보인 도면.
도 3 과 도 4 는 원기둥형 볼라드에 적용된 본 고안을 보인 도면.
도 5 와 도 6 은 'ㄷ'자형 볼라드에 적용된 본 고안을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A자형 볼라드에 적용된 본 고안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 와 도 13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볼라드의 형태에 따라 4개의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제 1 실시예는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형으로 형성된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볼라드몸체(1)의 저면에 바닥판(3)을 결합하고, 일단이 바닥판(3)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에는 고리(7)가 결합되어 있는 사슬(6)을 볼라드몸체(1) 내부에 내장시키며, 볼라드몸체(1)의 상부에 개구단(2)을 형성하고, 이 개구단(2)에 사슬(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하되,
캡(10)은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캡(10) 하단에 개구단(2)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며, 캡(10)의 일측에는 상부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12)가 형성되고, 캡(10)의 타측에는 다른 볼라드로 부터 인출된 사슬의 고리가 걸려지기 위한 걸고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12)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되고, 걸고리(14)가 형성된 부분에는 원형의 홈(15)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융기되어 볼라드를 적층할때 볼라드몸체(1)의 상부가 끼워질 수 있는 적층홈(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제 1 실시예는 콘형 즉,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볼라드몸체(1)를 구비하고, 이 볼라드몸체(1)의 저면에 별도의 바닥판(3)을 결합하여 볼라드몸체(1)의 바닥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바닥판(3)의 중앙부에는 바닥판(3)이 상부로 융기되어 적층홈(4)이 형성되도록 하여 콘형 볼라드를 적층할때 볼라드의 상부가 적층홈(4)으로 끼워지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하여 콘형 볼라드를 보관할때 부피가 작아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볼라드몸체(1)의 내부에 사슬(6)을 내장시키는데, 사슬(6)의 일측 끝단은 바닥판(3)에 설치되어 있는 걸이부(5)에 걸려지도록하여 사슬(6)을 볼라드몸체(1)로 부터 인출할때 사슬(6)이 볼라드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고, 사슬(6)의 타측 끝단에는 고리(7)를 결합하여 인출된 사슬(6)을 고리(7)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에 걸어 설치하도록 하였다.
한편, 볼라드몸체(1)의 상부에 별도의 개구단(2)을 더 형성하고, 이 개구단(2)에 사슬(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한다.
캡(10)은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캡(10) 하단에 개구단(2)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1)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캡(10)의 일측에는 상부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12)를 형성하고, 캡(10)의 타측에는 다른 볼라드로 부터 인출된 사슬(6)의 고리(7)가 걸려지기 위한 걸고리(14)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12)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되고, 걸고리(14)가 형성된 부분에는 원형의 홈(15)이 요입 형성된다.
도어(12)는 경첩과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캡(10)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나 본 고안에서는 캡(10) 몸체와 연결된 얇은 두께의 연결부(16)에 의해 도어(12)의 일측이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손잡이(13)를 잡고 도어(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콘형 볼라드는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고정시켜 설치할 수도 있고, 볼라드몸체(1) 내부에 물이나 모래를 투입하여 세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볼라드는 내부에 사슬(6)이 내장되므로 물이나 모래와 같은 중량체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지 않아도 사슬(6)의 무게로 인해 충분히 무게중심이 잡히게되어 바람이 쉽게 날라가지 않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용은 도 2 와 같이 도로상에 볼라드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볼라드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사슬(6)을 개방된 도어(12)를 통해 인출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몸체(1)의 캡(10)에 구비된 걸고리(14)에 걸어서 볼라드와 볼라드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볼라드와 볼라드 사이를 사슬(6)로서 연결함에 따라 자전거 또는 사람이 볼라드 사이를 지나갈 수 없게되므로 차량, 자전거, 사람의 통행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의 통제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의하면, 사슬(6)을 볼라드 내부로 내장시키거나 인출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제 2 실시예는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볼라드에 적용된 것이다.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캡(1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설명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제 2 실시예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볼라드몸체(21)의 저면에 바닥판(23)을 결합하고, 일단이 바닥판(23)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에는 고리(27)가 결합되어 있는 사슬(26)을 볼라드몸체(21) 내부에 내장시키며, 볼라드몸체(21)의 상부에 개구단(22)을 형성하고, 이 개구단(22)에 사슬(2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하되,
캡(10)은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캡(10) 하단에 개구단(22)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며, 캡(10)의 일측에는 상부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12)가 형성되고, 캡(10)의 타측에는 다른 볼라드로 부터 인출된 사슬의 고리가 걸려지기 위한 걸고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볼라드몸체(21)는 도면과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볼라드몸체(21)의 상부에는 개구단(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라드몸체(21)의 바닥부에는 바닥판(23)이 결합된다.
바닥판(23)에는 걸이부(25)가 결합되어 있고, 볼라드몸체(21) 내부에는 일단이 걸이부(25)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27)가 결합되어 있는 사슬(26)을 내장시킨다.
볼라드몸체(21)의 개구단(22)에는 사슬(2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하며, 캡(1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도로상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볼라드몸체(21)의 사이를 볼라드몸체(21)로 부터 인출된 사슬(26)을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몸체(21)에 결합되어 있는 캡(10)의 걸고리(14)에 걸어서 각각의 볼라드몸체(21) 사이 사이를 사슬(26)이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제 2 실시예 역시 볼라드몸체(21) 사이를 사슬(26)이 연결하고 있음에 따라 자전거, 사람의 진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 제 3 실시예 ◆
제 3 실시예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볼라드에 관한 것이며, 제 3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제 3 실시예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볼라드몸체(31)의 양끝단에 바닥판(33)을 결합하고, 일단이 바닥판(33)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에는 고리(7)가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사슬(6)을 볼라드몸체(31) 내부에 내장시키며, 볼라드몸체(31)의 상부 양측에 2개의 개구단(32)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개구단(32)에 사슬(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하되,
캡(10)은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캡(10) 하단에 개구단(32)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며, 캡(10)의 일측에는 상부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12)가 형성되고, 캡(10)의 타측에는 다른 볼라드로 부터 인출된 사슬의 고리가 걸려지기 위한 걸고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몸체(31)는 '
Figure 112011040693165-utm00001
'모양으로 형성된 모양, 즉, 'ㄷ'자를 세워 설치한 모양이며, 볼라드몸체(31)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이고, 양끝단의 개구부에 바닥판(33)을 결합하며, 바닥판(33)이 결합된 부분이 지면에 맞대어지도록 하여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세워 설치한다.
상기 바닥판(33)에는 사슬(36)의 일측 끝단을 걸어주기 위한 걸이부(35)가 설치되고, 볼라드몸체(31) 내부에 내장되는 사슬(36)의 일단을 상기 걸이부(35)에 걸어주고, 사슬(36)의 타측 끝단에는 고리(37)를 결합한다.
볼라드몸체(31)의 상부 양측에 2개의 개구단(32)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개구단(32)에 캡(10)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캡(1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고리(37)가 걸려지기 위한 걸고리(14)와 사슬(36)이 인출되기 위한 도어(12)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캡(10)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볼라드몸체(31)의 상단 우측에 결합된 캡(10)의 도어(12)를 통해 사슬(36)을 인출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몸체(31)의 상단 좌측에 결합된 캡(10)의 걸고리(14)에 걸어서 사슬(36)로서 이웃하는 볼라드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 제 4 실시예 ◆
제 4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A자 모양으로 설치 사용되는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제 4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제 4 실시예는
내부가 비어있는 2개의 판형 볼라드몸체(41a,41b)가 A자 형태로 펼쳐져 세워 설치될 수 있도록 볼라드몸체(41a,41b)의 상부가 회전축(43)에 연결대(44a,44b)로 연결되고, 일단이 볼라드몸체(41a,41b)의 바닥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에는 고리(47)가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사슬(46)을 볼라드몸체(41a,41b) 내부에 내장시키며, 볼라드몸체(41a,41b)의 상단 양측에 각각 개구단(42)을 형성하고, 이 개구단(42)에 사슬(4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하되,
캡(10)은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캡(10) 하단에 개구단(42)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며, 캡(10)의 일측에는 상부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12)가 형성되고, 캡(10)의 타측에는 다른 볼라드로 부터 인출된 사슬의 고리가 걸려지기 위한 걸고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실시예의 볼라드는 도면과 같이 A자 모양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내부가 비어있는 2개의 판형 볼라드몸체(41a,41b)를 구비하고, 이 볼라드몸체(41a,41b)의 상단 일면에 돌출된 연결대(44a,44b)를 회전축(43)에 끼워 결합하여 2개의 볼라드몸체(41a,41b)가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A자 모양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볼라드몸체(41a,41b)의 바닥부에는 사슬(46)의 일측 끝단이 결합되기 위한 걸이부(45)가 결합된다.
상기 볼라드몸체(41a,41b)의 내부에는 각각 2개의 사슬(46)을 내장시키는데, 사슬(46)의 일단을 볼라드몸체(41a,41b)의 바닥부에 설치된 걸이부(45)에 걸어서 고정시키고, 사슬(46)의 타측 끝단에는 고리(47)를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볼라드몸체(41a,41b)의 상단 양측에 각각 개구단(42)을 형성하고, 이 각각의 개구단(42)에 사슬(4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한 캡(10)은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A자형 볼라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면에서 보았을때 볼라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거나 도 10 과 같이 A자형 볼라드가 정면을 보도록하여 횡방향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볼라드몸체(41a,41b) 내부에 내장된 사슬(46)을 캡(10)의 도어(12)를 통해 인출하여 이웃하는 볼라드몸체에 결합된 캡(10)의 걸고리(14)에 걸어줌으로써 A자형 볼라드 사이를 사슬(46)로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A자형 볼라드 역시 볼라드 사이를 사슬(46)로서 연결함에 따라 자동차, 자전거, 사람의 통행제한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도 11에는 다른 실시예의 볼라드가 도시되어 있는데,
다른실시예의 볼라드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태의 볼라드몸체(51)가 구비되고, 볼라드몸체(51)의 상부에 상부판(52)을 끼워 결합한 것이며, 상부판(52)의 전후면에는 '주차금지' 또는 '공사중'과 같은 문구가 표시된다.
이러한 볼라드의 상부판(52) 일측에 걸고리(57)를 형성하고, 상부판(52)의 타측에는 구멍(54)을 형성하며, 볼라드몸체(51) 내부에는 끝단에 고리(56)가 결합되어 있는 사슬(55)을 내장시킨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는 볼라드몸체(51) 내부에 내장된 사슬(55)을 구멍을 통해 인출하여 이웃하는 다른 볼라드몸체(51)의 걸고리(57)에 걸어서 사용하게 된다.
이또한 사슬로서 이웃하는 볼라드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되므로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12에는 사슬(6)의 끝단에 무게추(5a)를 매달아서 무게추(5a)에 의해 사슬(6)이 볼라드몸체로 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한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도 13에는 통제수단으로 사슬(6) 대신 점등용 LED가 내설된 LED튜브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 볼라드 몸체, 2: 개구단,
3: 바닥판, 4: 적층홈,
5: 걸이부, 6: 사슬,
7: 고리, 10: 캡,
11: 끼움부, 12: 도어,
13: 손잡이, 14: 걸고리,
15: 홈, 16: 연결부,

Claims (7)

  1.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볼라드몸체(1)의 저면에 바닥판(3)을 결합하고, 일단이 바닥판(3)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에는 고리(7)가 결합되어 있는 사슬(6)을 볼라드몸체(1) 내부에 내장시키며, 볼라드몸체(1)의 상부에 개구단(2)을 형성하고, 이 개구단(2)에 사슬(6)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캡(10)을 끼워 결합하되,
    캡(10)은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캡(10) 하단에 개구단(2)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며, 캡(10)의 일측에는 상부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도어(12)가 형성되고, 캡(10)의 타측에는 다른 볼라드로 부터 인출된 사슬의 고리가 걸려지기 위한 걸고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제수단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융기되어 볼라드를 적층할때 볼라드몸체(1)의 상부가 끼워질 수 있는 적층홈(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제수단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10004737U 2011-05-31 2011-05-31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KR200460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37U KR200460876Y1 (ko) 2011-05-31 2011-05-31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737U KR200460876Y1 (ko) 2011-05-31 2011-05-31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099U Division KR200463789Y1 (ko) 2011-11-15 2011-11-15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KR2020110010096U Division KR200463788Y1 (ko) 2011-11-15 2011-11-15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KR2020110010100U Division KR200463790Y1 (ko) 2011-11-15 2011-11-15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876Y1 true KR200460876Y1 (ko) 2012-06-15

Family

ID=4660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737U KR200460876Y1 (ko) 2011-05-31 2011-05-31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989B1 (ko) 2013-05-07 2013-09-02 주식회사 태산기업 볼라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237Y1 (ko) * 2000-12-15 2001-06-15 주식회사케이.알 유동식 휀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237Y1 (ko) * 2000-12-15 2001-06-15 주식회사케이.알 유동식 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989B1 (ko) 2013-05-07 2013-09-02 주식회사 태산기업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8108A1 (en) Suspended play structure
US20140261600A1 (en) Quick camp frame system
KR200460876Y1 (ko)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KR200463788Y1 (ko)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KR200463790Y1 (ko)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KR200463789Y1 (ko) 통제수단 인출형 도로용 볼라드
CN202899058U (zh) 多功能路障
CN210086307U (zh) 一种交通道路井盖的安全装置
CN102379497A (zh) 雨伞存放瓶
US7770669B1 (en) Auger and hole stabilization combination system
KR20130015595A (ko) 공사장용 안전콘
CN203866863U (zh) 一种防坠窨井盖
CN209187945U (zh) 楼宇火灾逃生迫降装置的安全固定机构
CN203487554U (zh) 一种下水道井盖
CN205235296U (zh) 自锁飞爪
CN208149485U (zh) 一种自行车立体停车架
CN211113752U (zh) 一种市政排水井盖
CN107899144A (zh) 一种高楼逃生滑梯
CN205557589U (zh) 一种用于逃生井的盖板装置
US20140339800A1 (en) Snow and Debris Accumulation Prevention System
CN208235681U (zh) 一种下水井防坠落装置
CN206197266U (zh) 一种超市专用雨伞套装装置
CN201691645U (zh) 一种窗帘架
CN203412003U (zh) 一种多功能安全防盗的窨井盖
CN106360916B (zh) 一种超市专用雨伞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